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치마다 히사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치마다 히사토는 일본의 은행가이자 정치인으로, 일본은행 총재와 대장상을 역임했다. 오이타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은행에 입행하여, 1946년 공직 추방된 아라키 에이키치의 뒤를 이어 제18대 총재가 되었다. 총재 재임 기간 동안 연합군 최고사령부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와의 신뢰를 구축하고 인플레이션 억제 및 일본 경제 재건에 힘썼으며,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에 참여했다. 1954년 총재에서 물러난 후 대장상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내각에서 재무 행정을 담당했으며, 1969년 정계 은퇴 후 198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이타시 출신 - 이소자키 아라타
    이소자키 아라타는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선구자로, 히로시마 원폭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추구하며 사회적 담론을 이끌었고, 국제적인 프로젝트와 건축계에 큰 영향을 미쳐 2019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의 건축가이다.
  • 오이타시 출신 - 아베 마오
    아베 마오는 2006년 야마하 TEENS' MUSIC FESTIVAL에서 장려상을 수상하며 데뷔 전부터 주목받은 일본의 싱어송라이터로, 2009년 앨범 《Free》로 데뷔하여 '후리'를 통해 이름을 알린 후 음반 발매와 라이브 활동, 드라마 및 애니메이션 주제가, CM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감수포장 수훈자 - 시부사와 에이이치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도쿠가와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일본 근대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실업가이자 사상가로, 500개가 넘는 기업 설립 및 경영에 참여하며 "도덕경제합일설"을 주창했고 사회 및 교육 사업에도 헌신했다.
  • 감수포장 수훈자 - 아카기 무네노리
    아카기 무네노리는 이바라키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이자 중세 일본사 연구가로, 중의원 의원, 농림상, 내각관방장관, 방위청 장관 등 요직을 역임하며 자민당 내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 소련과의 어업 문제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정계 은퇴 후에는 중세 일본사 연구에 매진했다.
  • 일본은행 총재 - 다카하시 고레키요
    다카하시 고레키요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의 일본 정치가이자 금융가로, 일본은행 총재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러일 전쟁 외채 조달 성공, 쇼와 금융 공황 극복 등 일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2·26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 일본은행 총재 - 이노우에 준노스케
    이노우에 준노스케는 메이지 시대 후반부터 쇼와 초기까지 활동한 일본의 금융가이자 정치인으로, 일본은행 총재를 두 차례 역임하며 쇼와 금융공황 수습과 간토 대지진 이후 경제 회복에 기여했으나, 재무대신으로서 추진한 정책이 쇼와 공황을 심화시켜 암살당하는 비극을 맞이했으며 일본경제연맹회 설립과 도쿄 최초의 골프장 설립에도 기여하는 등 경제적 공헌과 정치적 책임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이치마다 히사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5년 이치마다
직책
재무대신노부스케 기시 내각
임기 시작1957년 7월 10일
임기 종료1958년 6월 12일
이전하야토 이케다
다음에이사쿠 사토
재무대신이치로 하토야마 내각
임기 시작1954년 12월 10일
임기 종료1956년 12월 23일
이전산쿠로 오가사와라
다음하야토 이케다
일본은행 총재시게루 요시다 내각
데쓰 가타야마 내각
히토시 아시다 내각
임기 시작1946년 6월 1일
임기 종료1954년 12월 10일
이전에이키치 아라키
다음에이키치 아라키
개인 정보
출생일1893년 8월 12일
출생지노쓰하루, 오이타, 일본
사망일1984년 1월 22일
모교도쿄 제국 대학
정치 경력
소속 정당일본 민주당 → 자유민주당
의원중의원 의원
선거구오이타현 제1구
당선 횟수5회
임기 시작1955년 2월 28일
임기 종료1969년 12월 2일
훈장
훈장 정보정3위
훈1등욱일대수장
훈1등서보장
감수포장
법학사 (1918년, 도쿄제국대학)

2. 생애

1893년 8월 오이타현에서 태어나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1918년 일본은행에 입행했다. 1923년부터 1926년까지 독일에서 독일 국립은행( Reichsbank|라이히스방크de )의 통화 정책을 연구했다.[1][2] 1944년 이사를 거쳐 1946년 제18대 일본은행 총재로 취임했다.[3] 총재 시절 더글러스 맥아더 연합군 최고사령부 사령관과 신뢰를 쌓고 전후 인플레이션 억제와 일본 경제 재건에 힘써 "법왕(法王)"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에 전권위원으로 참여했으며, 국제 기독교 대학교 설립 모금 활동을 이끌고 일본-인도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4]

1954년 총재직에서 물러난 뒤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의 대장대신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1955년 중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보수합동으로 창당된 자유민주당에 참여했다.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과 기시 노부스케 내각에서 대장대신을 역임하며 디플레이션 정책 등을 추진했다.

