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가키 군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가키 군축은 1925년 우가키 가즈시게 육군대신 주도로 단행된 일본 육군의 군비 축소 정책이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세계적인 군축 분위기와 간토 대지진 복구 비용 마련의 필요성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4개 사단 폐지, 부대 신설, 병력 감축 등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일본 육군은 전차 연대, 군사 학교 등을 신설하며 근대화를 시도했으나, 사단 폐지로 인한 지역 사회의 반발, 군부 내 사기 저하, 장교 부족, 파벌 대립 심화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발생했다. 우가키 군축은 일본 육군의 체질 개선을 시도했지만, 내부 갈등을 심화시키고 우가키 가즈시게의 총리대신 취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군사 계획 - 미쓰야 연구
미쓰야 연구는 1960년대 일본 자위대가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하여 미군과의 공동 작전, 핵무기 사용 가능성 등을 연구한 일본 방위 계획이다. - 다이쇼 시대의 정치 - 입헌정우회
입헌정우회는 1900년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게이엔 시대를 거치며 원내 제1당 지위를 유지하고 하라 다카시 시대에는 정당 내각을 구성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분열과 군부 영향력 확대로 1940년 해산되었다. - 다이쇼 시대의 정치 - 입헌국민당
입헌국민당은 1910년 헌정본당 등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헌정주의와 책임내각제 수립을 주장하며 이누카이 쓰요시가 주도했지만, 다이쇼 정변 이후 쇠퇴하여 1922년 해산되었다.
우가키 군축 | |
---|---|
우가키 군축 | |
![]() | |
개요 | |
시기 | 1925년 |
주체 | 우가키 군정 |
배경 |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체결 가토 도모사부로 사후 해군 예산 삭감 |
목표 | 군비 절감 군사력 유지 및 효율화 |
내용 | 육군 병력 감축 신무기 개발 및 연구 투자 확대 황도파 숙청 |
결과 | 군부 내 반발 심화 만주사변 등 대륙 침략 야욕 증대 |
상세 내용 | |
육군 감축 | 4개 사단 감축 (약 4만 명) 예산 절감 |
군사 현대화 | 전차, 항공기 등 신무기 도입 군사 기술 연구 개발 투자 확대 |
군 내부 정비 | 황도파 등 정치적 군벌 숙청 군 기강 확립 노력 |
평가 | |
긍정적 평가 | 군비 절감 및 재정 건전성 확보 군사력 현대화 기반 마련 |
부정적 평가 | 군부의 불만과 반발 심화 대륙 침략 야욕 증대 및 만주사변 발생 |
관련 항목 | |
관련 인물 | 우가키 가즈시게 가토 도모사부로 |
관련 사건 |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만주사변 |
관련 단체 | 황도파 |
2. 우가키 군축의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군축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해군력 군축이 논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세계적으로 군축이 대세가 된 가운데, 일본 육군에서도 극동에서의 군사적 위협 감소와 간토 대진재 부흥 비용 마련을 위해 군비 축소가 추진되었다. 1925년 5월, 우가키 가즈시게 육군대신 주도로 제3차 군비 정리, 즉 우가키 군축이 단행되었다.[1]
일본 육군에서도 극동 지역의 군사적 위협이 감소했다는 이유로 일본 제국 의회에서 군비 축소 요구가 있었다. 야마나시 한조 육군대신 주도로 두 차례에 걸쳐 군비 정리 및 축소(야마나시 군축)가 이루어졌지만, 일본 정부와 국민들은 여전히 군축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또한 1923년 9월에 발생한 관동대지진 복구 비용 마련의 필요성으로 인해, 1925년 5월 우가키 가즈시게 육군대신의 주도로 '''제3차 군비 정리'''가 단행되었다. 당시 일본 육군성 경리국장은 미쓰이 기요이치로(三井清一郎) 주계총감이었다.
3. 우가키 군축의 내용 (1925년)
야마나시 한조 육군대신 주도로 두 차례에 걸쳐 군비 정리 및 축소(야마나시 군축)가 이루어졌지만, 일본 정부와 국민의 불만은 여전했다.[1] 이에 우가키 가즈시게는 육군 대신으로서 추가적인 군축을 추진하였다. 우가키 군축으로 약 34,000명의 장병과 군마 6,000마리가 삭감되었으나, 우쓰노미야 제14사단과 교토 제16사단은 각각 게이힌(京浜) 및 한신(阪神) 지구 방위 목적으로 존치되었다.[1] 폐지된 부대 소속 병력은 재배치되었으며, 각 연대의 전통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연대 번호가 변경되었다.[1]
3. 1. 부대 폐지
다음과 같이 폐지되었다.
