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74년 7월 7일에 실시되었으며, 총 130석(보충의원 4석 포함)을 선출했다. 선거권자는 75,356,068명이었으며, 지역구와 전국구 투표율은 73.20%를 기록했다.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이 62석을 얻었으며, 일본 사회당 28석, 공명당 14석, 일본 공산당 13석, 민주사회당 5석, 기타 정당 1석, 무소속 7석을 확보했다. 선거 이후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금권 정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결국 다나카는 금맥 의혹으로 인해 퇴진하고 미키 내각이 발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선거 - 1974년 10월 영국 총선
1974년 10월 영국 총선은 소수 정부의 불안정으로 인해 다시 치러진 선거로, 노동당이 원내 1당을 유지하며 정권을 잡았으나 과반수 확보에는 실패했고, 경제난과 인플레이션이 쟁점이 되었으며 스코틀랜드 국민당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 1974년 선거 - 1974년 2월 영국 총선
1974년 2월 영국 총선은 에드워드 히스 총리의 보수당 정부가 전국광부노조 파업과 경제난 속에 "누가 영국을 다스리는가?"라는 슬로건으로 조기 총선을 실시했으나, 노동당이 제1당이 되었고 해럴드 윌슨이 이끄는 노동당이 자유당 협력으로 소수 정부를 구성하며 경제 위기, 노조 갈등, 유럽 공동체 가입 문제가 쟁점이 된 선거였다. - 1974년 7월 -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은 1974년 그리스 군사 정권의 쿠데타에 대응하여 튀르키예가 키프로스를 침공한 사건으로, 키프로스를 분단시키고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대규모 인구 이동과 인권 침해, 문화 유산 파괴를 초래했다. - 1974년 7월 - 1974년 FIFA 월드컵
1974년 FIFA 월드컵은 서독에서 개최되어 서독의 우승, 네덜란드의 "토탈 풋볼" 전술, 폴란드의 돌풍, 그리고 동독, 오스트레일리아, 아이티, 자이르의 첫 출전 등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국제 축구 대회이다. - 1974년 일본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은 1974년 11월 11일에 출범하여 록히드 사건 등 정치 스캔들로 인해 개조 후 28일 만인 12월 9일에 총사퇴한 일본의 내각이다. - 1974년 일본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주도로 구성된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는 1974년 6월 26일 국토청 신설 등을 포함한 개조를 통해 주요 각료를 교체하고 자유민주당 소속의 다양한 파벌 출신 인물들로 구성되었으며, 1973년 11월 25일 일요일에 궁중 인증식을 거행하는 이례를 남겼다.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
---|---|
1974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974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국가 | 일본 |
국기 연도 | 1870 |
선거 유형 | 국회의원 선거 |
선거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971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71 |
다음 선거 | 1977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77 |
선출 의석수 | 252석 중 130석 |
과반 의석수 | 127석 |
선거일 | 1974년 7월 7일 |
선거 결과 | |
![]() | |
주요 정당 1 | 자유민주당 |
정당 대표 1 | 다나카 가쿠에이 |
선거 후 의석 1 | 126석 |
의석 변동 1 | 감소 11석 |
득표수 1 | 23,332,773 |
득표율 1 | 44.3% |
득표율 변동 1 | 감소 0.2%p |
![]() | |
주요 정당 2 | 일본사회당 |
정당 대표 2 | 나리타 도모미 |
선거 후 의석 2 | 62석 |
의석 변동 2 | 감소 4석 |
득표수 2 | 7,990,457 |
득표율 2 | 15.2% |
득표율 변동 2 | 감소 6.1%p |
![]() | |
주요 정당 3 | 공명당 (1962–1998) |
정당 대표 3 | 다케이리 요시카쓰 |
선거 후 의석 3 | 24석 |
의석 변동 3 | 증가 2석 |
득표수 3 | 6,360,419 |
득표율 3 | 12.1% |
득표율 변동 3 | 감소 2.0%p |
![]() | |
주요 정당 4 | 일본공산당 |
정당 대표 4 | 미야모토 겐지 |
선거 후 의석 4 | 20석 |
의석 변동 4 | 증가 10석 |
득표수 4 | 4,931,650 |
득표율 4 | 9.4% |
