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는 1945년 10월에 창설되어 6.25 전쟁,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베트남 전쟁, 동티모르, 솔로몬 제도,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참전했다. 초기에는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공수부대로 전환되어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다. 현재는 기계화 보병 대대로 재편되었으며, 스코츠 근위대, 퀸스 로열 허사르, 제2대대, 로열 퍼시픽 아일랜드 연대 등과 동맹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오스트레일리아의 부대 및 편성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는 1948년 창설된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주력 보병 연대로,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 7개의 정규군 대대로 구성되어 특화된 임무를 수행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1951년 한국 전쟁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병사들의 이동 모습
1951년 한국 전쟁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병사들의 이동 모습
명칭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원어 명칭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별칭Old Faithful
표어Duty First (임무 우선)
군가Our Director (밴드)
Highland Laddie (백파이프와 드럼)
복무 기간1945년 10월 12일 – 현재
소속오스트레일리아 육군
병과기계화보병
규모알려진 바 없음
현재 지휘관LTCOL Dan Ellis
주둔지타운즈빌 래버랙
의전상 수장알려진 바 없음
의전상 수장 직함Colonel-in-Chief
부대 색상 패치
타탄https://web.archive.org/web/20080112045157/http://www.regiments.org/tradition/tartans/stuartro.htm
기념일알려진 바 없음
지휘 체계
소속 부대제3여단
참전
6.25 전쟁영유 전투
구진 전투
정주 전투
의정부 전투 (1951년)
킬러 작전
리퍼 작전
가평 전투
제1차 마량산 전투
말레이시아 비상사태알 수 없음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순게이 코엠바 전투
킨다우 전투
바방 전투
베트남 전쟁코버그 작전
코랄-발모랄 전투
롱칸 전투
동티모르 국제군알 수 없음
이라크 전쟁알 수 없음
애스튜트 작전알 수 없음
아프가니스탄 전쟁알 수 없음
훈장
훈장부대 용맹 표창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갈란트리 크로스 부대 표창 (남베트남)
주요 지휘관
주요 지휘관찰스 허큘리스 그린
프랜시스 해셋

2. 역사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3 RAR)는 1945년 10월 20일 모로타이섬에서 제34여단의 제67대대로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던 제3사단, 제6사단, 제7사단, 제11사단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되었으며,[59] 주된 임무는 전후 일본에 주둔한 영연방 점령군의 일원으로서 점령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었다.[60]

1946년 2월 제67대대는 일본에 도착했으며,[61] 1948년 11월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제3대대로, 1949년 3월에는 "왕립" 칭호를 받아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63] 6.25 전쟁 발발 당시에는 일본에 주둔한 유일한 오스트레일리아군 부대였다.[64]

6.25 전쟁 발발 직후, 제3대대는 유엔군에 대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요 육상 병력으로 1950년 9월 말 한국에 도착했다. 제27보병여단의 일원으로, 정주 전투가평 전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특히 가평 전투에서는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65] 마량산 전투는 6.25 전쟁 기간 중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가장 위대한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67] 제3대대는 1954년 11월까지 한국에 주둔하며 231명의 전사자를 냈다.[67]

1955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당시, 제3대대는 말레이시아 공산당과 말레이시아 민족해방군(MNLA)에 맞서 싸웠다.[68][11] 1957년 10월부터 2년간 파병되어 MNLA 캠프와 식량 저장고를 파괴하고, 14명의 MNLA 병사를 사살, 32명을 포로로 잡았다.[68][11]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기간 동안 제3대대는 클라렛 작전에 참여, 순게이 코엠바강, 킨다우, 바방 등에서 인도네시아 군과 교전했다.[69]

베트남 전쟁에서 제3대대는 두 차례 파병되었다. 1967년 12월부터 1968년까지 첫 번째 파병에서는 코버그 작전, 코럴-발모랄 전투 등에 참여했고,[15][16] 1971년 두 번째 파병에서는 롱칸 전투에서 활약했다.[22]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총 28명이 사망하고 120명이 부상을 입었다.[17]

1983년 12월 1일, 제3대대는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공수 임무를 맡게 되었으며,[24][25][26] 1985년에는 베레모와 낙하산 날개 배지를 사용하도록 허가받았다.

