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이 미쓰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시이 미쓰지로는 일본의 정치인, 기업인, 스포츠 행정가로, 1889년 후쿠오카현에서 태어나 1981년 사망했다. 도쿄 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아사히 신문사 전무이사를 거쳐 정계에 입문하여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상공상, 기시 노부스케 내각에서 부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자유민주당 간사장과 중의원 의장을 지냈다. 그는 1960년과 1967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각각 이케다 하야토와 기시 노부스케에게 패했다. 또한, 일본골프협회 회장, 일본체육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스포츠계에도 기여했으며, 1972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사히 신문사 사람 - 마쓰이 야요리
마쓰이 야요리는 일본의 언론인이자 사회운동가로서 아사히 신문 기자로 활동하며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인 연대를 구축하고 여성 국제 전범 법정 설립을 주도했으며, 아시아 여성들의 인권 증진을 위해 헌신했다. - 아사히 신문사 사람 - 세나가 카메지로
세나가 카메지로는 오키나와 출신으로 노동운동가, 언론인,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나하시장, 입법원 의원, 중의원 의원을 역임하고 일본 공산당 부위원장까지 지낸 인물이다. - 일본의 상공대신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상공대신 - 다카하시 고레키요
다카하시 고레키요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의 일본 정치가이자 금융가로, 일본은행 총재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러일 전쟁 외채 조달 성공, 쇼와 금융 공황 극복 등 일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 구루메시 출신 - 마쓰모토 레이지
마쓰모토 레이지는 《은하철도 999》, 《우주전함 야마토》 등 SF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일본의 만화가로, 고단샤 출판문화상, 쇼가쿠칸 만화상 등을 수상하며 SF 애니메이션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2023년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구루메시 출신 - 하토야마 야스코
브리지스톤 창업주 이시바시 쇼지로의 장녀이자 하토야마 가문의 일원인 하토야마 야스코는 막대한 재산을 상속받아 두 아들의 정치 활동을 지원했으며, 특히 민주당 창당 시 기부하며 "대모"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시이 미쓰지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시이 미쓰지로 |
원어 이름 | 石井 光次郎 |
로마자 표기 | Ishii Mitsujirō |
출생일 | 1889년 8월 18일 |
출생지 | 후쿠오카현 구루메시 |
사망일 | 1981년 9월 20일 |
국적 | 일본 |
학력 | 고베고등상업학교 도쿄고등상업학교 |
소속 정당 | 일본자유당→민주자유당→자유당→자유민주당 |
경력 | |
전직 | 아사히 신문사 전무이사 아사히 방송 대표이사 사장 일본체육협회 회장 일본골프협회 회장 일본스모협회 요코즈나심의위원 |
칭호 및 훈장 | 종2위 [[File:JPN Toka-sho BAR.svg|38px]] 훈1등욱일동화대수장 후쿠오카현 구루메시 명예 시민 |
친족 (정치인) | 장남 이시이 고이치로 차녀 이시이 요시코 |
배우자 | 아내 이시이 히사코 |
주요 직책 | |
취임일 | 1967년 2월 15일 |
퇴임일 | 1969년 7월 16일 |
퇴임 사유 | 오키나와 해산 |
군주 | 쇼와 천황 |
내각 | 제1차 사토 제1차 개조 내각 제1차 사토 제2차 개조 내각 |
취임일 | 1965년 6월 3일 |
퇴임일 | 1966년 12월 3일 |
내각 | 제1차 이케다 내각 |
취임일 | 1960년 7월 19일 |
퇴임일 | 1960년 12월 8일 |
내각 | 제1차 기시 개조 내각 |
취임일 | 1957년 7월 10일 |
퇴임일 | 1958년 6월 12일 |
내각 | 제1차 기시 내각 제1차 기시 개조 내각 |
취임일 | 1957년 5월 20일 |
퇴임일 | 1958년 6월 12일 |
기타 직책 1 | 제15-16대 운수대신 |
취임일 | 제4차 요시다 내각, 제5차 요시다 내각 (1952년 10월 30일) |
퇴임일 | 1954년 12월 10일 |
기타 직책 2 | 제28대 상공대신 |
취임일 | 제1차 요시다 내각 (1947년 1월 31일) |
퇴임일 | 1947년 5월 24일 |
기타 직책 3 | 중의원 의원 구 후쿠오카 3구 당선 횟수 11회 |
취임일 | 1946년 4월 11일 |
퇴임일 | 1972년 11월 13일 |
기타 직책 4 | [[File:Liberal Democratic Party (Japan) Emblem.svg|20px]] 초·제6대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총재: 하토야마 이치로 (1955년 - 1956년) 총재: 기시 노부스케 (1959년 - 1960년) |
이미지 | |
![]() |
2. 생애
이시이 미쓰지로는 1889년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 태어나, 구루메 상업학교(현 구루메시립 구루메 상업고등학교), 고베 고등상업학교(현 고베 대학), 도쿄 고등상업학교 전공부(현 히토쓰바시 대학)를 졸업했다. 1913년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경시청 경부, 대만총독부 비서과장 겸 외사과장 등을 역임하고, 1922년 아사히 신문사에 입사하여 전무이사 등을 지냈다.
