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은 1918년부터 1920년까지, 그리고 일부 지역에서는 1922년까지 진행된 사건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 혁명으로 혼란에 빠진 러시아에 연합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한 것이다. 연합국은 동부 전선의 붕괴와 볼셰비키의 정권 장악을 우려하여,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지원, 항구 도시 점령, 백군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개입했다.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 여러 국가가 참여했으며, 각자 다른 목적과 전략을 가지고 있었다. 개입은 볼셰비키의 지배를 강화하고, 연합국과 소련 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이 참전한 전쟁 - 소련-일본 전쟁
    소련-일본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하여 만주, 쿠릴 열도, 사할린 등지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소련의 극동 지역 영향력 확대와 일본의 항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동아시아 정세 변화를 초래했다.
  • 몽골이 참전한 전쟁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 개입 - 간섭주의
    간섭주의는 외세의 정권 교체를 포함하는 국제 정치 현상으로, 그 효과에 대해서는 내전 가능성 증가, 평화 유지 기여, 지역 불안정 심화 등 상반된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 개입 - 인도주의적 개입
    인도주의적 개입은 자국민을 보호하지 못하는 국가에 대해 국제사회가 개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력 사용 금지 원칙과 내정 불간섭 원칙 사이의 갈등, 그리고 보호책임 원칙과 같은 다양한 논의를 거쳐 왔으나 식민주의적 성격, 강대국의 목표 추구 등의 이유로 비판받기도 한다.
  •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 - 북양정부
    북양정부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초기 정부로, 위안스카이 사후 군벌 간 권력 다툼으로 혼란해졌으나 장제스의 북벌과 장쉐량의 투항으로 소멸되었다.
  •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918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사열하는 연합군
1918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사열하는 연합군
분쟁의 부분러시아 내전
날짜1918년 1월 12일 – 1925년 5월 20일 (7년 4개월 1주 1일)
장소러시아 제국
원인러시아 혁명,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결과볼셰비키의 승리
교전 세력
연합군백군
체코 군단 (1918년–1919년)
(1918년–1920년)



* Scientia Militaria: South African Journal of Military Studies, Vol 15, Nr 4, 1985, pp. 46–48]
볼셰비키
극동 공화국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알렉산드르 콜차크}}
미하일 디테리흐스
그리고리 세묘노프
니콜라이 유데니치
예브게니 밀러
안톤 데니킨
표트르 브란겔

스타니스라프 체체크
세르게이 보이체호프스키}}
얀 시로비
오타니 기쿠조
유히 미쓰에
우드로 윌슨}}
}}
}}
로버트 아이켈버거}}
}}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








}}
볼셰비키 지휘관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이오아킴 바체티스
세르게이 카메네프


}}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미하일 프룬제
바실리 블류헤르
알렉산드르 사모일로
요시프 스탈린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표도르 라스콜니코프

세묜 부됸니




알렉산드르 크라스노시초코프
병력 규모
연합군 병력50,000–70,000명
15,600명
30,000명 Wright
11,000명
11,300명
70,000명 이상
59,150명KinvigSargentWinegardWright
4,700명 이상
2,500명
2,300명
볼셰비키 병력불명
사상자
연합군 사상자: 사망자 4,112명 Bradley, Czechoslovak Legion, 156.]WrightWinegard
: 사망자 424명Robert L. Willett, "Russian Sideshow" (Washington, D.C., Brassey's Inc., 2003), p. 267]
사상자 3,000명 이상, 부상자 20,000명 이상
볼셰비키 사상자불명

2. 연합군 개입 이전

1917년 러시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와 니콜라이 2세 황제에 대한 민중의 불만으로 인해 혁명의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2월 혁명으로 황제가 퇴위하고 러시아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독일 제국과의 전쟁을 지속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러시아 임시정부는 초기에는 게오르기 르보프가 이끌었으나, 이후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권력을 잡았다. 연합국은 블라디보스토크, 무르만스크, 아르한겔스크를 통해 러시아에 물자를 지원했고,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케렌스키 정부에 경제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했다.[179]

그러나 전쟁에 대한 염증은 커져갔고,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는 대중의 지지를 얻으며 세력을 확장했다. 러시아 제국 육군 병사들의 탈영과 반란이 빈번해졌고, 케렌스키 공세는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반격으로 실패하며 동부 전선은 붕괴되었다.

케렌스키는 알렉세이 브루실로프를 대신해 라브르 코르닐로프를 군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했으나, 코르닐로프는 1917년 8월 말 쿠데타를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영국군 여단장 알프레드 녹스가 코르닐로프를 지지했고, 케렌스키는 알프레드 밀너가 코르닐로프 지지 편지를 썼다고 주장했다. 올리버 락커램슨이 이끄는 영국 장갑차 부대가 쿠데타에 가담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80]

코르닐로프 사건은 실패로 끝났지만, 이는 10월 혁명으로 이어져 케렌스키 정부는 무너지고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후 1918년 3월 3일,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독일 제국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체결하여 동부 전선에서의 전쟁을 종결했다.[14]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게 되었고, 연합국은 배신감을 느꼈다.[15]

당시 러시아는 '평화, 빵, 토지'를 원했고, 전쟁을 끝내기 위한 필사적인 시도로 조약을 체결했다.[14] 그러나 이 조약으로 인해 독일군 병력이 서부 전선으로 재배치될 수 있게 된 것은 아니었다. 당시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미국 해외원정군을 기다리고 있었다.[179]

역사가 스펜서 터커에 따르면, 연합국은 볼셰비키가 독일의 지배에 맞설 만큼 질서 있는 정권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동유럽에서 독일 지배의 그림자가 현실이 될 위협을 받게 되자, 연합국은 군사 개입을 진지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16]

R. H. 브루스 로크하트 등 영국 요원과 모스크바의 프랑스 관리는 볼셰비키 정권 전복을 위한 쿠데타를 조직하려다 이중 간첩에게 발각되어 체포되었다.[17]

2. 1. 혁명

1917년 러시아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와 니콜라이 2세 황제에 대한 민중의 불만으로 인해 혁명의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2월 혁명으로 황제가 퇴위하고 러시아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독일 제국과의 전쟁을 지속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러시아 임시정부는 초기에는 게오르기 르보프가 이끌었으나, 이후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권력을 잡았다. 연합국은 블라디보스토크, 무르만스크, 아르한겔스크를 통해 러시아에 물자를 지원했고,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케렌스키 정부에 경제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했다.[179]

그러나 전쟁에 대한 염증은 커져갔고,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는 대중의 지지를 얻으며 세력을 확장했다. 러시아 제국 육군 병사들의 탈영과 반란이 빈번해졌고, 케렌스키 공세는 독일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반격으로 실패하며 동부 전선은 붕괴되었다.

케렌스키는 알렉세이 브루실로프를 대신해 라브르 코르닐로프를 군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했으나, 코르닐로프는 1917년 8월 말 쿠데타를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영국군 여단장 알프레드 녹스가 코르닐로프를 지지했고, 케렌스키는 알프레드 밀너가 코르닐로프 지지 편지를 썼다고 주장했다. 올리버 락커램슨이 이끄는 영국 장갑차 부대가 쿠데타에 가담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80]

코르닐로프 사건은 실패로 끝났지만, 이는 10월 혁명으로 이어져 케렌스키 정부는 무너지고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다.