1969년 정계를 은퇴했으며, 세계 헌법 제정을 위한 협약 소집을 지지하는 서명자 중 한 명이기도 했다.[5][6] 1984년 1월 22일 90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사후 훈1등 욱일대수장이 추증되고 정3위에 추서되었다.

2. 1. 초기 생애

1893년 8월 12일 오이타현 오이타군 노쓰하루촌(현 오이타시 노쓰하라 지구)에서 태어났다.[1][2] 그의 가문은 오토모씨의 분가로, 오토모 요시나오의 여섯 번째 아들 이치마다 도키카게를 시조로 하여 대대로 오토모씨의 중신으로 유명했다.

이치마다는 옛 오이타현립 오이타 중학교와 옛 제오고등학교를 거쳐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에 진학하여 1918년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 일본은행에 입행했다. 1923년부터 1926년까지 독일에 파견되어 독일 국립은행( Reichsbankde )의 통화 정책을 연구했다. 그는 당시 국립은행 총재였던 얄마르 샤흐트( Hjalmar Schachtde )를 매우 존경하게 되었다.[1][2]

일본은행 내에서 승진하여 1942년에는 은행 검사부 국장이 되었고, 1944년에는 이사로 취임했다.[3]

2. 2. 일본은행

도쿄 제국대학(현: 도쿄 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1918년 일본은행에 입행했다.[9] 1923년부터 1926년까지 독일에 파견되어 독일 제국 은행( Reichsbank|라이히스방크de )의 통화 정책을 연구했으며, 당시 총재였던 얄마르 샤흐트를 매우 존경하게 되었다.[1][2]

일본은행 내에서 승진을 거듭하여 1942년에는 은행 검사부 국장, 1944년에는 이사가 되었다.[3] 태평양 전쟁1946년, 전임 총재 아라키 에이키치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에 의해 공직 추방을 당하자 그의 후임으로 제18대 총재로 임명되었다.[3][9] 총재 취임 직후 더글러스 맥아더 최고사령관을 만나 일본 경제의 실상을 솔직하게 설명하며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

총재로서 이치마다는 전후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자금 부족 속에서 일본 경제 재건을 위해 노력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독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엔화 가치를 안정시키는 데 주력했으며, 신용 할당을 위한 "창구 지도" 제도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GHQ 점령 하에서 대장성 대신 금융 정책을 관장하는 일본은행이 실질적인 금융 행정을 장악하게 되었고, 이는 이치마다 개인의 강력한 정치력에 힘입은 바가 컸다. 이러한 막대한 권위와 영향력으로 인해 세간에서는 그를 로마 교황청에 빗대어 "법왕(法王)"이라는 별명으로 불렀다. 그의 총재 재임 기간 3115일은 구로다 하루히코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길다. 또한 재임 중 일본은행 정책위원회를 일본은행 산하 기구로 만들고 총재가 의장을 겸임하도록 하는 등 정치력을 발휘하여 일본은행의 권한을 강화했다.

1951년에는 요시다 시게루 내각총리대신, 이케다 하야토 대장대신 등과 함께 전권 위원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에 참여했다.[9]

그러나 이치마다가 총재직에서 물러난 이후, 이케다 하야토나 야마기와 마사미치 등이 주도한 일본은행법 개정 논의를 시작으로 대장성의 권한이 커지고, 신설된 일본수출입은행(현 일본국제협력은행)이 수출 보조금 할당 권한을 갖게 되면서 통상산업성의 영향력 또한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의 역할과 위상은 점차 축소되었다.

1954년 이치마다는 일본은행 총재직에서 사임했으며, 후임으로는 공직 추방되었던 전임 총재 아라키 에이키치가 다시 취임했다.[9]

2. 3. 정치 활동

일본은행 총재에서 물러난 직후인 1954년,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 대장대신으로 입각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이는 당시 정재계의 실력자였던 히다 다쿠지의 추천에 의한 것으로, 민간인 각료로서는 마지막 대장대신이었다.[3]

대장대신 재임 중이던 1955년에 실시된 제27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끄는 일본민주당 소속으로 오이타현 제1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중의원 의원이 되었다. 같은 해 자유당과 일본민주당의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이 창당되자 이에 참여했으며, 이후 출범한 제2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에서도 대장대신직을 계속 맡았다.

