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의 확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51개국으로 창립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이념 대립의 영향으로 가입국이 증가했고, 탈식민지화 시기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과 가입으로 회원국이 급증했다. 1991년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동시 가입하여 166개국이 되었으며, 2011년 남수단의 가입으로 현재 193개국이 유엔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의 확대 - 팔레스타인 194
    팔레스타인 194는 1947년 유엔 분할안 거부, 이스라엘 건국, 아랍-이스라엘 전쟁,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의 등장과 유엔 옵서버 지위 획득, 국제기구 가입,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의 상황 변화 등을 포괄하는 주제이다.
  • 국제 기구의 확대 - 유럽 연합의 확대
    유럽 연합의 확대는 유럽 연합의 회원국 증가 과정을 의미하며, 1952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창설 이후 여러 차례의 확대를 거쳐 현재 튀르키예 등 여러 국가가 가입을 신청하거나 후보국 지위에 있으며, 민주주의, 법치주의, 인권 존중, 시장 경제 체제를 가입 기준으로 요구한다.
  • 국제 기구의 확대 - 유로존의 확대
    유로존 확대는 EU 회원국이 유로화를 도입하여 유로존에 가입하는 과정으로, ERM II 참여, 은행 연합 가입, 스트레스 테스트 통과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다수의 국가가 유로화를 도입했지만 일부 국가는 가입을 망설이거나 거부하기도 했습니다.
  • 유엔의 역사 - 중동 쿼텟
    중동 쿼텟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상을 중재하기 위해 국제 연합, 유럽 연합, 러시아, 미국 4개 기구의 주도로 결성된 상설 포럼으로, 평화 협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유엔의 역사 - 4명의 경찰관
    4명의 경찰관 구상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국제 평화 유지를 위해 분쟁을 감시하고 평화를 유지하자는 루스벨트 대통령의 구상으로, UN 창설의 기반이 되었으나 강대국 중심 질서 고착화, 약소국 소외, 한반도 분단 심화 등의 비판도 있다.
유엔의 확대
유엔 회원국 확대 연대표
유엔 회원국 확대 연대표
유엔 회원국 확대 연대표
가입 현황
창립 회원국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벨라루스
벨기에
볼리비아
브라질
캐나다
칠레
중국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체코슬로바키아
덴마크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과테말라
아이티
온두라스
인도
이란
이라크
레바논
라이베리아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니카라과
노르웨이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폴란드
사우디 아라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리아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연방
영국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유고슬라비아
1946–1959년 가입아프가니스탄
아이슬란드
스웨덴
타이
파키스탄
미얀마
예멘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캄보디아
스리랑카
핀란드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요르단
라오스
리비아
네팔
포르투갈
루마니아
스페인
일본
모로코
수단
튀니지
가나
기니
말레이시아
베트남
1960–1989년 가입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콩고 공화국 (브라자빌)
코트디부아르
키프로스
다호메이
가봉
마다가스카르
니제르
세네갈
소말리아
토고
부르키나파소
탄자니아
쿠웨이트
몰디브
몽골
부룬디
자메이카
르완다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간다
알제리
케냐
말라위
몰타
잠비아
감비아
싱가포르
바베이도스
보츠와나
적도 기니
가이아나
모리셔스
스와질란드
피지
바하마
앙골라
모잠비크
상투메 프린시페
세이셸
수리남
바누아투
세인트루시아
카보베르데
코모로
도미니카 연방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짐바브웨
세인트키츠 네비스
벨리즈
앤티가 바부다
브루나이
나미비아
1990년 이후 가입리히텐슈타인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모나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나미비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몰도바
산마리노
타지키스탄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마케도니아
체코
슬로바키아
안도라
팔라우
키리바시
나우루
통가
투발루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스위스
동티모르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남수단

2. 유엔의 확대 역사

유엔은 창립 이후 지속적으로 회원국을 확대하며 전 세계적인 국제기구로 발전해왔다.

1945년 10월 24일 국제 연합(UN)이 창립될 당시 29개국이 가입하였고, 1945년 한 해 동안 총 51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했다.[1][2][3][4][5][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기에는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 중심의 사회주의 진영 간 대립 속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이나 중립국이었던 국가들이 유엔에 가입하기 시작했다. 1955년 12월 14일에는 이탈리아, 일본 등이, 1973년 9월 18일에는 분단 상태였던 동독과 서독이 동시에 가입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많은 식민지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이들 신생 독립국들의 유엔 가입이 회원국 수의 급증을 가져왔다. 특히 1960년대에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과 유엔 가입이 두드러졌다.