1946년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끄는 일본자유당에 입당, 총선에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1947년 상공상으로 입각했으나 곧 공직 추방되었다가 1950년에 해제되었다. 1951년 초대 아사히 방송 사장을 지냈고, 1952년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통해 정계에 복귀했다. 1953년 제5차 요시다 내각의 운수상을 맡았고, 외무성 외곽 단체인 해외홍보협회를 설립했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 창당에 참여했다.
1956년 오가타 다케토라 사망 후 그의 파벌 수요회를 이어받아 당내 파벌 수장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1956년 12월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 이시바시 단잔, 기시 노부스케와 경쟁했으나 3위에 그쳤다. 결선 투표에서 이시바시를 지지하여 당선에 기여했다. 이시바시 내각이 건강 문제로 2개월 만에 붕괴되자 기시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이 되었고, 이시이는 제1차 기시 내각과 제1차 기시 내각 (개조)에서 부총리 겸 행정관리청 장관,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을 역임했다. 1960년 1960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재도전했으나 이케다 하야토에게 패배했다.
1967년 일본 중의원 의장에 취임했으나, 1969년 건강보험법 개정안 강행 처리의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1972년 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불출마하며 정계를 은퇴했다.
정계 은퇴 후에도 기시 노부스케 등과 함께 친(親)대만파 원로로 활동하며 후쿠다 다케오를 지지했다. 일본골프협회 회장(1949-1971), 일본체육협회 회장(1962-1975) 등을 역임하며 체육계에도 기여했다. 1981년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889-1922)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 태어났다. 구루메 상업학교(현 구루메시립 구루메 상업고등학교)와 고베 고등상업학교(현 고베 대학)를 거쳐 도쿄 고등상업학교 전공부(현 히토쓰바시 대학)를 1914년에 졸업했다.[1]1913년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해 경시청 경부, 대만총독부 비서과장 겸 외사과장 등을 역임한 뒤 1922년 아사히 신문사에 입사했다.[13]
2. 2. 아사히 신문 기자 시절 (1922-1946)
1922년 아사히 신문에 입사하여[13] 전무이사 등을 지냈다. 1928년에는 아사히 신문에서 근무할 때 합기도 창시자인 우에시바 모리헤이에게 입문하여 아사히 신문사 내에 합기도를 보급하였다.[18]2. 3. 정치 입문과 공직 추방 (1946-1950)
1946년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끄는 일본자유당에 입당해 총선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47년에는 상공상으로 입각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공직 추방을 당했다.[4]1950년 10월 13일 공직 추방이 해제되었다.[15]
2. 4. 공직 추방 해제와 정계 복귀 (1950-1972)
1950년 10월 13일 공직 추방이 해제되고,[15] 1951년 초대 아사히 방송 사장에 취임했다. 1952년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다. 1953년 제5차 요시다 내각에 운수상으로 입각했으며, 같은 해 외무성의 외곽 단체로 사단법인 해외홍보협회를 설립했다. 1954년 12월 자유당 간사장이 되었지만, 다음 달에 있던 총선에서 자유당은 대패했다. 1955년 오노 반보쿠 등과 함께 보수합동을 이루어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었다.