2. 2. 러시아의 전쟁 탈퇴

1917년 10월 혁명으로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의 임시 정부가 붕괴되고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가 정권을 잡았다.[179] 1918년 3월 3일,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독일 제국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체결하여 동부 전선에서의 전쟁을 종결했다.[14] 이 조약으로 러시아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게 되었고, 연합국은 배신감을 느꼈다.[15]

당시 러시아는 '평화, 빵, 토지'를 원했고, 전쟁을 끝내기 위한 필사적인 시도로 조약을 체결했다.[14] 그러나 이 조약으로 인해 독일군 병력이 서부 전선으로 재배치될 수 있게 된 것은 아니었다. 당시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미국 해외원정군을 기다리고 있었다.[179]

역사가 스펜서 터커에 따르면, 연합국은 볼셰비키가 독일의 지배에 맞설 만큼 질서 있는 정권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동유럽에서 독일 지배의 그림자가 현실이 될 위협을 받게 되자, 연합국은 군사 개입을 진지하게 고려하기 시작했다.[16]

R. H. 브루스 로크하트 등 영국 요원과 모스크바의 프랑스 관리는 볼셰비키 정권 전복을 위한 쿠데타를 조직하려다 이중 간첩에게 발각되어 체포되었다.[17]

3. 연합군 개입 배경

1917년 초, 러시아 제국제1차 세계 대전 참전에 대한 국내 반발과 니콜라이 2세에 대한 지지 하락으로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 2월 혁명은 차르 니콜라이 2세를 퇴위시키고 러시아 임시 정부를 수립하게 했다.[9] 게오르기 르보프,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끈 임시 정부는 독일 제국과의 동부 전선 전쟁을 계속할 것을 약속했다.[9]

연합국은 1914년부터 아르한겔스크, 무르만스크, 블라디보스토크를 통해 러시아에 물자를 지원했고, 1917년 4월 미국 참전 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케렌스키 정부에 경제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했다.[9]

그러나 전쟁에 대한 러시아 국민들의 불만은 커져갔고,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가 세력을 확장했다. 러시아 제국군 내 탈영과 반란이 빈번했고, 1917년 7월 케렌스키 공세 실패 후 동부 전선은 붕괴 직전에 놓였다. 케렌스키는 알렉세이 브루실로프라브르 코르닐로프로 교체했다.[10]

코르닐로프는 쿠데타를 일으켜 군사 독재 정권을 수립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영국 무관 알프레드 녹스 준장이 코르닐로프를 지지했다는 의혹, 알프레드 밀너 경이 코르닐로프 지지 서한을 보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0][11][12]

10월 혁명(1917년 11월 7일)으로 케렌스키 임시정부가 무너지고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았다. 1917년 12월 23일, 영국과 프랑스는 파리 협약을 체결, 러시아 영토 내 군사 작전 범위를 규정했다. 영국은 코사크 지역, 코카서스, 아르메니아, 조지아, 쿠르디스탄, 프랑스는 베사라비아, 우크라이나, 크림을 담당했다. 영국은 코카서스 유전, 프랑스는 우크라이나 석탄 및 철광석 광산 투자를 보호하고자 했다.[13]

1918년 초, 중앙 열강 군대가 러시아를 침공, 광대한 영토를 점령하자,[14] 레닌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1918년 3월 3일)을 체결, 전쟁을 종식시켰다. 연합국은 이를 배신으로 간주, 백색 반군을 지원하고 러시아 물자가 독일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15]

역사가 스펜서 터커는 연합국이 볼셰비키 정권이 독일 지배에 맞설 질서 있는 정권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라 판단했다고 분석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동유럽 독일 지배 위협이 커지자, 연합국은 군사 개입을 고려하기 시작했다.[16]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이전에도 다우닝가는 코카서스 보호령, 퀘 데르세는 크림 반도, 베사라비아, 우크라이나 보호령을 고려하며 백군 장군에게 자금을 지원했다.[17] R. H. 브루스 로크하트 등 영국 요원과 모스크바 프랑스 관리는 볼셰비키 정권 전복 쿠데타를 조직하려다 발각되어 체포되었다.[17] 프랑스와 영국의 백군 지원은 차르 러시아 투자 자산 보호 목적도 있었다.[18]

3. 1.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전쟁 포로로 러시아에 억류되어 있던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들로 구성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은 1917년 러시아에서 결성되어 연합국 측에 가담하여 싸웠다. 이들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통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하여 유럽 서부 전선으로 가려 했으나, 볼셰비키와의 갈등으로 인해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장악하게 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이러한 상황은 연합국이 러시아 내전에 개입하는 명분 중 하나가 되었다.[23]

3. 2. 연합국의 우려

1917년 러시아는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고 러시아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독일 제국과의 전쟁을 지속하면서 국내외적으로 혼란이 가중되었다.[179]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는 이러한 혼란을 틈타 세력을 확장했고, 결국 10월 혁명으로 임시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했다.

연합국은 이러한 상황 전개에 크게 우려했다. 주요 우려 사항은 다음과 같았다.

  • 동부 전선의 붕괴: 러시아가 전쟁에서 이탈하면서 독일이 동부 전선의 병력을 서부 전선으로 이동시켜 연합국에 불리한 상황이 조성될 수 있었다.
  • 물자와 장비의 유출: 블라디보스토크, 무르만스크, 아르한겔스크 등 러시아 항구에 보관되어 있던 연합국의 막대한 물자와 장비가 독일군에게 넘어갈 가능성이 있었다.[179]
  • 볼셰비키의 위협: 연합국 정부는 볼셰비키의 혁명 이념이 자국 내로 확산될 것을 경계했다. 특히, 윈스턴 처칠과 같은 반공주의자들은 볼셰비키를 '사회주의의 최악의 형태'로 간주하며 적극적인 개입을 주장했다.[26]


1918년 3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러시아가 전쟁에서 이탈하자 연합국의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97] 연합국은 러시아의 단독 강화에 반발하며 백군을 지원하고, 러시아의 물자가 독일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97]

이러한 배경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에 대한 군사 개입을 결정했다. 그러나 병력 부족으로 인해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윌슨은 1918년 7월 미국 전쟁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5,000명의 미국 육군 병력을 파견하는 데 동의했다.[20]

4. 러시아 내 연합군

캐나다 시베리아 파견군, 1919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행진하는 미국 군대, 1918년 8월


러시아 내전 당시 러시아 각 지역에 주둔했던 연합군의 규모와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국가지역병력 규모
영국북러시아14,378명[35]
시베리아1,800명[35]
코카서스40,000명 (1919년 1월까지)[35]
트란스카스피아950명[35]
영국 해군발트해수상기 모함 및 수상기 모함을 포함한 20척 이상의 함대[35]
영국 육군북러시아제236 보병 여단, 제6 대대 왕립 해병 경보병 (RMLI), 제548 (던디) 육군 부대, 왕립 공병대, 제2/10 (자전거) 대대, 왕립 스코트 연대, 제52 대대, 맨체스터 연대, 왕립 더블린 퓨질리어스 일부[35]
영국 공군북러시아Airco DH.4 폭격기, 페어리 캄파니아 및 소프위드 베이비 수상기, 단일 소프위드 카멜 전투기로 구성된 분견대[35]
미국북러시아 (아르한겔스크)약 8,000명 (북극곰 원정대)[20]
시베리아 (블라디보스토크)약 5,000명 (미국 시베리아 원정군)[21]
아르한겔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 통합13,000명[20][21]
미 해군북러시아순양함 USS 올림피아 (1918년 8월과 9월 동안, 영국 해군 부대에 배속된 53명의 병력 포함)[35]
프랑스북러시아2,000명 (주로 식민군 및 공병)[35]
남러시아15,000명[35]
일본 제국시베리아70,000명 이상[22]
이탈리아 왕국아르한겔스크, 무르만스크, 시베리아3,800명[32][33]
캐나다시베리아4,192명 (캐나다 시베리아 파견군)[35]
아르한겔스크600명[35]
북양군벌블라디보스토크2,300명[36]
호주북러시아 (주로 아르한겔스크)150명[34]
루마니아 왕국베사라비아50,000명[28][29]
그리스 왕국남우크라이나, 크림 반도23,351명[30]
에스토니아러시아 북서부11,500명[31]


5. 주요 전역



연합군은 동부 전선의 붕괴와 차르 체제가 공산주의에 넘어가는 것에 대해 우려했고, 러시아 항구에 비축된 물자와 장비가 독일군에게 넘어갈 가능성,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의 파괴 가능성, 볼셰비키의 위협 등에 대해서도 걱정했다.[19] 에스토니아국가 군대를 창설하여 왕립 해군과 핀란드 의용병의 지원을 받아 제7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고 있었다.[31]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에 대한 군사 개입을 결정했다. 최초의 영국 상륙은 현지 소비에트 평의회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 레프 트로츠키 적군의 수장은 무르만스크에 도착한 영국, 미국, 프랑스 군대를 환영했다.[19]

1918년 7월, 미국 전쟁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윌슨은 5,000명의 미국 육군 병력을 제한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동의했다. 이 부대는 "미국 북러시아 원정군"[20] (일명 북극곰 원정대)으로 아르한겔스크로 보내졌고, 8,000명의 병력은 미국 시베리아 원정군으로 조직되어[21] 필리핀과 캘리포니아 캠프 프리몬트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수송되었다.