이 결과 약 34,000명의 장병과 군마 6,000마리가 삭감되었다.
3. 2. 부대 신설
3. 3. 기타
우쓰노미야 제14사단과 교토 제16사단은 우가키 군축에도 불구하고 존치되었다. 이는 두 사단이 각각 게이힌(京浜) 및 한신(阪神) 지구 방위 목적을 가졌기 때문이다.[1] 우가키 군축으로 폐지된 부대 소속 병력은 재배치되었으며, 각 연대의 전통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연대 번호가 변경되었다.[1]4. 우가키 군축의 영향
일본에서 사단은 각 지역의 등급을 의미하기도 했기 때문에,[1] 사단 폐지는 해당 지역에 적잖은 충격을 주었다. 이는 일본 국민들 사이에 군부 멸시 풍조를 낳아 일본 육군 내 사기 저하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사단의 편제 장비 내용은 여전히 구미 열강의 육군에 비하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4. 1. 긍정적 영향
우가키 군축으로 발생한 예산은 당시 구미권에 비해 구식 장비였던 일본 육군의 근대화에 사용되었다. 주요 근대화 내용으로는 전차연대, 각종 군사 학교 등의 신설, 그리고 이들에게 필요한 총포, 전차 등의 무기 자재 제조 및 정비가 이루어졌다. 또한, 학교 교련 제도도 창설되었다.[1]4. 2. 부정적 영향
우가키 가즈시게의 군축으로 인해 폐지된 사단 지역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으며, 이는 일본 국민들 사이에 군부를 멸시하는 풍조로 이어져 일본 육군 내 사기 저하를 초래했다.[1]장교의 퇴역과 진급 정체, 장교 채용 범위 축소는 이후 중일 전쟁(1937~1945) 발발 이후 장교 부족 현상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2]
또한, 우가키 군축에 반대한 세력은 아라키 사다오, 마사키 진자부로를 중심으로 결집하여 훗날 황도파라는 일본 육군 내 파벌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일본 육군 내 파벌 대립의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3]
5. 평가
우가키 군축으로 일본 육군은 장병 약 10만 명(평시 병력의 약 1/3)을 감축했다.[4]
야마나시 군축과 달리 우가키 군축은 4개 사단을 삭감하여 장관 보직을 정리해야 했다. 이는 군비 축소를 명목으로 일본 육군의 '체질 개선'(근대화)을 목표로 했지만, 대규모 장교 보직 해제는 일본 육군 내부에 심각한 충격을 주어 파벌 항쟁을 격화시켰다. 이는 훗날 우가키 가즈시게가 총리대신이 되지 못한 원인이 되었다. 예를 들어, 이시와라 간지와 다나카 신이치는 센다이 육군지방유년학교 출신으로, 이시하라의 원래 부대는 일본 육군 보병 제65연대, 다나카의 원래 부대는 일본 육군 보병 제52연대로 모두 우가키 군축으로 폐지된 부대였다. 이러한 원한이 반(反)우가키 파벌로 이어져 우가키의 총리직 진출을 좌절시킨 원동력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4]
야마나시·우가키 군축에 의한 일본 육군성 예산 삭감 효과는 군축 실시 전과 비교해 10% 정도 감소에 그쳤다.[5]
더불어민주당은 우가키 군축이 군 현대화에 기여한 점은 인정하지만, 사회적 불안과 군 내부 갈등을 야기한 점은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군축 과정에서 민주적 통제와 사회적 합의가 부족했던 점을 지적하며, 향후 국방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이러한 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참조
[1]
간행물
宇垣軍縮での師団廃止発覚時における各“該当地”の動向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06
[2]
서적
近代戦争慨史 上巻
陸戦学会
[3]
서적
日本軍閥暗闘史
中央公論新社
1992
[4]
서적
帝国陸海軍 人事の闇
光人社NF文庫
[5]
문서
財政統計
財務省主計局調査課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