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사시오 (아사시오급 구축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시오는 일본 해군의 아사시오급 구축함의 1번함으로, 1937년 8월에 취역했다. 런던 해군 군축 조약의 제한에서 벗어나 설계되어 이전 구축함보다 크고 강력해졌으며, 초기 운행 중 조향 및 기동성 문제를 겪었으나 해결되었다. 태평양 전쟁에서 말레이, 필리핀 침공 작전을 지원하고, 발리 해협 해전,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전투 등에 참전했다. 1943년 3월 비스마르크 해 해전에서 격침되어 299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같은 해 4월 해군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구축함 - 아야나미 (후부키급 구축함)
    아야나미는 일본 제국 해군의 후부키급 구축함으로, 세계 최초로 대공용으로도 사용 가능한 주포를 갖추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과달카날 해전에서 큰 활약을 펼치다 1942년 침몰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구축함 - 유키카제 (가게로급 구축함)
    유키카제는 일본 제국 해군의 가게로급 구축함으로, 태평양 전쟁에서 수많은 전투를 거치며 "불침함", "기적의 배"로 불릴 만큼 생존했고, 종전 후 중화민국 해군에 인도되어 단양으로 활동했다.
  • 1936년 선박 - USS 요크타운 (CV-5)
    USS 요크타운(CV-5)은 워싱턴 해군 조약의 제한으로 건조된 요크타운급 항공모함의 1번함으로, 태평양 전쟁 초기 산호해 해전과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하여 일본 항공모함 격침에 기여했으나 일본군의 반격으로 침몰했으며, 그 용감한 전투는 미국 해군의 전설로 남아있다.
  • 1936년 선박 - USS 엔터프라이즈 (CV-6)
    USS 엔터프라이즈 (CV-6)는 요크타운급 항공모함 2번함으로, 진주만 공습에서 살아남아 태평양 전쟁의 주요 해전에서 활약하고 2차 세계 대전 기간 중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군함이며, 이후 원자력 항공모함 USS 엔터프라이즈 (CVN-65)에 이름이 계승되었다.
아사시오 (아사시오급 구축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정보
1937년 7월, 항해 중인 "아사시오"
함명아사시오 (朝潮)
함명 유래아침 밀물
건조1934년
건조 조선소사세보 해군 공창
기공1935년 9월 7일
진수1936년 12월 16일
취역1937년 8월 31일
퇴역해당 없음
제적1943년 4월 1일
최후비스마르크 해 해전에서 공습으로 침몰, 1943년 3월 3일
비고해당 없음
특징
함급아사시오급 구축함
배수량2,370 톤 (미국식 톤)
길이수선간: 111 미터
수선: 115 미터
10.3 미터
흘수3.7 미터
추진2축 가미폰 기어드 터빈
3개의 보일러, 50,000 마력
속력35 노트
항속 거리10 노트에서 5,700 해리
승조원226명
무장
주포6 x 12.7cm/50 3식 양용포 (3x2)
(초기) 3 x (후기) 최대 28 x 96식 25mm 대공기관포
최대 4 x 13.2 mm 호치키스 기관총
어뢰8 x 610 mm (24인치) 어뢰 발사관 (2x4)
폭뢰36개

2. 함력

사세보 수비대에 소속되었다가 1937년 11월부터 12월까지 중국 방면에서 활동했다.[20][23] 귀환 후 터빈 날개 손상이 발견되어 동형함들과 함께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개조 공사를 받았다. (임기조 사건)[24]

1939년 11월 1일, 요코스카 진수부로 전속되어 제8구축대로 개편되었고,[20][26] 제2함대 제2수뢰전대에 편입되어 다시 중국 방면에서 활동했다.[20]

태평양 전쟁 개전 시에는 제8구축대의 일원으로 말레이 침공과 링가엔만 상륙 작전을 지원했다.[20] 1942년 1월부터 암본, 마카사르 공략 작전에 참여했고, 2월에는 '''발리 해협 해전'''에 참가하여 연합군 함선에 피해를 입혔으나 아사시오 역시 손상을 입었다.[31] 이후 자와섬 공략 작전에 참가했다.[20] 4월 10일, 제2함대 제4수뢰전대로 편입되어[42] 코레히도르 섬 공략 작전을 지원했다.[6]