캐나다 정부영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영국 제국군의 지휘와 병력 대부분을 제공하는 데 동의했으며, 여기에는 호주군과 인도군도 포함되었다. 이 군대의 일부는 캐나다 시베리아 파견군이었고, 다른 일부는 북러시아 개입이었다. 에드윈 알렉산더-싱클레어 후방 제독의 지휘하에 왕립 해군 함대는 발트해로 파견되었다.[31]

일본 제국은 북쪽 국경에 대해 우려하여 약 70,000명에 달하는 가장 큰 군대를 파견했다. 그들은 시베리아에 완충 국가를 설립하길 원했으며,[22] 일본 제국 육군 참모 본부는 러시아의 상황을 일본의 "북방 문제"를 해결할 기회로 보았다. 일본 정부 또한 공산주의에 극도로 적대적이었다.

이탈리아 왕국알피니 병력과 옛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의 이탈리아계 출신 전 포로로 구성된 특수 부대 "''코르포 디 스페디치오네''"를 창설했으며, 이들은 이탈리아 레지오네 레덴타에 징집되었다. 그들은 톈진 이탈리아 조계에 주둔했으며 약 2,500명으로 구성되었다.

윈스턴 처칠과 같은 찬성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연합군은 개입에 특별한 관심이 없었다. 연합국의 주요 관심사는 서부 전선에서 독일 제국을 물리치는 것이었다. 볼셰비키의 러시아 국채 거부와 외국 소유 산업 압류는 긴장을 유발했지만, 연합국의 주요 관심사는 볼셰비키가 러시아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탈출시키려는 열망이었다.[23][24][25]

행동을 가장 강력하게 지지한 처칠은 열렬한 반사회주의자였으며 볼셰비키를 사회주의의 최악의 형태로 보았다.[26] 대부분의 영국 언론은 볼셰비키 정권에 이념적으로 적대적이었으며 개입을 지지했다.[27]

5. 1. 북러시아

1918년 3월 4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체결된 다음 날, 영국군 170명이 무르만스크에 상륙했다. 이것이 영국군의 첫 북러시아 개입이었다.[38] 1918년 5월 2일, 영국 해병대는 적군과 함께 백핀족이 점령한 페첸가를 탈환하며 첫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38] 이후 몇 달 동안, 영국군은 백핀족과 소규모 교전을 벌였다. 그러나 소련-연합국 관계는 악화되었고, 무르만스크-페트로그라드 철도를 장악하려는 볼셰비키 부대를 연합군이 격퇴하면서 본격적인 전투가 시작되었다.[39] 세르비아 증원군이 도착하여 칸달락샤로 향하던 볼셰비키 군대를 저지하기도 했다.[40]

아르한겔스크에서 노획된 영국군 마크 V 전차


1918년 8월 2일, 게오르기 차플린 대위가 이끄는 반볼셰비키군이 아르한겔스크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다.[41] 풀 장군은 차플린과 쿠데타를 공모했고,[42] 연합국 군함들이 백해에서 항구로 들어왔다.[43] 프랑스군과 영국군 1,500명이 도시를 점령했고,[44] 니콜라이 차이코프스키와 차플린은 북부 지역 최고 행정부를 설립했다.[45]

1918년 9월에는 이탈리아군 1,200명과 소규모 캐나다 및 프랑스 대대가 도착했고, 늦가을까지 영국군은 6,000명으로 증강되었다.[46] 1918년 9월 4일에는 미군 3개 대대 4,500명이 아르한겔스크에 상륙했다.[47] 영국 강(River) 병력은 11척의 모니터함(HMS ''M33'', HMS ''Fox'' 등), 기뢰 제거함, 러시아 포격정으로 구성되어 바가강과 북드비나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항해 가능한 수로를 사용했다. 약 30척의 볼셰비키 포격정, 기뢰, 무장 모터 보트가 연합군에 피해를 입혔다.

1918년 8월 28일, 영국 제6 왕립 해병 경보병 대대는 카렐리야 공화국으로의 광범위한 공세의 일환으로 코이코리 마을을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조직적이지 못한 공격으로 해병 3명이 사망하고 18명이 부상을 입었다.[48] 우수나에 대한 공격도 격퇴되었다.[48] 다음날 아침, 한 해병 중대가 명령에 불복종하고 인근 마을로 철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93명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1919년 12월, 정부는 사형 선고를 취소하고 형량을 대폭 감형했다.[49]

1918년 휴전일 즈음, 볼셰비키는 북드비나강 전선에서 최대 규모의 공세를 시작했고, 툴가스 전투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50] 독일과의 휴전 소식에 많은 영국군은 철수를 기대했지만, 그 희망은 좌절되었다.[51]

1919년 1월 27일, 볼셰비키가 화학 무기를 사용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볼셰비키는 북러시아에서 적어도 두 번 영국군을 상대로 독가스 쉘을 사용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52]

1919년 초, 연합군은 바가강의 셴쿠르스크와 북드비나강의 니즈냐야 토이마까지 진격했다. 아이언사이드 장군은 셴쿠르스크를 '북러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라고 묘사하며 방어하려 했으나,[53] 1919년 1월 19일~20일 셴쿠르스크 전투에서 연합군은 패배했다.[54] 이 전투는 작전의 중요한 전환점이었고, 연합군은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55]

무르만스크 지역에서는 1919년 2월, 영국군이 남쪽으로 이동하여 세게자 마을을 점령하고, 적군을 소로코 너머 올림피까지 밀어냈다.[56] 1919년 2월 20일까지 3,000평방마일의 영토가 점령되었다.[57] 1919년 5월에는 메드베자-고라를 점령하고 페트로자보츠크 근처까지 진격했다.[58]

1919년 4월, 영국에서 '북러시아 구호군' 모집이 시작되었고, 4월 말까지 3,500명이 입대하여 북러시아로 파견되었다.[59] 구호군은 1919년 5월 말~6월에 북러시아에 도착했다.[60]

아르한겔스크 전선으로 출발하기 전, 무르만스크 대대의 폴란드군 분견대를 검사하는 폴란드군, 영국군 및 프랑스군 장교들 (1919년)


1919년 7월 초, 영국 지휘하의 백군 부대가 반란을 일으키고 영국군 장교를 살해했으며, 100명의 병사가 볼셰비키로 탈주했다.[61] 1919년 7월 20일, 오네가에서 3,000명의 백군이 반란을 일으켜 도시를 볼셰비키에게 넘겨주었다.[62] 이 사건으로 영국은 백군에 대한 신뢰를 잃었고, 철수를 결정하게 되었다.[62]

1919년 8월과 9월, 드비나 전선에서 영국군과 적군 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63] 1919년 8월에는 드비나를 따라 주요 공세가 시작되어 고로도크 마을을 공격, 750명의 볼셰비키 포로를 잡았다.[64] 1919년 9월에는 연합군의 마지막 공세가 시작되었으나, 코이코리와 우수나의 방어가 예상보다 강력하여 공격은 실패했다.[65]

1919년 9월 22일, 칸달락샤로 파견된 영국군 분견대가 핀란드 볼셰비키의 파괴 작전을 막기 위해 강을 따라 이동 중 매복 공격을 받아 13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을 입었다.[66] 1919년 9월 26일, 오름스비 출신의 한 사병이 부상으로 사망하며, 북러시아에서 전투 중 사망한 마지막 영국 군인이 되었다.[67]

1919년 9월 27일 아침, 마지막 연합군 병력이 아르한겔스크를 떠났고, 1919년 10월 12일 무르만스크가 버려지면서 북러시아 개입은 막을 내렸다.
북러시아 개입에 참여한 연합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영국 제국'''
  • 영국 해군: 수상기 모함을 포함한 20척 이상의 함대
  • 영국 육군: 제236 보병 여단, 제6 대대 왕립 해병 경보병 (RMLI), 제548 (던디) 육군 부대, 왕립 공병대, 제2/10 (자전거) 대대, 왕립 스코트 연대[68], 제52 대대, 맨체스터 연대, 왕립 더블린 퓨질리어스의 일부.
  • 슬라브-영국 연합 군단 (SBAL): 영국에서 훈련받고 이끌었으며, 주로 러시아 반볼셰비키, 핀란드 및 에스토니아 출신 자원병으로 구성(다이어 대대 포함).
  • 캐나다 야전 포병대 (제16 여단 제67 및 제68 포대, 캐나다 야전 포병대)
  • 영국 공군: Airco DH.4 폭격기, 페어리 캄파니아 및 소프위드 베이비 수상기, 단일 소프위드 카멜 전투기로 구성된 분견대.[69][70]
  • '''미국'''
  • 북러시아 원정군(일명 북극곰 원정): 미 육군에서 약 8,000명의 병력,[71] 제310 공병, 제339 보병, 제337 야전 병원, 제337 구급대, 제167 및 제168 철도 회사 포함.
  • 미 해군: 1918년 8월과 9월 동안 순양함 1척 파견 (영국 해군 부대에 배속된 53명의 병력 포함)
  • '''프랑스''': 프랑스 육군 병력 2,000명, 주로 ''식민군'' (예: 제21 식민 대대) 및 공병.
  • '''기타 국가''': 북부에 있는 백군에 배속된 세르비아 및 폴란드 보병 1,000명(시베리아군과는 구별됨,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포함), 이탈리아군 1,200명, 다른 국가에서 온 소수의 자원병.

