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RAR)는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정규 보병 연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점령 임무를 위해 창설되었다.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동티모르,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 다양한 분쟁에 참전하여 전투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현재 7개의 정규 보병 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대는 고유의 음악과 견장 색상을 사용한다. 또한, 캐나다,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영국 등 여러 국가의 부대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는 1945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점령군 활동, 한국 전쟁,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보르네오 분쟁, 베트남 전쟁 등 다양한 분쟁 참전, 공수 부대 전환, 그리고 동티모르, 솔로몬 제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 다양한 지역에 파병된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보병 대대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오스트레일리아의 부대 및 편성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제3대대는 1945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점령군 활동, 한국 전쟁,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보르네오 분쟁, 베트남 전쟁 등 다양한 분쟁 참전, 공수 부대 전환, 그리고 동티모르, 솔로몬 제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 다양한 지역에 파병된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의 보병 대대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부대 및 편성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양국 연합군을 지칭하는 약칭으로 시작되어 여러 전투에서 사용되었으며, 갈리폴리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양국 간 유대감과 공동의 기억을 상징하고, 현재는 양국 국방력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표권으로 보호받는다.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부대 이름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
원어 이름 | Royal Australian Regiment |
![]() | |
활동 기간 | 1948년 11월 23일 – 현재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소속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병과 | 보병 |
명령 체계 |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보병 군단 |
역할 | 기계화 보병 (3개 대대) 차량화 보병 (3개 대대) 상륙 보병 (1개 대대) |
규모 | 7개 대대 |
현재 지휘관 | 셰인 코히 소장 (대령 연대장) |
주둔지 | 1대대 - 타운즈빌 2대대 - 타운즈빌 3대대 - 타운즈빌 5대대 - 팔머스턴 6대대 - 이노게라 7대대 - 애들레이드 8/9대대 - 이노게라 |
의전 최고 지휘관 | 샘 모스틴 (오스트레일리아 총독) |
별칭 | 1대대 - "조랑말 병사들" 또는 "큰 파란색 1" 2대대 - "최고" 3대대 - "오랜 신뢰" 4대대 - "싸우는 네 번째" 5대대 - "호랑이 대대" 6대대 - "블루독" 7대대 - "돼지" 8대대 - "회색 여덟" 8/9대대 - "오랜 신뢰", "브리즈번의 것" |
표어 | 의무 우선 |
부대 색상 | 3대대와 6대대는 무공 훈장과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스트리머를 연대 군기에 착용할 권한이 있음. 1대대는 무공 훈장, 미국 공로 부대 표창 및 갤런트리 크로스 스트리머를 연대 군기에 착용할 권한이 있음. |
식별 부호 | [[파일:1RAR UCP.PNG|30px]] [[파일:2RAR UCP.PNG|30px]] [[파일:3RAR UCP.PNG|30px]] [[파일:5RAR UCP.PNG|30px]] [[파일:6RAR UCP.PNG|30px]] [[파일:7RAR UCP.PNG|30px]] [[파일:8-9RAR UCP.PNG|30px]] |
식별 부호 설명 | 부대 색상 패치 |
식별 부호 2 | 오스트레일리아 (2 및 7 RAR 파이퍼 킬트 및 플래드) 로열 스튜어트 (3 RAR 파이퍼 킬트 및 플래드) |
식별 부호 2 설명 | 타탄 |
식별 부호 4 | RAR |
식별 부호 4 설명 | 약어 |
행진곡 | 쾌속 - "엘 알라메인" (밴드); "흑곰" (파이프 및 드럼) 완속 - "보병 노래" |
마스코트 | 1대대 - 셰틀랜드 포니 "셉티무스" 3대대 - 없음 4대대 - 없음 5대대 - 수마트라 호랑이 "퀸투스 라마" 6대대 - 블루 힐러 병장 "리지리 블루" 8/9대대 - 메리노 숫양 존 "스탠 더 램" 맥아더 |
참전 | |
주요 참전 | 6.25 전쟁 영유 전투 구진 전투 정주 전투 의정부 전투 (1951년) 킬러 작전 가평 전투 제1차 마량산 전투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대치 순게이 코엠바 전투 킨다우 전투 바방 전투 베트남 전쟁 코버그 작전 코랄-발모랄 전투 롱칸 전투 동티모르 국제군 RAMSI 이라크 전쟁 애스튜트 작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
훈장 | |
주요 훈장 |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찰스 허큘리스 그린 이안 브루스 퍼거슨 프랭크 해셋 |
2. 역사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는 1948년에 창설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48년)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의 기원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할 부대 창설을 결정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결정에 있다. 이를 위해 제34 오스트레일리아 보병 여단은 1945년 10월, 당시 남서 태평양 지역에서 복무 중이던 제2 오스트레일리아 제국군(2nd AIF) 병력으로 창설되었으며, 여단을 구성한 3개 대대는 제65, 66, 67 오스트레일리아 보병 대대로 명명되었다. 제65대대는 제7사단과 제2/40대대의 지원병으로, 제66대대는 제9사단과 제1 오스트레일리아 군단 병력의 지원병으로, 제67대대는 제3사단, 제6사단, 제11사단 출신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모로타이 섬에 집결한 후 일본으로 이동하여 1946년 2월 영연방 점령군(BCOF)에 합류했다.
제34여단은 1947년 전후 정규군의 기반이 되었고, 1948년 두 개의 대대를 오스트레일리아로 철수하기로 결정되었을 때, 이 부대의 지위와 명칭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여단장인 로널드 호프킨스 준장은 1945년 10월 이후로 발전된 부대 명성과 연대 정신에도 불구하고, 정규군 부대가 가장 높은 번호를 가지고 있으면서 전투 명예나 깃발이 없고 민병대 부대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우려했다. 대대를 별도의 연대로 지정할지 여부를 고려했으나, 그 대신 하나의 큰 연대의 일부로 부대에 순차적으로 번호를 매기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1948년 11월 23일 제65, 66, 67대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대의 제1, 제2, 제3대대가 되었다. 왕실 칭호(Royal title)를 신청하여 1949년 3월 10일에 승인되었다. 이로써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Royal Australian Regiment)는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정규 보병 연대로 탄생했다. 창설 이후 연대의 대대들은 글로스터 컵이라는 연례 군사 기술 경연 대회에서 서로 경쟁해 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대의 창설은 전후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에 근본적으로 중요했으며, 정부가 지시하는 어떤 임무에도 평화와 전시 모두에 이용 가능한 최초의 "상설 전문 육군"의 핵심 구성 요소를 형성했다. 그 이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은 상당 부분 상비 간부를 둔 예비군이었다. 연대 창설에 있어 주요 영향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일본 점령과 최종 평화 협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확보하려는 열망이었다. 일부 지연 끝에 제65, 제66, 제67 대대가 1946년 2월 일본 히로시마 현에 도착했다. 이후 임무는 경비, 순찰 및 훈련 외에도 "일본인들에게 패배의 교훈을 강화하는 활동"을 포함했다. 1948년 12월 BCOF의 오스트레일리아 부대는 여단에서 부대원이 부족한 대대로 축소되었고, 제1대대와 제2대대는 오스트레일리아로 귀환했으며, 제3대대는 일본에 남았다.