1956년 12월 이시바시 내각이 출범하면서 대장대신에서 물러났으나, 1957년 7월 기시 노부스케 총리의 제1차 기시 개조 내각에서 다시 대장대신으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 그는 디플레이션 정책을 추진하며 물가 안정을 꾀했는데, "디플레이션의 산도 후지산으로 말하면 8합목. 여기서, 우유라도 마시고 마지막 한숨"이라고 말하며 "후지산 8합목 우유론"으로 화제를 뿌렸다.

1958년 6월 제2차 기시 내각의 출범과 함께 대장대신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국회의원직은 유지하다가 1969년 중의원 해산이 이루어지자 총선에 불출마하며 정계를 은퇴했다.

한편, 이치마다는 세계 헌법 제정을 위한 협약 소집을 지지하는 서명자 중 한 명이기도 했다.[5][6] 이 노력은 이후 세계 제헌 의회의 소집과 지구 연방 헌법의 제정 및 채택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7]

2. 4. 사망

1969년 중의원 해산 후 총선에 불출마하며 정계를 은퇴했다.[11] 1984년 1월 22일 심부전으로 향년 90세로 사망했다.[11] 사후 훈1등 욱일대수장이 추증되고 정3위에 추서되었다.[11] 그의 묘소는 스기나미구 쓰키지 혼간지 와다보리 묘소에 있다.[11]

3. 평가 및 영향

일본은행 총재로서 그의 재임 기간 3115일은 구로다 하루히코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길다. 이치마다는 날카로운 눈매와 깊은 인상으로 인해 '법왕'(法王, 교황)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전후 일본의 금융계와 경제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태평양 전쟁 패전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 점령 하에서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자금 부족에 시달리던 일본 경제 상황 속에서, 대장성 대신 금융 정책을 관장하는 일본은행이 실질적인 금융 행정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던 것이 이치마다의 강력한 영향력의 배경이 되었다. 그는 총재로서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독일 국립은행에서 통화 정책을 연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엔화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1][2][3] 신용 할당을 위한 "창구 지도"를 처음 도입한 인물로도 평가받는다. 그의 정치력을 바탕으로 일본은행 정책위원회는 일본은행 산하에 놓였고, 위원장 자리도 일본은행 총재가 겸임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케다 하야토나 야마기와 마사미치 등과의 일본은행법 개정 논의를 시작으로 대장성의 권한이 점차 강화되고, 일본수출입은행을 통한 수출 보조금 할당 권한을 가진 통상산업성의 힘이 커지면서 일본은행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축소되었다. 점령 행정에서 벗어난 후 대장대신이 되었을 때, 재무사무차관이었던 히라타 케이이치로와 대립하여 그를 경질하려 했으나, 성 내부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뜻을 이루지 못하기도 했다.

총재 취임 직후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에게 직접 회견을 요청하여 "일본 경제의 실정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있는 그대로를 이야기하고 제 의견을 말하겠으니, 마음에 안 드는 것은 흘려들으셔도 괜찮습니다"라고 솔직하게 말하며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고 전해진다.

금융 정책 운용에 신중했던 이치마다는 국회에서 금융 정책과 산업 진흥의 관계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금융이 산업보다 우선한다는 그런 쩨쩨한 생각은 조금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전제하면서도, "흥청망청하는 경우, 안주인 역할의 금융이란 것은, 호주머니를 맡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그것을 흥청망청하는 자에게 호주머니를 맡겨두면, 다음 날 배급물도 받을 수 없다. 그런 식으로는 나라가 망한다. 그러므로, 산업이 진정 인플레이션적인 생각에서 깨어나 해준다면, 안주인 역할은 오히려 용돈은 어떨까 정도로 생각하고, 모르는 사이에 소매 속에 용돈을 넣어주는 것이다. 문제는 거기에 있다고 생각한다"[12]고 답하며 무분별한 금융 확대를 경계하는 입장을 보였다.