1956년 1월 오가타 다케토라가 사망하자 그의 파벌인 수요회를 물려받았다. 이후 1956년 12월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하는 등 당내 중간 규모의 파벌 수령으로 영향력을 뽐냈다. 하지만 이시이는 지나치게 고지식하고 청렴했기에 파벌 확대에 적극적이지 않았고 자신의 출세에도 관심이 없었다. 전술한 총재 선거 때 기시 노부스케, 이시바시 단잔, 이시이 등 세 명이 출마했지만 모두 과반에 실패했다. 3위를 기록한 이시이를 제외한 두 명이 결선 투표에 올랐고 최종적으로 이시바시가 승리했다. 1차 투표 때 1위를 한 건 기시였지만 3위를 한 이시이가 이시바시를 지지했기에 역전할 수 있었다. 기시파는 당내 융화를 위해 기시를 부총리로 임명해야 한다고 요구했고 이시이는 이에 반대 의견을 내지 않았다. 건강 문제로 2개월 만에 이시바시가 물러난 뒤에도 후임을 양보해 기시가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이 되었다. 대신 제1차 기시 내각에서 부총리를, 제1차 기시 내각 (개조)에서 행정관리청 장관 겸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을 역임했다. 기시가 물러난 뒤 1960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다시 도전했지만 패배했다.
1967년 일본 중의원 의장에 취임했다. 1969년 7월 중의원 본회의에 자민당이 「건강보험법」 개정안을 회부했는데 야당의 반대 속에서 여당이 기립 표결로 강행 표결해서 통과시키자 본회의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었다. 이시이는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의장을 사임했다.[17] 이후 자민당 고문이 되었으며 1972년 총선에 불출마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
이시이는 파벌을 운영하면서 은퇴하거나 파벌을 이탈하는 의원을 막지 않았고 신인 정치인을 적극적으로 파벌에 끌어들이지도 않았다. 그로 인해 선거를 거듭하면서 수요회의 규모는 작아졌는데, 사카타 미치타, 다나카 이사지, 나카가키 구니오, 나다오 히로키치, 하세가와 다카시 등 측근들은 마지막까지 이시이의 곁을 지켰다.
2. 5. 정계 은퇴 이후 (1972-1981)
이시이는 1972년 총선에 불출마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 정계 은퇴 후에도 기시 노부스케 등과 함께 친대만파 의원들의 원로로 대접받으며 존중받았고, 친대만파 의원인 후쿠다 다케오를 일관되게 지지했다.[19]고등상업학교 시절 스모 선수로 활약했고, 아사히 신문사에서 일할 때는 합기도를 배웠다. 1949년엔 일본골프협회 회장이 되었고, 1962년부터 1975년까지 제8대 일본체육협회 회장도 지냈다. 일본체육협회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1964년 하계 올림픽,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2년 동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회장에서 물러난 뒤에도 체육협회 명예회장으로 있었다.[19]
1981년 9월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향년 92세였으며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에 있다.[19]
3. 정치 활동 및 성향
이시이 미쓰지로는 자유당 소속으로 1946년 총선에서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47년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상공대신으로 입각했으나, GHQ에 의해 공직에서 제명되었다.[4] 1951년 제명이 해제되자 1952년 총선에서 정계에 복귀, 요시다 내각에서 운수대신으로 재직했다.
1954년 요시다 사임 후, 일본민주당의 하토야마 이치로가 수상이 되고 오가타 타케토라가 자유당 총재가 되자, 이시이는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1955년 자유민주당 창당에 기여했고, 신당의 총무회장이 되었다.
1956년 오가타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이시이는 자유민주당 내 그의 파벌을 계승했다. 그는 일본 정계에서 대만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인물이 되었다.
