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기동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기동역은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6개의 출구가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지나가며, 인근에 서울약령시장, 경동시장, 고려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신이문역
신이문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상의 역으로, 이문역과의 이름 중복을 피해 명명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광운대, 의정부, 청량리, 서울, 인천 방면 열차가 운행되고 이문동 주변 지역과 인접해 있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1974년 개업한 철도역 - 종각역
종각역은 서울 종로2가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1974년 개통 이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주변에 보신각, 영풍문고 등 주요 시설과 역사적 장소가 있고, SC제일은행이 부역명으로 병기되어 있으며, 제야의 종 행사 때는 무정차 통과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제기동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제기동역 (한국건강관리협회) |
로마자 표기 | Jegi-dong |
한자 표기 | 祭基洞驛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 93 (제기동 51)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역 번호 | 125 |
승강장 | 2면 2선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
이전 역명 | 성동 |
이용 정보 | |
일일 승객 수 (2012년) | 38,845명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청량리역 |
다음 역 | 신설동역 |
노선 거리 | 서울역 기점 6.8km, 소요산 기점 61.6km |
역 간 거리 | 청량리역까지 1.0km, 신설동역까지 0.9km |
기타 정보 | |
전철 코드 | 수도권 전철 AFC: 0157 |
인접 역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왼쪽: 청량리역 오른쪽: 신설동역 |
광역 전철 | 왼쪽: 청량리역 오른쪽: 신설동역 |
역사 정보 | |
주요 시설 |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
2. 역사
3. 역 구조
제기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가 있는데, 정릉천 아래에 역이 건설되어 1, 5, 6번 출구와 2, 3, 4번 출구가 분리되어 있다. 개찰구는 동쪽과 서쪽에 각각 1곳씩 있으며, 화장실은 동쪽 개찰구 밖에 1곳 있다.
3. 1. 개요
제기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가 있는데, 정릉천 밑에 지어진 관계로 1, 5, 6번 출구와 2, 3, 4번 출구는 분리되어 있다. 개찰구는 동쪽과 서쪽에 각각 1곳씩 있으며, 화장실은 동쪽 개찰구 밖에 1곳 있다.3. 2. 층별 구조
제기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가 있는데, 정릉천 아래에 역이 건설되어 1, 5, 6번 출구와 2, 3, 4번 출구가 분리되어 있다.층 | 시설 |
---|---|
G | 지상층, 출구 |
L1 대합실 | 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L2 승강장 | 남행 서울 지하철 1호선 인천, 신창 또는 서동탄 방면 (신설동) |
북행 서울 지하철 1호선 소요산, 의정부 또는 광운대 방면 (청량리) |
개찰구는 지하 1층에 동쪽과 서쪽에 각각 1곳씩 있으며, 화장실은 동쪽 개찰구 밖에 1곳 있다.
3. 3. 승강장
제기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정릉천 아래에 지어져 1, 5, 6번 출구와 2, 3, 4번 출구가 분리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는 없다.
4. 역 주변
역 부근에는 한약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서울약령시장과 경동시장이 있다.
주요 시설 |
---|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19,932 | 19,807 | 19,902 | 20,005 | 21,569 | 21,532 | 20,269 | 19,845 | 19,894 | 18,699 | [6] |
하차 | 20,000 | 20,305 | 20,417 | 20,290 | 21,425 | 21,517 | 20,834 | 20,481 | 20,725 | 19,759 | ||
승하차 | 39,932 | 40,112 | 40,319 | 40,295 | 42,994 | 43,049 | 41,103 | 40,326 | 40,618 | 38,458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1호선 | 승차 | 19,378 | 19,977 | 19,310 | 19,817 | 20,082 | 19,775 | 19,450 | 19,994 | 20,470 | ||
하차 | 20,197 | 20,666 | 19,820 | 20,407 | 20,689 | 20,237 | 19,825 | 20,465 | 20,945 | |||
승하차 | 39,575 | 40,643 | 39,130 | 40,224 | 40,771 | 40,012 | 39,275 | 40,459 | 41,415 |
제기동역의 최근 1일 평균 이용객 수 변화는 위 표와 같다. 2000년 수치는 8월 7일 개통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평균이다.[6]
6.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1호선 | ||
---|---|---|
청량리 | 연천, 광운대, 청량리 방면 | 신설동 |
신설동 | 인천, 서동탄, 신창 방면 |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124) |
-- 1호선 | ||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124) - 제기동역 (125) - 신설동역 (126) |
7. 사진
참조
[1]
뉴스
제기동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9-24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3]
웹사이트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https://web.archive.[...]
2009-10-11
[4]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5]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6]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