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드레날린 수용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교감 신경을 자극했을 때 신체 조직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가설에서 시작되어, 아드레날린과 구조적으로 관련된 화합물의 실험을 통해 α와 β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α 수용체는 α₁과 α₂로 세분되며, β 수용체는 β₁, β₂, β₃로 세분된다. 각 수용체는 특정 생리적 반응을 매개하며, 다양한 하위 유형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이 개발되어 질병 치료에 활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특히 비만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작용제와 길항제에 따라 다양한 질병 치료에 적용될 수 있으며, 관련 인물로는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종류를 밝힌 레이먼드 P. 알퀴스트와 α1L 표현형을 발견한 무라마츠 이쿠노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드레날린 수용체 -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에 반응하며 심장 박동수 증가, 심근 수축력 강화, 레닌 분비 촉진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수행하고, Gs 단백질을 활성화하여 심근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 아드레날린 수용체 -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지방 조직에서 지방 분해와 열 발생을 조절하며 골격근, 갈색 지방 조직, 담낭, 방광 등에서도 발견되어 지방 분해 촉진, 열 발생 유도, 방광 이완 및 배뇨 억제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는 수용체이다.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P2Y12
P2Y12 길항제는 P2Y12 수용체에 결합해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는 항혈소판제로, 클로피도그렐,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러, 캉그렐러 등이 있으며, 아스피린과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는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의 주요 치료법으로 쓰인다.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로돕신
로돕신은 간상 세포의 외부 분절 원반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어두운 환경에서의 시각을 담당하며 빛을 흡수하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시신경에 빛 신호를 전달하는 광변환 과정을 유발하고, 로돕신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망막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아드레날린 수용체 | |
---|---|
개요 | |
유형 |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
리간드 |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 아이소프로테레놀 |
유전자 | ADRA1A ADRA1B ADRA1D ADRA2A ADRA2B ADRA2C ADRB1 ADRB2 ADRB3 |
식별 | |
심볼 | 아드레날린 수용체 |
외부 데이터베이스 | 위키데이터: Q419484 드러그뱅크: DB00758 PFAM: PF00001 PROSITE: UR000004311 InterPro: IPR000276 InterPro: IPR017452 InterPro: IPR000537 GO: 0007186 GO: 0004945 GO: 0007204 Reactome: R-HSA-418558 |
분자 생물학 | |
위치 | 세포막 |
신호 전달 | G 단백질 cAMP 포스포리파아제 C |
역할 | 혈관 수축 심박수 증가 기관지 확장 대사 조절 |
기타 | |
관련 질병 | 기립성 저혈압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불안 우울증 |
관련 약물 | 알파 차단제 베타 차단제 알부테롤 |
2. 역사
19세기 말, 교감 신경 자극이 자극 조건(예: 독소 유무)에 따라 신체 조직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20세기 초, 헨리 핼릿 데일은 아드레날린 주사 실험을 통해 맥각 독소가 혈압 반응을 변화시키는 것을 발견했다.[2][3] 그는 맥각 독소가 혈압을 상승시키는 반응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반응을 드러나게 한다고 보았다. 이는 동일한 아드레날린에 대해 서로 다른 유형의 수용체가 존재함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크게 α와 β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48] α 수용체는 α₁과 α₂로, β 수용체는 β₁, β₂, β₃로 나뉜다. 각 수용체는 다시 여러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
1948년, 레이먼드 알퀴스트는 아드레날린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 실험을 통해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α와 β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5] 그는 서로 다른 반응이 α 수용체와 β 수용체 때문이라고 명명하고, 교감신경 전달물질은 아드레날린뿐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이 주장은 노르에피네프린의 발견으로 부정확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의 수용체 분류와 두 가지 다른 유형의 검출기 메커니즘 개념은 아드레날린 수용체 연구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이후, α와 β 수용체의 다양한 하위 유형이 발견되었고, 각 하위 유형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이 개발되어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갈색 지방 세포의 β₃ 수용체 유전자 변이가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이 변이된 유전자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비하기 어렵게 만들어 '''절약 유전자''' ('''검약 유전자'''라고도 함)라고 불리기도 한다.
3. 유형
각 수용체의 작용제(Agonist) 효능 순서, 작용, 메커니즘, 작용제, 길항제(Antagonists)는 아래 표와 같다.