득표율 변동 4 | 증가 1.3%p |
![]() | |
주요 정당 5 | 민주사회당 (일본) |
정당 대표 5 | 가스가 잇코 |
선거 후 의석 5 | 10석 |
의석 변동 5 | 감소 3석 |
득표수 5 | 3,114,895 |
득표율 5 | 5.9% |
득표율 변동 5 | 감소 0.2%p |
참의원 의장 | |
직책 | 참의원 의장 |
선거 전 의장 | 모리 야소이치 |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선거 후 의장 | 마에다 가즈오 |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2. 선거 정보
1974년 7월 7일 일본에서 실시된 참의원 선거이다.[2] 당시 일본은 심각한 물가 인플레이션과 1973년 석유 위기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며 내각 지지율은 20%를 밑돌았다.[4]
위기감을 느낀 자유민주당(자민당) 총재 다나카 가쿠에이는 기업으로부터 거액의 선거 자금을 동원하여 대규모 선거 운동을 벌였다. 당시 교통망이 발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나카 총리는 헬리콥터 2대를 동원하여 도치기현을 제외한 46개 도도부현, 147곳을 방문하며 유세를 펼쳤다. 이러한 금권 선거 논란은 선거 후 매스컴의 비판을 받게 된다.[5]
선거 전, 정치 평론가들의 예측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자민당의 참패를 예상하는 시각과 상당한 성공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이 공존했다.[1] 선거 결과, 투표율은 역대 최고인 73%를 기록하며 야당에 표가 몰렸고, 자민당은 목표했던 과반수 의석 확보(63석)에 실패했다. 무소속 의원 2명의 도움으로 간신히 과반수를 유지하는 데 그쳤다.[1] 일본 공산당은 득표율을 높이며 의석 수를 두 배로 늘리는 등 가장 큰 성과를 거두었다.[1]
자민당 내부의 파벌 싸움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4명을 선출하는 홋카이도 지역구에서는 자민당 후보 2명과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여 보수 표가 분산되었고, 결국 야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1] 또한 도쿠시마현 선거구에서는 미키 다케오 파의 현직 의원 쿠구시메 켄타로가 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다나카 총리가 지원하는 신인 고토다 마사하루와 격돌했다. 이 치열한 선거전은 "아와 전쟁"이라고 불렸으며, 결국 쿠구시메가 승리했다.[1][6] 이 사건은 다나카 총리의 당내 입지를 약화시키는 동시에, 도쿠시마현 자민당을 미키파와 반미키파로 분열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선거 때마다 격렬한 대립을 이어갔다.[6]
선거 결과는 다나카 총리의 구심력 약화로 이어졌고, 가을에는 금권 문제가 불거지면서 결국 총리직에서 사퇴하게 되었다.[5] 한편, 다나카 총리를 비판했던 미키 다케오와 후쿠다 다케오 전 총리의 파벌 역시 세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맞았다.[1]
투표 당일, 동해 지역은 칠석 호우로 큰 수해를 입었다. 미에현 이세시에서는 1,000가구 이상이 침수되고 교통이 마비되어 투표가 연기되기도 했다.[7]
2. 1. 투표일
1974년 7월 7일2. 2. 선거권자
- 선거권자 75,356,068명
2. 3. 개선 의석 수
선거구 | 의석 수 | 비고 |
---|---|---|
지방구 | 76석 | |
전국구 (중선거구제) | 54석 | 보충의원 4석 포함 (임기 3년) |
총합 | 130석 | 보충의원 4석 포함 (임기 3년) |
2. 4. 선거 제도
- '''지방구'''
- *소선거구제: 개선 의석 26석
- **2인 선거구(개선 1명, 단기투표): 26선거구
- *중선거구제: 개선 의석 50석
- **4인 선거구(개선 2명, 단기투표): 15선거구
- **6인 선거구(개선 3명, 단기투표): 4선거구
- **8인 선거구(개선 4명, 단기투표): 2선거구
- '''전국구'''
- *대선거구제: 개선 의석 54석 (이 중 4석은 임기 3년의 보궐 선출)
- '''투표 방식'''
- *비밀투표
- '''유권자'''
- *자격: 만 20세 이상 남녀
- *총 유권자 수[8]: 75,356,068명
- **남성: 36,451,277명
- **여성: 38,904,791명
3. 선거 결과
1974년 7월 7일 실시된 제1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전체 의석의 절반을 새로 선출하는 선거였다.[2] 선거 전, 정치 평론가들의 예측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1973년 석유 위기의 여파로 집권 자유민주당(자민당)이 참패할 것이라는 전망과, 반대로 선거가 다가오면서 자민당이 상당한 성공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이 공존했다.