1999년부터 제3대대는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의 핵심 부대로 동티모르에 파병되어 2008년까지 치안 유지 및 질서 회복 임무를 수행했다.[36] [37] [11] [38] 솔로몬 제도에도 2005년부터 여러 차례 파병되어 현지 경찰을 지원했다.[36] [37] [11] [38]

이라크 전쟁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파병되어 ISIL과의 전투 훈련 지원, 경계 및 기동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2017년, 플랜 비어셰바에 따라 제3대대는 M113AS4 장갑차를 장비하는 기계화 보병 대대로 재편되었다.[52][53]

2. 1. 편성

1945년 10월 20일, 모로타이섬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제34여단의 제67대대로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던 제3사단, 제6사단, 제7사단, 제11사단 출신 지원병들로 구성되었다.[59] 주된 임무는 전후 일본에 주둔한 영연방 점령군의 일원으로서 점령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었다.[60]

1946년 2월, 제67대대는 제34여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도착했다.[61] 다른 점령군 부대와 마찬가지로, 이 대대는 저항이나 민간 폭동을 겪지 않았다.[62] 1948년 11월, 제67대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제3대대로 재지정되었다. 1949년 3월에는 "왕립" 칭호가 추가되었다.[63] 일본 주둔 오스트레일리아군의 규모는 점차 감소하여, 6.25 전쟁 발발 당시에는 제3대대만이 일본에 남아 있었다.[64]

2. 2. 6.25 전쟁

제임스 밴 플리트 미국 장군이 1952년 12월 제3대대에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한 후 대원들을 살피고 있다.


6.25 전쟁 발발 직후, 제3대대는 유엔군에 대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요 육상 병력 파병 임무를 받아 빠르게 한반도에 배치되었다. 일본에서 집중적인 훈련과 병력 보강을 거친 후, 1950년 9월 말 한국에 도착했다. 제3대대는 제27보병여단의 일원으로, 1950년부터 1951년까지 유엔군의 북진과 중공군의 개입으로 인한 남한으로의 후퇴 작전에 참여했다.[65]

1950년 10월, 유엔군이 압록강으로 북진하는 동안, 제3대대는 정주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찰스 허큘리스 그린 중령이 지휘하는 제3대대는 전차와 포병을 동원한 제병합동전술로 북한군의 대규모 방어선을 공격하여 점령했다. 그린 중령은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65] 1951년 4월 22일부터 25일까지 벌어진 가평 전투에서 제3대대는 뛰어난 전투력을 발휘하여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65]

1951년 7월, 이안 브루스 퍼거슨 중령이 떠나고 새로운 지휘관 프랭크 하셋 중령이 도착하기 전까지 아처 데니스 소령이 잠시 제3대대를 지휘했다.[66] 1951년 10월 3일부터 10월 8일까지 제3대대는 마량산 전투를 치렀는데, 이 전투는 6.25 전쟁 기간 중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가장 위대한 업적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67] 제3대대는 1954년 11월까지 한국에 주둔하며 총 231명의 전사자를 냈다.[67]

2. 3.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55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말레이시아 공산당과 그들의 무장 단체인 말레이시아 민족해방군(MNLA)이 이끄는 독립 지지 봉기를 진압하고 영국의 식민지 점령을 돕기 위해 제3대대를 말레이시아 지역으로 파병했다.[68][11] 그러나 제3대대가 전역에 도착한 것은 1957년 10월이었고, 그 후 FARELF 훈련 센터 코타 팅기(나중에 정글전 학교가 됨)에서 적응 기간을 가졌다.[68][11]

제3대대는 이후 쿠알라 캉사르(BHQ), 라사, 선게이, 시푸트, 페낭 및 린탕에 중대 본부 캠프를 설치하고,[68][11] 말라야 북부에서 MNLA에 맞선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68][11] 1957년 11월에 시작된 작전 결과, 많은 MNLA 캠프와 식량 저장고가 발견되어 파괴되었다.[68][11] 제3대대는 14명의 MNLA 병사를 사살하고 32명을 포로로 잡았다.[68][11]