6월에는 '''미드웨이 해전'''에 공략 부대 지원대로 참가하여 제7전대를 호위하던 중 미군기의 공습으로 손상을 입었다.[6] 침몰한 중순양함 미쿠마의 생존자를 구조한 후[6][59] 7월까지 사세보에서 수리를 받았다.[69] 10월 20일, 제8함대에 편입되어 라바울로 이동했고,[87] 11월부터 '''과달카날섬''' 수송 작전(도쿄 익스프레스)에 세 차례 참가했다.[6] 11월 '''제3차 솔로몬 해전'''에 참가한 후 부나 지원 작전과 핀슈하펜 공략 작전에 투입되었다.[6]

1943년 2월, 라에 수송 작전에 참가했다. 3월 3일, 라에로 수송 도중 '''비스마르크해 해전'''이 발생했다. 아사시오는 뉴기니 섬 크레틴 곶 남동쪽 해상에서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공군의 공습을 받아 항해 불능 상태가 되었고, 손상된 아라시오와 특무함 노지마의 생존자를 구조하던 중 추가 공습을 받아 침몰했다.[143][148][7] 이 전투에서 제8구축대 사령관 사토 야스오 대좌, 아사시오 함장 요시이 고로 중좌를 포함한 승조원 및 구조자 등 총 299명이 전사했다.[97][6]

'''역대 함장'''
계급성명재임 기간비고
해군 중좌나리타 시게이치(成田茂一)1937년 8월 1일 ~ 1937년 12월 1일정비원장 겸임 (1936.12.16 ~ 1937.8.1)
해군 소좌/중좌와키타 키이치로(脇田喜一郎)1937년 12월 1일 ~ 1938년 12월 15일
해군 소좌요코이 미노루(横井稔)1938년 12월 15일 ~ 1939년 5월 20일
해군 소좌(겸임) 히다 켄지로(飛田健二郎)1939년 5월 20일 ~ 1939년 10월 15일본직: 오시오 구축함장
해군 소좌/중좌요코이 미노루(横井稔)1939년 10월 15일 ~ 1940년 10월 15일
해군 소좌/중좌후지타 이사무(藤田勇)1940년 10월 15일 ~ 1941년 9월 10일
해군 소좌/중좌요시이 고로(吉井五郎)1941년 9월 10일 ~ 1943년 4월 1일1943년 3월 3일 전사, 사후 해군 대좌 추서


2. 1. 건조 및 초기 활동

아사시오급 구축함은 일본 해군 설계자들이 더 이상 런던 해군 군축 조약의 조항에 얽매이지 않게 되면서 이전의 시라츠유급 구축함보다 더 크고 강력하게 설계되었다. 이 경순양함급 군함은 일본의 어뢰 기술 우위를 활용하고, 주력 타격 부대를 호위하며,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 해군을 상대로 주야간 공격을 수행하도록 계획되었다.[2] 완성 당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구축함 중 하나였으나, 태평양 전쟁에서 살아남은 함선은 없었다.[3]

아사시오는 가칭 제75호 구축함으로 건조 계획이 시작되었다.[13] 1935년 9월 6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서 건조 예정인 이 구축함에 '아사시오'(朝潮)라는 함명이 부여되었고,[10][14] 같은 날 함정류별 등급표에 아사시오급 구축함이 신설되었다.[15] 9월 7일기공되었다.[16][17] 1936년 12월 16일진수되었고,[16][18] 같은 해 12월 28일 사세보 해군 공창에 아사시오 기장원 사무소가 설치되었다.[19]

1937년 8월 31일에 준공[16][20] 및 취역했다.[4] 제2차 군비 충원 계획(②계획)에서는 원래 해풍형 구축함(개량 시라츠유형) 14척을 건조할 예정이었으나, 런던 해군 군축 조약 탈퇴로 4척만 건조하고 나머지 10척은 설계를 변경하여 아사시오급으로 건조했다. 준공과 동시에 사세보 진수부 경비전대에 편입되었다.[21] 시험 운행 중 아사시오는 조향 문제와 용납할 수 없는 기동성을 보였으나, 이는 함급에 맞게 재설계된 선미와 방향타 설계를 통해 해결되었다. 또한, 새롭고 정교한 50,000 마력 터빈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도 해결되었다.[5]

1937년 10월 31일, 아사시오는 자매함 오오시오, 미치시오와 함께 제25구축대를 편성했다.[22] 같은 해 11월부터 12월까지 중국 방면에서 활동했다.[20][23] 일본으로 귀환 후 12월 29일, 사세보 해군 공창 검사에서 터빈 날개의 손상이 발견되어, 동형함 3척(오오시오, 미치시오, 아라시오)과 함께 개조 공사를 받았다. (임기조 사건)[24] 1938년 1월 13일, 아라시오가 제25구축대에 편입되었다.[25]