5. 2. 발트 지역과 러시아 북서부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과 발트해에서의 영국 작전은 이 지역에서 연합군과 볼셰비키 간의 주요 충돌이었다. 에스토니아군은 자국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한 후, 백 러시아 북부 군단을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 국경을 넘어 침공했다. 이들은 나르바에서 소련군을 기습하여 제6 사단을 파괴했다.[43] 에스토니아와 백군의 공격은 핀란드 만 연안에서 영국 해군, 에스토니아 해군 및 해병대의 지원을 받았다.

1918년 12월 4일 밤, 순양함 HMS 카산드라는 리예파야 북쪽에서 초계 임무 중 독일이 설치한 기뢰에 부딪혀 침몰했으며, 승무원 11명이 사망했다. 에스토니아 총리는 영국에 수도 방어를 위한 군대 파견과 영국 보호령 선포를 요청했지만, 영국은 이를 거절했다.[31]

영국 순양함과 구축함은 에스토니아-러시아 국경 근처 해안에서 볼셰비키의 보급선을 포격했다. 1918년 12월 26일, 영국 군함은 탈린 항구를 포격하던 볼셰비키 구축함 아브토로일과 스파르타크를 나포했다.[44] 이 함정들은 에스토니아 해군의 렌누크함과 밤볼라함으로, 에스토니아 해군의 핵심 전력이 되었다.

1919년 5월 13일, 에스토니아의 프스코프 공세가 시작되었다. 페체리 전투단은 에스토니아 노동자 코뮌의 붉은 군대를 격파하고 5월 25일에 도시를 점령했다.[45] 1919년 6월 19일, 에스토니아 총사령관 요한 라이도너는 백 러시아에 대한 지휘권을 철회했고, 그들은 북서부군으로 개명되었다. 니콜라이 N. 유데니치 장군이 이 부대의 지휘를 맡았다.[43]

크라스나야 고르카 요새 수비대가 반란을 일으키자,[46] 어거스터스 아가 중위가 지휘하는 영국 해안 모터 보트 부대가 크론슈타트 항구를 습격했다. 1919년 6월 17일, 순양함 올레그와 보급함 파미아트 아조바를 격침시켰다.[47][48][49][50] 8월의 두 번째 공격에서는 볼셰비키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와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가 손상을 입었다.[47][48][50] 그러나 반란은 볼셰비키 전함의 포격에 의해 진압되었다.

1919년 10월 9일, 북서부군은 '백검' 작전을 시작하여 페트로그라드를 점령하려 했다.[31] 영국은 이 작전을 통해 페트로그라드를 확보하고자 했다. 에스토니아와 영국군은 크라스나야 고르카에 대한 합동 육해상 공격을 감행했지만, 붉은 군대는 북서부군을 나르바 강으로 몰아냈다.[45] 에스토니아 최고 사령부는 북서부군의 잔여 병력을 무장 해제하고 억류했다.[52]

발트해에서 영국 해군 선원들 사이에 불안이 발생했다. HMS 빈딕티브, HMS 델리 및 비외르코 해협에 주둔한 함선의 승무원들이 소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원인은 전쟁 피로, 열악한 음식과 숙소, 휴가 부족, 볼셰비키 선전의 영향 등이었다.

발트해 작전에서 영국군은 128명이 사망하고, 최소 27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9명이 포로로 잡혔다. 영국은 약 90척의 함선을 투입했으며, 이 중 17척이 손실되고 약 70척이 손상되었다.

5. 3. 남러시아와 우크라이나

1918년 12월 18일, 휴전 한 달 후, 프랑스군은 오데사세바스토폴에 상륙하면서 남러시아 개입을 시작했다. 오데사에서는 프랑스군과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군대 사이에 7시간 동안 전투가 벌어졌고, 프랑스군은 도시를 완전히 장악했다.[53] 이 작전은 남러시아(후에 우크라이나)에서 데니킨 장군의 백군 부대인 자원군을 지원하고 보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작전에는 프랑스군, 그리스군, 폴란드군이 참여했다. 그러나 프랑스 군대와 흑해 함대 선원들의 사기는 낮았고, 대부분 제대하여 귀국하기를 원했다. 그리스와 폴란드 개입군의 사기도 마찬가지였다.[54]

현지 군벌 오타만 니키포르 그리고리에프는 1919년 2월 18일 볼셰비키와 동맹을 맺고 외세 침략군에 맞서 군대를 진격시켰다. 그는 10,000~12,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3월 2일 연합군이 점령하고 있던 헤르손을 공격했다. 헤르손에는 프랑스군 150명, 그리스군 700명, 그리고 신뢰할 수 없는 자원병 수백 명이 주둔하고 있었다. 3월 9일, 치열한 헤르손 전투 끝에 도시가 함락되었다. 프랑스군은 4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당했으며, 그리스군은 약 250명의 사상자를 냈다. 현지 그리스 주민들도 살해되었다. 헤르손 정복 후, 그리고리예프는 그의 군대를 니콜라예프로 돌렸는데, 그곳에는 연합군 병력이 훨씬 적었다. 당시 12,000명의 무장한 독일군이 도시에 있었지만 전투에 참여할 의사는 없었다. 현지 프랑스 사령관은 그리고리예프와 휴전을 협상했고, 3월 14~16일 모든 연합군과 독일군은 전투 없이 대량의 군수 물자를 남겨둔 채 해상으로 철수했다.

1919년 4월, 백군이 모스크바를 향해 진격하다가 패배하기 전에, 니키포르 그리고리예프 군대의 추가 위협으로 인해 병력은 오데사에서 철수했다.[55] 흑해의 프랑스 선원들 사이에서 발생한 대규모 반란은 부분적으로 철수를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흑해로 파견된 일부 영국 선원들도 반란을 일으켰다. 1919년 4월 29일, 마지막 연합군 부대가 크림반도를 떠났다.

브랑겔 장군은 크림반도에서 그의 군대를 재편성했지만, 상황이 악화되면서 1920년 11월 14일 연합군 함선을 타고 병사들과 함께 러시아를 탈출했다.

