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1호 ~ 제2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1호 ~ 제200호)는 북한이 지정한 국보 중 101호부터 200호까지의 목록을 다루며, 금강산 장연사 삼층탑, 묘길상, 함흥본궁, 만월대, 공민왕릉, 개성 남문, 덕흥리 벽화무덤, 북관대첩비 등 다양한 유적과 유물을 포함한다. 이 목록은 통일신라, 고려, 조선,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 다양한 시대의 건축물, 불교 유적, 왕릉, 고분, 비석, 그리고 기타 유물을 아우르며, 지역별로는 강원도,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개성 등에 분포되어 있다. 특히 고구려 고분군, 개성 역사유적지구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2. 지정 목록 (제101호 ~ 제193호)

wikitext

북한은 문화재를 국보, 보물, 유물, 유적 등으로 분류하며, 이 중 국보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사진명칭소재지시대비고
101호금강산 장연사 삼층탑강원도 금강군 내강리통일신라
102호
150px
묘길상강원도 금강군 내강리고려
103호가학루강원도 안변군 안변읍통일신라
104호안변 보현사강원도 안변군 령신리통일신라
105호명적사 대웅전강원도 원산시 영삼리신라
106호주둔리 무지개다리강원도 고성군 주둔리고려
107호
150px
함흥본궁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조선
108호구천각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고려
109호선화당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조선
110호황초령 진흥왕 순수비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함흥력사박물관신라
111호마운령 진흥왕 순수비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함흥력사박물관신라
112호정광사함경남도 리원군 원사리조선
113호량천사함경남도 고원군 락천리통일신라
114호군자루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조선
115호룡흥사함경남도 영광군 봉흥리 백운산고려
116호동덕사함경남도 단천군 두연리고려
117호공민루함경남도 단천시 양산동조선
118호경성읍성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고려
119호경성읍성 남문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고려
120호개심사함경북도 명천군 보천리 칠보산조선
121호화성 쌍계사함경북도 화성군 부암리고려
122호만월대개성시 송악동고려
123호
150px
공민왕릉개성시 개풍군 해선리고려
124호
150px
개성 남문개성시 북안동조선
125호관음사 대웅전개성시 박연리 대흥산성 내고려
126호대흥산성개성시 박연리고려
127호
150px
개성 성균관개성시 방직동고려
128호숭양서원개성시 선죽동고려
129호발어참성개성시 송악동통일신라
130호개성 나성개성시 송악동고려
131호개성 첨성대개성시 송악동고려
132호흥국사탑개성시 박직동 고려박물관고려
133호영통사 오층석탑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고려
134호화장사 부도개성시 룡흥리 보봉산 화장사고려
135호불일사 오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고려
136호연복사종개성시 북안동 남대문 문루고려
137호
150px
적조사 쇠부처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고려
138호표충비개성시 선죽동조선
139호현화사 칠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고려
140호글자 새긴 성돌평양시 중구역 종로동고구려
141호
150px
영산전자강도 향산군 향암리고려
142호김응서집자강도 향산군 향암리조선
143호수충사자강도 향산군 향암리조선
144호
150px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자강도 향산군 향암리고려
145호경암루황해북도 사리원시 경암동조선
146호칠렬사터평안북도 안주시 안주읍미상
147호중흥사 당간지주평양시 모란봉구역 인흥동고구려
148호영명사 팔각 석불감평양시 모란봉구역 개선동고려
149호묘향산 보현산비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고려
150호광제사 대웅전함경남도 북청군 죽상리조선
151호현화사비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고려
152호광통 보제선사비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무선봉 남쪽고려
153호오룡사 법경대사비개성시 룡흥리 용암산 오룡산터고려
154호관음사 대리석관음보살상평양시 중구역 대동문동 중앙력사박물관고려
155호영통사 대각국사비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고려
156호
150px
덕흥리 벽화무덤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고구려세계유산
157호진북루량강도 갑산군 갑산읍조선
158호안주성 내성평안남도 안주시 안주읍고구려
159호
150px
선죽교개성시 선죽동고려
160호고구려 나무다리평양시 대성구역 휴암동과 천호동 사이고구려
161호덕화리 1호무덤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고구려세계유산
162호유점사종강원도 고성군 월비산리조선
163호룡화사평양시 모란봉구역 개선동고려
164호광법사평양시 대성구역 대성동고구려
165호봉천군 원산리 1호 자기가마터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고려
166호봉천군 원산리 2호 자기가마터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고려
167호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고려
168호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고려
169호자혜사 오층탑황해남도 신천군 서원리고려
170호자혜사 돌등황해남도 신천군 서원리고려
171호패엽사황해남도 안악군 패엽리통일신라
172호고산동 우물평양시 대성구역 고산동고구려
173호
150px
정릉사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고구려
174호
150px
단군릉평양시 강동군 문흥리고구려
175호용산리 고인돌평안남도 성천군 룡산리청동기
176호석왕사 호지문강원도 고산군 설봉리조선
177호안양암 마애삼존불상강원도 금강군 내강리고려
178호고성 온정리 마애불입상강원도 고성군 온정리고려
179호
150px
왕건왕릉개성시 개풍군 해선리고려
180호온달 장군과 평원왕 공주의 묘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고구려세계유산
181호장군 고흘의 무덤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고구려세계유산
182호향단리 돌관무덤평양시 강동군 향단리청동기
183호황대성과 고인돌평양시 강동군 향목리 남양청동기
184호정릉사 팔각칠층석탑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고구려
185호광법사 오층탑평양시 대성구역 대성동고려
186호정양사 삼층탑강원도 금강군 내강리통일신라
187호청해토성터함경남도 북청군 하호리발해
188호화성동제단평양시 룡성구역 화성동고조선
189호삼성사황해남도 안악군 패엽리 구월산조선
190호룡강큰무덤남포시 룡강군 룡강읍고구려
191호신계사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신라
192호령통사개성시 룡흥리고려
193호
150px
북관대첩비함경북도 김책시 림명리조선