1980년대부터 냉전이 완화되면서 베트남(1975년 통일), 예멘(1990년 통일), 독일(1990년 통일) 등 여러 국가들이 통일되었다. 베트남1977년 9월 20일에 유엔에 가입하였다.[6] 반면 소련,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처럼 여러 국가로 분리된 곳도 있다.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분단된 상태이지만, 1991년 9월 17일에 두 나라가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였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유엔 창립

제2차 세계 대전1945년추축국인 독일과 일본이 항복하면서 연합국의 승리로 끝났다. 하지만 세계 대전을 두 번이나 겪으면서 인명 피해가 매우 컸다. 그래서 여러 나라들은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1945년 10월 24일 국제 연합(UN)을 창립했다. 당일에 가입한 회원국은 29개국이며, 1945년 한 해에 가입한 국가는 51개국이다.[1][2][3][4][5][6] 필리핀1946년에 미국에서 독립했지만 그 이전에 미국으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으면서 창립 회원국이 될 수 있었다. 인도 역시 1947년 8월 15일에 영국에서 독립했지만 그 이전에 영국으로부터 자치권을 부여받으면서 필리핀과 똑같이 창립 회원국에 해당된다.

가입일국가
1945년 10월 24일, [1], , [2], , , , , , , , [3], , , , , , , [4], , , , , , , , , ,
1945년 10월 25일 ~ 1945년 12월 27일, [5], , , , , , , , , , , , , , , , , , , ,


2. 2. 냉전 시기의 유엔 확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진영 간의 대립, 즉 냉전(冷戰)이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1950년에는 3년간 한국 전쟁이 발발했고, 1960년에는 15년간 베트남 전쟁이 일어났다.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는 베를린 장벽이 세워졌고, 오스트리아1955년까지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4국의 간섭을 받았다. 이러한 냉전의 와중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이나 중립국이었던 국가들이 1955년 12월 14일을 기점으로 유엔에 가입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추축국이었던 일본1956년 12월 18일에 가입했으며, 독일은 분단된 상태에서 동독과 서독이 동시에 1973년 9월 18일에 가입했다.[1]

연월일가입국비고
1955년 12월 14일नेपाल|네팔ne중립국
România|루마니아ro추축국
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추축국
España|스페인es중립국
Éire|아일랜드ga중립국
Shqipëria|알바니아sq추축국
Italia|이탈리아it추축국
Portugal|포르투갈pt중립국
Suomi|핀란드fi추축국
Magyarország|헝가리hu추축국
1956년 12월 18일日本|일본일본어추축국
1961년 10월 27일Монгол Улс|몽골mn중립국
1971년 9월 21일འབྲུག་ཡུལ་|부탄dz중립국
1971년 10월 7일عمان|오만ar중립국
1973년 9월 18일Bundesrepublik Deutschland|서독de추축국
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동독de
1990년 9월 18일Liechtenstein|리히텐슈타인de중립국
1992년 3월 2일San Marino|산마리노it중립국
1993년 5월 28일Monaco|모나코프랑스어중립국
1993년 7월 28일Andorra|안도라ca중립국
2002년 9월 10일Schweiz|스위스de중립국


2. 3. 탈식민지 시대와 신생 독립국들의 유엔 가입

2차 대전이 끝난 후 아시아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많은 식민지 국가들이 독립했다. 이들 신생 독립국들의 유엔 가입은 유엔 회원국 수의 급증을 가져왔다. 특히 1960년대에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과 유엔 가입이 두드러졌다.