말레이시아에 파견된 2년 동안 제3대대는 2명의 부상자와 4명의 비전투 사상자를 냈다.[68][11]

2. 4.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제3대대는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기간 동안 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에서 근무했으며, 클라렛 작전에 참여해 국경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69] 이 작전 동안 대대는 1965년 5월과 7월 사이에 순게이 코엠바강, 킨다우, 바방에서 인도네시아 군과 네 차례 교전을 벌였다.[69] 이 작전에서 제3대대는 3명이 사망했고, 5명이 부상을 입었다.[70]

2. 5. 베트남 전쟁

1968년 1월 남베트남 작전 중 3 RAR 병사


3 RAR은 남베트남에 두 차례 파병되었다. 1967년 12월 제1호주 작전부대의 일환으로 푸억투이 성에 주둔하면서 첫 번째 파병이 시작되었다.[14] 이 대대는 지뢰 제거, 박격포 및 로켓 공격, 정찰 작전 등 여러 작전에 참여했다. 1967년 12월부터 1968년 3월까지 왕립 뉴질랜드 보병 연대의 위스키 중대가 3 RAR에 배속되어 추가적인 소총 중대 역할을 수행했다. 1968년 2월 구정 공세 기간 동안 3 RAR은 인근 성도인 바리아를 정리하고 확보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후 2월과 3월에는 코버그 작전에 투입되었다.[15] 1968년 5월 26일부터 28일까지 코럴-발모랄 전투에서 3 RAR은 북베트남 베트남 인민군(PAVN) 연대 규모 부대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16] 1968년 4월부터 5월까지는 토안탕 1 작전에도 참여했다. 첫 번째 파병 기간 동안 대대는 24명이 사망하고 93명이 부상을 입었다.[17][18]

1970년 5월 8일, 남베트남에서 복무했던 3 RAR 병사들은 애들레이드에서 전쟁 반대 시위를 벌이던 1,000명의 시위대를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21명의 병사들이 징계 처분을 받았고, 그 중 5명은 경찰에 체포되어 민사 소송도 제기되었다.[19] 최소 16명의 병사가 벌금형 또는 단기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0] 애들레이드 치안 법원에서 재판을 받은 병사 중 최소 3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명은 처벌받지 않았고 1명은 소액의 벌금형을 받았다.[21]

1971년 2월 25일, 대대는 푸억투이 성으로 돌아와 두 번째 파병을 시작했다. 당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베트남화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과 호주군은 군사 작전을 베트남 공화국 군대에 넘겨주고 있었다. PAVN 군대는 이 기회를 틈타 이전 지역으로 재진입하려 했고, 여기에는 호주와 뉴질랜드의 작전 책임 지역인 푸억투이 성도 포함되었다. 두 번째 복무 기간 동안 대대는 여러 작전에 참여했으며, 특히 롱칸 전투에서 훈련된 PAVN 정규군을 상대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8개월의 복무를 마치고 1971년 말 호주로 귀환했다.[22] 이 기간 동안 3 RAR은 4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을 입었다.[17][23]

2. 6. 공수부대로의 전환

1983년 12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3 RAR)는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공수 임무를 맡게 되었다. 이전에는 6 RAR의 D 중대가 이 역할을 수행했다.[24][25][26] 1985년, 3 RAR은 전 세계 강하 부대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칙칙한 체리색 베레모를 착용하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1호주 공수 대대가 착용했던 것과 같은 낙하산 날개를 사용하도록 허가받았다.

3 RAR 강하병의 오른쪽 팔에 착용하는 낙하산 날개 배지


2005년, 3 RAR 병사들이 C-130 허큘리스 수송기에서 낙하산 강하 훈련을 하는 모습


1989년부터 3 RAR은 낙하산 대대 그룹의 주력 전투 부대로, 제1 야전 비행대대 공병, 제104통신 비행대 통신 분견대, 'A' 야전 포대, 제8/12 연대 포병 화력 지원, 제1 공수 외과 팀 의료 지원을 받았다.[24][11][27] 3개 소총 중대 중 하나는 3개월간 높은 준비 태세를 유지하는 낙하산 중대 그룹으로 지정되었고, 다른 중대가 교대로 이 역할을 맡았다.[24] 연대 정찰 소대는 패스파인더 임무를 맡아 자유 낙하 훈련을 받았으며, 특수 항공 연대 지원을 받아 고고도 낙하산 작전(HAPO)을 포함한 장거리 패스파인더 임무도 수행했다.[24]