수용체 | 효능제 효능 순서 | 효능제 작용 | 메커니즘 | 효능제 | 길항제 |
---|---|---|---|---|---|
α₁: A, B, D | 노르에피네프린 > 에피네프린 >> 이소프레날린[8] | 평활근 수축, 산동, 피부, 점막 및 복부 내장 및 소화관과 방광의 괄약근 수축, 혈관 수축 | Gq: PLC 활성화, IP3 및 DAG 증가, 칼슘 증가[9] | ||
α₂: A, B, C | 에피네프린 = 노르에피네프린 >> 이소프레날린[8] | 평활근 혼합 효과, 노르에피네프린 억제, 혈소판 활성화 | Gi: 아데닐산 고리화 효소 비활성화, cAMP 감소[9] | ||
β₁ | 이소프레날린 > 에피네프린 > 노르에피네프린[8] | 양성 변시성, 변전성 및 변력성 효과, 아밀라아제 분비 증가 | Gs: 아데닐산 고리화 효소 활성화, cAMP 증가[9] | ||
β₂ | 이소프레날린 > 에피네프린 > 노르에피네프린[8] | 평활근 이완 (예: 기관지 확장) | Gs: 아데닐산 고리화 효소 활성화, cAMP 증가 (또한 Gi, α₂ 참조)[9] | ||
β₃ | 이소프레날린 > 노르에피네프린 = 에피네프린[8] | 지방 분해 촉진, 방광의 배뇨근 이완 촉진 | Gs: 아데닐산 고리화 효소 활성화, cAMP 증가 (또한 Gi, α₂ 참조)[9] |
3. 1. 작용 기전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크게 α와 β 두 그룹으로 나뉘며, 총 9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48]
- α 수용체는 α1 (Gq 결합)과 α2 (Gi 결합)로 나뉜다.
- α1은 α1A, α1B, α1D의 세 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
- α2는 α2A, α2B, α2C의 세 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
- β 수용체는 β1, β2, β3으로 나뉜다. 세 가지 모두 Gs 단백질과 결합하지만, β2와 β3는 Gi와도 결합한다.
Gi와 Gs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와 연결되어 있다. 작용제 결합은 세포 내 2차 전달자인 cAMP 농도를 증가시킨다(Gi는 cAMP 생성을 억제한다). cAMP의 다운스트림 효과기는 cAMP 의존성 단백질 인산화효소(PKA)를 포함하며, 이는 호르몬 결합에 따른 세포 내 반응을 매개한다.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은 α 및 β 아드레날린 수용체와 반응하여 각각 혈관 수축 및 혈관 확장을 일으킨다. α 수용체는 에피네프린에 덜 민감하지만, 약리학적 용량에서 활성화될 때 β 아드레날린 수용체보다 말초 α1 수용체가 더 많기 때문에 β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혈관 확장을 무시한다. 결과적으로 높은 수준의 순환 에피네프린은 혈관 수축을 유발한다. 그러나 관상동맥에서는 β2 반응이 α1보다 커서 교감 자극 증가에 따라 전체적으로 팽창한다. 낮은 수준의 순환 에피네프린에서는 β 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이 우세한데, 이는 에피네프린이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보다 β2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더 높기 때문이다.
민무늬근의 작용은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다르다. 민무늬근 수축/이완 작용은 아래 표와 같이 일반화된다. cAMP 증가는 민무늬근 이완을 촉진하는 동시에 심근 수축성과 맥박수를 증가시킨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수용체 | 작용제 효능 순서 | 작용제 작용 | 메커니즘 | 작용제 | 길항제 |
---|---|---|---|---|---|
α1 A, B, D | 노르에피네프린 > 아드레날린 >> 아이소프로테레놀[39] | 민무늬근 수축, 산동, 피부, 점막, 복부 내장의 혈관 수축, 위장관 및 방광 괄약근 수축 | Gq: PLC 활성화, IP3 및 DAG 증가, 칼슘 증가[48] | ||
α2 A, B, C | 아드레날린 = 노르에피네프린 >> 아이소프로테레놀 | 민무늬근 혼합 효과, 노르에피네프린 억제, 혈소판 활성화 | Gi: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비활성화, cAMP 감소 | ||
β1 | 아이소프로테레놀 > 노르에피네프린 > 아드레날린 | 양성 변시성, 변전성 및 변력성 효과, 아밀레이스 분비 증가 | Gs: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활성화, cAMP 증가 | ||
β2 | 아이소프로테레놀 > 아드레날린 > 노르에피네프린 | 민무늬근 이완 (예: 기관지 확장) | Gs: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활성화, cAMP 증가 (Gi도 관여, α2 참조) | ||