1939년 11월 1일, 아사시오는 요코스카 진수부로 전속되었고,[20] 제25구축대는 제8구축대로 개편되었다.[26] 동시에 제2함대 제2수뢰전대에 편입되어 다시 중국 방면에서 활동했다.[20]

태평양 전쟁 직전인 1941년 7월 30일부터 8월 14일까지는 잠시 제2수뢰전대 기함을 맡았다.[27][28] 같은 해 9월 1일, 아베 토시오 대좌가 제8구축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9]

2. 2. 태평양 전쟁

태평양 전쟁이 시작될 당시, 아사시오는 자매함 오시오, 미치시오, 아라시오와 함께 제8구축대의 기함으로서 제2함대 제2수뢰전대에 소속되어 있었다. 개전 초기에는 곤도 노부타케 제독이 이끄는 남방 부대의 일원으로 마코 경비부에서 출격하여 말레이 침공과 필리핀 침공 작전을 지원했다.[6] 이후 싱고라로 향하는 말라야 수송 선단을 호위하고, 홍콩을 거쳐 다바오로 이동했으며, 1942년 1월부터는 암본, 마카사르 공략 작전을 지원했다.[6][20]

1942년 2월, 발리 섬 공략 작전에 참가하여 '''발리 해협 해전'''을 치렀다. 이 전투에서 연합군 함대와 교전하여 네덜란드 구축함 피트 하인을 격침시키는 전과를 올렸으나, 아사시오 역시 경미한 피해를 입고 사상자가 발생했다.[6][31] 전투 후 손상된 자매함 미치시오를 마카사르까지 예인했다.[6] 이후 자와섬 공략 작전에도 참가했다.[20]

3월에는 요코스카로 귀환하여 수리를 받았고[41], 4월 10일 제2함대 제4수뢰전대로 편입되었다.[42] 4월 말에는 마닐라 만으로 출동하여 코레히도르 섬 포격을 지원했으며[6], 둘리틀 공습 이후 미 함대 추격 작전에도 잠시 참여했다.[44]

6월에는 '''미드웨이 해전'''에 구리타 다케오 제독의 지원 부대 소속으로 참가하여 미드웨이 공략 부대를 호위했다.[6] 그러나 6월 6일 미군 항공기의 공습으로 약 226.80kg 폭탄에 피격되어 중파되었고 22명의 승조원이 사망했다.[6] 손상된 상태에서도 자매함 아라시오와 함께 침몰한 중순양함 미쿠마의 생존자 240명을 구조했으며[6][59], 이후 대파된 중순양함 모가미를 트루크까지 호위했다.[6] 트루크에서 응급 수리를 받은 뒤 7월 9일 사세보로 귀환하여 본격적인 수리에 들어갔고[69], 7월 14일 특별역무 구축함으로 지정되었다.[71] 수리 완료 후에는 잠시 요코스카 진수부 소속으로 경비 및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75][77]

1942년 10월 20일, 제8함대로 편입되어 라바울로 이동했다.[87] 11월부터는 '''과달카날섬''' 수송 작전(도쿄 익스프레스)에 세 차례 참가했다.[6] 11월 중순 '''제3차 솔로몬 해전'''에서는 미카와 군이치 제독의 지원 부대를 호위했으며, 전투 후 손상된 경순양함 이즈즈를 호위하여 귀환했다.[6][99] 이후 부나 방면 지원 작전에 투입되어 수송 임무를 수행하던 중 공습으로 손상을 입기도 했다.[103][114] 12월에는 핀슈하펜으로의 병력 수송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118][6]

1943년 1월, 항공모함 즈이카쿠, 전함 무츠 등을 호위하며 일본 본토로 귀환했다.[128][6] 2월에는 다시 항공모함 주요를 호위하여 트루크로 이동했고[131], 이후 라바울을 거점으로 마당 등지로의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137][6] 2월 25일, 제8구축대는 제8함대 예하 제3수뢰전대에 배속되었다.[6]