제1 공수 외과 팀은 1989년 1월 포클랜드 전쟁 영국군을 모델로 창설되어 레벨 II 및 제한적 레벨 III 의료 지원을 제공했다.[28] 1995년에는 105mm L119 하멜 포가 'A' 야전 포대를 위해 처음으로 공중 투하되었다.[29][24][30]

2. 7. 동티모르

1999년, 호주 주도의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의 핵심 부대로 참여했다. 딜리 시내와 서부 국경 지역, 오에쿠시 등에서 치안 유지 임무를 수행했다. 2002년, 2006년, 2007년, 2008년에도 동티모르에 파병되어 유엔 임무를 지원하고 질서 회복에 기여했다.[36] [37] [11] [38]

2. 8. 솔로몬 제도

2005년 1월 24일, 3연대 3대대는 솔로몬 제도 지역 지원 임무(RAMSI)의 군사 구성 요소를 강화하기 위해 솔로몬 제도에 배치되었다. 약 100명 규모의 3대대 병력은 솔로몬 제도의 법치 확립과 질서 회복을 위해 현지 및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경찰을 지원했다.[36] 2005년 3월 사망한 클라크 일병을 기리기 위해 RAMSI 기지 내 병사 텐트 구역은 2007년 3월 "제이미 클라크 사병 텐트"로 명명되었다.[37]

2006년 3월, 폭력 사태가 재발하여 중대급 병력이 수도 호니아라에 배치되었고, 같은 해 5월 호주로 복귀했다.[11] 2021년 11월, 내전이 다시 발발하면서 대대 병력이 오스트레일리아 방위군 대응의 일환으로 배치되었다.[38]

2. 9. 이라크 전쟁

3 RAR의 파이프 밴드가 2017년 11월 바그다드 공연 중


제3대대는 2017년 오퍼레이션 오크라(Operation Okra)에 대비하여 경고를 받았으며, 이 작전에서 부대의 지휘부와 알파 중대가 제5차 태지 태스크 그룹의 일환으로 배치되었다. 이 순환 배치는 캠프 태지(Camp Taji)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라크 육군의 ISIL과의 전투 훈련을 지원했다.

2. 10. 아프가니스탄 전쟁

2017년, 제3대대 소속 브라보 중대는 아프가니스탄 카불 주에 파견되어 파견군 경호대 8진(Force Protection Element 8, FPE-8)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FPE-8은 아프가니스탄 카불 인근에 있는 호주 국방군 병력, 즉 아프가니스탄 국가 육군 장교 및 카불 주둔 사령부-자문팀의 훈련자와 멘토에 대한 경계 및 기동 지원을 제공했다. FPE-8 작전 이후, 제3대대는 찰리 중대를 FPE-9에 파견하여 브라보 중대의 임무를 교대했다.

2. 11. 기계화 보병으로 전환

2017년, 플랜 비어셰바의 병력 재편 계획에 따라 3 RAR은 M113AS4 장갑차를 장비하는 기계화 보병 대대로 재편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52][53] 2018년 2월, 3 RAR은 18개월에 걸쳐 진행될 전환을 시작했다.[54]

3. 구성 부대


  • 대대 본부
  • 3개 소총 중대 - '알파', '브라보', '찰리'
  • 지원 중대
  • 행정 중대
  • 취타대

2021년 제3대대에서 운용되는 M113AS4

4. 전투 및 극장 영예


  • '''6.25 전쟁''': 한국 1950-1953, 박천, 의정부, 추암리, 매화산, 가평, 고왕산, 마량산, 사리원, 영주, 정주[65][67]
  • '''말라야''': 말라야 1955-1963
  • '''말레이시아 (분쟁)''': 말레이시아 (분쟁) 1964-1966[69][70]
  • '''베트남 전쟁''': 베트남 1965-1972, 비엔호아, 산호-발모랄
  • '''동티모르''': 동티모르 1999-2003
  • '''이라크''': 이라크 2003-2011