1956년 12월,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기시 노부스케, 이시바시 단잔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시이 진영은 결선 투표에서 이시바시를 지지하여 기시를 근소한 차이로 이겼다. 이시바시의 건강 악화로 기시가 수상이 된 후, 1957년 이시이는 부총리가 되었다.[5][6]
1960년 안보 투쟁이 절정에 달했을 때, 이시이는 고노 이치로 등과 함께 기시 내각을 타도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960년 7월 기시 사임 후 총재 선거에 출마했으나, 이케다 하야토에게 패배했다. 이케다는 이시이를 국제무역산업대신으로 임명했다.[9]
이시이는 사토 에이사쿠 정권에서 1965년부터 1966년까지 법무대신을 역임했다. 1967년 총선 이후 중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1969년 사임했다. 그는 1972년 총선에 출마하지 않고 정계에서 은퇴했다.[10]
만년에는 기시 노부스케 등과 함께 친대만파 원로로서 당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같은 친대만파인 후쿠다 다케오를 지지했다.
4. 스포츠계 활동
이시이 미쓰지로는 고베 고등상업학교, 도쿄 고등상업학교 재학 시절 스모 선수로 활약했고, 아사히 신문사 근무 시절에는 합기도 창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에게 입문하여 아사히 신문사 내에 합기도를 보급하였다.[18] 1949년 일본골프협회 회장에 취임했고, 1962년부터 1975년까지 제8대 일본체육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1964년 도쿄 올림픽,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2년 삿포로 올림픽 등 국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회장 퇴임 후에는 일본체육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19]
4. 1. 골프
1949년(쇼와 24년) 일본골프협회 회장에 취임하였다.[19]4. 2. 일본체육협회 회장
이시이는 1949년에 일본골프협회 회장이 되었고, 1962년부터 1975년까지 제8대 일본체육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9] 체육협회장 재임 기간 동안 1964년 하계 올림픽,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2년 동계 올림픽 등 국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회장 퇴임 후에는 일본체육협회 명예회장을 지냈다.4. 3. 기타
후쿠오카현 구루메시 출신이다. 구루메 상업학교(현 구루메시립 구루메상업고등학교)와 고베 고등상업학교(현 고베 대학)를 거쳐, 1914년 도쿄 고등상업학교(현 히토쓰바시 대학) 전공부를 졸업하였다.
고베 고등상업학교, 도쿄 고등상업학교 전공부 재학 중에는 스모 선수로 활약하였다. 1928년, 아사히 신문 근무 시절에 합기도 창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에게 입문하여 아사히 신문사 내에 합기도를 보급하였다.[18] 1949년에는 일본 골프 협회 회장에 취임하였다. 1962년 11월부터 1975년 3월까지 일본체육협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1964년 도쿄 올림픽,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2년 삿포로 올림픽 등 국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회장 퇴임 후에는 명예회장에 취임하였다. 요코즈나 심의위원회 위원장 등도 역임하였다.
1981년 9월 20일 심부전으로 사망[19]하였다. 향년 93세(만 92세). 묘소는 아오야마 묘원(1イ4-3)이다.
5. 사생활
이시이 미쓰지로는 헌법정우회 총재와 체신대신 등을 역임한 쿠하라 후사노스케(久原房之助)의 서녀인 구코(久子)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설명 |
---|---|
이시이 케이(京) | 도쿄음악학교 출신 전 피아니스트, 스톤웰 전 사장.[20] 남편은 프랑스 문학자 아사부키 산키치(朝吹三吉). 시인 겸 프랑스 문학자 아사부키 료지(朝吹亮二)는 아들이며,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芥川龍之介賞) 수상 작가 아사부키 마리코(朝吹真理子)는 손녀. |
이시이 요시코(石井好子) | 샹송 가수 겸 에세이스트. |
이시이 코이치로(石井公一郎) | 브리지스톤 사이클 사장, 일본회의 부회장 역임.[20] |
이시이 다이지로(石井大二郎) | 게이오기주쿠 대학 졸업 후 닛산 기선 입사, 쇼와 해운 사장 및 회장 역임.[20] |
1964년 도쿄 올림픽 당시 일본체육협회 회장이었던 이시이 미쓰지로는 요요기 올림픽 수영장에 게양되었던 올림픽 깃발을 "젊은이들의 격려"를 위해 모교인 구루메시립 구루메상업고등학교에 기증했다.[21][22] 이 깃발은 학교 금고에 보관 중이며, 복제 깃발이 교내에 전시되어 있다.[21]
6. 평가
이시이 미쓰지로는 고지식하고 청렴결백하여 파벌 확대에 적극적이지 않았고, 자신의 출세에도 관심이 없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파벌을 운영하면서 은퇴하거나 파벌에서 이탈하는 의원을 막지 않았고, 신인 정치인을 적극적으로 파벌에 끌어들이지도 않았다. 그로 인해 선거를 거듭하면서 이시이가 이끌던 수요회는 규모가 작아졌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카타 미치타, 다나카 이사지, 나카가키 구니오, 나다오 히로키치, 하세가와 다카시 등 측근들은 마지막까지 이시이의 곁을 지켰다.[13]
정계 은퇴 후에도 이시이는 기시 노부스케 등과 함께 친대만파 의원들의 원로 대접을 받으며 존중받았고, 친대만파 의원인 후쿠다 다케오를 일관되게 지지했다.[13]
고베 대학과 히토쓰바시 대학의 전신인 고등상업학교 재학 시절에는 스모 선수로 활약했고, 아사히 신문사에서 일할 때는 합기도를 배웠다. 1949년에는 일본골프협회장이 되었고, 1962년부터 1975년까지 제8대 일본체육협회장도 지냈다.[18] 체육협회장으로 있을 때 1964년 하계 올림픽, 196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72년 동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19]