1943년 3월 초, 라에로 향하는 대규모 수송 선단(제81호 작전)을 호위하는 임무에 투입되었다.[139] 그러나 3월 3일, 비스마르크해에서 연합군 항공기의 대규모 공습을 받아 '''비스마르크해 해전'''이 벌어졌다. 아사시오는 제8구축대 기함으로 참가하여 초기 공습을 피했으나, 손상된 자매함 아라시오와 특무함 노지마의 생존자를 구조하던 중 연합군 항공기의 집중 공격을 받아 항해 불능 상태에 빠졌고, 결국 뉴기니 핀슈하펜 남동쪽 약 45nmi 해상(남위 7도 15분, 동경 148도 15분)에서 침몰했다.[143][148][7] 이 전투에서 제8구축대 사령관 사토 야스오 대좌, 아사시오 함장 요시이 고로 중좌를 포함한 승조원 및 구조자 등 총 299명이 전사했다.[97][6]

아사시오는 1943년 4월 1일 해군 목록에서 공식적으로 제적되었다.[9][150]

2. 2. 1. 발리 해협 해전

1942년 2월 중순, 제8구축대(오시오, 아사시오, 미치시오, 아라시오)는 제1근거지대(사령관 구보 규지 소장: 경순양함 나가라, 제21구축대)의 지휘 아래 발리 섬 공략 작전에 참가했다.

2월 19일 밤부터 20일에 걸쳐 제8구축대는 발리 해협에서 ABDA 함대와 교전했다('''발리 해협 해전''').[31] 당시 아사시오는 제8구축대 제1소대 소속으로 오시오와 함께 발리 섬 근해에서 수송선 '사사고 마루'를 호위하던 중 연합군 함대의 공격을 받았다.[6] 아사시오는 이 전투에서 어뢰 공격으로 네덜란드 구축함 피트 하인(Piet Hein)을 격침시켰고,[6][31] 네덜란드 경순양함 트로프(Tromp)와 미국 구축함 스튜어트(Stewart)에 포격을 가해 손상을 입혔다.[6][31]

그러나 아사시오 역시 피해를 입었다. '트로프'가 발사한 76mm 포탄 1발에 맞아 탐조등 1개가 파손되었고, 승조원 4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다.[6] 해전 막바지에 전장에 도착한 제8구축대 제2소대(미치시오, 아라시오)는 연합군 함대의 반격을 받아 '미치시오'가 큰 피해를 입었다.[23] 전투 후 아사시오는 손상된 동형함 미치시오를 마카사르까지 예인했다.[6][33][34] 한편, 제1소대의 '오시오'도 퇴각 중 공습으로 손상을 입었다.

훗날(같은 해 12월 8일)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함대 사령장관은 발리 해협 해전에서 보여준 제8구축대의 활약에 대해 감장을 수여했다.[32]

2. 2. 2. 미드웨이 해전

1942년 5월 20일, 미드웨이 해전 참가를 위해 모가미형 중순양함 4척(구마노, 스즈야, 미쿠마, 모가미)으로 구성된 제7전대와 아사시오, 아라시오로 구성된 제8구축대가 공략 부대 지원대로 편성되었다.[49][50] 지원대는 5월 28일 저녁 을 출격했다.[51]

6월 5일, 지원대는 미드웨이 섬 포격 명령을 받았으나, 아사시오와 아라시오는 제7전대의 고속 항행을 따라가지 못해 뒤처졌다.[52][53] 이 과정에서 제7전대의 중순양함 미쿠마와 모가미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54][55] 아사시오와 아라시오는 손상된 미쿠마, 모가미와 합류했으나, 6월 6일부터 7일에 걸쳐 미군 항공 부대의 집중 공격을 받았다.[56][57] 6월 6일 공습에서 아사시오는 약 226.80kg 폭탄 1발을 맞고 중파되었으며, 승무원 22명이 사망했다.[6] 6월 7일의 추가 공습으로 미쿠마는 결국 침몰했고, 모가미도 대파되었다.[57][58]

제8구축대(아사시오, 아라시오)는 손상을 입은 상태에서도 침몰하는 미쿠마의 생존자 구조 활동을 벌였다. 아사시오는 자매함 아라시오를 도와 240명의 미쿠마 생존자를 구조했다.[6][59] 그러나 아사시오 역시 근접 폭발로 인해 중유 탱크가 손상되어 연료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59] 이후 아사시오는 미쿠마 침몰 현장을 수색했으나 중유와 부유물 외에는 발견하지 못했다.[59]