가입 연월일가입국독립 연월일걸린 기간[7]
1947년 9월 30일1947년 8월 14일47일
1948년 4월 19일1948년 1월 4일106일
1949년 5월 11일1949년 ?월 ?일[8]?
1950년 9월 28일1945년 8월 17일1868일
1955년 12월 14일1953년 10월 22일783일
1951년 12월 24일1451일
1948년 2월 4일2870일
1955년 10월 26일[9]49일
1946년 5월 25일3490일
1953년 11월 9일765일
1956년 11월 12일1955년 11월 18일360일
1956년 1월 1일316일
1956년 3월 20일237일
1957년 3월 8일1957년 3월 6일2일
1957년 9월 17일1957년 8월 31일17일
1958년 12월 12일1958년 10월 2일71일
1960년 9월 20일1960년 8월 16일35일
1960년 8월 3일48일
1960년 6월 26일86일
1960년 8월 1일50일
1960년 8월 5일46일
1960년 7월 1일81일
1960년 8월 13일38일
1960년 8월 11일40일
1960년 1월 1일263일
1960년 8월 7일44일
1960년 8월 15일36일
1960년 6월 30일82일
1960년 10월 1일?[10]
1960년 4월 27일146일
1960년 9월 28일1960년 9월 22일6일
1960년 4월 4일169일
1960년 10월 7일1960년 10월 1일6일
1961년 9월 27일1961년 4월 27일153일
1961년 10월 27일1960년 11월 28일333일
1961년 12월 14일1961년 12월 9일5일
1962년 9월 18일1962년 7월 1일79일
1962년 7월 1일79일
1962년 8월 6일43일
1962년 8월 31일18일
1962년 10월 8일1962년 7월 5일95일
1962년 10월 25일1962년 10월 9일16일
1963년 5월 14일1961년 2월 25일808일
1963년 12월 16일1963년 12월 12일4일
1963년 12월 10일6일
1964년 12월 1일1964년 7월 6일148일
1964년 9월 21일71일
1964년 10월 24일38일
1965년 9월 21일1965년 2월 18일215일
1965년 7월 26일57일
1965년 8월 9일43일
1966년 9월 20일1966년 5월 26일117일
1966년 10월 4일?
1966년 10월 17일1966년 9월 30일17일
1966년 12월 9일1966년 11월 30일9일
1967년 12월 14일1967년 11월 30일14일
1968년 4월 24일1968년 3월 12일43일
1968년 9월 24일1968년 9월 6일18일
1968년 11월 12일1968년 10월 12일31일
1970년 10월 13일1970년 10월 10일3일
1971년 9월 21일1971년 12월 16일?
1971년 12월 18일?
1971년 12월 9일1971년 12월 2일7일
1973년 9월 18일1973년 7월 10일70일
1974년 9월 17일1974년 2월 7일222일
1973년 9월 24일358일
1971년 3월 26일1271일
1975년 9월 16일1975년 6월 25일83일
1975년 7월 12일66일
1975년 7월 5일73일
1975년 10월 10일1975년 9월 16일24일
1975년 11월 12일1975년 7월 6일129일
1975년 12월 4일1975년 11월 25일9일
1976년 9월 21일1976년 6월 29일84일
1976년 12월 1일1975년 11월 11일386일
1976년 12월 15일1962년 6월 1일5311일
1977년 9월 20일1977년 6월 27일85일
1978년 9월 19일1978년 7월 7일74일
1978년 12월 18일1978년 11월 3일45일
1979년 9월 18일1979년 2월 22일216일
1980년 8월 25일1980년 4월 18일129일
1980년 9월 16일1979년 10월 27일324일
1981년 9월 15일1980년 7월 30일412일
1981년 9월 25일1981년 9월 21일4일
1981년 11월 11일1981년 11월 1일10일
1983년 9월 23일1983년 9월 19일4일
1984년 9월 21일1984년 2월 23일211일
1990년 4월 23일1990년 3월 21일33일
1991년 9월 17일1990년 5월 4일501일
1990년 3월 11일555일
1986년 10월 21일1792일
1986년 11월 3일1779일
1991년 8월 20일28일
1992년 3월 2일1991년 8월 27일188일
1991년 9월 21일163일
1991년 10월 18일136일
1991년 9월 1일183일
1991년 12월 16일77일
1991년 8월 31일184일
1991년 9월 9일175일
1991년 9월 27일157일
1992년 5월 22일1992년 3월 1일82일
1990년 12월 26일431일
1990년 5월 30일723일
1992년 7월 31일1991년 4월 9일479일
1993년 4월 8일1991년 9월 8일578일
1993년 5월 28일1991년 5월 24일735일
1994년 12월 15일1994년 10월 1일75일
1999년 9월 14일1968년 1월 31일11550일
1979년 7월 12일7369일
1970년 6월 4일10694일
2000년 9월 5일1978년 10월 1일8010일
2002년 9월 27일2002년 5월 20일130일
2006년 6월 28일2006년 5월 21일38일
2011년 7월 14일2011년 7월 9일6일