선거 결과는 양측 예측의 중간 지점에 가까웠다. 자민당은 개선 대상 의석 확보에는 실패하여 총 126석으로 줄어들었고, 자민당 성향의 무소속 의원 2명의 도움을 받아 간신히 과반수를 유지하는 데 그쳤다. 이는 목표로 했던 63석 확보에 1석이 모자란 결과였다. 특히 4명을 선출하는 홋카이도 선거구에서는 자민당 후보 2명 외에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가 난립하여 표가 분산되면서, 야당에게 모든 의석을 내주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1]
야당 중에서는 일본 공산당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공산당은 주요 정당 중 유일하게 득표율이 증가했으며, 특정 후보에게 표가 쏠리는 것을 막고 효율적으로 표를 배분하는 전략을 통해 의석 수를 두 배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 전국구 선거에서 공산당 후보 다수가 당선권 하위 순위에 고르게 분포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1] 반면 일본 사회당과 민사당은 의석 수가 감소했다.
이 선거 결과는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의 당내 입지를 크게 약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물가 상승과 지가 급등 등 경제 실정에 대한 비판이 높은 가운데,[4] 다나카 총리는 기업으로부터 거액의 정치 자금을 동원하여 금권선거 논란을 일으켰다. 헬리콥터까지 동원하며 전국적인 유세를 펼쳤으나[5], 선거 패배로 구심력을 잃었고, 이는 같은 해 가을 금권 문제가 불거지며 총리직 사퇴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자민당 내 파벌 갈등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도쿠시마현 선거구에서는 다나카 총리가 지지하는 신인 고토다 마사하루에 맞서, 반(反)다나카 파벌의 수장인 미키 다케오 파벌 소속 현직 의원 쿠지메 켄타로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 사건은 미키의 고향 이름을 따 '아와 전쟁'이라 불리며[1], 이후 도쿠시마현 자민당의 극심한 분열과 대립으로 이어졌다.[6] 자민당은 오키나와와 같은 단수 선거구에서도 야당에 패배했지만,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농촌 지역의 다른 단수 선거구에서는 대부분 승리했다. 대신 의석 수가 많은 도시 지역에서 패배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과거 선거와 유사한 경향이었다.[1] 선거 결과, 다나카 총리 자신의 파벌 의석은 늘었지만, 그를 비판하던 미키 다케오와 후쿠다 다케오 전 총리의 파벌 세력은 약화되었다.[1]
투표 당일 동해 연안 지역에서는 '칠석 호우'라 불리는 집중 호우로 수해가 발생했다. 특히 미에현 이세시에서는 1,000가구 이상이 침수되고 교통이 마비되어 투표가 연기되는 사태도 있었다.[7]
3. 1. 투표율
wikitext선거구 | 구분 | 투표율 | 투표자 수 |
---|---|---|---|
전국구 (비례대표) | 전체 | 73.20% | 55,157,535명 |
남성 | 72.73% | 해당 자료 없음 | |
여성 | 73.63% | 해당 자료 없음 | |
지역구 | 전체 | 73.20% | 55,163,900명 |
남성 | 72.74% | 해당 자료 없음 | |
여성 | 73.64% | 해당 자료 없음 |
3. 2. 정당별 의석 현황
정당 | 전국구 | 지역구 | 개선 의석 | 의석 증감 (개선 의석 기준) | ||||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득표수 | 당선자 수 | 총 당선자 수 (이번 선거) | 비개선 의석 (선거 전) | ||