제8구축대는 대파된 모가미를 호위하며 전장에서 이탈했다.[60][62] 6월 8일 오전에 구리타 다케오가 지휘하는 제2함대 본대와 합류했고,[62][63] 야마모토 이소로쿠 연합함대 사령장관의 명령에 따라 트루크로 후퇴했다.[64] 6월 14일, 모가미, 아사시오, 아라시오 등은 트루크 환초에 도착했다.[65][68] 트루크에서 공작함 아카시에 의해 응급 수리를 받은 후,[6] 아사시오는 6월 29일 트루크를 떠나 7월 1일 사이판을 경유,[69] 7월 9일 사세보에 도착하여 본격적인 수리에 들어갔다.[69][70]

아사시오는 7월 14일 특별역무 구축함으로 지정되었고,[71] 7월 25일 수리를 완료했다.[72] 이후 제8 구축대로 재배치되어 요코스카 진수부 소속이 되었다.[6]

2. 2. 3. 과달카날 전투

1942년 10월 20일, 제8구축대에 미치시오가 복귀했으며[86], 제8구축대는 제8함대 사령장관 미카와 군이치 중장의 지휘 아래 편입되었다[87][20]. 10월 22일, 제8구축대 소속의 미치시오와 아사시오는 요코스카를 출발하여 10월 30일 라바울에 도착했다[20][23]. 이후 과달카날섬 전역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11월 1일부터 과달카날섬으로 병력과 물자를 수송하는 작전(쥐 수송 또는 도쿄 익스프레스)에 종사했다. 아사시오는 11월 1일, 5일, 8일에 걸쳐 총 세 차례의 수송 작전에 참가하여 모두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했다[89][90][91][92][93].

11월 12일 이후 벌어진 '''제3차 솔로몬 해전'''에도 참가했다. 11월 13일 새벽, 쇼틀랜드 정박지에서 출격 준비 중이던 자매함 미치시오가 미군 대형기의 공습으로 크게 파손되자[96][97], 아사시오는 미치시오 대신 미카와 군이치 제독이 이끄는 지원 부대(중순양함 스즈야, 마야, 경순양함 덴류 등)의 호위를 맡게 되었다[94][98]. 같은 날 23시 30분부터 스즈야와 마야가 헨더슨 비행장을 포격할 때 지원 임무를 수행했지만, 직접적인 전투는 치르지 않았다[99][100][101]. 다음 날인 11월 14일, 뉴 조지아 제도 남방 해상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 함재기와 헨더슨 기지 발진 항공기들의 공습을 받았다[99]. 이 공습으로 중순양함 기누가사가 격침되었고, 아사시오는 손상된 경순양함 이즈즈를 호위하며 17일 라바울로 귀환했다[99][6][102].

라바울 도착 후, 파푸아뉴기니의 부나 지역에 상륙한 연합군에 대처하기 위한 작전(부나·고나 전투)에 투입되었다[102].

  • 11월 17일, 부나 인근 바사부(Basabua)로 육군 병력 500명을 수송하던 중 B-17 폭격기의 공습을 받아 약간의 손상(소파)을 입었다[103][104]. 이 작전에서 함께한 구축함 카제가 항해 불능 상태가 되자[105], 아사시오는 카제를 예인하여 21일 라바울로 돌아왔다[106][107][6].
  • 12월 1일, 제8구축대 사령 지휘 하에 아사시오, 아라시오, 이소나미, 이카즈치 등 4척이 부나 수송을 위해 라바울을 출격했다[109][110][111]. 미군 대형 폭격기의 끈질긴 공습과 양륙 지점에서의 문제로 2일 새벽 일부 물품만 양륙하는 데 그쳤다[110][112]. 이 과정에서 아사시오는 B-17과 교전하여 격추된 일본군 항공기 탑승원 1명을 구조했다[113].
  • 12월 8일 이른 아침, 카게로급 구축함 카제구모, 유구모 등과 함께 다시 부나 수송을 위해 라바울을 출격했다[114]. 그러나 8시 15분경, 아군기로 오인한 B-24 폭격기 1기의 공습을 받았다. 함미 근처에 떨어진 폭탄으로 인해 2번과 3번 포탑이 손상되는 중간 정도의 피해(중파)를 입었고[114][115][116][117], 결국 수송 작전은 중단되고 라바울로 귀환해야 했다[114][6].


