맨위로가기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74년 7월 7일에 실시되었으며, 총 130석(보충의원 4석 포함)을 선출했다. 선거권자는 75,356,068명이었으며, 지역구와 전국구 투표율은 73.20%를 기록했다.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이 62석을 얻었으며, 일본 사회당 28석, 공명당 14석, 일본 공산당 13석, 민주사회당 5석, 기타 정당 1석, 무소속 7석을 확보했다. 선거 이후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금권 정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결국 다나카는 금맥 의혹으로 인해 퇴진하고 미키 내각이 발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선거 - 1974년 10월 영국 총선
    1974년 10월 영국 총선은 소수 정부의 불안정으로 인해 다시 치러진 선거로, 노동당이 원내 1당을 유지하며 정권을 잡았으나 과반수 확보에는 실패했고, 경제난과 인플레이션이 쟁점이 되었으며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 1974년 선거 - 1974년 2월 영국 총선
    1974년 2월 영국 총선은 에드워드 히스 총리의 보수당 정부가 전국광부노조 파업과 경제난 속에 "누가 영국을 다스리는가?"라는 슬로건으로 조기 총선을 실시했으나, 노동당이 제1당이 되었고 해럴드 윌슨이 이끄는 노동당이 자유당 협력으로 소수 정부를 구성하며 경제 위기, 노조 갈등, 유럽 공동체 가입 문제가 쟁점이 된 선거였다.
  • 1974년 7월 -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은 1974년 그리스 군사 정권의 쿠데타에 대응하여 튀르키예가 키프로스를 침공한 사건으로, 키프로스를 분단시키고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대규모 인구 이동과 인권 침해, 문화 유산 파괴를 초래했다.
  • 1974년 7월 - 1974년 FIFA 월드컵
    1974년 FIFA 월드컵은 서독에서 개최되어 서독의 우승, 네덜란드의 "토탈 풋볼" 전술, 폴란드의 돌풍, 그리고 동독, 오스트레일리아, 아이티, 자이르의 첫 출전 등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국제 축구 대회이다.
  • 1974년 일본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은 1974년 11월 11일에 출범하여 록히드 사건 등 정치 스캔들로 인해 개조 후 28일 만인 12월 9일에 총사퇴한 일본의 내각이다.
  • 1974년 일본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주도로 구성된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는 1974년 6월 26일 국토청 신설 등을 포함한 개조를 통해 주요 각료를 교체하고 자유민주당 소속의 다양한 파벌 출신 인물들로 구성되었으며, 1973년 11월 25일 일요일에 궁중 인증식을 거행하는 이례를 남겼다.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74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정보
선거 이름1974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국가일본
국기 연도1870
선거 유형국회의원 선거
선거 진행 여부아니오
이전 선거1971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71
다음 선거1977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77
선출 의석수252석 중 130석
과반 의석수127석
선거일1974년 7월 7일
선거 결과
가쿠에이 다나카
가쿠에이 다나카
주요 정당 1자유민주당
정당 대표 1다나카 가쿠에이
선거 후 의석 1126석
의석 변동 1감소 11석
득표수 123,332,773
득표율 144.3%
득표율 변동 1감소 0.2%p
도모미 나리타
도모미 나리타
주요 정당 2일본사회당
정당 대표 2나리타 도모미
선거 후 의석 262석
의석 변동 2감소 4석
득표수 27,990,457
득표율 215.2%
득표율 변동 2감소 6.1%p
요시카쓰 다케이리
요시카쓰 다케이리
주요 정당 3공명당 (1962–1998)
정당 대표 3다케이리 요시카쓰
선거 후 의석 324석
의석 변동 3증가 2석
득표수 36,360,419
득표율 312.1%
득표율 변동 3감소 2.0%p
겐지 미야모토
겐지 미야모토
주요 정당 4일본공산당
정당 대표 4미야모토 겐지
선거 후 의석 420석
의석 변동 4증가 10석
득표수 44,931,650
득표율 49.4%
득표율 변동 4증가 1.3%p
가스가 잇코
가스가 잇코
주요 정당 5민주사회당 (일본)
정당 대표 5가스가 잇코
선거 후 의석 510석
의석 변동 5감소 3석
득표수 53,114,895
득표율 55.9%
득표율 변동 5감소 0.2%p
참의원 의장
직책참의원 의장
선거 전 의장모리 야소이치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선거 후 의장마에다 가즈오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2. 선거 정보