오스트레일리아로 귀환한 후 제34여단은 제1여단이 되었다. 제1대대는 이후 잉글번에, 제2대대는 퍼커퍼녈에 주둔했다. 많은 병사들이 오스트레일리아로 귀환하면서 제대했고, 다른 병사들은 제3대대와 함께 일본에 남기로 선택했기 때문에 두 부대 모두 병력이 크게 부족했다. 연대의 전직 대원인 앨런 모리슨은 나중에 오스트레일리아로 돌아온 두 대대에 대해 "...연대가 존재했던 처음 18개월은 힘든 시기였다"고 회상했다. 많은 병사들이 좌절과 불만으로 제대했고, 대대는 의미 있는 훈련 활동을 수행할 만큼 강하지 않았으며, 병영은 낡은 상태였다. 그러나 이 경험에서 한국 전쟁에서 연대의 부사관이 되고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전쟁 초기에 뛰어난 준위와 상사가 된 헌신적인 병사들의 핵심이 나왔다.
2. 2. 초기 활동: 일본 및 호주 (1948-1950년)
1948년 11월 23일, 기존의 제65, 66, 67대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대의 제1, 제2, 제3대대로 개편되었다. 왕실 칭호는 1949년 3월 10일에 승인되어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eng)(RAR)가 공식적으로 탄생했다.이 시기 연대의 일부, 특히 일본에 잔류한 제3대대는 히로시마현에서 영연방 점령군(BCOF)의 일원으로 계속 주둔하며 경비, 순찰, 훈련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이러한 임무에는 '일본인들에게 패배의 교훈을 강화하는 활동'도 포함되었다. 1948년 12월, BCOF의 오스트레일리아 부대가 축소되면서 제1대대와 제2대대는 오스트레일리아로 귀환했고, 제3대대는 일본에 남게 되었다.
귀환 후 제1대대는 잉글번에, 제2대대는 퍼커퍼녈에 주둔했다. 그러나 많은 병사들이 귀국과 함께 제대하거나 일본 잔류를 선택하면서 두 대대 모두 심각한 병력 부족을 겪었다. 당시 연대 소속이었던 앨런 모리슨 장군은 이 시기를 '힘든 시기'였다고 회고하며, 병사들의 좌절감, 의미 있는 훈련 부족, 낡은 병영 시설 등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어려운 시기를 통해 헌신적인 병사들의 핵심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이들은 이후 한국 전쟁, 말레이시아, 베트남 전쟁 등에서 연대의 중요한 부사관 및 준위 자원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다.
2. 3. 한국 전쟁 (1950-1953년)
한국 전쟁은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Royal Australian Regiment, RAR)에게 첫 번째 주요 시험대였다.한국 전쟁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보병 대대 (1950–1956) | |
---|---|
제3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3 RAR) | 1950년 9월 – 1954년 9월 |
제1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1 RAR) | 1952년 4월 – 1953년 3월 1954년 4월 – 1956년 3월 |
제2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2 RAR) | 1953년 3월 – 1954년 4월 |
출처: |
일본에서의 준비를 마친 제3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3 RAR)는 1950년 9월 28일 부산에 도착하여 영국 연방 제27여단에 배속되었다. 북한 인민군(NKPA)의 남침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인천 상륙 작전으로 저지되었고, 이후 복잡한 기동전이 전개되었다. 3 RAR은 북한 인민군을 38선 너머로 추격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1950년 10월 21일, 3 RAR은 평양 북쪽 사과 과수원에서 벌어진 용유 전투에 참여했는데, 이는 연대 대대가 참여한 최초의 대규모 교전이었다. 3 RAR이 북한으로 가장 북쪽까지 진격한 곳은 중주 전투 이후 박천-중주 지역이었으며, 이곳 근처에서 대대장인 찰스 허큘리스 그린(Charles Hercules Green) 중령이 1950년 10월 30일 안타깝게 전사했다. 1950년 11월, 중국 인민지원군의 개입 이후, 3 RAR은 다른 연합군 미 제8군 부대들과 함께 남쪽으로 후퇴하며 박천 전투를 치렀다. 그러나 유엔군의 반격 작전 이후, 서울 북쪽 약 45km 지점에 방어선이 구축되었고, 바로 이곳에서 1951년 4월 3 RAR은 제2 대대, 캐나다 프린세스 패트리샤 경보병 연대 및 지원 유엔군과 함께 가평 전투에서 성공적인 방어 작전을 수행하며 중공군의 공세를 막아냈다. 이 전투는 연대의 한국 전쟁 참전 첫 해를 장식하는 중요한 전투였다.
1951년 6월, 3 RAR은 미 제1군단 지휘하에 임진강 지역으로 이동하여 전쟁의 남은 기간 동안 작전을 수행했다. 1951년 하반기에 연대가 참여한 주요 작전은 마량산 전투였다. 프랭크 해셋(Frank Hassett) 중령의 지휘 아래 3 RAR은 1951년 10월 5일 317고지를 공격했다. 콤만도 작전으로 알려진 이 전투에서 5일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인 317고지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 이후 전선은 고착화되어 참호, 벙커, 철조망으로 이루어진 고정 방어선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순찰과 크고 작은 충돌이 이어지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1952년 4월, 3 RAR에 1 RAR이 합류했고, 그들이 속한 영국 연방 제28여단의 지휘권이 오스트레일리아 장교에게 넘어갔다. 한편, 한국 파병이 두 개 대대로 확대됨에 따라 1952년 잉글번(Ingleburn)에 연대 병영이 설치되어 한국에서 복무할 보병들을 훈련하고 수용했다. 1953년 4월, 1 RAR은 부대 순환 시스템에 따라 2 RAR로 교체되었다. 이 교대 기간 동안 연대의 모든 대대가 함께 열병식을 거행하는 첫 번째 행사가 열렸다. 1 RAR은 한국에서 1년, 2 RAR은 휴전 협정 전 4개월을 복무했고, 3 RAR은 전쟁 내내 복무하며 "올드 페이스풀(Old Faithful, 충실한 노병)"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연대의 마지막 주요 작전은 1953년 7월 24일부터 26일까지 2 RAR이 수행한 삼천천 전투였으며, 한국 휴전 협정이 체결되기 몇 시간 전 중국의 여러 차례 대규모 공격을 격퇴했다.
휴전 이후 양측은 철수했고 비무장지대가 설치되었다. 그 후 시기는 평온했지만, 유엔군은 북한이 휴전을 위반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전투 준비 태세를 유지해야 했다. 1954년 4월, 2 RAR은 오스트레일리아로 귀환했고, 1956년 3월까지 한국에 남아 있던 1 RAR로 교체되었다. 3 RAR은 한국에서 4년간의 지속적인 복무와 그 이전 일본에서 5년간의 복무를 마치고 1954년 9월에 마침내 오스트레일리아로 귀환했다. 한국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의 총 사상자는 사망 293명, 부상 1,210명, 포로 23명이었고, 대부분이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의 보병이었다. 한국 전쟁은 연대에 귀중한 전투 경험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고 오스트레일리아 정규군의 출현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전쟁은 연대가 참전한 유일한 대규모 재래식 전쟁으로 남아 있다. 이 기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군은 주요 작전에서 동시에 두 개 대대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했다.