5. 4. 베사라비아

루스드급 함선


룸체로드의 지원을 받는 볼셰비키 군대가 베사라비아 지역을 공격하자, 이온 I. C. 브러티아누의 루마니아 정부는 개입을 결정했고, 에르네스트 브로슈테아누 장군 휘하의 제11보병사단이 키시너우에 진입했다. 볼셰비키 군대는 티기나로 후퇴했고, 전투 이후에는 드네스트르강 너머로 더 멀리 후퇴했다.[56]
티기나 전투는 1918년 베사라비아 전역에서 벌어진 두 번의 중요한 교전 중 하나였다. 이 전투는 1월 20일부터 25일까지 5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루마니아의 승리로 끝났지만 14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루마니아군은 800문의 총을 노획했다.[57]

두 번째 중요한 전투는 1월 27일부터 2월 3일까지 발코프에서 벌어졌다. 볼셰비키 군함(세 척의 도네츠크급 포함)의 작전으로 루마니아군은 며칠 동안 지연되었다. 그러나 루마니아 포병이 해안에 배치된 볼셰비키 포병 관측소를 파괴한 후, 2월 3일에 더 이상 목표를 조정하고 수정할 수 없게 되자 볼셰비키 군함은 후퇴해야 했다. 그날 늦게 루마니아군은 발코프를 점령했다. 루마니아군은 ''루스드''급 상륙정 ''K-2''와 총 8문의 152mm 오부코프 포를 장착한 여러 척의 바지선을 노획했다.[58][59][60]

5. 5. 시베리아

블라고베쉔스크를 점령한 일본군의 선전 포스터


연합군의 시베리아 출병은 1918년 8월에 시작되었다. 영국군은 노동당 의원이자 노동조합 지도자인 존 워드가 지휘하는 1,800명의 부대를 시베리아로 보냈는데, 이 부대는 8월 3일에 블라디보스토크에 상륙했다. 일본군은 블라디보스토크와 중러 국경에서 시베리아로 들어갔다. 미국에서는 필리핀의 제27보병연대와 제31보병연대, 미국 캘리포니아주팔로알토의 캠프 프리몬트에서 제12보병연대, 제13보병연대, 제62보병연대의 각 일부가 파견되어 미국 시베리아 원정군으로 조직되었다.[138][139] 일본군은 미국 시베리아 원정군, 캐나다 시베리아 원정군, 프랑스군, 이탈리아군과 합류했다.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140]은 연합군을 맞이했다. 중국의 북양군벌도 중국인 상인을 보호하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에 북양군 일부를 파견했다.[85]

일본군은 당초 7,000명의 부대로 시베리아 출병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최종적으로 7만 명이 시베리아로 보내졌다. 이러한 대규모 파병은 체코군 구출을 목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비롯한 다른 연합국으로부터 영토적 야심에 대한 경계를 받게 되었다.[141][142] 9월 5일, 일본군은 체코 군단의 선두 부대와 합류했으며, 며칠 후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부대가 체코 군단에 합류하여 영국군은 체코 군단이 일시적으로 점령했던 시베리아 철도 노선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해 갔다.[142] 미국군은 처음부터 일본군의 움직임을 경계하여 블라디보스토크에 머물렀으며, 캐나다군 대부분도 블라디보스토크에 머물렀다.[142]

1918년 8월 23-24일의 두호프스카야 전투에서는 영국군을 포함한 소수의 연합국 군인들이 볼셰비키와 싸웠으며, 일본인 사상자는 600명에 달했다. 이 전투로 인해 볼셰비키의 우스리강 전선에서의 조직적인 저항이 약화되었다.

10월 말, 블라디보스토크를 출발한 영국군은 옴스크 전선에 도착하여 겨울 6개월 동안 주둔했다. 이 군대는 체코 군단 및 백군의 러시아인과 함께 전진하여 옴스크에서 우파까지의 철로를 따라 포병 지원을 했다. 또한, 알렉산드르 콜차크가 옴스크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임시 전 러시아 정부의 최고 사령관으로 실권을 잡았을 때, 이 군대가 일정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후, 영국군은 카마강의 함대 부대의 일부로 활동하며 적군과 그 선박에 대한 공격과 사격을 지원했다. 그러나 볼셰비키가 페름으로 진격하자 군대는 물러났다.

시베리아에 파병된 소규모 영국군은 1919년 여름에 철수했으며,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연합국 군대는 1920년까지 시베리아에서 철수했다.

한편, 일본군은 1918년 11월까지 연해주의 모든 주요 도시와 항구를 점령하고 치타에 도달했다.[142] 그러나 1919년에는 노동자농민 등으로 조직된 공산 파르티잔의 유격전에 고전하여 교통 요충지 유지가 점차 어려워졌다. 일본군은 파르티잔이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마을을 공격했는데, 이러한 공격 과정에서 많은 마을 주민들이 학살되었고 마을은 불태워졌다.[143] 특히, 볼셰비키 지지 농촌 중 하나였던[144] 이바노프카에서는 수백 명의 마을 주민이 학살되었다(이바노프카 사건).[145][146] 1919년 2월 25일 유프타 전투에서 파르티잔과 싸운 일본군 310명이 거의 전멸하기도 했다. 1920년 봄에는 니콜라예프스크 항(니항, 현재의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에서 일본 육군 수비대(제14사단 보병 제2연대 제3대대)와 일본인 거류민 약 700명을 포함한 현지 시민 6,000명 이상이 공산 파르티잔에게 학살당하고 도시 일부가 불타는 니항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과 관련하여, 1925년 일소 기본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사할린 파견군이 북사할린을 점령했다.

시베리아로 보내진 장병들 사이에서는 전쟁 목적이 불분명했기 때문에 일본군의 사기가 저조했고, 군기도 쇠퇴했다. 현지에서는 일본군 병사들의 불법 행위도 보고되었다.[151][152]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진 1920년경에는, 전선의 병사들 사이에서 하루빨리 귀국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컸다고 한다.[153] 한편, 시베리아에는 많은 폴란드인 자녀들이 전쟁 고아가 되었으며, 일본 적십자사와 후쿠다회 등의 여러 고아원에서 시베리아 출병 중에 폴란드 고아 구출이 이루어져 총 1,000명 전후의 폴란드 고아가 조국으로 귀환했다.[154][155]

결국, 1922년 6월 23일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총리대신 등에 의해 일본군의 연해주 철병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실제로 일본군이 블라디보스토크를 출발하여 연해주에서 철병한 것은 같은 해 10월 25일이었다.[156] 후임 내각총리대신 가토 다카아키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에 대해 "국가에 아무런 이익도 가져다주지 못한 외교상 드문 실책의 역사이다"라고 평가하고 있다.[157]

5. 6. 캅카스

1917년, 라이오넬 던스터빌 장군이 지휘하는 던스터포스라는 연합군 부대가 메소포타미아 전역과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에서 차출되어 카자르 페르시아의 하마단에서 캅카스로 파견되었다. 이 부대는 1,000명 미만의 호주, 영국, 캐나다 군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장갑차를 동반했다. 던스터포스의 임무는 정보를 수집하고, 현지 병력을 훈련 및 지휘하며, 독일의 선전을 막는 것이었다.[64]

이후 던스터빌은 바쿠와 그 유전을 점령하고 보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당시 코카서스 지역은 멘셰비키가 지배하는 조지아 민주 공화국,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과 같이 사실상 독립 국가들이 통치하고 있었고, 백군은 실질적인 통제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65] 영국은 이 지역의 군대가 진격하고 있던 오스만 제국에게 바쿠를 점령당할 것을 우려했다. 오스만 제국이 항구의 함대를 장악하면 바쿠에서 카스피해를 건너 크라스노보츠크로 병력을 수송할 수 있었고, 이는 중앙아시아를 터키에 개방하고, 터키가 아프가니스탄을 통해 영국령 인도에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이었기 때문이다.

1917년 바쿠의 페르시아 우물에 있는 인도군.


1918년 8월 17일, 영국군은 바쿠에 상륙했다. 당시 영국군은 1,200명 규모였다.[66] 던스터포스는 처음에 반다르안잘리에서 러시아 볼셰비키군 3,000명에게 저지당했지만, 이후 카스피해를 통해 배를 타고 바쿠로 이동했다. 이곳은 진격하는 오스만 제국 군대의 주요 목표였고, 던스터포스는 1918년 9월 바쿠 전투에서 짧고 격렬한 포위전을 겪었다. 영국군은 9월 첫 2주 동안 적에게 막대한 사상자를 입히며 버텼지만, 압도적으로 더 많은 병력에 직면하여 9월 14일에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병력들은 같은 날 대기 중이던 세 척의 배를 타고 항구를 탈출했다. 바쿠 전투로 총 200명 가량의 영국군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95명이 사망했다.[66]

1920년 연합군 철수를 기념하기 위해 바투미에서 열린 퍼레이드에 참가한 인도군.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오스만 제국은 1918년 11월 중순에 아제르바이잔 국경에서 군대를 철수해야 했다. 윌리엄 몽고메리 톰슨 장군이 이끄는 1,600명의 영국군은 11월 17일 바쿠에 도착했고,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수도에 계엄령이 시행되었다. 또한 영국은 흑해카스피해를 연결하는 전략적인 노선을 보호하기 위해 조지아의 트빌리시바투미를 점령했으며, 바쿠-바투미 철도 전체 구간을 점령했다. 1919년 1월까지 영국군은 40,000명 규모로, 러시아에 투입된 영국 개입 병력 중 최대 규모였다. 캅카스에서 이뤄진 영국의 개입은 '인도의 측면을 보호'하고 현지 유전을 확보하려는 목적뿐만 아니라, 세 개의 새로운 독립 국가를 지원하고 독일과 오스만의 철수를 감시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영국군은 방어적인 목적으로만 활동했으며, 정규군이 다른 곳에서 필요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을 알리는 휴전 이후 다른 군인들의 제대 시기가 한참 늦어졌기 때문에 1919년 여름에 철수했다. 마지막 영국군은 8월 24일 바쿠를 떠났다.