1974년 7월 7일 일본에서 실시된 참의원 선거이다.[2] 당시 일본은 심각한 물가 인플레이션과 1973년 석유 위기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며 내각 지지율은 20%를 밑돌았다.[4]

위기감을 느낀 자유민주당(자민당) 총재 다나카 가쿠에이는 기업으로부터 거액의 선거 자금을 동원하여 대규모 선거 운동을 벌였다. 당시 교통망이 발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나카 총리는 헬리콥터 2대를 동원하여 도치기현을 제외한 46개 도도부현, 147곳을 방문하며 유세를 펼쳤다. 이러한 금권 선거 논란은 선거 후 매스컴의 비판을 받게 된다.[5]

선거 전, 정치 평론가들의 예측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자민당의 참패를 예상하는 시각과 상당한 성공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이 공존했다.[1] 선거 결과, 투표율은 역대 최고인 73%를 기록하며 야당에 표가 몰렸고, 자민당은 목표했던 과반수 의석 확보(63석)에 실패했다. 무소속 의원 2명의 도움으로 간신히 과반수를 유지하는 데 그쳤다.[1] 일본 공산당은 득표율을 높이며 의석 수를 두 배로 늘리는 등 가장 큰 성과를 거두었다.[1]

자민당 내부의 파벌 싸움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4명을 선출하는 홋카이도 지역구에서는 자민당 후보 2명과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여 보수 표가 분산되었고, 결국 야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1] 또한 도쿠시마현 선거구에서는 미키 다케오 파의 현직 의원 쿠구시메 켄타로가 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다나카 총리가 지원하는 신인 고토다 마사하루와 격돌했다. 이 치열한 선거전은 "아와 전쟁"이라고 불렸으며, 결국 쿠구시메가 승리했다.[1][6] 이 사건은 다나카 총리의 당내 입지를 약화시키는 동시에, 도쿠시마현 자민당을 미키파와 반미키파로 분열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선거 때마다 격렬한 대립을 이어갔다.[6]

선거 결과는 다나카 총리의 구심력 약화로 이어졌고, 가을에는 금권 문제가 불거지면서 결국 총리직에서 사퇴하게 되었다.[5] 한편, 다나카 총리를 비판했던 미키 다케오와 후쿠다 다케오 전 총리의 파벌 역시 세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맞았다.[1]

투표 당일, 동해 지역은 칠석 호우로 큰 수해를 입었다. 미에현 이세시에서는 1,000가구 이상이 침수되고 교통이 마비되어 투표가 연기되기도 했다.[7]

2. 1. 투표일

1974년 7월 7일

2. 2. 선거권자


  • 선거권자 75,356,068

2. 3. 개선 의석 수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개선 의석
선거구의석 수비고
지방구76석
전국구 (중선거구제)54석보충의원 4석 포함 (임기 3년)
총합130석보충의원 4석 포함 (임기 3년)


2. 4. 선거 제도


  • '''지방구'''
  • *소선거구제: 개선 의석 26석
  • **2인 선거구(개선 1명, 단기투표): 26선거구
  • *중선거구제: 개선 의석 50석
  • **4인 선거구(개선 2명, 단기투표): 15선거구
  • **6인 선거구(개선 3명, 단기투표): 4선거구
  • **8인 선거구(개선 4명, 단기투표): 2선거구
  • '''전국구'''
  • *대선거구제: 개선 의석 54석 (이 중 4석은 임기 3년의 보궐 선출)
  • '''투표 방식'''
  • *비밀투표
  • '''유권자'''
  • *자격: 만 20세 이상 남녀
  • *총 유권자 수[8]: 75,356,068명
  • **남성: 36,451,277명
  • **여성: 38,904,791명

3. 선거 결과

1974년 7월 7일 실시된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전체 의석의 절반을 새로 선출하는 선거였다.[2] 선거 전, 정치 평론가들의 예측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1973년 석유 위기의 여파로 집권 자유민주당(자민당)이 참패할 것이라는 전망과, 반대로 선거가 다가오면서 자민당이 상당한 성공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이 공존했다.