2. 1. 개요

2. 2. 주요 유적 및 유물


  • 가학루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 소재,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 시대 누각으로, 안변 지역의 중요한 역사적 유적이다.
  • 안변 보현사 (강원도 안변군 령신리 소재, 통일신라 시대): 신라 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로,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중수되었다. 한국전쟁으로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일부 건축물과 유물이 남아있다.
  • 명적사 대웅전 (강원도 원산시 영삼리 소재, 신라 시대): 신라 시대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함흥본궁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 소재, 조선 시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출생지로, 조선 왕조의 중요한 유적 중 하나이다.

  • 구천각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건축물로, 함흥 지역의 대표적인 누각이다.
  • 함흥 선화당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함흥부의 관아 건물로, 정무를 보던 중심 건물이다.
  • 정광사 (함경남도 리원군 원사리 소재,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건립된 사찰로, 웅장한 규모와 아름다운 건축미를 자랑한다.
  • 군자루 (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금야군의 객사 건물로, 유려한 건축 양식이 돋보인다.
  • 공민루 (함경남도 단천시 양산동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단천군의 객사 건물로, 단천 지역의 중요한 역사적 유적이다.
  • 경성읍성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축조된 읍성으로, 북방 방어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 경성읍성 남문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축조된 경성읍성의 남문으로, 읍성의 방어 시설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개심사(함경북도 명천군 보천리 칠보산 소재, 조선 시대)
  • 관음사 대웅전 (개성시 박연리 대흥산성 내 소재, 고려 시대): 고려 후기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 대흥산성 (개성시 박연리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대흥산에 축조된 산성으로, 개성 방어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 발어참성 (개성시 송악동 소재,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 시대에 축조된 석성으로, 개성 지역의 초기 방어 시설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개성 나성 (개성시 송악동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개성의 외곽을 둘러싼 성곽으로, 개성의 방어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자강도 향산군 향암리 소재, 고려 시대): 묘향산 보현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으로, 화려하면서도 정교한 조형미가 돋보인다.