7.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회차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1946년 총선거 | 23회 | 후쿠오카현 제1구 | 자유당 | 8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
1947년 총선거 | 23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당 | 42,864 | 13.9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52년 총선거 | 25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당 | 42,233 | 11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53년 총선거 | 26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당 | 56,472 | 15.4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55년 총선거 | 27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당 | 54,089 | 14.3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58년 총선거 | 28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71,587 | 17.1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60년 총선거 | 29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58,893 | 14.3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63년 총선거 | 30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51,713 | 12.6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66년 총선거 | 31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63,203 | 15.4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1969년 총선거 | 32회 | 후쿠오카현 제3구 | 자유민주당 | 56,731 | 12.8 | 5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참조
[1]
서적
An Empire in Eclipse: Japan in the Post-war American Alliance System: A Study in the Interraction of Domestic Politics and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3-12-17
[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oriteru Ueshiba by Stanley Pranin
https://aikidojourna[...]
2023-05-18
[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jga.or.jp[...]
2023-05-18
[4]
웹사이트
Relations between the Occupation Authorities, Conservative Politicians and Behind-the-Scenes Financiers in Postwar Japan
https://www.japanese[...]
2011-05-31
[5]
서적
The Prime Ministers of Postwar Japan, 1945–1995: Their Lives and Time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6-04-29
[6]
서적
The Making of China's Peace with Japan: What Xi Jinping Should Learn from Zhou Enlai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7-03
[7]
서적
Dōwa Policy and Japanese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8-26
[8]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Growing Democracy in Japan: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Since 186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4-06-19
[11]
웹사이트
JSPOのあゆみ
https://www.japan-sp[...]
[12]
뉴스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元会長、石井公一郎氏死去 教育分野で功績
https://www.sankei.c[...]
Sankei Shimbun
2023-05-18
[13]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009
[14]
문서
당선 동기
[15]
뉴스
二万余名を追放解除
日本経済新聞
1950-10-14
[16]
뉴스
近聞遠見
毎日新聞
2009-09-02
[17]
웹사이트
森山欽司 ─反骨のヒューマニスト─ 第十四章
https://web.archive.[...]
[18]
서적
合気道開祖 植芝盛平伝
出版芸術社
1999
[19]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2010
[20]
서적
「家系図」と「お屋敷」で読み解く歴代総理大臣 昭和・平成篇
2017
[21]
블로그
東京五輪旗
https://blog.goo.ne.[...]
久商同窓会大阪支部ブログ
2013-09-28
[22]
PDF
半世紀前の五輪旗と共に
https://web.archive.[...]
広報くるめ
2013-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