β3 | 아이소프로테레놀 > 노르에피네프린 = 아드레날린 | 지방 분해 촉진, 방광 배뇨근 이완 촉진 | Gs: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활성화, cAMP 증가 (Gi도 관여, α2 참조) |
4. 작용제와 길항제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작용제와 길항제는 크게 α 작용제/길항제와 β 작용제/길항제로 나뉜다. α, β 공통 작용제는 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등이 있고, α 작용제는 메톡사민, 페닐레프린, 클로니딘 등이, β 작용제는 이소프로테레놀, 도부타민, 테르부탈린, 리토드린 등이 있다. α, β 공통 길항제는 라베타롤, 카르베딜롤 등이 있고, α 길항제는 프라조신, 펜톨라민, 독사조신, 페녹시벤자민, 요힘빈 등이, β 길항제는 프로프라놀롤, 메토프로롤, 부톡사민 등이 있다.[48]
β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비특이적 작용제는 심부전(응급 심박출량 증가), 쇼크(혈액량 증가), 과민증(기관지 확장) 치료에 사용된다.[48] β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비특이적 길항제(베타 차단제)는 부정맥(동방결절 출력 감소), 관상동맥질환(심박수 감소, 산소 공급 증가), 심부전, 갑상선 기능 항진증, 편두통, 무대 공포증(빠른맥, 떨림 감소), 녹내장(안압 감소) 치료에 사용된다.
4. 1. 질병 치료 적용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와 길항제는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된다.- '''α₁ 수용체''' 관련 치료제:
- 고혈압: α₁ 길항제는 말초 혈관 수축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춘다.
- 양성 전립선 비대증: α₁ 길항제는 전립선 내 평활근을 이완시켜 배뇨를 돕는다.
- '''α₂ 수용체''' 관련 치료제:
- 고혈압: α₂ 작용제는 교감신경계의 혈압 상승 작용을 감소시킨다.
- 발기부전: α₂ 길항제는 음경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혈류를 완화한다.
- 우울증: α₂ 길항제는 노르에피네프린 분비를 증가시켜 기분을 개선한다.
- '''β₁ 수용체''' 관련 치료제:
- 심부전: β₁ 작용제는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β₁ 길항제(베타 차단제)는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킨다.
- '''β₂ 수용체''' 관련 치료제:
-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β₂ 작용제는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관지를 확장시킨다.[48][9]
- 조산: β₂ 작용제는 자궁 평활근 수축을 감소시킨다.[56][31]
- 고칼륨혈증: β₂ 작용제는 세포 내 칼륨 유입을 촉진한다.[9]
- '''β₃ 수용체''' 관련 치료제:
- 비만: β₃ 작용제는 지방 분해를 증가시키지만, 떨림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48]
- 갈색 지방 세포의 β₃ 수용체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열 생성을 일으킨다. 특히, 일본인을 포함한 황인종에서 β₃ 수용체의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 열 생성이 적은 경우가 있는데, 이 변이된 유전자를 '''절약 유전자''' ('''검약 유전자'''라고도 함)라고 부른다.
4. 1. 1. α₁ 수용체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Gq 단백질 연결 수용체 슈퍼패밀리의 구성원이다. 활성화 시, 이성질체 G 단백질인 Gq는 인산화효소 C(PLC)를 활성화한다. PLC는 포스파티딜이노시톨 4,5-이중인산(PIP2)을 분해하여 이노시톨 삼인산(IP3)과 다이아실글리세롤(DAG)의 증가를 일으킨다. 전자는 소포체의 칼슘 통로, 근소포체와 상호 작용하여 세포 속의 칼슘 함량을 변화시킨다. 이것은 뉴런의 분극화 이후 두드러진 느린 속도를 포함한 다른 모든 효과를 유발한다.[44]α1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작용은 주로 평활근의 수축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피부, 위장관계, 신장(신동맥)[16], 뇌를 포함한 많은 혈관에 혈관 수축의 원인이 된다.[17] 평활근 수축의 다른 영역은 다음과 같다.