  • 경암루 (황해북도 사리원시 경암동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사리원 지역의 대표적인 누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 광제사 대웅전 (함경남도 북청군 죽상리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불교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진북루 (량강도 갑산군 갑산읍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갑산군의 객사 건물로, 웅장한 규모와 아름다운 건축미를 자랑한다.
  • 안주성 내성 (평안남도 안주시 안주읍 소재, 고구려 시대): 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안주성의 내성으로, 안주 지역의 방어 시설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석왕사 호지문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건축물로 웅장하고 정교하다.
  • 신계사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소재, 신라 시대):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며, 특히 조선 순조 때 크게 중건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로 꼽혔다.


=== 불교 유적 ===

  • 금강산 장연사 삼층탑 (국보 제101호): 통일신라 시대에 건립된 탑이다.
  • 묘길상 (국보 제102호): 고려 시대에 제작된 마애불상이다.
  • 연복사종 (국보 제136호): 고려 시대 범종이다.
  • 적조사 쇠부처 (국보 제137호): 고려시대 철불이다.
  • 현화사 칠층탑 (국보 제139호): 고려 시대 석탑으로, 개성 고려박물관에 있다.
  • 영명사 팔각 석불감 (국보 제148호): 고려시대 석불감이다.
  • 관음사 대리석관음보살상 (국보 제154호): 고려 시대에 제작된 관음보살상이다.
  • 영통사 오층석탑 (국보 제133호): 고려 시대 석탑으로, 영통사에 위치해 있다.
  • 불일사 오층탑 (국보 제135호): 고려 시대 석탑으로, 개성시 고려박물관에 있다.
  • 자혜사 오층탑 (국보 제169호): 고려 시대 석탑이다.
  • 유점사종 (국보 제162호): 조선 시대 범종이다.
  • 안양암 마애삼존불상 (국보 제177호): 고려시대 마애불이다.
  • 고성 온정리 마애불입상 (국보 제178호): 고려시대 마애불이다.
  • 정릉사 팔각칠층석탑 (국보 제184호): 정릉사에 있는 고구려 시대 석탑이다.
  • 광법사 오층탑 (국보 제185호): 광법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 정양사 삼층탑 (국보 제186호): 통일신라 시대 석탑이다.


=== 왕릉 및 고분 ===

  • 공민왕릉은 고려 공민왕의 무덤으로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다.
  • 왕건왕릉은 고려 태조 왕건의 무덤으로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다.
  • 단군릉은 고조선의 시조 단군의 무덤으로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에 있으며, 고구려 시대에 다시 축조되었다.
  • 덕흥리 벽화무덤은 고구려 시대의 무덤으로,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에 위치하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룡강큰무덤은 남포시 룡강군 룡강읍에 있는 고구려 고분이다.
  • 온달 장군과 평원왕 공주의 묘와 장군 고흘의 무덤은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있는 고구려 고분이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덕화리 1호무덤은 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에 있는 고구려 고분으로, 세계유산이다. 이들은 모두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용산리 고인돌은 평안남도 성천군 룡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이다.
  • 황대성과 고인돌은 평양시 강동군 향목리 남양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다.
  • 향단리 돌관무덤은 평양시 강동군 향단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이다.


=== 비석 ===

=== 기타 ===

  • 106호 주둔리 무지개다리 (고려, 강원도 고성군 주둔리)
  • 131호 개성 첨성대 (고려)
  • 140호 글자 새긴 성돌 (고구려, 평양시 중구역 종로동)
  • 159호 선죽교 (고려, 개성시 선죽동)
  • 160호 고구려 나무다리 (고구려, 평양시 대성구역 휴암동과 천호동 사이)
  • 165호 봉천군 원산리 1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66호 봉천군 원산리 2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67호 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68호 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72호 고산동 우물 (고구려, 평양시 대성구역 고산동)
  • 187호 청해토성터 (발해, 함경남도 북청군 하호리)
  • 188호 화성동제단 (고조선, 평양시 룡성구역 화성동)