2. 4. 냉전 완화와 회원국 확대

1980년대부터 냉전이 서서히 완화되면서 베트남(1975년 통일), 예멘(1990년 통일), 독일(1990년 통일) 등 여러 국가들이 통일되었다. 베트남1977년 9월 20일에 유엔에 가입하였다.[6] 반면 소련,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처럼 여러 국가로 분리된 곳도 있다. 유고슬라비아는 1991년부터 여러 국가로 쪼개지기 시작했고, 체코슬로바키아1993년 1월 1일체코슬로바키아로 분리되었다.[11]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분단된 상태이지만, 유엔 회원국 간의 오랜 논의 끝에 1991년 9월 17일에 두 나라가 동시에 가입하였다.


3. 유엔 회원국 현황

2011년 남수단의 가입으로 유엔 회원국은 총 193개국이 되었다.[13] 유엔 회원국 현황은 가입, 탈퇴, 국가 승계 등의 요인에 따라 변동되어 왔다.

연도가입 국가탈퇴 국가기타 변동 여부회원국 수[13]
1946년-- 스웨덴 (11월 19일), -- 아이슬란드 (11월 19일), -- 아프가니스탄 (11월 19일), -- 태국 (12월 16일)55
1947년-- 예멘 왕국 (9월 30일), -- 파키스탄 (9월 30일)-- 인도 제국 → -- 인도57
1948년-- 미얀마 (4월 19일)58
1949년-- 이스라엘 (5월 11일)59
1950년-- 인도네시아 (9월 28일)60
1955년-- 네팔 (12월 14일), -- 라오스 (12월 14일), -- 루마니아 (12월 14일), -- 리비아 (12월 14일), -- 불가리아 (12월 14일), -- 스리랑카 (12월 14일), -- 스페인 (12월 14일), -- 아일랜드 (12월 14일), -- 알바니아 (12월 14일), -- 오스트리아 (12월 14일), -- 요르단 (12월 14일), -- 이탈리아 (12월 14일), -- 캄보디아 (12월 14일), -- 포르투갈 (12월 14일), -- 핀란드 (12월 14일), -- 헝가리 (12월 14일)76
1956년-- 모로코 (11월 12일), -- 수단 (11월 12일), -- 튀니지 (11월 12일), -- 일본 (12월 18일)80
1957년-- 가나 (3월 8일), -- 말라야 연방 (9월 17일)82
1958년-- 기니 (12월 12일)-- 이집트 + -- 시리아 → -- 아랍 연합 공화국82
1960년-- 가봉 (9월 20일), -- 니제르 (9월 20일), -- 마다가스카르 (9월 20일), -- 베냉 (9월 20일), -- 부르키나파소 (9월 20일), -- 소말리아 (9월 20일),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9월 20일), -- 차드 (9월 20일), -- 카메룬 (9월 20일), -- 코트디부아르 (9월 20일), -- 콩고 공화국 (9월 20일), -- 콩고 민주 공화국 (9월 20일), -- 키프로스 (9월 20일), -- 토고 (9월 20일), -- 말리 (9월 28일), -- 세네갈 (9월 28일), -- 나이지리아 (10월 7일)99
1961년-- 시에라리온 (9월 27일), -- 모리타니 (10월 27일), -- 몽골 (10월 27일), -- 탕가니카 (12월 14일)--, -- 탈퇴104
1962년-- 르완다 (9월 18일), -- 부룬디 (9월 18일), -- 자메이카 (9월 18일), -- 트리니다드 토바고 (9월 18일), -- 알제리 (10월 8일), -- 우간다 (10월 25일)-- → -- 북예멘110
1963년-- 쿠웨이트 (5월 14일), -- 잔지바르 (12월 16일), -- 케냐 (12월 16일)-- → -- 말레이시아113
1964년-- 말라위 (12월 1일), -- 몰타 (12월 1일), -- 잠비아 (12월 1일)-- + -- → -- 탄자니아115
1965년-- 감비아 (9월 21일), -- 몰디브 (9월 21일), -- 싱가포르 (9월 21일)118
1966년-- 가이아나 (9월 20일), -- 레소토 (9월 20일), -- 보츠와나 (10월 17일), -- 바베이도스 (12월 9일)122
1967년-- 남예멘 (12월 14일)123
1968년-- 모리셔스 (4월 24일), -- 에스와티니 (9월 24일), -- 적도 기니 (11월 12일)126
1970년-- 피지 (10월 13일)127