5. 지휘관

다음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의 지휘관으로 복무한 장교들이다. 계급과 훈장은 해당 지휘관이 지휘를 맡았던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56][57]

시작일종료일지휘관
제67 오스트레일리아 보병 대대
1945년 10월1947년 3월중령 도널드 잭슨
1947년 3월1948년 8월중령 토마스 맥애디
1948년 8월 12일1948년 11월 22일중령 케네스 매케이
제3대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1948년 11월 23일1949년 8월 11일중령 케네스 매케이
1949년 8월 12일1950년 9월 11일중령 플로이드 월시
1950년 9월 12일1950년 10월 30일중령 찰스 그린
1950년 10월 31일1950년 11월 6일중령 플로이드 월시
1950년 11월 6일1951년 7월 5일중령 I. 브루스 퍼거슨
1951년 7월 6일1952년 7월 1일중령 프랭크 해싯
1952년 7월 2일1953년 3월 5일중령 로널드 휴즈
1953년 3월 9일1954년 2월 10일중령 아서 맥도널드
1954년 2월 11일1955년 2월 6일중령 시드니 버클러
1955년 2월 7일1955년 9월 9일중령 로버트 헤이
1955년 9월 10일1957년 3월 12일중령 존 와치
1957년 5월 13일1959년 11월 9일중령 존 화이트
1960년 3월 10일1963년 1월 15일대령 윌리엄 모로우
1963년 1월 16일1963년 4월 30일대령 올리버 데이비드 잭슨
1963년 5월 1일1966년 1월 14일중령 브루스 맥도널드
1966년 1월 15일1967년 2월 14일중령 제프리 리어리
1967년 2월 15일1969년 2월 17일중령 제프리 쉘턴
1969년 2월1972년 1월중령 프랜시스 피터 스콧
1972년 1월1973년 9월중령 테렌스 설리번
1973년 10월1976년 1월중령 피터 필립스
1976년 1월1978년 1월중령 브라이언 하워드
1978년 1월1979년 12월중령 마이클 바인들리
1980년 1월1980년 6월중령 폴 멘치
1980년 7월1982년 1월중령 스탠 크라스노프
1982년 1월1983년 12월 13일중령 제임스 코놀리
1983년 12월 14일1986년 1월 16일중령 케리 갤러거
1986년 1월 17일1987년 12월중령 피터 아비가일
1987년 12월1989년 12월중령 사이먼 윌리스
1989년 12월1991년 8월중령 고든 힐
1991년 8월1993년 12월중령 게리 본홀트
1993년 12월1995년 12월중령 로저 틸러
1995년 12월1997년 12월중령 로스 보이드
1997년 12월1999년 12월중령 니콜라스 웰치
1999년 12월2001년 12월중령 P. K. 싱
2001년 12월2003년 10월 29일중령 퀀틴 플라워스
2003년 10월 30일2005년 12월 1일중령 아담 핀들리
2005년 12월 2일2007년 12월 4일중령 믹 멈포드
2007년 12월 5일2009년 12월중령 웨이드 스토트하트
2009년 12월2013년 12월중령 트렌트 스콧
2013년 12월2015년 12월중령 개빈 키팅
2015년 12월2017년 12월중령 자일스 코넬리아
2017년 12월2019년 12월중령 마이클 컨스
2019년 12월2021년 12월중령 제라드 컨스
2022년 1월2022년 12월중령 크리스토퍼 존슨
2023년 1월2024년 12월중령 잭 웨스소프
2024년 12월현재중령 댄 엘리스


6. 동맹

3 RAR은 다음과 같은 동맹을 맺고 있다.[58]

국가부대
영국스코츠 근위대
영국퀸스 로열 허사르 (여왕 직속 및 왕립 아일랜드)
파푸아뉴기니제2대대, 로열 퍼시픽 아일랜드 연대


7. 제휴


  •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제2대대 (캐나다)
  • 3연대, 취타대는 매케이 구역 취타대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2022년 12월 10일 서명).[1]