작용에는 지방 조직 및 간에서 나오는 글리코겐 분해와 포도당 신생 작용, 땀샘에서의 분비, 신장에서의 Na+ 재흡수도 포함된다.[46]
α1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길항제는 다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8]
4. 1. 2. α₂ 수용체
α₂ 수용체는 Gi/o 단백질과 결합하는 수용체이다.[47] 이는 시냅스 전 수용체로서, 노르에피네프린(NE)에 대해 음성 피드백을 유발한다. 즉, NE가 시냅스로 방출되면 α₂ 수용체가 이를 감지하여 시냅스 전 뉴런에서 NE 방출을 줄인다. 이는 NE의 작용을 감소시킨다. 시냅스 후 아드레날린성 뉴런의 신경 말단 막에도 α₂ 수용체가 존재한다.[19]α₂ 수용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 이자에서 인슐린 분비 감소[46]
- 이자에서 글루카곤 분비 증가
- 위장관 괄약근 수축
- 신경 시냅스에서 음성 피드백 - 중추 신경계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방출 억제
- 혈소판 응집 증가 (혈액 응고 경향 증가)
- 말초 혈관 저항 감소
α₂ 작용제는 고혈압(교감신경계의 혈압 상승 작용 감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8]
α₂ 길항제는 발기부전(음경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혈류를 완화)과 우울증(노르에피네프린 분비를 증가시켜 기분 향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8]
4. 1. 3. β₁ 수용체
β₁ 수용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심박수 증가(양성 크로노트로피 효과), 전도 속도 증가(양성 드로모트로피 효과), 일회 박출량 증가 (수축력 향상으로 인한 - 양성 이노트로피 효과), 심근 이완 속도 증가 (칼슘 이온 격리 속도 증가로 인한 - 양성 루시트로피 효과)를 통해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 이는 심박수 증가에 도움이 된다.
- 신장의 사구체 옆 세포에서 레닌 분비 증가[21]
- 위에서 그렐린 분비 증가[22]
β₁ 작용제는 심부전 치료에 사용되어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킨다.[9] β₁ 길항제(베타 차단제)는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어 심박수 및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킨다.[9]
4. 1. 4. β₂ 수용체
β₂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는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치료에 사용된다. 기관지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관지를 확장시키기 때문이다.[48][9] 또한 조산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데, 자궁 평활근 수축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56][31] 고칼륨혈증 치료에도 사용된다.[9]β₂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52][53][54][55]
β₂ 수용체는 기관지 (기관지 확장), 위장관 (운동성 감소), 정맥 (혈관 확장), 특히 골격근으로 가는 혈관에서 평활근 이완에 관여한다.[24]
4. 1. 5. β₃ 수용체
β₃ 작용제는 이론적으로 체중 감량 약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떨림이라는 부작용으로 제한된다.[48]
노르아드레날린이 갈색 지방 세포 상의 β₃ 수용체에 결합하면, UCP1(탈공역 단백질)이 생성되어, 미토콘드리아에서 탈공역이 일어나 열이 발생한다. 이는 동물의 동면 시에 자주 보이는 운동에 따르지 않는 열 발생 수단이다. 일본인을 포함한 황인종에서는 β₃ 수용체의 유전자에 유전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열을 발생시키는 일이 적은 반면,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비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이 변이된 유전자를 '''절약 유전자''' ('''검약 유전자'''라고도 함)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5. 관련 인물
- 레이몬드 P. 알퀴스트
- :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α와 β, 2가지 종류의 존재를 증명했다.
- 무라마츠 이쿠노부
- :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α1L 표현형을 발견했다.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α1A 유전자로부터, α1A 표현형과 α1L 표현형이 모두 발현되는 것을 발견했다.
참조
[1]
논문
Studies On Conditions Of Activity In Endocrine Organs XXVI: Sympathin E and Sympathin I
1933-05-31
[2]
논문
On some physiological actions of ergot
1906-05
[3]
논문
On the action of ergotoxin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xistence of sympathetic vasodilators
1913-06
[4]
논문
The comparative pharmacology of the N-alkyl-arterenols
1948-02
[5]
논문
A study of the adrenotropic receptors
1948-06
[6]
서적
Pharmacology in medicine: a collaborative textbook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54
[7]
논문
Interaction Between α and β-Adrenoceptor-Mediated Cardiovascular Effects
1986
[8]
서적
Rang and Dale's pharmacology
Elsevier
[9]
서적
The adrenergic receptors in the 21st century
Humana Press
[10]
논문
Adrenergic modulation with photochromic ligands
[11]
논문
Paroxetine is a direct inhibitor of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 2 and increases myocardial contractility
2012-09-21
[12]
논문
Functional studies of the first selective beta 3-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SR 59230A in rat brown adipocytes
http://molpharm.aspe[...]