자유민주당 | 23,332,773 | 44.3% | 19 | 21,132,372 | 43 | 62 | 64 | -8 |
일본사회당 | 7,990,457 | 15.2% | 10 | 13,907,865 | 18 | 28 | 34 | -4 |
공명당 | 6,360,419 | 12.1% | 9 | 6,732,937 | 5 | 14 | 10 | +1 |
일본공산당 | 4,931,650 | 9.4% | 8 | 6,428,919 | 5 | 13 | 7 | +10 |
민사당 | 3,114,895 | 6.1% | 4 | 2,353,397 | 1 | 5 | 5 | -3 |
기타 정당 | 74,346 | 0.1% | 0 | 332,716 | 1 | 1 | 0 | +1 |
무소속 | 6,820,199 | 13.0% | 4 | 2,609,195 | 3 | 7 | 2 | +4 |
합계 | 52,624,739 | 100.0% | 54 | 53,497,401 | 76 | 130 | 122 | +1 |
정당 | 개선 의석 (이번 선거 당선) | 비개선 의석 (임기 남음) | 합계 의석 |
---|---|---|---|
자유민주당 | 62 | 64 | 126 |
일본사회당 | 28 | 34 | 62 |
공명당 | 14 | 10 | 24 |
일본공산당 | 13 | 7 | 20 |
민사당 | 5 | 5 | 10 |
무소속 및 기타 | 8 | 2 | 10 |
합계 | 130 | 122 | 252 |
3. 3. 지역구별 당선자
선거구 | 총 의석 수 | 획득 의석 수 | |||||
---|---|---|---|---|---|---|---|
자유민주당 | 일본사회당 | 공명당 | 일본 공산당 | 민주사회당 | 무소속 | ||
아이치현 | 3 | 1 | 1 | 1 | |||
아키타현 | 1 | 1 | |||||
아오모리현 | 1 | 1 | |||||
지바현 | 2 | 1 | 1 | ||||
에히메현 | 1 | 1 | |||||
후쿠이현 | 1 | 1 | |||||
후쿠오카현 | 3 | 1 | 1 | 1 | |||
후쿠시마현 | 2 | 1 | 1 | ||||
기후현 | 1 | 1 | |||||
군마현 | 2 | 1 | 1 | ||||
히로시마현 | 2 | 1 | 1 | ||||
홋카이도 | 4 | 2 | 1 | 1 | |||
효고현 | 3 | 1 | 1 | 1 | |||
이바라키현 | 2 | 1 | 1 | ||||
이시카와현 | 1 | 1 | |||||
이와테현 | 1 | 1 | |||||
가가와현 | 1 | 1 | |||||
가고시마현 | 2 | 1 | 1 | ||||
가나가와현 | 2 | 1 | 1 | ||||
고치현 | 1 | 1 | |||||
구마모토현 | 2 | 2 | |||||
교토부 | 2 | 1 | 1 | ||||
미에현 | 1 | 1 | |||||
미야기현 | 1 | 1 | |||||
미야자키현 | 1 | 1 | |||||
나가노현 | 2 | 1 | 1 | ||||
나가사키현 | 1 | 1 | |||||
나라현 | 1 | 1 | |||||
니가타현 | 2 | 1 | 1 | ||||
오이타현 | 1 | 1 | |||||
오키나와현 | 1 | 1 | |||||
오카야마현 | 2 | 1 | 1 | ||||
오사카부 | 3 | 1 | 1 | 1 | |||
사가현 | 1 | 1 | |||||
사이타마현 | 2 | 1 | 1 | ||||
시가현 | 1 | 1 | |||||
시마네현 | 1 | 1 | |||||
시즈오카현 | 2 | 1 | 1 | ||||
도치기현 | 2 | 1 | 1 | ||||
도쿠시마현 | 1 | 1 | |||||
도쿄도 | 4 | 1 | 1 | 1 | 1 | ||
돗토리현 | 1 | 1 | |||||
도야마현 | 1 | 1 | |||||
와카야마현 | 1 | 1 | |||||
야마가타현 | 1 | 1 | |||||
야마구치현 | 1 | 1 | |||||
야마나시현 | 1 | 1 | |||||
전국 | 54 | 19 | 10 | 9 | 8 | 4 | 4 |
합계 | 130 | 63 | 28 | 14 | 13 | 5 | 7 |