2. 4.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및 보르네오 (1955-1966년)
1955년~1966년 말레이시아 및 보르네오 주둔 오스트레일리아 보병대대 |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1955년~1961년 | |
제2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2 RAR) | 1955년 10월 ~ 1957년 10월 |
제3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3 RAR) | 1957년 9월 ~ 1959년 10월 |
제1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1 RAR) | 1959년 10월 ~ 1961년 10월 |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치, 1963년~1966년 | |
제3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3 RAR) | 말레이시아 본토, 1963년 8월 ~ 1965년 3월 보르네오, 1965년 3월 ~ 7월 말레이시아 본토, 1965년 7월 ~ 9월 |
제4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4 RAR) | 말레이시아 본토, 1965년 10월 ~ 1966년 4월 보르네오, 1966년 4월 ~ 8월 |
출처: Kuring 2004, pp. 258 & 310 |
1955년 4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말레이시아의 내부 및 외부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육군, 해군, 공군 부대를 극동 전략 예비대에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영국 연방군은 이미 1948년부터 공산 게릴라와 교전 중이었으나,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대대들은 말레이시아 비상사태에 비교적 늦게 참여하였다. 제2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2 RAR)가 제28 영국 연방 여단에 합류하기 위해 1955년 10월 말레이시아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전쟁이 7년 이상 지속된 상태였다. 이후 2 RAR은 1957년에 제3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3 RAR)로, 1959년에는 제1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1 RAR)로 교체되며 순환 배치되었다. 비상사태 기간 동안 이들 세 개 대대는 총 45차례의 교전에 참여했으며, 7명의 전사자가 발생하고 17명의 게릴라를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말레이시아에서의 작전 경험은 연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영국 육군이 성공적인 반란 진압 작전 과정에서 발전시킨 정글전 기술을 습득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이후 연대 고유의 교리 개발에 바탕이 되었으며, 말레이시아 비상사태는 연대의 전문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말레이시아 비상사태가 공식적으로 끝난 후에도 작전은 계속되었다. 1 RAR은 1960년 말 태국 국경 지역에서 대테러 작전을 수행했고, 1961년에는 2 RAR이 1 RAR을 교대하여 훈련 및 대테러 작전을 이어갔다. 2 RAR은 1962년 중반 3개월간, 그리고 1963년 5월과 6월에 다시 태국 국경 지역 작전에 투입되어 몇 차례 소규모 교전을 치렀다. 1963년 8월, 2 RAR은 3 RAR에게 임무를 인계하고 오스트레일리아로 복귀했으며, 3 RAR 역시 1964년 초 태국 국경에서 작전을 수행하였다.
1963년부터 1966년까지 인도네시아가 말레이시아에 대해 ''Konfrontasi''(대치) 정책을 펼치면서 새로운 긴장이 조성되었다. 당시 말레이시아 본토 말라카의 테렌닥 캠프에 주둔하던 3 RAR은 영국 및 뉴질랜드군과 함께 1964년 9월과 10월, 라비스와 폰티안 근처에서 인도네시아군이 시도한 소규모 공수 및 해상 상륙 작전을 저지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1965년 2월, 3 RAR은 3월부터 보르네오 섬 사라왁 지역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4개월간의 파병 기간 동안 3 RAR은 수많은 경계 순찰 임무를 수행했으며, 특히 작전 클라렛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 영토인 사라왁 레젠시 내부로 여러 차례 민감한 국경 초월 순찰 작전을 감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1965년 5월 말부터 7월 사이에 순게이 쿠엠바, 킨다우, 바방 등지에서 교전이 발생하였다. 사라왁 국경에서의 작전은 정글이나 기지에서 장기간 활동해야 했기 때문에 보병의 기술, 규율, 전문성을 시험하는 힘든 임무였다. 3 RAR이 수행한 30회의 클라렛 작전 중 12회는 정찰 순찰이었고, 나머지는 매복 또는 전투 순찰이었으며, 이 중 4차례는 인도네시아군과 직접적인 교전으로 이어졌다.
1965년 10월, 전년도에 재창설된 제4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4 RAR)가 테렌닥 캠프에서 3 RAR의 임무를 인수하였다. 4 RAR은 1966년 4월 보르네오로 전진 배치되어 9월까지 머물렀으며, 3 RAR과 마찬가지로 내부 안보 유지 및 국경 초월 순찰 임무를 수행하였다.
2. 5. 연대 확장 (1960년대)
1960년대 초는 동남아시아에서의 전략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군사적 개입이 증가하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1964년 후반 선발 징병제를 다시 도입하고 육군 병력을 상당히 증강했다. 이는 1950년대에 예비군(CMF) 병력을 보충했던 방식과는 달리, 2년 동안 정규군에서 의무 복무하는 새로운 제도였다.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지에서 요구되는 군 복무 기간이 늘어나면서, 정부는 연대의 규모를 기존 4개 대대에서 9개 대대로 확장하도록 지시했다. 연대 확장은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1965년 9월까지 7개 대대, 1966년 7월에는 8개 대대, 그리고 1967년 11월에는 최종적으로 9개 대대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새롭게 창설된 대대들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대 | 창설 연월 | 비고 |
---|---|---|
제4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 (4 RAR) | 1964년 2월 | |
제5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 (5 RAR) | 1965년 3월 | 제1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1 RAR)가 펜트로픽 편제(1,300명 규모)를 포기하고 열대 편제(800명 규모)로 전환하면서 창설 기반 마련 |
제6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 (6 RAR) | 1965년 6월 | 제2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2 RAR)에서 선발된 간부들을 중심으로 창설 |
제7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 (7 RAR) | 1965년 9월 | 제3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3 RAR)의 지원으로 창설 |
제8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 (8 RAR) | 1966년 8월 | |
제9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 (9 RAR) | 1967년 11월 |
2. 6. 베트남 전쟁 (1962-1972년)

연대 소속 개별 병사들은 1962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베트남 훈련단(AATTV)의 자문관으로 베트남 공화국(South Vietnam)에서 복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정부가 베트남 공화국에 대대 규모의 병력을 파견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것은 1965년 4월이었다. 이에 따라 1965년 6월부터 1972년 3월까지 연대 부대들은 총 16차례에 걸쳐 베트남 공화국에 순환 배치되었다. 초기 7개 대대는 각각 12개월씩 두 차례 파병되었고, 제8 및 제9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8, 9 RAR)는 각각 한 차례씩 복무했다.