5. 7. 트란스카스피아

윌프리드 맬리슨이 이끄는 맬리슨 임무는 1918년 8월 11일 트란스카스피아 철도 서쪽 끝과 크라스노보츠크에서 타슈켄트 소비에트 볼셰비키를 몰아낸 아슈하바드 집행위원회를 지원했다.[68] 영국은 독일 및 오스만 제국군이 카스피해를 건너 주요 항구인 크라스노보츠크로 진입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67]

맬리슨은 19 푸자비 소총연대의 기관총 부대를 트란스카스피아 철도에 위치한 바이라말리로 보냈다. 1918년 8월 28일, 볼셰비키는 아프가니스탄 국경의 쿠슈크를 공격했지만 격퇴되었다.[67] 같은 해 8월 28일과 9월 11일, 18일에는 카카에서 추가적인 전투가 벌어졌다. 영국군은 9월 25일 28 기병대 2개 비행대대로 증강되었다. 맬리슨은 인도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트란스카스피아로 더 진격하여 볼셰비키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트란스카스피아 군대와 함께 아르만 사가드 (1918년 10월 9일~11일)와 두샤크 (10월 14일)에서 전투를 벌였다. 두샤크에서 영국군은 54명 이상이 사망하고 150명 이상이 부상당했으며, 볼셰비키에게 1,000명의 사상자를 냈다.[67]

1918년 11월 1일, 영국군은 메르브를 재점령했고, 영국 정부의 지시에 따라 진격을 멈추고 바이람 알리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트란스카스피아군은 계속해서 북쪽의 볼셰비키를 공격했다. 우치 아지에서 트란스카스피아군이 패배한 후, 그들의 지휘관 놀리스 대령은 28 기병대를 안넨코보로 보내 지원했다. 1919년 1월, 19 푸자비 소총연대 1개 중대가 안넨코보의 진지를 강화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1월 16일에 두 번째 전투가 벌어져 4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67] 영국 정부는 1919년 1월 21일에 군대 철수를 결정했고, 마지막 병력은 1919년 4월 5일에 페르시아로 떠났다.[68]

6. 결과 및 역사적 평가

존 브래들리에 따르면, 연합군의 개입은 백군 장군들을 독립성이 거의 없는 "굴욕적인 위성"으로 취급하여 "품위 없는 꼭두각시"라는 평판을 안겨주었다.[69][70] 이로 인해 백군 운동은 신뢰를 잃었고, 볼셰비키는 더 독립적이고 애국적인 모습으로 비춰져 이전의 제국 군 지도자들이 볼셰비키에 합류하게 되었다.[69][70] 연합군의 개입은 볼셰비키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들은 이를 이용하여 백군을 공격하고 자신들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데 성공했다.[71]

6. 1. 연합군의 철수

연합군은 1920년에 철수했다. 일본군은 1922년까지 러시아 극동의 연해주에, 1925년까지 사할린 북부에 주둔했는데, 이는 베이징에서 체결된 소일 기본 조약에 따라 일본이 러시아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그 대가로 소련은 포츠머스 조약의 조항을 존중하기로 합의했다.[32][72]

협상국 사이에서는 소비에트 러시아에 대한 간섭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나 볼셰비즘에 대한 간접적인 지지가 이루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서유럽 국가에서는 경제 위기와 사회적 긴장이 일어나고 있었고, 미국에 대한 물질적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었으며, 러시아와의 경제 관계 회복이 필요했다. 1920년 1월 협상국 최고 군사 회의에서 영국과 이탈리아의 제안에 따라 러시아의 경제 봉쇄가 해제되어 국제적으로 러시아와의 무역이 재개되었다.

영국은 철병 후 바로 볼셰비키의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과 무역 교섭을 시작, 1921년 3월 16일에 영소 무역 협정을 체결하여 사실상 러시아의 볼셰비키 정권을 외교적으로 승인하고 양국 간 무역 거래를 시작했다. 1924년 2월 1일, 영국은 소비에트 연방을 정식으로 국가로 승인했고, 이를 시작으로 미국을 제외한 제1차 세계 대전 협상국 국가들과 국교를 맺게 되었다. 미국과 소련의 외교 관계 수립은 1933년 10월로, 러시아 혁명으로부터 16년 후였다.

볼셰비키는 협상국의 러시아 개입군을 반볼셰비키 백군에 대한 대중의 신용을 떨어뜨리는 프로파간다 재료로 이용했고, 아이러니하게도 연합군의 개입은 러시아에서 볼셰비키에 대한 지지를 굳건하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졌다.

6. 2. 역사학자들의 평가

존 브래들리는 연합군의 개입이 백군 장군들을 독립성이 거의 없는 "굴욕적인 위성"으로 취급하여 "품위 없는 꼭두각시"라는 평판을 안겨주었다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백군 운동은 신뢰를 잃었고, 볼셰비키는 더 독립적이고 애국적인 모습으로 비춰져 이전의 제국 군 지도자들이 볼셰비키에 합류하게 되었다.[69][70] 연합군의 개입은 볼셰비키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들은 이를 이용하여 백군을 공격하고 자신들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데 성공했다.[71]

1957년, 전 미국 공산당 당원이었던 프레데릭 L. 슈만은 이 원정이 "동서 관계를 영원히 악화시키고, 제2차 세계 대전의 기원과 이후의 '냉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오늘날까지 양측에 더 심각한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의심과 증오의 패턴을 고착시켰다"고 평가했다.[73] 소련 지도자들에게 이 작전은 서방 세력이 기회가 있다면 소련 정부를 파괴하려 한다는 증거였다.[74] 현대 역사가 로버트 매독스는 "개입의 직접적인 효과는 피비린내 나는 내전을 연장시켜 수천 명의 추가적인 생명을 앗아가고 이미 훼손된 사회에 엄청난 파괴를 초래했다"고 요약했다.[75]

역사가 존 M. 톰슨은 개입이 러시아에서 볼셰비키 혁명을 막는 데는 실패했지만, 중앙 유럽으로의 확산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혁명적 팽창주의 세력을 철저히 참여시킴으로써 전쟁으로 파괴된 동부 및 중앙 유럽 국가들이 볼셰비키 전염에 가장 취약했을 가능성이 있었지만 볼셰비즘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사회적, 경제적 균형을 회복할 수 있었다. 개입주의적 시도는 러시아와 다른 강대국 간의 미래 관계에 끔찍한 두려움과 의심의 유산을 남겼으며, 러시아 국민에게 획일적인 통일성과 무조건적인 복종을 강요하려 했던 볼셰비키 지도부의 손을 강화했다."라고 평가했다.[76]

6. 3. 유산

스탈린주의 선전은 연합군의 개입을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군사 침공으로 묘사하는 동시에, 1921년부터 1923년까지 수백만 명의 러시아인의 생명을 구한 미국의 기근 구호 노력을 부인하거나 축소했다.[77]

볼셰비키를 권력에서 몰아내기 위한 캠페인을 가장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윈스턴 처칠은 연합군이 소련을 초기에 무너뜨리지 못한 것을 오랫동안 한탄했다. 이는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방-소련 관계가 악화되고 냉전이 시작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1949년 처칠은 영국 의회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볼셰비즘을 탄생과 동시에 억압하는 것이 인류에게 말로 다 할 수 없는 축복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 하원 한쪽뿐만 아니라 문명 세계 전체에서 의심할 여지없이 인정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78]