산업 정책에 대해서는 다소 보수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가와사키 제철(현 JFE 스틸)의 니시야마 야타로가 지바 제철소 건설을 추진할 당시, 이치마다가 "건설을 강행한다면 지금 당장 잡초가 무성하게 해줄 것"이라고 발언했다는 속설이 퍼졌으나, 이는 경제 안정 9원칙 하의 금융 긴축 상황에서 기업 규모에 비해 과도한 투자를 우려하며 "철강 등은 아무것도 국산에 구애받지 않고 외국에서 싼 것을 사면 좋다. 가령 억지로 제철소를 신설하려고 해봤자 결국 잡초만 무성하게 될 뿐이다"라고 국제 분업 관점에서 발언한 것이 와전된 것이라는 설명이 있다. 또한 자동차 공업에 대해서도 "국제 분업 속에서 일본이 자동차 공업을 육성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며 불필요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이치마다는 불교 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기독교 대학교 설립을 위한 일본 측 모금 활동을 주도했으며,[4] 세계 헌법 제정을 위한 협약 소집에 서명한 인물 중 한 명이기도 했다.[5][6] 이 협약은 인류 역사상 최초의 세계 제헌 의회 소집으로 이어져 지구 연방 헌법의 제정 및 채택이라는 결과를 낳았다.[7]

4. 기타


  • 국제 기독교 대학교(ICU) 설립 당시, 본인이 불교도였음에도 불구하고 모금 운동의 일본 측을 이끌어 1949년 반 년 동안 1.5억을 모금했다.[4]
  • 머리가 벗겨지는 것을 걱정하여 27세부터 머리를 감지 않고 헤어 로션으로 닦는 습관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 오랫동안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가 일본 지폐에 사용되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에 의해 쇼토쿠 태자 도안 지폐가 폐지되는 것을 막았다.
  • 오쿠마 시게노부가 설립한 일인협회의 제5대 회장을 1952년부터 1955년까지 역임했다.
  • 세계 연방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세계 헌법 제정을 위한 협약 소집에 서명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5][6] 이 협약은 이후 세계 제헌 의회를 소집하여 지구 연방 헌법을 제정하고 채택하는 결과로 이어졌다.[7]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내이치마다 세이코미조베 요로쿠의 여동생. 처남은 미우라 기이치
장녀야마구치 카즈코도큐 부동산 상무 야마구치 요조(야마구치 타케지로의 아들)의 아내
차녀이노우에 아사코도쿄 열 에너지 사장 이노우에 타쿠로(이노우에 고로의 장남, 이노우에 카쿠고로의 손자)의 아내
손자 (차녀의 장남)이노우에 모토히코『「비상시의 남자」이치마다 나오토의 결단력 - 손자가 쓴 전 일본은행 총재의 진짜 모습』 저자
삼녀이치마다 에이코데릴사위는 크레디 스위스 재팬 사장 이치마다 야스토(구 성씨 이노우에, 이노우에 고로의 셋째 아들, 이노우에 카쿠고로의 손자)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1964년곤수 포장
1965년훈1등 서보장
1984년정삼위, 훈1등 욱일대수장


5. 역대 선거 기록

연도선거 종류회차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
1955년총선거27회중의원 의원오이타현 제1구일본민주당75,306표22.6%3위당선
1958년총선거28회중의원 의원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73,669표20.4%3위당선
1960년총선거29회중의원 의원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58,225표16.3%4위당선
1963년총선거30회중의원 의원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65,860표18.6%4위당선
1967년총선거31회중의원 의원오이타현 제1구자유민주당56,177표15.2%4위당선


참조

[1] 웹사이트 第18代総裁:一萬田尚登 https://www.boj.or.j[...] 2023-05-31
[2] 서적 Princes of the Yen: Japan's Central Banker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conomy Routledge 2003-04-25
[3] 웹사이트 一万田 尚登 https://kotobank.jp/[...] 2023-05-31
[4] 웹사이트 Our History | JAPAN ICU FOUNDATION http://jicuf.org/abo[...] 2014-05-26
[5] 웹사이트 Letters from Thane Read asking Helen Keller to sign the World Constitution for world peace. 1961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1
[6] 웹사이트 Letter from World Constitution Coordinating Committee to Helen, enclosing current materials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3
[7] 웹사이트 Preparing earth constitution {{!}} Global Strategies & Solutions {{!}} The Encyclopedia of World Problems http://encyclopedia.[...] 2023-07-15
[8] 웹사이트 第18代総裁:一萬田尚登(いちまだひさと) : 日本銀行 Bank of Japan https://www.boj.or.j[...] 日本銀行 2019-06-18
[9]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 第5版 三省堂
[10] 간행물 官報 1964-04-07
[11] 간행물 官報 1984-02-21
[12] 문서 第5回国会 衆議院大蔵委員会にて塚田十一郎の質問に対して https://kokkai.ndl.g[...] 衆議院財務金融委員会 1949-04-15
[13] 논문 2013 年の年頭所感―日印協会110 周年の回顧と展望 https://warp.da.ndl.[...] 公益財団法人日印協会 201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