신속한 훈련과 행정 절차를 마친 후, 제1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1 RAR)는 1965년 6월 사이공(Saigon) 북동쪽에 위치한 비엔호아 공군기지(Bien Hoa Air Base)에 도착하여 미국 제173공수여단 전투단에 합류했다. 초기 임무는 공군기지 방어였으나, 1 RAR은 점차 순찰 범위를 넓혀나갔다. 대표적인 예로 1966년 1월, 1 RAR은 크림 작전(Operation Crimp)의 일환으로 호보 숲(Ho Bo Woods)에 있는 대규모 베트콩(Vietcong, VC) 본부 단지를 공격했다. 이 작전은 미국 측으로부터 전쟁 초기 전략 정보 작전의 중요한 성공 사례로 평가받았다. 1 RAR은 미군에 배속되어 12개월간의 임무를 수행하며, 이후 베트남에서 활동할 오스트레일리아 대대 및 지원 부대의 표준이 될 새로운 전술과 기술을 개발했다.
1966년 3월,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였던 해롤드 홀트(Harold Holt)는 베트남 공화국에 대한 군사 지원 확대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1966년 5월, 새로 창설된 제5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5 RAR)와 제6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6 RAR)가 푸억투이주(Phuoc Tuy Province)에 도착하여 제1 오스트레일리아 임무 부대(1 ATF)의 일부로 누이닷(Nui Dat)에 기지를 구축했다. 두 달간의 지속적인 순찰 활동 후, 6 RAR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베트남 전쟁 참전 역사에서 중요한 전투로 기록된 롱탄 전투(Battle of Long Tan)에 참여하게 되었다. 1966년 8월 18일 벌어진 이 전투에서 6 RAR D 중대 소속 108명은 베트콩 275연대 및 D445 대대 (약 1,500~2,500명 규모로 추정되며, 최소 1개 베트남 인민군(PAVN) 대대가 증원되었을 가능성 있음)와 격렬한 교전을 벌였다. 2시간 30분 동안 이어진 전투에서 D 중대는 삼면으로 포위되었으나, 강력한 포병 지원에 힘입어 방어선을 유지했다. 이후 보병 및 장갑차(APC) 지원군이 도착하여 베트콩을 격퇴했다. 공식 역사가 이언 맥닐(Ian McNeill)은 이 전투를 "D 중대의 놀라운 승리"라고 평가했다.
베트남에 배치된 오스트레일리아 보병 대대, 1965–72 | |
---|---|
1 RAR | 1965년 5월 – 1966년 6월 1968년 4월 – 1969년 2월 |
2 RAR | 1967년 5월 – 1968년 6월 1970년 5월 – 1971년 5월 |
3 RAR | 1967년 12월 – 1968년 11월 1971년 2월 – 1971년 10월 |
4 RAR | 1968년 5월 – 1969년 5월 1971년 5월 – 1972년 3월 (D 중대는 1971년 12월 – 1972년 3월) |
5 RAR | 1966년 4월 – 1967년 3월 1969년 2월 – 1970년 2월 |
6 RAR | 1966년 5월 – 1967년 6월 1969년 5월 – 1970년 5월 |
7 RAR | 1967년 4월 – 1968년 4월 1970년 2월 – 1971년 2월 |
8 RAR | 1969년 11월 – 1970년 11월 |
9 RAR | 1968년 11월 – 1969년 11월 |
출처: Kuring 2004, p. 364 |
1967년에는 제2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2 RAR)와 제7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7 RAR)가 푸억투이주에서 임무를 이어받아 광범위한 순찰과 수색 작전을 지속했다. 같은 해 8월, 7 RAR은 수오이차우파 전투(Battle of Suoi Chau Pha)에서 베트콩 274연대 제3대대 병력과 교전했으며, 이 전투에서도 포병 지원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 ATF 전력 증강의 일환으로 1967년 12월에는 세 번째 보병 대대가 추가로 배치되었다.
1968년 테트 공세(Tet Offensive) 당시에는 1 RAR과 제3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3 RAR)가 전장에 있었다. 특히 1968년 5월과 6월, 1 RAR의 화력 지원 기지(FSB) 코랄(Coral)과 3 RAR의 FSB 발모랄(Balmoral)에서 벌어진 코랄-발모랄 전투(Battle of Coral–Balmoral)는 가평 전투 이후 오스트레일리아군이 경험한 가장 격렬한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1969년 6월에는 두 번째 파병 임무 중이던 5 RAR 보병 중대가 전차 및 장갑차 중대의 지원을 받아 빈바 전투(Battle of Binh Ba)에서 북베트남 정규군과 베트콩 부대로 구성된 대대 규모의 적군을 상대로 중요한 합동 작전(combined arms)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빈바 전투 이후 연대의 활동은 주로 지역 주민 보호를 위한 매복 및 순찰, 그리고 미군과 연합군을 대체할 베트남 공화국군 훈련에 중점을 둔 소위 "평정(Pacification)" 및 "베트남화(Vietnamization)" 정책 지원으로 특징지어졌다. 오스트레일리아군의 베트남 철수는 1970년 11월 8 RAR이 임무를 마치고 교대 병력 없이 귀환하면서 시작되었다. 철수 과정 중에도 오스트레일리아군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베트콩 부대와의 교전을 지속했는데, 예를 들어 1971년 8월과 9월에는 4 RAR/NZ(뉴질랜드군 통합) V 중대가 노스워드 작전(Operation North Ward)을 통해 차우둑(Chau Duc)과 바롱(Ba Long) 지역 게릴라 부대와 교전했다. 1971년 8월 18일, 윌리엄 맥마흔(William McMahon) 총리는 1 ATF가 10월부로 작전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연대의 마지막 전투 부대인 4 RAR D 중대는 1972년 2월 오스트레일리아로 복귀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는 325명의 전사자와 2,000명 이상의 부상자를 기록했다.