응급 수리 후 12월 17일, 아사시오는 구축함 모치즈키와 함께 라바울을 출격하여 카비엥으로 이동했다. 18일 카비엥을 출격하여 19일 핀슈하펜에 육군 병사 약 250명을 성공적으로 양륙했다[118][119][120][6]. 20일 카비엥으로 돌아와 중순양함 구마노, 스즈야로부터 연료 보급을 받고[122][124], 21일 라바울로 향했다[125]. 22일, 외남양 부대로부터 쇼트랜드 정박지로 이동하여 손상된 미치시오를 트럭 정박지까지 예인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26].

1943년 1월 7일, 아사시오는 항공모함 즈이카쿠, 전함 무츠, 중순양함 스즈야 등을 포함한 함대를 호위하며 트럭 환초를 출발, 일본 본토로 향했다[128][129]. 12일, 아사시오는 무츠, 이카즈치와 함께 요코스카에 도착했다[130][6].

2월 7일, 구축함 무라사메, 우라나미와 함께 항공모함 주요를 호위하며 요코스카를 출항[131][132], 12일에 트럭 환초에 도착했다[133][6]. 2월 15일, 제8구축대 사령관으로 사토 야스오 대좌가 취임했다[134]. 이후 트럭에서 라바울까지 다른 함선들을 호송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2월 22일 밤에는 우라나미와 함께 뉴기니섬의 마당에 육군 항공 지원 병력 250명을 양륙했다[137][6]. 2월 25일, 제8구축대는 일본 해군 제8함대 예하의 제3수뢰전대에 배속되었다[6].

2. 2. 4. 비스마르크해 해전

1943년 2월, 아사시오는 라에 운송 작전에 참가했다. 3월 1일, 제3수뢰전대(기무라 마사후쿠 소장)에 편입되어[138] 라에 수송 작전(제81호 작전)에 투입되었다. 이때 구축함 8척(시라유키, 우라나미, 시키나미, '''아사시오''', 아라시오, 아사구모, 유키카제, 토키츠카제)은 수송선 8척(육군 수송선 7척, 해군 운송함 노지마)을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다.[139]

호송선단은 2월 28일 밤 라바울을 출발했으나, 3월 2일 연합군의 공습으로 수송선 아사히모리마루가 침몰하고 특무함 노지마가 손상을 입었다.[140][141] 3월 3일 오전 7시 50분 이후, 뉴기니 섬 폰 반도의 크레틴 곶 남동쪽 해상에서 미국 및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소속 항공기들의 대규모 공습이 시작되면서 비스마르크해 해전이 발발했다.[142] 전투 초반 시라유키, 토키츠카제, 아라시오가 피탄되었다.[143] 제8구축대 기함으로 참가한 아사시오는 첫 두 차례의 공습은 피했지만, 이후 약 40기의 적기가 추가로 공격해오면서 집중 공격을 받아 항해 불능 상태에 빠졌다. 당시 일본 제로센 약 40기가 상공에서 엄호 비행을 했으나, 수적으로 우세한 연합군 전투기들과의 공중전 및 다방면에서 공격해오는 폭격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144]

오전 9시 이후, 무사했던 함선들이 생존자 구조를 시작했으나, 오전 10시 35분경 추가 공습 예보가 전해지자 제3수뢰전대 사령관 기무라 마사후쿠 소장은 구조 작업을 중단하고 롱 섬 북쪽 해역으로 퇴각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43][145] 그러나 제8구축대 사령관 사토 야스오 대좌는 "노지마 함장과의 약속이 있다"며 기무라 사령관에게 간청했고, 아사시오 단독으로 아라시오와 특무함 노지마 구조에 나섰다.[143] 아사시오는 아라시오의 부상자와 육군 병사들을 옮겨 태우고[146], 화염에 휩싸인 노지마의 생존자들을 구조한 뒤 라바울로 퇴각하려 했다.[147] 하지만 오후 1시 15분경, 약 40기의 적기로부터 두 차례에 걸친 추가 공격을 받아 단피어 해협에서 격침되었다.[143][148] 침몰 지점은 뉴기니 핀슈하펜 남동쪽 약 45nmi 해상(남위 7도 15분, 동경 148도 15분)이었다.[7]