1954년 6월 미국 내셔널 프레스 클럽, 워싱턴 D.C. 에서의 추가 연설에서 처칠은 다음과 같이 한탄했다.
"만약 1919년에 제대로 지원을 받았다면, 나는 볼셰비즘을 요람에서 억압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모두가 손을 들고 '얼마나 충격적인가!'라고 말했습니다."[79]

참조

[1] 웹사이트 Japan and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 Convention embodying basic rules of th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together with Protocols a and B, Declaration, Exchange of Notes, Annexed Note and Protocol of Signature. Peking, January 20, 1925 [1925] LNTSer 69; 34 LNTS 31 http://www.worldlii.[...]
[2] 간행물 Scientia Militaria: South African Journal of Military Studies, Vol 15, Nr 4, 1985 http://scientiamilit[...] 2016-01-24
[3]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Routledge 2006
[4] 문서 Czechoslovak Legion
[5] 문서 Malleson Mission – Casualties
[6] 서적 Russian Sideshow Brassey's Inc. 2003
[7] 문서 Greek army document https://dis.army.gr/[...]
[8] 서적 Soviet Warship Development: 1917–1937 Conway Maritime Press 1992
[9] 서적 The Greatest Stories Never Told https://archive.org/[...] A&E Television Networks / The History Channel 2003
[10] 서적 Intervention and the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1
[11] 서적 Strategy and Supply (RLE The First World War): The Anglo-Russian Alliance 1914-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24
[12] 서적 INSIDE THE ENIGMA: British Officials in Russia, 1900-39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997-07-01
[13]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1921, Volume Two The Macmillan Company 1935
[14] 문서 Интервенция Центральных держав в России
[15] 서적 Lenin: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16] 서적 The European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간행물 Plot and counter-plot in revolutionary Russia: Chronicling the Bruce Lockhart conspiracy, 1918. 1995
[18] 서적 Echoes of Empire: Memory, Identity and Colonial Legacies Bloomsbury Publishing 2014
[19] 문서 Q116739770
[20] 서적 When Hell Froze Over ibooks, inc. 2000
[21] 문서 Russian Sideshow
[22] 문서 The Way of the Heavenly Sword: The Japanese Army in the 1920s
[23] 서적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Routledge 2012
[24] 웹사이트 "Much Ado About Nothing: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http://econfaculty.g[...] 2001
[25] 서적 The Origins of the Russian Civil War Routledge 2013
[26] 서적 Churchill and W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7] 논문 British Journalism and the Campaign for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1918–20 2007-06-01
[28] 학술대회 На защите завоеваний революции и воссоздаваемой Молдав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ости (1917–1918 гг.) https://ibn.idsi.md/[...] 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e of Moldova
[29] 논문 Бессарабский вопрос в годы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в России https://riss.ru/imag[...] 2020-05-16
[30]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Greenwood Publishing
[31] 서적 Ülevaade Eesti vabadussõjast 1918–1920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Overview) Estonian Defence League
[32] 서적 A History of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3] 웹사이트 Il corpo di spedizione Italiano in Murmania 1918-1919 - Esercito Italiano https://www.esercito[...] 2023-04-14
[34] 간행물 A 'Pathetic Sideshow': Australians and the Russian Intervention, 1918–19 Australian War Memorial 1985-10
[35] 웹사이트 Forgotten Battlefields – Canadians in Siberia 1918–1919 http://www.journal.f[...]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2017-04-08
[36] 서적 China inside out: contemporary Chinese 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5
[37] 서적 America's Secret War Against Bolshevism: U.S.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1917–1920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38] 뉴스 Obituary: Brigadier Roy Smith-Hill The Times 1996-08-21
[39] 서적 Famous Regiments Series: The Royal Scots (The Royal Regiment) Leo Cooper 1976
[40] 문서
[41] 웹사이트 British Military Aviation in 1918 – Part 2 http://www.rafmuseum[...] Rafmuseum.org 1918-06-06
[42] 서적 RAF Operations 1918–1938 William Kimber
[43] 서적 Lühike vabadussõja ajalugu Olion 1992
[44] 웹사이트 Tales of Sub-Lieutenant Ilyin http://www.marxists.[...]
[45] 문서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Esto, Baltimore 1988
[46] 서적 Lühike vabadussõja ajalugu Olion 1992
[47] 웹사이트 Baltic and North Russia 1919 http://www.naval-his[...] 2014-12-04
[48] 웹사이트 Winkleigh Devon its Sons & Heroes – History of the Village part 5 – Medals of honour, the Victoria Cross, Captain Gordon Steele, Lieutenant Henry Hartnol- Photographs, stories http://jackiefreeman[...] 2014-12-04
[49] 웹사이트 Dreadnought Petropavlovsk http://web.ukonline.[...]
[50] 웹사이트 Andrei Pervozvanny (Andrei Pervozvanny Class) http://web.ukonline.[...] 2009-04-08
[5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civil wars, 1916–1926
[52] 간행물 The British navy in the Baltic, 1918–1920: Its contribution to the independence of the Baltic nations
[53] 서적 Civil War in South Russia, 1919–1920: The Defeat of the Whites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on War, Revolution, and Peace 1977
[54] 간행물 The allies in Russia, 1917–20: Intervention as seen by the whites 2003-06-01
[55] 웹사이트 The Campaign in the Ukraine http://www.sansimera[...]
[56] 서적 Istoria Basarabiei Humanitas 1991
[57] 문서 Armata română şi unirea Basarabiei şi Bucovinei cu România: 1917–1918
[58] 문서 Armata română şi unirea Basarabiei şi Bucovinei cu România: 1917–1918
[59] 문서 Artileria română în date și imagini (Romanian artillery in data and pictures)
[60] 문서 Soviet Warship Development: 1917–1937
[61] 웹사이트 Paper Heritage - 1919 Stamps of the Czech Army in Siberia : Article https://www.paperher[...]
[62] 서적 Russian Sideshow Brassey's
[63] 서적 The Way of the Heavenly Sword: The Japanese Army in the 1920s Stan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The Azerbaijani Turks: power and identity under Russian rule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1992
[65] 문서
[66] 서적 Dunsterforce. Marshall Cavendish Illustrated Encyclopedia of World War I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67] 문서 The British Intervention in Transcaspia 1918–1919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63
[68] 웹사이트 Operations in Trans-Caspia http://members.fortu[...] Behind the Lines
[69] 서적 The Harper Atlas of World History HarperCollins 1992
[70] 서적 Civil War in Russia, 1917–1920 B. T. Batsford 1975
[71] 논문 "Red Patriots against White Patriots: Contesting Patriotism in the Civil War in North Russia." 2019
[72] 간행물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73] 서적 Russia Since 1917: Four Decades of Soviet Politics Alfred A. Knopf 1957
[74] 서적 The Unknown War with Russia Presidio Press 1977
[75] 서적 Lies My Teacher Told Me: Everything Your American History Textbook Got Wrong https://books.google[...] The New Press 2008-04-08
[76] 서적 Allied and American Intervention in Russia, 1918–1921 https://archive.org/[...] New York 1962
[77] 웹사이트 Cold War Origins https://www.washingt[...] 2008-07-11
[78] 웹사이트 Bolshevism: "Foul baboonery...Strangle at Birth" https://winstonchurc[...] 2016-03-11
[79] 웹사이트 Bolshevism: "Foul baboonery...Strangle at Birth" https://winstonchurc[...] 2016-03-11
[80] 웹사이트 The March of the Japanese Army at Vladivostok City https://www.wdl.org/[...] 2022-10-29
[81] 웹사이트 Japan and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 Convention embodying basic rules of th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together with Protocols a and B, Declaration, Exchange of Notes, Annexed Note and Protocol of Signature. Peking, January 20, 1925 [1925] LNTSer 69; 34 LNTS 31 http://www.worldlii.[...] 2022-10-29
[82] 간행물 Scientia Militaria: South African Journal of Military Studies, Vol 15, Nr 4, 1985 http://scientiamilit[...] 2016-01-24
[83] 웹사이트 Britain and the Russian Civil War https://warwick.ac.u[...] University of Warwick 2022-10-29
[84] 웹사이트 Western intervention during the Russian Civil War https://historiana.e[...] Historiana 2022-10-29