2. 2. 1. 건축물

wikitext

  • 안변 보현사 (강원도 안변군 령신리 소재, 통일신라 시대): 신라 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로,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중수되었다. 한국전쟁으로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으나, 일부 건축물과 유물이 남아있다.
  • 명적사 대웅전 (강원도 원산시 영삼리 소재, 신라 시대): 신라 시대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정광사 (함경남도 리원군 원사리 소재,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건립된 사찰로, 웅장한 규모와 아름다운 건축미를 자랑한다.
  • 개심사(함경북도 명천군 보천리 칠보산 소재, 조선 시대)
  • 관음사 대웅전 (개성시 박연리 대흥산성 내 소재, 고려 시대): 고려 후기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자강도 향산군 향암리 소재, 고려 시대): 묘향산 보현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으로, 화려하면서도 정교한 조형미가 돋보인다.

  • 광제사 대웅전 (함경남도 북청군 죽상리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불교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석왕사 호지문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건축물로 웅장하고 정교하다.
  • 신계사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 소재, 신라 시대):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며, 특히 조선 순조 때 크게 중건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로 꼽혔다.
  • 함흥본궁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 소재, 조선 시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출생지로, 조선 왕조의 중요한 유적 중 하나이다.

  • 함흥 선화당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함흥부의 관아 건물로, 정무를 보던 중심 건물이다.
  • 경성읍성 남문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축조된 경성읍성의 남문으로, 읍성의 방어 시설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진북루 (량강도 갑산군 갑산읍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갑산군의 객사 건물로, 웅장한 규모와 아름다운 건축미를 자랑한다.
  • 가학루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 소재,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 시대 누각으로, 안변 지역의 중요한 역사적 유적이다.
  • 구천각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건축물로, 함흥 지역의 대표적인 누각이다.
  • 군자루 (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금야군의 객사 건물로, 유려한 건축 양식이 돋보인다.
  • 공민루 (함경남도 단천시 양산동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단천군의 객사 건물로, 단천 지역의 중요한 역사적 유적이다.
  • 경암루 (황해북도 사리원시 경암동 소재, 조선 시대): 조선시대 사리원 지역의 대표적인 누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 경성읍성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축조된 읍성으로, 북방 방어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 대흥산성 (개성시 박연리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대흥산에 축조된 산성으로, 개성 방어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 발어참성 (개성시 송악동 소재, 통일신라 시대): 통일신라 시대에 축조된 석성으로, 개성 지역의 초기 방어 시설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개성 나성 (개성시 송악동 소재, 고려 시대): 고려시대 개성의 외곽을 둘러싼 성곽으로, 개성의 방어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안주성 내성 (평안남도 안주시 안주읍 소재, 고구려 시대): 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안주성의 내성으로, 안주 지역의 방어 시설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2. 2. 2. 불교 유적


  • 금강산 장연사 삼층탑 (국보 제101호): 통일신라 시대에 건립된 탑이다.
  • 묘길상 (국보 제102호): 고려 시대에 제작된 마애불상이다.
  • 영통사 오층석탑 (국보 제133호): 고려 시대 석탑으로, 영통사에 위치해 있다.
  • 불일사 오층탑 (국보 제135호): 고려 시대 석탑으로, 개성시 고려박물관에 있다.
  • 현화사 칠층탑 (국보 제139호): 고려 시대 석탑으로, 개성시 고려박물관에 있다.
  •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 (국보 제144호): 고려시대 석탑이다.
  • 자혜사 오층탑 (국보 제169호): 고려 시대 석탑이다.
  • 정릉사 팔각칠층석탑 (국보 제184호): 정릉사에 있는 고구려 시대 석탑이다.
  • 광법사 오층탑 (국보 제185호): 광법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 정양사 삼층탑 (국보 제186호): 통일신라 시대 석탑이다.
  • 적조사 쇠부처 (국보 제137호): 고려시대 철불이다.
  • 관음사 대리석관음보살상 (국보 제154호): 고려 시대에 제작된 관음보살상이다.
  • 안양암 마애삼존불상 (국보 제177호): 고려시대 마애불이다.
  • 고성 온정리 마애불입상 (국보 제178호): 고려시대 마애불이다.
  • 영명사 팔각 석불감 (국보 제148호): 고려시대 석불감이다.
  • 연복사종 (국보 제136호): 고려 시대 범종이다.
  • 유점사종 (국보 제162호): 조선 시대 범종이다.