2. 7. 평시 복무 (1973-1998년)
싱가포르에 주둔하던 극동 전략 예비대 소속 대대가 철수하면서, 1973년 연대의 모든 부대가 처음으로 호주에 주둔하게 되었다. 이로써 연대는 전례 없는 평시 체제에 들어갔다. 징병제가 폐지되면서 육군 규모가 상당히 줄었고, 정부 지시에 따라 연대의 대대 수도 6개로 감축되었다. 이는 2대대와 4대대, 5대대와 7대대, 8대대와 9대대를 각각 통합하여 이루어졌다. 부대 규모와 자원도 줄어들었으며, 전략 개념 역시 기존의 전방 방어에서 호주 대륙 방위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1973년 9월부터 연대 대대들은 말레이시아의 라이플 컴퍼니 버터워스에 3개월 순환 근무로 중대를 파견하며 5개국 방위 협정에 따른 임무를 수행했다. 1974년 5월 23일에는 카누그라의 정글 훈련 센터에서 훈련 부대의 대항군 역할을 할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제10 독립 라이플 중대(10 IRC)가 창설되었다.1980년대에는 연대 내에 경보병, 공수부대, 기계화, 기동 부대로의 특수화가 이루어졌고, 신속 배치 부대가 편성되었다. 신속 배치 부대 개념은 1987년 피지 쿠데타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 작전이었던 모리스 댄스 작전에서 처음 시험되었다. 이후 5/7 RAR은 M113 장갑차를 갖춘 기계화 대대로, 3 RAR은 공수 대대로 재편되었다. 1988년 오스트레일리아 200주년 기념 행사 때는 1 RAR의 존 살터 중령이 지휘하는 연대 대표단이 호주 육군 군악대의 지원을 받아 영국으로 파견되었다. 이들은 20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버킹엄 궁전, 윈저 성, 세인트 제임스 궁전, 런던 탑에서 공개 근무를 섰는데, 이는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29] 1991년에는 브리즈번에 주둔하던 6 RAR과 8/9 RAR(당시 제6여단 소속)이 즉시 예비군 대대가 되었다. 개념 시험을 거쳐 6 RAR은 1992년 기동 대대로 재편되었고, 8/9 RAR은 1996년부터 개편에 들어갔다. 이들 대대에는 초기에 개조된 6x6 랜드로버 페렌티가 지급되었으며, 이후 특수 제작된 보병 기동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연대 소속 병사 개개인은 시나이, 발칸 반도, 서사하라, 부겐빌 등 다양한 지역에 파견되었지만, 연대가 대대 단위로 다시 작전에 투입된 것은 1993년이었다. 1992년 12월 15일, 호주 정부는 1 RAR이 미국 주도의 UN 승인 작전인 소말리아의 희망 회복 작전에 참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솔레이스 작전으로 명명된 이 파병에서 1 RAR은 바이도아를 중심으로 한 17000km2 면적의 인도주의적 구호 지역(Humanitarian Relief Sector, HRS)을 담당하며 17주간 임무를 수행했다. 4개월간 8311ton 이상의 구호품이 전달되었다. 1 RAR은 바이도아 비행장과 마을의 안전을 확보하고, 구호 지역 내 심층 순찰 및 구호 차량 호송 임무를 수행했다. 1 RAR은 소말리아 민병대의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지는 않았으나, 몇 차례 교전이 발생하여 양측 모두 사상자가 나왔다. 또한 파병 기간 중 호주군 병사 1명이 사고로 사망했다.
1993년 5월에는 2/4 RAR의 D중대 12소대에서 차출된 분견대가 캄보디아에 파병되어 캄보디아 유엔 과도 행정부(UNTAC)에 대한 호주군 지원 부대의 경계 임무를 맡았다. 이들은 캄보디아 북서부 바탐방 공항에서 육군 항공단(Army Aviation Group)을 지원하며 기지 방어, 순찰, 신속 대응 임무를 수행했다. 이곳에는 군 통신 부대(Force Communications Unit) 소속으로 통신 임무를 수행하던 5/7 RAR 지원 중대 병력도 함께 주둔했다. 이들의 캄보디아 배치는 1993년 11월에 종료되었다. 1994년에는 5번째 대대 창설이 승인되어 이듬해 2/4 RAR이 다시 분리되었고, 4 RAR이 독립 부대로 복귀했다.
1994년 8월부터 1995년 8월까지는 연대의 2개 중대(처음에는 2/4 RAR의 A중대, 이후 2 RAR의 B중대)가 르완다 유엔 지원단(UNAMIR) 소속 호주군으로 르완다에서 복무했다. 특히 1995년 4월 20일부터 23일까지, 2 RAR B중대 5소대 병력을 포함한 약 50명의 호주군 분견대는 키베호 학살을 목격했다. 이 사건은 르완다 애국군(RPA)이 키베호 난민 캠프에서 약 4,000명의 후투족 난민을 살해한 참사였다. 수적으로 압도적인 열세에 있었고 교전 규칙상 개입할 수 없었던 호주군 병사들은 학살을 막지 못하고 수동적인 역할에 머물러야 했지만, 총격 속에서도 부상당한 난민들을 구조하기 위해 노력했다. 한편, 1997년에는 즉시 예비군 제도가 폐지되면서 8/9 RAR이 해체되었다.
2. 8. 동티모르 (1999-2003년, 2006-2010년)
1999년 8월 30일, 24년간의 인도네시아 점령 이후 동티모르의 독립 찬성 투표 결과, 인도네시아 군 내 친통합 세력과 민병대의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대응하여 유엔의 승인을 받은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의 일원으로 2 RAR과 3 RAR이 1999년 9월 20일부터 동티모르에 파병되어 평화 회복과 인도네시아군 철수 감독 임무를 맡았다. 딜리가 안정화된 1999년 10월에는 5/7 RAR이 합류했다. 1999년 10월 10일 인도네시아 국경의 모타인에서 접전이 벌어지는 등의 소규모 충돌이 있었지만, 통제권은 빠르게 확보되었다.2000년 2월, INTERFET는 동티모르 유엔 과도행정부(UNTAET)에 임무를 이관했다. 이때 5/7 RAR은 한국 전쟁 이후 처음으로 유엔 지휘하에 복무하는 연대의 첫 대대가 되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 1 RAR, 2 RAR, 3 RAR, 4 RAR, 5/7 RAR, 6 RAR이 동티모르에 순환 배치되었으며(4 RAR을 제외한 모든 대대가 두 번 배치됨), 이 과정에서 연대는 풍부한 작전 경험을 축적했다. 이러한 작전 중 한 명의 병사가 사고로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
동티모르(현재 동티모르 민주공화국(Timor Leste)으로 알려짐)의 상황이 악화되자 2년 후, 이번에는 작전명 아스튜트(Operation Astute)에 따라 여단 부대가 다시 파병되어 안정화 및 안보 작전을 수행했다. 초기 위기에 대응하여 3 RAR이 4 RAR 특수부대와 특수항공서비스연대(SASR)와 함께 2006년 5월에 파병되었다. 6 RAR을 기반으로 한 호주와 뉴질랜드 합동 전투단(ANZAC 전투단)이 9월 초에 교체 배치되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1, 2, 3, 5, 8/9 RAR의 부대가 순환 배치되었다.[30] 8/9 RAR은 육군 예비 임무 그룹에 인계되었고, 단계적 감축을 거쳐 마지막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ADF) 부대는 2013년에 철수했다.[31] 동티모르 파병은 분쟁 지역의 안정과 평화 정착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여로 평가받는다.
2. 9. 솔로몬 제도 (2003년~)
2003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의 일부 병력이 솔로몬 제도에 정기적으로 파병되었다. 초기 대응은 제2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2 RAR)가 담당했다. 솔로몬 제도에서 작전 중 한 병사가 사망했다.[32] 이후 제2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는 임무를 제2 사단(2 Div) 부대에 인계했다.2. 10. 이라크 (2003-2008년)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는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주로 특수항공서비스연대(SASR)를 기반으로 한 특수부대 임무 그룹을 지원하기 위해 제4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4 RAR) 소속 특수부대원 약 40명을 파견하는 등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침공 이후 바그다드의 치안 상황이 악화되자, 오스트레일리아 대사관과 직원들을 보호하기 위한 합동군 경비부대(SECDET)가 배치되었으며, 연대 소속 10개 이상의 중대가 여러 차례 순환 배치되어 이 임무에 기여했다.2005년 2월, 당시 존 하워드 총리는 알 무타나 주에서 작전 중이던 네덜란드군을 일부 대체하기 위해 이라크 남부에 전투단을 파병하기로 결정했다. 초기에는 Al Muthanna Task Group(AMTG)로 알려졌으며, 첫 번째 전투단(AMTG 1)에는 연대 소속 소총 중대가 포함되었다. 이후 두 번째(AMTG 2)와 세 번째(AMTG 3) 순환 배치는 각각 제5/7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5/7 RAR)과 제2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2 RAR)이 주도했다.