홋카이도 | 아오모리현 | 이와테현 | 미야기현 | 아키타현 | 야마가타현 | rowspan=2| | |||
---|---|---|---|---|---|---|---|---|---|
오가사와라 사다코 | 요시다 츄사부로 | 쓰시마 코우카쓰 | 아이자와 무네히코 | 야마자키 타츠오 | 마스다 사카에 | 엔도 요루 | 야마자키 고로 | 아기손시 토지키치 | |
후쿠시마현 | 이바라키현 | 토치기현 | 군마현 | 사이타마현 | |||||
노구치 타다오 | 스즈키 쇼고 | 야타베 오사무 | 이와가미 타에코 | 오츠카 타카시 | 오시마 토모하루 | 쿠리하라 토시오 | 모가미 스스무 | 세야 히데유키 | 우에하라 마사요시 |
지바현 | 가나가와현 | 야마나시현 | 도쿄도 | rowspan=2| | |||||
아카기 미사오 | 타카하시 요토미 | 타케다 시로 | 하타노 아키라 | 나카무라 타로 | 안이 켄 | 우에다 테쓰 | 아베 켄이치 | 우에다 코이치로 | |
니가타현 | 토야마현 | 이시카와현 | 후쿠이현 | 나가노현 | 기후현 | 시즈오카현 | |||
와타리 시로 | 시토마 유타카 | 요시다 미노루 | 야스다 타카아키 | 쿠마가이 타사부로 | 코야마 이치페이 | 나츠메 타다오 | 후지이 헤이고 | 토츠카 신야 | 아오키 신지 |
아이치현 | 미에현 | 시가현 | 교토부 | 오사카부 | |||||
후지카와 카즈아키 | 미하루 시게노부 | 모리시타 쇼지 | 사이토 주로 | 모치즈키 쿠니오 | 하야시다 유키오 | 카와다 켄지 | 나카야마 타로 | 시라키 기이치로 | 하시모토 아츠시 |
효고현 | 나라현 | 와카야마현 | 돗토리현 | 시마네현 | 오카야마현 | rowspan=2| | |||
나카니시 이치로 | 야하라 히데오 | 야스케 요코 | 신타니 토라사부로 | 마에다 요시토오 | 이시바 시로 | 카메이 히사오키 | 가토 다케노리 | 테라다 쿠마오 | |
히로시마현 | 야마구치현 | 도쿠시마현 | 가가와현 | 에히메현 | 고치현 | 후쿠오카현 | |||
나가노 이츠오 | 하마모토 만조 | 니키 켄고 | 쿠지메 켄타로 | 히라이 다쿠시 | 아오이 마사미 | 시오미 슌지 | 코야나기 유 | 아리타 카즈히사 | 쿠와나 요시하루 |
사가현 | 나가사키현 | 쿠마모토현 | 오이타현 | 미야자키현 | 가고시마현 | 오키나와현 | rowspan=2| | ||
후쿠오카 히데마로 | 하츠무라 타키이치로 | 타카다 코운 | 소노다 키요미쓰 | 이와오 에이이치 | 카미죠 카츠히사 | 이노우에 요시오 | 쿠보 와타루 | 키야타케 마에 |
3. 4. 전국구 당선자
1위-10위 | 미야타 테루 | 이치카와 후사에 | 아오지마 코오메 | 하토야마 이이치로 | 산토 아키코 | 사이토 에이사부로 | 마루모 시게사다 | 고바야시 쿠니지 | 메구로 케이지로 | 타부치 테츠야 |
---|---|---|---|---|---|---|---|---|---|---|
11위-20위 | 미키 타다오 | 하타 유타카 | 이토야마 에이타로 | 스즈키 카즈히로 | 미네야마 아키노리 | 카타야마 신이치 | 사토 신지 | 와다 시즈오 | 니노미야 ぶん조 | 우치다 요시토시 |
21위-30위 | 야마나카 이쿠코 | 안노 마사루 | 오카다 히로시 | 에토 사토시 | 사쿠이즈 히사츠네 | 아구네 노보루 | 후지와라 후사오 | 오타 아쓰오 | 나가타 유지 | 마쓰모토 에이이치 |
31위-40위 | 사카노 시게노부 | 노다 테쓰 | 무카이 나가토시 | 오타니 토지노스케 | 나이토 이사오 | 후쿠마 토모유키 | 겐다 미노루 | 타테기 히로시 | 시오데 케이덴 | 가라타니 미치카즈 |
41위-50위 | 카스가야 테루미 | 야스나가 히데오 | 카미바야시 시게지로 | 카미야 신노스케 | 와다 하루오 | 야마구치 스스코 | 칸다 히로시 | 콜롬비아 톱 | 와타나베 타케시 | 코마키 토시오 |
아래는 보궐 당선(임기 3년) - 제9회에서 선출된 노가미 겐, 이베 마사루, 시바타 리우에몬, 미즈구치 코조의 공석에 따른 것임.
51위-54위 | 모리시타 야스시 | 이와마 마사오 | 우에다 미노루 | 콘도 타다타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