1996
[13]
논문
Alpha-adrenoceptors in equine digital veins: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both alpha1 and alpha2-receptors mediating vasoconstriction
1997
[14]
논문
Involvement of alpha-1 and alpha-2 adrenoceptors in the postlaparotomy intestinal motor disturbances in the rat
1987
[15]
논문
Excitatory actions of noradrenaline and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activation in granule cells of the accessory olfactory bulb
2009-08
[16]
논문
Renal alpha-1 and alpha-2 adrenergic receptors: bi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correlations
http://jpet.aspetjou[...]
1981
[17]
웹사이트
Circulation & Lung Physiology I
http://cim.ucdavis.e[...]
2011-07-26
[18]
논문
Adrenoceptor function and expression in bladder urothelium and lamina propria
2013
[19]
논문
Abundance and stability of complexes containing inactive G protein-coupled receptors and G proteins
2008
[20]
논문
How do heart failure patients die?
2002-04-01
[21]
논문
Convergence of major physiological stimuli for renin release on the Gs-alpha/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signaling pathway
2012-02
[22]
논문
Ghrelin secretion stimulated by {beta}1-adrenergic receptors in cultured ghrelinoma cells and in fasted mice
2010-09
[23]
서적
Neuroscience
Sinauer
[24]
웹사이트
Adrenergic and Cholinergic Receptors in Blood Vessels
http://www.cvphysiol[...]
2015-05-05
[25]
논문
Human beta-2 adrenoceptor gene polymorphisms are highly frequent in obesity and associate with altered adipocyte beta-2 adrenoceptor function
1997
[26]
논문
Rapamycin inhibits the growth and muscle-sparing effects of clenbuterol
2007
[27]
논문
Clenbuterol increases lean muscle mass but not endu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2008
[28]
서적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MCGraw-Hill Education
[29]
논문
Age-related impairment in insulin release: the essential role of β(2)-adrenergic receptor
2012-03
[30]
논문
The sympathetic nerve--an integrative interface between two supersystems: the brain and the immune system
2000-12
[31]
논문
Short-term tocolytics for preterm delivery - current perspectives
2014
[32]
웹사이트
脂肪細胞とインスリン抵抗性
http://polaris.hoshi[...]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The comparative pharmacology of the N-alkyl-arterenols
1948-02
[37]
논문
A study of the adrenotropic receptors
https://semanticscho[...]
1948-06
[38]
서적
Pharmacology in medicine: a collaborative textbook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54
[39]
서적
Rang and Dale's pharmacology
Elsevier
[40]
논문
Paroxetine is a direct inhibitor of g protein-coupled receptor kinase 2 and increases myocardial contractility
2012-09-21
[41]
논문
Functional studies of the first selective beta 3-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SR 59230A in rat brown adipocytes
http://molpharm.aspe[...]
2020-03-07
[42]
논문
Alpha-adrenoceptors in equine digital veins: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both alpha1 and alpha2-receptors mediating vasoconstriction
1997
[43]
논문
Involvement of alpha-1 and alpha-2 adrenoceptors in the postlaparotomy intestinal motor disturbances in the rat
1987
[44]
논문
Excitatory actions of noradrenaline and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activation in granule cells of the accessory olfactory bulb
https://archive.org/[...]
2009-08
[45]
논문
Adrenoceptor function and expression in bladder urothelium and lamina propria
2013
[46]
서적
Neuroscience
Sinauer
[47]
논문
Abundance and stability of complexes containing inactive G protein-coupled receptors and G proteins
2008
[48]
서적
The adrenergic receptors in the 21st century
Humana Press
[49]
논문
How do heart failure patients die?
2002-04-01
[50]
논문
Convergence of major physiological stimuli for renin release on the Gs-alpha/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signaling pathway
2012-02
[51]
논문
Ghrelin secretion stimulated by {beta}1-adrenergic receptors in cultured ghrelinoma cells and in fasted mice
2010-09
[52]
논문
Human beta-2 adrenoceptor gene polymorphisms are highly frequent in obesity and associate with altered adipocyte beta-2 adrenoceptor function
https://archive.org/[...]
1997
[53]
논문
Rapamycin inhibits the growth and muscle-sparing effects of clenbuterol
https://semanticscho[...]
2007
[54]
논문
Clenbuterol increases lean muscle mass but not endu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2008
[55]
논문
Age-related impairment in insulin release: the essential role of β(2)-adrenergic receptor
2012-03
[56]
논문
Short-term tocolytics for preterm delivery - current perspective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