2006년 7월 알 무타나 주의 통제권이 이라크 측으로 이양되면서, 2 RAR이 이끌던 AMTG 3은 Overwatch Battle Group (West)(OBG(W))로 개편되었다. 이후 제5왕립오스트레일리아연대(5 RAR)을 기반으로 한 다섯 번째 전투단(OBG(W) 5)이 파병되었고, 이 시기 OBG(W)는 영국 다국적 사단(남동부)의 일부로서 알 무타나 주와 디 카르 주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이 기간 동안 연대의 일부 부대들은 반군 진압 작전에 참여했으며, 2008년 중반에 철수했다. 이라크 파병 기간 중 연대원 1명이 사고로 사망했다.[32]
2. 11. 아프가니스탄 (2006-2013년)
2006년 9월 초, 제1 전투 공병 연대를 중심으로 한 재건 태스크포스(RTF)가 슬리퍼 작전의 일환으로 아프가니스탄 남부 우르즈간 주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이 부대에는 5/7 RAR, 6 RAR, 제2 기갑 연대의 보호 부대도 포함되었다. RTF는 네덜란드가 주도하는 주재건팀의 일부로서, 타린 코트 외곽의 리플리 전방 작전 기지에 주둔하며 우르즈간 주 합동부대(Task Force Uruzgan)의 일원으로 활동했다.2010년까지 호주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이 태스크포스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Royal Australian Regiment) 부대를 기반으로 한 대대 규모의 합동 무장 전투단으로 발전했다. 멘토링 태스크포스(MTF)로 명칭이 변경된 이 부대는 보병, 공병, 기갑, 포병, 물류 요소를 포함했으며, 미국 및 다른 연합군과 함께 다국적 여단인 합동 우르즈간 부대(Combined Team Uruzgan)의 일부로 대반란 작전을 수행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국군(ANA) 제205군단 제4여단과 협력하여 우르즈간 주 전역에서 작전을 펼쳤다.
특히 2010년 8월 24일, MTF-1에 배속된 6 RAR D중대 기반의 델타 전투단(Combat Team Delta) 소속 병사들은 데흐 라우우드(Deh Rahwod) 지역에서 벌어진 데라펫 전투(Battle of Derapet)에서 격렬한 교전을 치렀다. 이 전투에서의 공로로 다니엘 키그런(Daniel Keighran) 하사는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수여받았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 대원으로는 최초였다.[33]
이 태스크포스는 2013년 말, 아프간 군에게 우르즈간 주의 책임을 이양한 후 철수했다. 그러나 축소된 규모의 호주 훈련 및 자문 임무를 지원하기 위한 소규모 병력 보호 부대는 계속 남아있게 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작전 중 연대 소속 장병 12명이 사망했다.[34]
2. 12. 특수 작전
특수항공서비스연대(SASR)는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RAR)의 유산을 계승하고 있다. 1957년 제1 SAS 중대로 처음 창설된 이 부대는 1960년에 RAR의 독립 중대로 편입되어 육군의 특수 작전 능력을 제공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1964년 8월 20일, SASR은 독립된 연대로 승격하면서 RAR과의 공식적인 관계가 종료되었다.한편, 제4 RAR(코만도)는 1997년부터 코만도 대대로 재편성되기 시작했다. 2001년 동티모르에서 일반적인 경보병 대대로 활동한 이후, 특수 작전 능력 개발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 역할에서 대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가 이익을 지원하기 위해 공격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하고 자급자족적인 부대로 설계되었다. 완전한 작전 능력을 갖춘 후, 제4 RAR(코만도)의 일부 병력은 동티모르,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 해외에서 활동했으며, 국내에서는 전술 공격 그룹(동부)의 일원으로 대테러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2009년, 제4 RAR(코만도)는 제2 코만도 연대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RAR의 소속에서 제외되었다.
제4 RAR은 공식적으로 해체된 것은 아니며, 여전히 육군의 전투 서열에 남아 있다. 부대의 상징과 전통은 그대로 유지 및 보호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미래에 다시 편성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24]
2. 13. 21세기 개편
2005년,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은 "육군 강화 및 네트워킹(HNA)" 계획의 일환으로 재편성을 추진했다. 이 계획의 핵심은 제3왕립연대(3 RAR)가 공수 임무를 포기하고 시드니에서 애들레이드로 이동하여 육군의 두 번째 기계화 대대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2006년 8월, 정부는 "강화된 지상군" 계획을 발표하며 연대를 기존 5개 대대에서 7개 대대로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수정된 HNA 계획과 함께 시행되었다.이에 따라 제5/7왕립연대(5/7 RAR)는 2006년 12월 3일 해체식을 갖고 제5왕립연대(5 RAR)와 제7왕립연대(7 RAR)로 분리되어 재편성되었다.[28] 5 RAR는 이라크 작전에 참여 중인 중대를 포함하여 비교적 완전한 상태로 재편되었고, 7 RAR는 아프가니스탄 작전에 참여 중인 중대를 기반으로 재편성되었다. 두 대대 모두 기계화 임무를 유지했다.[28] 한편, 제8/9왕립연대(8/9 RAR)는 강화된 지상군 계획의 마지막 단계로 2007년 10월 31일 에노게라에서 부시마스터 PMV를 장비한 기동 대대로 재편성되었고,[37] 이후 동티모르와 아프가니스탄 작전에 투입되었다.[19]
연대는 2008년 11월 23일 빅토리아 병영에서 3 RAR가 제공한 근위병과 연대 군기를 동원한 열병식을 통해 창설 60주년을 기념했다.[28] 7 RAR는 2009년 작전 준비 태세를 갖추고 2011년 애들레이드로 이전했다.[35] 새로운 계획에 따라 3 RAR는 공수 임무를 포기하고 경보병 대대로 전환되어 2012년 타운스빌로 이전했다.[36]
2009년부터는 "적응형 육군"이라는 이름 아래 육군의 균형을 재조정하고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개혁이 추진되었다. 2011년에 발표되고 2013년 국방 백서에서 확정된 플랜 베르셰바에 따라, 3개의 정규군 여단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유사한 구조와 능력을 갖춘 3개의 전투 여단으로 재구성될 예정이었다. 각 전투 여단은 여단 사령부, 기갑 기병 연대, 2개의 경보병 대대, 포병 연대, 전투 공병 연대, 전투 지원 대대, 전투 통신 연대로 구성되도록 계획되었다.[38]
이 계획 하에 기갑 기병 연대가 창설되면서, 5 RAR와 7 RAR는 M113 장갑 병력수송차를 반납하고 경보병 부대로 전환되었다.[39] 기동 대대 역시 각 전투 지원 대대에 창설된 수송 중대를 통해 부시마스터 PMV로 보호 기동성을 제공받으며 경보병으로 재편성되었다. 제2왕립연대(2 RAR)는 상륙전 전문 부대로 지정되었다.[40]
2017년, 베르셰바 계획의 "인력 조정"으로 알려진 추가적인 변경안이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PMV와 M113이 다시 보병 대대로 배치되어, 각 여단이 PMV를 장비한 기동 보병 대대와 M113을 장비한 기계화 보병 대대를 하나씩 포함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제1여단에서는 5 RAR가 PMV를, 7 RAR가 M113을 장비하게 되었고, 제3여단에서는 제1왕립연대(1 RAR)가 PMV를, 3 RAR가 M113을, 제7여단에서는 8/9 RAR가 PMV를, 제6왕립연대(6 RAR)가 M113을 장비하게 되었다. 2 RAR는 기존의 상륙 작전 전문 임무를 계속 수행하게 되었다.