선거 결과는 양측 예측의 중간 지점에 가까웠다. 자민당은 개선 대상 의석 확보에는 실패하여 총 126석으로 줄어들었고, 자민당 성향의 무소속 의원 2명의 도움을 받아 간신히 과반수를 유지하는 데 그쳤다. 이는 목표로 했던 63석 확보에 1석이 모자란 결과였다. 특히 4명을 선출하는 홋카이도 선거구에서는 자민당 후보 2명 외에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가 난립하여 표가 분산되면서, 야당에게 모든 의석을 내주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1]

야당 중에서는 일본 공산당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공산당은 주요 정당 중 유일하게 득표율이 증가했으며, 특정 후보에게 표가 쏠리는 것을 막고 효율적으로 표를 배분하는 전략을 통해 의석 수를 두 배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 전국구 선거에서 공산당 후보 다수가 당선권 하위 순위에 고르게 분포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1] 반면 일본 사회당과 민사당은 의석 수가 감소했다.

이 선거 결과는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당내 입지를 크게 약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물가 상승과 지가 급등 등 경제 실정에 대한 비판이 높은 가운데,[4] 다나카 총리는 기업으로부터 거액의 정치 자금을 동원하여 금권선거 논란을 일으켰다. 헬리콥터까지 동원하며 전국적인 유세를 펼쳤으나[5], 선거 패배로 구심력을 잃었고, 이는 같은 해 가을 금권 문제가 불거지며 총리직 사퇴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자민당 내 파벌 갈등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도쿠시마현 선거구에서는 다나카 총리가 지지하는 신인 고토다 마사하루에 맞서, 반(反)다나카 파벌의 수장인 미키 다케오 파벌 소속 현직 의원 쿠지메 켄타로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 사건은 미키의 고향 이름을 따 '아와 전쟁'이라 불리며[1], 이후 도쿠시마현 자민당의 극심한 분열과 대립으로 이어졌다.[6] 자민당은 오키나와와 같은 단수 선거구에서도 야당에 패배했지만,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농촌 지역의 다른 단수 선거구에서는 대부분 승리했다. 대신 의석 수가 많은 도시 지역에서 패배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과거 선거와 유사한 경향이었다.[1] 선거 결과, 다나카 총리 자신의 파벌 의석은 늘었지만, 그를 비판하던 미키 다케오와 후쿠다 다케오 전 총리의 파벌 세력은 약화되었다.[1]

투표 당일 동해 연안 지역에서는 '칠석 호우'라 불리는 집중 호우로 수해가 발생했다. 특히 미에현 이세시에서는 1,000가구 이상이 침수되고 교통이 마비되어 투표가 연기되는 사태도 있었다.[7]

3. 1. 투표율

wikitext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투표율[8]
선거구구분투표율투표자 수
전국구 (비례대표)전체73.20%55,157,535명
남성72.73%해당 자료 없음
여성73.63%해당 자료 없음
지역구전체73.20%55,163,900명
남성72.74%해당 자료 없음
여성73.64%해당 자료 없음


3. 2. 정당별 의석 현황

1974년 일본 참의원 선거 결과 의석 분포


정당별 득표 및 개선 의석 현황[2][3][9]
정당전국구지역구개선 의석의석 증감
(개선 의석 기준)
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득표수당선자 수총 당선자 수 (이번 선거)비개선 의석 (선거 전)
자유민주당23,332,77344.3%1921,132,372436264-8
일본사회당7,990,45715.2%1013,907,865182834-4
공명당6,360,41912.1%96,732,93751410+1
일본공산당4,931,6509.4%86,428,9195137+10
민사당3,114,8956.1%42,353,397155-3
기타 정당74,3460.1%0332,716110+1
무소속6,820,19913.0%42,609,195372+4
합계52,624,739100.0%5453,497,40176130122+1



정당별 최종 의석 분포 (선거 후)
정당개선 의석 (이번 선거 당선)비개선 의석 (임기 남음)합계 의석
자유민주당6264126
일본사회당283462
공명당141024
일본공산당13720
민사당5510
무소속 및 기타8210
합계130122252