이 전투에서 아사시오는 침몰했고, 제8구축대 사령관 사토 야스오 대좌를 비롯하여 아라시오 함장 쿠보키 히데오 중좌, 아사시오 함장 요시이 고로 중좌 등 승조원과 구조자를 포함해 총 299명이 전사했다.[97][6] 노지마의 함장 마츠모토 카메타로는 생환했다.[143][147] 일부 생존자들은 구명정에 탑승하여 탈출했다.[8] 함께 출격했던 동형함 중 아라시오는 침몰했고, 미치시오만이 유일하게 살아남았으나 이 함선 역시 후일 스리랑카 해전에서 침몰했다. 3월 3일 밤 11시부터 4일 오전 10시까지 시키나미, 아사구모, 유키카제와 증원된 구축함 하츠유키가 침몰 해역으로 돌아와 생존자 구조 활동을 벌였다.[149]

아사시오는 1943년 4월 1일 해군 목록에서 공식적으로 제적되었다.[9][150]

3. 성능/제원

61cm 4연장 어뢰발사관 2기승무원226명동형함오오시오(大潮) 외 8척


참조

[1] 서적 Japanese-English Character Dictionary
[2] 서적 Kaigun
[3] 웹사이트 IJN Asashio class destroyers
[4] 웹사이트 Asashio class 1st class destroyers http://homepage2.nif[...] 2010-07-25
[5] 웹사이트 "''Asashio'' class Destroyers" http://www.combinedf[...] combinedfleet.com 2008-02-06
[6] 웹사이트 IJN ''Asashio'':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combinedfleet.com 2008-02-06
[7] 웹사이트 IJN Asashio (+1943) http://www.wrecksite[...] Wrecksite 2016-10-01
[8] 웹사이트 IJN Asashio: Tabular Record of Movement http://www.combinedf[...]
[9] 서적 Warship Losses of World War Two Naval Institute Press
[10] 문서 達昭和10年9月
[11] 문서 昭和16年12月31日現在10版内令提要追録第10号原稿巻2.3
[12]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3] 문서 第446番電 10.9.4第75号駆逐艦起工日の件 p.3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5]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16] 문서 昭和16年6月30日現在艦船要目公表範囲
[17] 문서 昭和10年10月9日朝潮起工通知の件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7
[19] 문서 昭和12年1月7日(木)海軍公報第2946号 p.6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7pp
[21] 문서 海軍制度沿革(巻4、1939)
[22] 문서 海軍制度沿革(巻4、1939)
[23]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7
[24] 문서 ハンディ判艦艇写真集17
[25] 문서 海軍制度沿革(巻4、1939)
[26] 문서 昭和14年11月1日(水)海軍公報(部内限)第3349号 p.1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 문서 昭和16年8月4日(月)海軍公報(部内限)第3862号 p.4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 문서 昭和16年8月18日(月)海軍公報(部内限)第3874号 p.4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9] 문서 昭和16年9月1日(発令9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701号 p.3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 문서 戦史叢書26海軍進攻作戦
[31] 문서 水雷部隊
[32] 문서 昭和18年1月27日(水)海軍公報(部内限定)第4301号 pp.14-15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3] 문서 S1703二水戦日誌(1)
[34] 문서 S1703二水戦日誌(2)
[35] 문서 昭和17年3月16日(発令3月14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828号 p.12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6] 문서 S1703二水戦日誌(1)
[37] 문서 S1703二水戦日誌(2)
[38] 문서 S1703二水戦日誌(2)
[39] 문서 S1703二水戦日誌(2)
[40] 문서 S1703横鎮日誌(5)
[41] 문서 S1704横鎮日誌(1)
[42] 문서 S1704四水戦日誌(1)
[43] 문서 S1703二水戦日誌(3)
[44] 서적 戦史叢書29北東方面
[45] 문서 S1704横鎮日誌(4)
[46] 문서 S1704横鎮日誌(4)
[47] 문서 S1704横鎮日誌(4)
[48] 문서 内令昭和17年5月(2)
[49] 문서 S1704四水戦日誌(2)
[50] 문서 ミッドウエイ作戦
[51]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52] 문서 ミッドウエイ作戦
[53]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54]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55] 서적 聯合艦隊作戦室
[56]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57]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58] 서적 太平洋の試練(下)
[59]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60] 문서 ミッドウエイ作戦
[61]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62] 서적 重巡最上出撃せよ
[63] 서적 聯合艦隊作戦室
[64]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65] 서적 ミッドウェー海戦(戦史叢書)
[66] 문서 あ号作戦日誌(4)
[67] 문서 S1704四水戦日誌(3)
[68] 문서 S1704四水戦日誌(3)
[69] 문서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70] 문서 S1707佐鎮日誌(1)
[71] 문서 内令昭和17年7月(2)
[72] 문서 S1707横鎮日誌(6)
[73] 문서 S1707横鎮日誌(4)
[74] 문서 S1707横鎮日誌(4)
[75] 문서 内令昭和17年8月(1)
[76] 문서 S1708横鎮日誌(5)
[77] 문서 S1708横鎮日誌(2)
[78] 문서 S1708横鎮日誌(5)
[79] 문서 S1708横鎮日誌(3)
[80] 문서 S1708横鎮日誌(6)
[81] 서적 中部太平洋方面海軍作戦<2>昭和十七年六月以降
[82] 문서 S1709呉鎮日誌(1)
[83] 문서 S1709佐鎮日誌(4)