2023년, 새로운 국방 검토 결과에 따라 육군 전투 부대 구조가 다시 개편되었다. 이 개편으로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는 1개 대대가 감축되었으며, 제5대대와 제7대대가 다시 통합되어 다윈에 주둔하는 제1여단 소속의 단일 제5/7왕립연대(5/7 RAR)를 형성하게 되었다.[41]
3. 부대 구성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RAR)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보병대의 일부이며,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예비군의 6개 주 기반 보병 연대와 함께 편성되어 있다. 이는 상위 순서에서 대대 중 가장 선임 연대이며,[12] 현재 7개의 정규군 보병 대대가 있다.[13] 이 연대의 대대들은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이 배치할 수 있는 10개의 정규 전투단 중 7개를 제공할 수 있다.
3. 1. 현재 대대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RAR)는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보병대의 일부이며,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예비군의 6개 주 기반 보병 연대와 함께 편성되어 있다. 이는 상위 순서에서 대대 중 가장 선임 연대이며,[12] 현재 7개의 정규군 보병 대대가 있다.[13]대대 명칭 | 병과 |
---|---|
제1대대 (1 RAR) | 공수보병[14] |
제2대대 (2 RAR) | 상륙전/경보병[15] |
제3대대 (3 RAR) | 기계화보병[16] |
제5/7대대 (5/7 RAR) | 2024년 재편성된 기동보병[17] |
제6대대 (6 RAR) | 기계화보병[18] |
제8/9대대 (8/9 RAR) | 기동보병[19] |
이 연대의 대대들은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이 배치할 수 있는 10개의 정규 전투단 중 7개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투 서열에 따르면, 5 및 7 RAR은 다윈과 애들레이드에 주둔한 제1여단에 소속되어 있으며,[20] 1 및 3 RAR은 타운스빌에 있는 제3여단에,[21] 6 및 8/9 RAR은 브리즈번에 있는 제7여단에 소속되어 있다.[22] 타운스빌에 있는 2 RAR은 제1사단 사령부에 직접 보고한다.[23]
3. 2. 과거 대대
wikitext
4. 전투 및 훈장
4. 1. 전투 훈장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동티모르 그리고 이라크 전쟁에서의 활약으로 전투 및 전투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한국 전쟁''': 사리원, 용주, 중주, 박천, 의정부, 추암니, 매화산, 가평, 고왕산, 마량산, 삼척강, 한국 (1950~1953)
- '''베트남 전쟁''': 롱탄, 비엔호아, 코럴-발모럴, 햇딕, 빈바, 베트남 (1965~1972)
- '''동티모르''': 동티모르 (1999~2003)[42]
- '''이라크''': 이라크 (2003~2011)[43]
대대 | 표창 | 깃발 | 비고 |
---|---|---|---|
제1대대 | 무공 표창 | 코럴-발모럴 전투에 참전한 부대.[44] | |
근공 표창 | 2023년 11월 20일, 소말리아에서 작전 솔리스(Operation SOLACE)의 통합 임무부대의 일원으로 전투 작전에서 지속적인 뛰어난 공로를 인정받아 1992년 12월부터 1993년 5월까지의 기간에 수여됨.[45] | ||
근공 칭찬 | (미국) 베트남에서의 공로.[46][47] |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2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제3대대 | 무공 표창 | -- | 코럴-발모럴 전투에 참전한 부대.[44] |
대통령 부대 표창 | (대한민국) 한국 전쟁 중 가평 전투 이후. | ||
대통령 부대 표창 | (미국) 한국 전쟁 중 가평 전투 이후. [49] |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4대대 | 무공 표창 | -- | 2007년 10월 6일 아프가니스탄 작전.[50]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5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제6대대 | 무공 표창 | -- | 2011년 8월 18일 D 중대 롱탄 전투에서의 활약. |
대통령 부대 표창 | -- | (미국) 베트남 롱탄 전투에서의 활약.[51] |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7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제8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4. 2. 부대 표창
대대 | 표창 | 깃발 | 비고 |
---|---|---|---|
제1대대 | 무공 표창 | 코럴-발모럴 전투에 참전한 부대.[44] | |
근공 표창 | 2023년 11월 20일, 소말리아에서 작전 솔리스(Operation SOLACE)의 통합 임무부대의 일원으로 전투 작전에서 지속적인 뛰어난 공로를 인정받아 1992년 12월부터 1993년 5월까지의 기간에 수여됨.[45] | ||
근공 칭찬 | (미국) 베트남 전쟁에서의 공로.[46][47] |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2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제3대대 | 무공 표창 | -- | 코럴-발모럴 전투에 참전한 부대.[44]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 (대한민국) 한국 전쟁 중 가평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여됨. | ||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 (미국) 한국 전쟁 중 가평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수여됨.[49] |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4대대 | 무공 표창 | -- | 2007년 10월 6일 아프가니스탄 작전에서의 공로.[50]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5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제6대대 | 무공 표창 | -- | 2011년 8월 18일 D 중대의 롱탄 전투에서의 활약. |
미국 대통령 부대 표창 | -- | (미국) 베트남 롱탄 전투에서의 활약.[51] |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
제7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제8대대 | 용감 십자 훈장 부대 표창 | -- | (남베트남)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의 공로.[48] |
5. 연대 음악 및 복장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와 각 예하 대대는 고유한 행진곡과 왼쪽 어깨에 착용하는 서로 다른 색상의 견장으로 구별된다. 각 대대의 구체적인 행진곡과 견장 색상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5. 1. 연대 음악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는 다양한 연대 음악을 보유하고 있다. 연대의 빠른 행진곡과 느린 행진곡 외에도 각 대대는 자체 행진곡 세트를 가지고 있다.-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 빠른 행진곡: ''엘 알라메인'' (밴드)
- 느린 행진곡: ''보병의 노래''
- 대대별 행진곡
대대 | 행진곡 |
---|---|
제1대대 | 왈칭 매틸다 |
제2대대 | 링고 (밴드); 백 인 블랙 (파이프 앤 드럼) |
제3대대 | 우리의 감독 (밴드); 하일랜 라디 (파이프 앤 드럼) |
제4대대 | 인버브래키 |
제5대대 | 도미니크 |
제6대대 | 젊음의 정신 (밴드); 십자군 (파이프 앤 드럼) |
제7대대 | 오스트랄라즈 (밴드); 콕 오브 더 노스 (파이프 앤 드럼) |
제8/9대대 | 검은 곰 (파이프 앤 드럼) |
5. 2. 견장
연대의 각 대대는 왼쪽 어깨에 착용하는 서로 다른 색상의 견장으로 구분된다.대대 | 견장 색상 |
---|---|
제1대대 | 가터 블루 |
제2대대 | 검정 |
제3대대 | 소총 녹색 |
제4대대 | 주홍색 |
제5대대 | 금색 |
제6대대 | 카키색 |
제7대대 | 적갈색 |
제8/9대대 | 슬레이트 그레이와 비치 브라운(엮음) |
6. 자매 결연 부대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연대는 다음 연대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46]
- 캐나다: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Princess Patricia's Canadian Light Infantryeng)
- 뉴질랜드: 제1대대, 뉴질랜드 왕립 보병 연대 (Royal New Zealand Infantry Regimenteng)
- 말레이시아: 말레이 왕립 연대 (Royal Malay Regimenteng)
- 영국: 구르카 여단 (Brigade of Gurkhaseng)
- 영국: 그레나디어 가드 (1 RAR)
- 영국: 콜드스트림 가드 (2 RAR)
- 영국: 스코츠 가드 (3 RAR)
- 영국: 퀸스 로열 후사르 (퀸스 오운 앤 로열 아일랜드) (3 RAR) (The Queen's Royal Hussars (Queen's Own and Royal Irish)eng)
- 영국: 아일랜드 가드 (4 RAR)
- 영국: 웨일스 가드 (5 RAR)
- 영국: 하일랜더스 (7 RAR) (The Highlanders (Seaforth, Gordons and Camerons)eng)
- 영국: 낙하산 연대 (8/9 RAR)
참조
[1]
웹사이트
1 RAR: "The Pony Soldiers"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2]
웹사이트
2 RAR: The Boys in Black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3]
웹사이트
Traditions and Accoutrements
http://www.4rarassoc[...]