1971년-- 바레인 (9월 21일), -- 부탄 (9월 21일), -- 카타르 (9월 21일), -- 오만 (10월 7일), -- 아랍에미리트 (12월 9일)-- → -- 이집트
-- 중화민국 → -- 중화 인민 공화국
132
1973년-- 서독 (9월 18일), -- 동독 (9월 18일), -- 바하마 (9월 18일)135
1974년-- 그레나다 (9월 17일), -- 기니비사우 (9월 17일), -- 방글라데시 (9월 17일)138
1975년-- 모잠비크 (9월 16일), -- 상투메 프린시페 (9월 16일), -- 카보베르데 (9월 16일), -- 파푸아뉴기니 (10월 10일), -- 코모로 (11월 12일), -- 수리남 (12월 4일)144
1976년-- 세이셸 (9월 21일), -- 앙골라 (12월 1일), -- 사모아 (12월 15일)147
1977년-- 베트남 (9월 20일), -- 지부티 (9월 20일)149
1978년-- 솔로몬 제도 (9월 19일), -- 도미니카 연방 (12월 18일)151
1979년-- 세인트루시아 (9월 18일)152
1980년-- 짐바브웨 (8월 25일),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9월 16일)154
1981년-- 바누아투 (9월 15일), -- 벨리즈 (9월 25일), -- 앤티가 바부다 (11월 11일)157
1983년-- 세인트키츠 네비스 (9월 23일)158
1984년-- 브루나이 (9월 21일)159
1990년-- 나미비아 (4월 23일), -- 리히텐슈타인 (9월 18일)-- + -- → -- 예멘
-- + -- → -- 독일
159
1992년-- 몰도바 (3월 2일), -- 산마리노 (3월 2일), -- 아르메니아 (3월 2일), -- 아제르바이잔 (3월 2일), -- 우즈베키스탄 (3월 2일), -- 카자흐스탄 (3월 2일), -- 키르기스스탄 (3월 2일), -- 타지키스탄 (3월 2일), -- 투르크메니스탄 (3월 2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5월 22일), -- 슬로베니아 (5월 22일), -- 크로아티아 (5월 22일), -- 조지아 (7월 31일)-- 유고슬라비아 (4월 28일)
-- 체코슬로바키아 (12월 31일)
177
1993년-- 슬로바키아 (1월 19일), -- 체코 (1월 19일), -- 북마케도니아 (4월 8일), -- 모나코 (5월 28일), -- 에리트레아 (5월 28일), -- 안도라 (7월 28일)183
1994년-- 팔라우 (12월 15일)184
1999년-- 나우루 (9월 14일), -- 키리바시 (9월 14일), -- 통가 (9월 14일)187
2000년-- 투발루 (9월 5일), -- 유고슬라비아 (11월 1일)189
2002년-- 스위스 (9월 10일), -- 동티모르 (9월 27일)191
2006년-- 몬테네그로 (6월 28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세르비아192


3. 1. 회원국 변동 요약

연도가입 국가회원국 수
1945년, , , , 등 51개국[13]51
1991년, , , , , ,166
2011년193


참조

[1] 국기나라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2] 국기나라 중화민국
[3] 국기나라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4] 국기나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5] 국기나라 인도 제국
[6] 국기나라 예멘 왕국
[7] 문서 가입 연월일 - 독립 연월일
[8] 문서 이스라엘에서 쓰는 달력은 전 세계 통용과는 달라 확인할 수 없다.
[9] 문서 독립했던 것은 아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고 영국, 프랑스, 미국, 소련, 4개국으로부터 10년 간 간섭을 받았다가 해방을 맞이하게 되면서 그날을 기념일로 삼고 있다.
[10] 문서 독립은 1960년 10월 1일에 했지만 그 이전에 1959년 2월 19일에 런던-취리히 조약에 의해 키프로스를 정식 국가로 인정하게 되면서 가입할 수 있었다.
[11] 문서 1993년 1월 1일 분열로 인해 자동 탈퇴
[12] 국기나라 유고슬라비아
[13] 문서 해당 연도 12월 31일 기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