3. 3. 지역구별 당선자



홋카이도아오모리현이와테현미야기현아키타현야마가타현rowspan=2|
오가사와라 사다코요시다 츄사부로쓰시마 코우카쓰아이자와 무네히코야마자키 타츠오마스다 사카에엔도 요루야마자키 고로아기손시 토지키치
후쿠시마현이바라키현토치기현군마현사이타마현
노구치 타다오스즈키 쇼고야타베 오사무이와가미 타에코오츠카 타카시오시마 토모하루쿠리하라 토시오모가미 스스무세야 히데유키우에하라 마사요시
지바현가나가와현야마나시현도쿄도rowspan=2|
아카기 미사오타카하시 요토미타케다 시로하타노 아키라나카무라 타로안이 켄우에다 테쓰아베 켄이치우에다 코이치로
니가타현토야마현이시카와현후쿠이현나가노현기후현시즈오카현
와타리 시로시토마 유타카요시다 미노루야스다 타카아키쿠마가이 타사부로코야마 이치페이나츠메 타다오후지이 헤이고토츠카 신야아오키 신지
아이치현미에현시가현교토부오사카부
후지카와 카즈아키미하루 시게노부모리시타 쇼지사이토 주로모치즈키 쿠니오하야시다 유키오카와다 켄지나카야마 타로시라키 기이치로하시모토 아츠시
효고현나라현와카야마현돗토리현시마네현오카야마현rowspan=2|
나카니시 이치로야하라 히데오야스케 요코신타니 토라사부로마에다 요시토오이시바 시로카메이 히사오키가토 다케노리테라다 쿠마오
히로시마현야마구치현도쿠시마현가가와현에히메현고치현후쿠오카현
나가노 이츠오하마모토 만조니키 켄고쿠지메 켄타로히라이 다쿠시아오이 마사미시오미 슌지코야나기 유아리타 카즈히사쿠와나 요시하루
사가현나가사키현쿠마모토현오이타현미야자키현가고시마현오키나와현rowspan=2|
후쿠오카 히데마로하츠무라 타키이치로타카다 코운소노다 키요미쓰이와오 에이이치카미죠 카츠히사이노우에 요시오쿠보 와타루키야타케 마에


3. 4. 전국구 당선자

1위-10위미야타 테루이치카와 후사에아오지마 코오메하토야마 이이치로산토 아키코사이토 에이사부로마루모 시게사다고바야시 쿠니지메구로 케이지로타부치 테츠야
11위-20위미키 타다오하타 유타카이토야마 에이타로스즈키 카즈히로미네야마 아키노리카타야마 신이치사토 신지와다 시즈오니노미야 ぶん조우치다 요시토시
21위-30위야마나카 이쿠코안노 마사루오카다 히로시에토 사토시사쿠이즈 히사츠네아구네 노보루후지와라 후사오오타 아쓰오나가타 유지마쓰모토 에이이치
31위-40위사카노 시게노부노다 테쓰무카이 나가토시오타니 토지노스케나이토 이사오후쿠마 토모유키겐다 미노루타테기 히로시시오데 케이덴가라타니 미치카즈
41위-50위카스가야 테루미야스나가 히데오카미바야시 시게지로카미야 신노스케와다 하루오야마구치 스스코칸다 히로시콜롬비아 톱와타나베 타케시코마키 토시오



아래는 보궐 당선(임기 3년) - 제9회에서 선출된 노가미 겐, 이베 마사루, 시바타 리우에몬, 미즈구치 코조의 공석에 따른 것임.

51위-54위모리시타 야스시이와마 마사오우에다 미노루콘도 타다타카


4. 주요 정당

아스카타 이치오
에다 사부로
야스이 요시노리이시바시 마사시호리 마사오히라바야시 다케시고야나기 이사무



'''공명당 (24석)'''

중앙집행위원장중앙집행부위원장서기장정책심의회장국회대책위원장참의원 의원단장
다케이리 요시카쓰아사이 미요시
다다 쇼고
니노미야 분조(二宮文造)
야노 준야마사키 요시아키오쿠보 나오히코니노미야 분조(二宮文造)



'''일본공산당 (20석)'''

의장간부회 위원장간부회 부위원장서기국장정책위원회 책임자국회대책위원장참의원 의원단장
노사카 산조미야모토 겐지이치카와 쇼이치
오카 마사요시
니시자와 도미오
하카마다 사토미
후와 데쓰조우에다 고이치로마쓰모토 젠메이이와마 마사오



'''민사당 (10석)'''

중앙집행위원장중앙집행부위원장서기장정책심의회장국회대책위원장참의원 의원회장상임고문
가스가 잇코사사키 료사쿠쓰카모토 사부로다케모토 마고이치다마키 가즈오무카이 나가토시가타야마 데쓰
소네 에키
니시오 스에히로