[85] 서적 China inside out: contemporary Chinese 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5
[86] 문서 Czechoslovak Legion
[87] 서적 Russian Sideshow Brassey's Inc. 2003
[88] PDF EKSTR_MESHM_ROSIA_1919 https://dis.army.gr/[...] 2022-03
[89] 문서 環日本海地域と近現代史研究 : 「シベリア出兵」・「満州」研究を中心に ~ 1995
[90] 서적 The Greatest Stories Never Told https://archive.org/[...] A&E Television Networks / The History Channel
[91] 서적 When the United States Invaded Russia: Woodrow Wilson's Siberian Disaste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92] 서적 Intervention and the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1
[93] 문서 Strategy and Supply (RLE The First World War): The Anglo-Russian Allia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94] 문서 Inside the Enigma: British Officials in Russia, 1900–39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06
[95]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1921, Volume Two The Macmillan Company 1935
[96] 문서 Intervention of the Central Powers in Russia
[97] 서적 Lenin: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98] 서적 The European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99] 논문 Plot and counter‐plot in revolutionary Russia: Chronicling the Bruce Lockhart conspiracy, 1918. 1995
[100] 서적 Echoes of Empire: Memory, Identity and Colonial Legacies Bloomsbury Publishing 2014
[101] 문서 The Way of the Heavenly Sword: The Japanese Army in the 1920s
[102] 서적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Routledge 2012
[103] 웹사이트 "Much Ado About Nothing: Allied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http://econfaculty.g[...] 2001
[104] 서적 The Origins of the Russian Civil War Routledge 2013
[105] 서적 Churchill and W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06] 논문 British Journalism and the Campaign for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1918–20 2007-06-01
[107] 간행물 На защите завоеваний революции и воссоздаваемой Молдав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ости (1917–1918 гг.) https://ibn.idsi.md/[...] 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e of Moldova
[108] 논문 Бессарабский вопрос в годы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в России https://riss.ru/imag[...] 2020-05-16
[109]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Greenwood Publishing
[110] 문서 Russian Sideshow
[111] 서적 Ülevaade Eesti vabadussõjast 1918–1920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Overview) Estonian Defence League
[112] 문서 A History of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113] 웹사이트 http://www.esercito.[...]
[114] 논문 A 'Pathetic Sideshow': Australians and the Russian Intervention, 1918–19 Australian War Memorial 1985-10
[115] 웹사이트 Forgotten Battlefields – Canadians in Siberia 1918–1919 http://www.journal.f[...]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2017-04-08
[116] 서적 America's Secret War Against Bolshevism: U.S. Intervention in the Russian Civil War 1917–1920 https://books.google[...]
[117] 뉴스 Allied Troops at Archangel https://trove.nla.go[...] 2017-12-12
[118] 웹사이트 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24 February 1918 http://www.president[...]
[119] 문서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Esto, Baltimore
[120] 서적 Lühike vabadussõja ajalugu Olion
[121] 서적 Lühike vabadussõja ajalugu Olion
[122] 문서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Esto, Baltimore
[123] 서적 Lühike vabadussõja ajalugu Olion
[124] 웹사이트 Baltic and North Russia 1919 http://www.naval-his[...] 2014-12-04
[125] 웹사이트 Winkleigh Devon its Sons & Heroes – History of the Village part 5 – Medals of honour, the Victoria Cross, Captain Gordon Steele, Lieutenant Henry Hartnol- Photographs, stories http://jackiefreeman[...] 2014-12-04
[126] 웹사이트 Dreadnought Petropavlovsk http://web.ukonline.[...]
[127] 웹사이트 Pre-Dreadnought Andrei Pervozvanny https://web.archive.[...]
[128] 웹사이트 Baltic and North Russia 1919 http://www.naval-his[...] 2014-12-04
[12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civil wars, 1916–1926
[130] 논문 The British navy in the Baltic, 1918–1920: Its contribution to the independence of the Baltic nations
[131] 서적 Civil War in South Russia, 1919–1920: The Defeat of the Whites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on War, Revolution, and Peace 1977
[132] 논문 The allies in Russia, 1917–20: Intervention as seen by the whites 2003-06-01
[133] 웹사이트 The Campaign in the Ukraine http://www.sansimera[...]
[134] 문서 Armata română şi unirea Basarabiei şi Bucovinei cu România: 1917–1918
[135] 문서 Armata română şi unirea Basarabiei şi Bucovinei cu România: 1917–1918
[136] 문서 Artileria română în date și imagini (Romanian artillery in data and pictures)
[137] 서적 Istoria Basarabiei Humanitas publishing house
[138] 서적 Russian Sideshow Brassey's
[139] 문서 When Hell Froze Over ibooks, inc.
[140] 웹사이트 Paper Heritage – 1919 Railway-related issues of the Czech Army in Siberia http://www.paperheri[...]
[141] 웹사이트 シベリア出兵 https://heiwa.yomita[...] 読谷村バーチャル平和資料館 2022-09-21
[142] 서적 The Way of the Heavenly Sword: The Japanese Army in the 1920s Stanford University Press
[143] 서적 シベリア出兵―革命と干渉 1917~1922 筑摩書房
[144] 서적 『ソ連の歴史 増補版 ロシア革命からポスト・ソ連まで』 山川出版社
[145] 서적 『ソ連の歴史 増補版 ロシア革命からポスト・ソ連まで』 山川出版社
[146] 웹사이트 【世界の街から】住民虐殺、ざんげの旅 シベリア出兵のイワノフカ村 - 共同通信 | This Kiji https://web.archive.[...] 2019-01-27
[147] 문서 『日本外交文書 大正9年』
[148] 뉴스 辛亥革命之後哪一年中國版圖最大? http://www.chinarevi[...] 中国評論新聞網 2010-08-27
[149] 문서 『アムールのささやき』
[150] 문서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151] 문서 『シベリア出兵:革命と干渉1917–1922』
[152] 문서 『マンチジューリヤ』紙 1918-12-29
[153] 문서 『八杉貞利日記・ろしや路』
[154] 웹사이트 人道の港 敦賀ムゼウム ポーランド孤児 http://www.tmo-tsuru[...]
[155]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 2003-11-30
[156] 웹사이트 特別寄稿 「シベリア出兵」撤兵後の邦人大量拘禁事件の周辺 http://hakodate-russ[...] 函館日ロ交流史研究会 2022-10-25
[157] 문서 「太平洋戦争への道」第一巻
[158] 서적 The Azerbaijani Turks: power and identity under Russian rule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159] 문서 Kenez
[160] 서적 Dunsterforce. Marshall Cavendish Illustrated Encyclopedia of World War I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161]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Reaktion Books
[162] 서적 The British Intervention in Transcaspia 1918–1919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63] 웹사이트 Operations in Trans-Caspia http://members.fortu[...] 2009-09-23
[164] 뉴스 Vilhjalmur Stefansson, Ada Blackjack and the Canadian invasion of Russia https://canadiangeog[...] Canadian Geographic 2022-07-15
[165] 서적 Ada Blackjack: A True Story of Survival in the Arctic. Hyperion Books
[166] 문서 Text in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67] 서적 British and American Commercial Relations with Soviet Russia, 1918-1924 U of North Carolina Press
[168] 웹사이트 Recognition of the Soviet Union, 1933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Foreign Service Institu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2-10-28
[169] 서적 Russia Since 1917: Four Decades of Soviet Politics Alfred A. Knopf
[170] 서적 The Unknown War with Russia Presidio Press.
[171] 웹사이트 Lies My Teacher Told Me: Everything Your American History Textbook Got Wrong https://books.google[...] The New Press
[172] 문서 Allied and American Intervention in Russia, 1918–1921 https://archive.org/[...]
[173] 서적 The Harper Atlas of World History HarperCollins 1992
[174] 서적 Civil War in Russia, 1917–1920 B. T. Batsford 1975
[175] 웹인용 The March of the Japanese Army at Vladivostok City https://www.wdl.org/[...]
[176] 웹인용 Japan and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 Convention embodying basic rules of the Relations between Japan and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together with Protocols a and B, Declaration, Exchange of Notes, Annexed Note and Protocol of Signature. Peking, January 20, 1925 [1925] LNTSer 69; 34 LNTS 31 http://www.worldlii.[...]
[177]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500–2000 2nd Ed. 2002
[178] 간행물 General Annual Report of the British Army 1912–1919 Parliamentary Paper 1921
[179] 문서
[180] 서적 Intervention and the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