참조

[1] 문헌
[2] 문헌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7] 문헌
[8] 문헌
[9] 웹사이트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2014-02-01
[10] 문서
[1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3rar.com/[...] 2014-02-01
[12] 문헌
[13] 웹사이트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2014-02-01
[14] 문헌
[15] 문헌
[16] 문헌
[17] 웹사이트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2014-02-01
[18] 웹사이트 Vietnam 1st Tour 1967–1968 http://www.3rar.com.[...] 3rd Battalion RAR South Australia Association 2020-02-03
[19] 문헌
[20] 뉴스 Moratorium ends peacefully http://nla.gov.au/nl[...] 1970-05-11
[21] 뉴스 Soldiers convicted http://nla.gov.au/nl[...] 1970-05-16
[22] 문헌
[23] 웹사이트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2nd Tour Vietnam 1971 http://www.3rar.com.[...] 3rd Battalion RAR South Australia Association 2020-02-03
[24] 간행물 Airborne Army Newspaper Unit 1995-09
[25] 문헌
[26] 문헌
[27] 문헌
[28] 간행물 Paras make house calls Army Newspaper Unit 1995-09
[29] 문헌
[30] 웹사이트 'A' Field Battery – Equipment http://www.army.gov.[...]
[31] 문헌
[32] 문헌
[33] 웹사이트 Theatre Honour https://www.minister[...] Minister of Defence 2020-11-05
[34] 문헌
[35] 뉴스 Mountain Manhunt http://www.defence.g[...] 2008-03-20
[36] 웹사이트 3RAR Deployment to RAMSI http://www.defence.g[...] Department of Defence 2005-01-23
[37]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Casualties http://nautilus.org/[...] Nautilus Institute 2013
[38] 웹사이트 ADF support to Solomon Islands https://news.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21-12-03
[39] 서적 Horner 2008, pp. 330–332.
[40] 웹사이트 Theatre Honour https://www.army.gov[...] Australian Army
[41] 웹사이트 Reconstruction Task Force soldiers farewelled from Sydney http://www.defence.g[...] Department of Defence 2008-03-20
[42] 웹사이트 Engineers Bridge Gaps on Afghanistan's Highway 1 http://www.defense.g[...] 2008-08-27
[43] 뉴스 3RAR hands Afghan mission to 7RAR http://www.news.com.[...] 2012-11-24
[44] 간행물 Army Battalion to Relocate to Adelaide http://www.minister.[...] 2005-12-15
[45] 뉴스 Troop boost http://www.defence.g[...] Department of Defence 2006-09-07
[46] 논문 ADF Joint Entry Operations: why conventional airborne forces are fundamental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0
[47] 뉴스 3RAR's quick drop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09-08-06
[48] 간행물 Army Airborne Insertion Capability http://news.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1-09-09
[49] 간행물 Airfield Seizure: Rangers Lead the Way https://www.commando[...] Statewide Publishing P/L 2016-04
[50] 뉴스 Warrior Code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1-07-07
[51] 간행물 3RAR Arrive in Townsville http://news.defence.[...] 2012-01-31
[52] 웹사이트 Force Structure https://www.army.gov[...] Australian Army 2017-06-15
[53] 뉴스 Combat brigades embrace changes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7-06-15
[54] 뉴스 Transition to the future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8-03-08
[55] 웹사이트 Defence Image Gallery https://images.defen[...] Department of Defence
[56] 서적 Horner 2008, pp. 440–41.
[57] 웹사이트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Commanding Officers http://www.3rar.com.[...] 3rd Battalion RAR South Australia Association
[58] 서적 Festberg 1972, p. 22.
[59] 서적 Horner 2008, pp. 5–6.
[60] 서적 Horner 2008, pp. 1–2
[61] 서적 Horner 2008, p. 17.
[62] 서적 Horner 2008, pp. 34–39.
[63] 서적 Horner 2008, p. 44.
[64] 서적 Horner 2008, pp. 47–50.
[65] 서적 Kuring 2004, pp. 224–237.
[66] 서적 Butler, Argent and Shelton 2002, p. 123.
[67] 웹인용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2014-02-01
[68] 웹인용 A Brief History of the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3rar.com/[...] 2014-02-01
[69] 서적 Coulthard-Clark 2001, pp. 274–277.
[70] 웹인용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201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