[84] 문서 S1707呉防戦(3)
[85] 문서 S1704第2海護(2)
[86] 문서 内令昭和17年10月(4)
[87] 문서 S1709八艦隊日誌(2)
[88] 전사총서 戦史叢書83ガ島戦
[89] 전사총서 戦史叢書83ガ島戦
[90]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91] 전사총서 戦史叢書83ガ島戦
[92]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93] 전사총서 戦史叢書83ガ島戦
[94] 전사총서 戦史叢書83ガ島戦
[95] 문서 南東方面海軍作戦(1)
[96]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97] 서적 海軍駆逐隊、平成27
[98] 문서 S1711七戦隊日誌(1)
[99] 전사총서 戦史叢書83ガ島戦
[100] 문서 南東方面海軍作戦(1)
[101] 문서 S1711七戦隊日誌(1)
[102] 전사총서 戦史叢書83ガ島戦
[103]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104]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105]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106] 문서 戦史叢書83ガ島戦
[107] 문서 S1711二水戦日誌(3)
[108] 문서 S1711二水戦日誌(3)
[109] 문서 S1709十八戦隊日誌(7)
[110] 문서 戦史叢書83ガ島戦
[111]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112] 문서 電詳報其壱(4)1707
[113] 문서 電詳報其壱(4)1707
[114] 문서 戦史叢書83ガ島戦
[115] 문서 電詳報其弍(1)1712
[116] 문서 S1709十八戦隊日誌(7)
[117]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118] 문서 戦史叢書83ガ島戦
[119] 문서 ニューギニア海軍作戦
[120] 문서 S1709十八戦隊日誌(7)
[121] 문서 S1709八艦隊日誌(3)
[122] 문서 S1711七戦隊日誌(5)
[123] 문서 뉴기니아 해군작전
[124] 문서 S1711七戦隊日誌(5)
[125] 문서 S1711七戦隊日誌(5)
[126] 문서 S1712増援部隊詳報(3)
[127] 문서 内令昭和17年12月(5)
[128] 문서 戦史叢書83ガ島戦
[129] 문서 S1801七戦隊日誌(1)
[130] 문서 高松宮日記5巻
[131] 문서 S1712四水戦日誌(4)
[132] 문서 S1712四水戦日誌(4)
[133] 문서 S1712四水戦日誌(4)
[134] 간행물 昭和18年2月15日(発令2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54号 https://www.jacar.ar[...]
[135] 문서 S1709八艦隊日誌(5)
[136] 문서 S1712四水戦日誌(4)
[137] 문서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38] 문서 朝潮 (朝潮型駆逐艦)
[139] 문서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40] 문서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41] 서적 南東方面海軍作戦(2)
[142] 서적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43] 서적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44] 서적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45] 서적 高松宮日記6巻
[146] 서적 高松宮日記6巻
[147] 서적 草鹿ラバウル
[148] 서적 高松宮日記6巻
[149] 서적 戦史叢書96ガ島撤収後
[150] 간행물 内令昭和18年4月(1)
[151] 간행물 官報第2989号 info:ndljp/pid/29594[...]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6-12-17
[15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2年8月2日(発令8月2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7号
[15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2年12月1日(発令12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9号
[154]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2年12月1日(発令12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99号
[155]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3年12月15日(発令12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273号
[15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3年12月15日(発令12月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273号
[15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4年5月20日(発令5月2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338号
[158]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4年10月16日(発令10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391号
[15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5年10月15日(発令10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543号
[160]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5年10月15日(発令10月15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543号
[161]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6年9月10日(発令9月10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708号
[162]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8年4月1日(発令4月1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085号
[163]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昭和19年2月22日(発令3月3日付)海軍辞令公報(部内限)第1335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