5. 선거의 쟁점

선거 당시 일본 사회는 물가 상승과 지가 상승 문제가 심각했으며,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의 경제 정책 실패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았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내각 지지율은 20%를 밑돌았다.[4]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자유민주당 총재였던 다나카 가쿠에이는 기업으로부터 거액의 선거 자금을 동원하여 선거에 임했다. 당시에는 신칸센이나 고속도로망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나카 총리는 대형 헬리콥터 2대를 동원해 도치기현을 제외한 46개 도도부현의 147곳을 방문하며 대대적인 유세를 펼쳤다. 이는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규모의 유세 활동이었다.[5]

한편, 자유민주당 내부에서는 도쿠시마현 선거구의 후보 공천을 둘러싸고 미키 다케오와 다나카 가쿠에이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의석 1석이 걸린 이 선거구에서 당 집행부는 신인인 고토다 마사하루를 공천했으나, 이에 반발한 미키파 소속 현직 의원 쿠구시메 켄타로는 공천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 출마를 강행했다. 두 후보 진영 간의 치열한 선거전은 '삼각 대리 전쟁'으로 불렸으며, 선거 결과 미키파의 쿠구시메가 승리하면서 양측에 깊은 감정적 앙금을 남겼다. 이 사건을 계기로 도쿠시마현 내 자유민주당은 미키파와 반미키파(고토다파)로 분열되었고, 이후 국회의원 선거와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서 혁신 세력까지 끌어들이며 격렬한 선거전을 벌였는데, 이는 훗날 '아와 전쟁'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러한 대립 구도는 미키와 다나카의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198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다.[6]

또한, 투표 당일 동해 지역에서는 칠석 호우로 인한 수해가 발생하여 미에현 이세시에서는 1,000가구 이상이 침수되고 교통이 마비되는 등 피해가 발생해 투표가 연기되기도 했다.[7] 이처럼 다나카 내각의 경제 실정, 금권 선거 논란, 그리고 당내 갈등 심화는 이번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했다.

6. 선거 이후

선거 결과, 여당자유민주당은 고전하여 추가 공인을 포함해도 과반수를 간신히 유지하는 데 그쳤다(여당 128석, 야당 124석).[1] 이로 인해 여야 의석 차가 거의 없는 백중국회가 형성되었다. 국민적 인기를 내세웠던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에게 예상외의 부진은 큰 타격이었으며, 당 안팎에서 구심력을 잃어갔다.

선거 이후 자유민주당 내부에서는 다나카 총리의 금권정치에 대한 비판이 강해졌다. 미키 다케오 부총리는 당의 체질 개선 등을 이유로 자진 사퇴했으며, 곧이어 후쿠다 다케오 대장대신과 호리 시게루 행정관리청 장관도 사퇴했다.

또한 선거 이후 다나카 총리의 금맥 의혹이 불거지고, 다테타카 류 등에 의한 다나카 금맥 문제 추궁이 이어지면서[4] 결국 12월 9일 내각 총사퇴로 이어졌다. 후임 총리로는 시이나 중재를 통해 미키가 지명되어 미키 내각이 발족했다.

참조

[1] 논문 The Tanabata House of Councillors Election in Japan https://www.jstor.or[...] 1974
[2] 웹사이트 Table 13: Persons Elected and Votes Polled by Political Parties -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3] 웹사이트 27-11 Allotted Number, Candidates, Eligible Voters as of Election Day, Voters and Voting Percentages of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4] 서적 議員ハンドブック 帝国地方行政学会 1974
[5] 웹사이트 「来るなと言われても田中角栄は行く!」 “選挙の神様”が挑んだ史上最大の作戦 https://web.archive.[...] 文春オンライン 2019-07-02
[6] 간행물 1977년・1981년의 德島縣知事選舉에서 反三木派는 三木派의 現職知事・武市恭信의 自民黨公認을 阻止하고, 社會黨이 推薦하는 三木申三을 支援。77년은 僅差로 武市가 勝利했지만, 81년은 三木申三이 당선。
[7] 뉴스 土石流、家をなぎ倒す 瀬戸内3島 逃げる背に迫る岩 朝日新聞 1974-07-08
[8] 웹사이트 参議院議員通常選挙の定数,立候補者数,選挙当日有権者数,投票者数及び投票率(昭和22年~平成16年)(エクセル:48KB) http://www.stat.go.j[...]
[9] 웹사이트 参議院議員通常選挙の党派別当選者数及び得票率(昭和22年~平成16年)(エクセル:80KB) http://www.stat.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