4 RAR Association
2014-10-02
[4]
웹사이트
5 RAR: The Tigers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5]
웹사이트
7 RAR: "Pork's People" or "The Pigs"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6]
웹사이트
8 RAR: The "Grey Eight"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7]
웹사이트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RAR)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8]
웹사이트
3 RAR: "Old Faithful"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9]
웹사이트
Quintus Ram, Mascot of the 5th Battalion RAR
http://www.5rar.asn.[...]
5th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Association
2014-10-02
[10]
웹사이트
Battalion History
https://web.archive.[...]
6 RAR Association
2014-10-02
[11]
웹사이트
8/9th Battalion RAR: History
http://www.diggerhis[...]
Digger History
2014-10-02
[12]
웹사이트
The Royal Australian Infantry Corps
http://www.army.gov.[...]
Australian Army
2014-09-30
[13]
웹사이트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 A Brief History
https://web.archive.[...]
Royal Australian Regiment Foundation
2014-10-03
[14]
웹사이트
1st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15]
웹사이트
2nd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16]
웹사이트
3rd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17]
웹사이트
Today the 5th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and 7th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formally relinked in a parade at Robertson Barracks.
https://www.facebook[...]
1st Brigade - Australian Army
2024-12-03
[18]
웹사이트
6th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19]
웹사이트
8th/9th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20]
웹사이트
1st Brigade
https://webarchive.n[...]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21]
웹사이트
3rd Brigade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22]
웹사이트
7th Brigade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23]
뉴스
Amphibious Display
http://armynews.real[...]
Department of Defence
[24]
보도자료
New Name for Sydney Commandos
http://www.defence.g[...]
Department of Defence
2009-06-19
[25]
웹사이트
Today the 5th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and 7th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formally relinked in a parade at Robertson Barracks.
https://www.facebook[...]
1st Brigade - Australian Army
2024-12-03
[26]
웹사이트
Today the 5th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and 7th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formally relinked in a parade at Robertson Barracks.
https://www.facebook[...]
1st Brigade - Australian Army
2024-12-03
[27]
웹사이트
10IRC and 311 Raider Battalion
http://www.4rarassoc[...]
4 RAR Association
2014-03-10
[28]
웹사이트
Regimental History
https://web.archive.[...]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Association
2014-08-26
[29]
웹사이트
What Commonwealth Units Have Mounted the Guard in London?
http://www.regiments[...]
Regiments.org
2014-03-09
[30]
웹사이트
ANZAC Battle Group
http://nautilus.org/[...]
Nautilus Institute
2009-08-24
[31]
웹사이트
Mission complete for ANZAC Diggers
http://news.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3-01-03
[32]
웹사이트
Roll of Honour
https://web.archive.[...]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Association
2014-02-26
[33]
뉴스
Victoria Cross citation for Corporal Daniel Keighran
https://web.archive.[...]
2012-11-01
[34]
웹사이트
Battle casualties in Afghanistan
http://www.defence.g[...]
Department of Defence
2014-05-27
[35]
웹사이트
7th Battalion,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army.gov.[...]
Department of Defence
2014-03-09
[36]
보도자료
3RAR Arrive in Townsville
http://news.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2-01-31
[37]
웹사이트
PM Transcript: A Stronger Army for Australia
http://pmtranscripts[...]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38]
웹사이트
Multi-role Combat Brigades
http://www.army.gov.[...]
Australian Army
[39]
뉴스
5 RAR Farewells APC
http://www.5rar.asn.[...]
2013-08-01
[40]
웹사이트
Plan Beersheba
http://www.army.gov.[...]
Australian Army
[41]
웹사이트
Major changes to Army announced
https://www.defence.[...]
Australian Government
2023-09-28
[42]
웹사이트
East Timor Theatre Honour for Army on its 119th birthday
https://www.minister[...]
Minister of Defence
[43]
웹사이트
Army's Birthday and New Banner Presentation
https://www.army.gov[...]
Australian Army
[44]
보도자료
Gallantry award for service during the Battles of Coral and Balmoral
https://www.minister[...]
Department of Defence
2018-05-13
[45]
웹사이트
MUC – HMAS Brisbane
https://www.gg.gov.a[...]
Governor General of Australia
2023-11-20
[46]
웹사이트
The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regiments.org[...]
Regiments.org
[47]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Army Meritorious Unit Commendation to the 1st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173 Airborne Brigade, Vietnam
http://www.vvaa.org.[...]
Vietnam Veterans Association of Australia
[48]
웹사이트
Australian Army Units Eligible for the Vietnam Cross of Gallantry with Palm Unit Citation
https://www.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49]
웹사이트
United States citation: 3rd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transcript)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50]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the Unit Citation for Gallantry to 4RAR (Commando)
http://www.gg.gov.au[...]
Governor-General of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7-10-26
[51]
웹사이트
United States Presidential Unit Citation (Army): D Company, Sixth Battalion, Royal Australian Regiment
http://www.vvaa.org.[...]
Vietnam Veterans Assoc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