2. 2. 3. 왕릉 및 고분



공민왕릉은 고려 공민왕의 무덤으로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다. 왕건왕릉은 고려 태조 왕건의 무덤으로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다. 단군릉은 고조선의 시조 단군의 무덤으로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에 있으며, 고구려 시대에 다시 축조되었다.

덕흥리 벽화무덤은 고구려 시대의 무덤으로,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에 위치하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룡강큰무덤은 남포시 룡강군 룡강읍에 있는 고구려 고분이다. 온달 장군과 평원왕 공주의 묘와 장군 고흘의 무덤은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있는 고구려 고분이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덕화리 1호무덤은 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에 있는 고구려 고분으로, 세계유산이다. 이들은 모두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용산리 고인돌은 평안남도 성천군 룡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이다. 황대성과 고인돌은 평양시 강동군 향목리 남양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다. 향단리 돌관무덤은 평양시 강동군 향단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이다.

2. 2. 4. 비석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이 황초령에 세운 순수비이다. 현재 함흥력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역시 진흥왕이 마운령에 세운 순수비로, 함흥력사박물관에 있다. 표충비는 조선시대 정몽주 등 충신을 기리기 위해 개성에 세워졌다. 현화사비는 고려시대 현화사의 역사를 기록한 비석으로, 개성 고려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광통 보제선사비는 고려 광종 때 법인국사의 탑비로 개성에 있다. 오룡사 법경대사비는 고려시대 오룡사의 법경대사를 기리는 비석으로 개성에 있다. 영통사 대각국사비는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으로 개성에 있다. 묘향산 보현산비는 고려시대 보현사의 역사를 기록한 비석으로 평안북도 향산군에 있다. 북관대첩비임진왜란 당시 정문부함경북도에서 가토가 이끄는 일본군을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이다. 원래 함경북도 김책시에 있었으나, 러일 전쟁 중 일본군에 의해 약탈되었다가 반환되었다.

2. 2. 5. 기타


  • 131호 개성 첨성대 (고려)
  • 140호 글자 새긴 성돌 (고구려, 평양시 중구역 종로동)
  • 106호 주둔리 무지개다리 (고려, 강원도 고성군 주둔리)
  • 159호 선죽교 (고려, 개성시 선죽동)
  • 160호 고구려 나무다리 (고구려, 평양시 대성구역 휴암동과 천호동 사이)
  • 172호 고산동 우물 (고구려, 평양시 대성구역 고산동)
  • 165호 봉천군 원산리 1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66호 봉천군 원산리 2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67호 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68호 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 (고려,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
  • 187호 청해토성터 (발해, 함경남도 북청군 하호리)
  • 188호 화성동제단 (고조선, 평양시 룡성구역 화성동)

2. 3. 지역별 분포


  • 강원도

금강산 장연사 삼층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탑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1호이다.

묘길상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2호이다.

가학루는 통일신라 시대에 건립된 누각으로,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에 위치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3호이다.

안변 보현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강원도 안변군 령신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4호이다.

명적사 대웅전은 신라 시대에 건립된 대웅전으로 강원도 원산시 영삼리에 위치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5호이다.

주둔리 무지개다리는 고려 시대에 건설된 다리로, 강원도 고성군 주둔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6호이다.

유점사종은 조선 시대의 범종으로, 강원도 고성군 월비산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2호이다.

석왕사 호지문은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문으로,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6호이다.

안양암 마애삼존불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7호이다.

고성 온정리 마애불입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8호이다.

정양사 삼층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탑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6호이다.

신계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1호이다.

  • 함경도


함흥본궁은 조선 이성계의 고향인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에 위치한 왕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7호이다.

구천각은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에 있는 고려시대 누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8호이다.

선화당은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9호이다.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마운령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이 함경남도 지역을 순시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이다. 현재는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함흥력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0호, 제111호이다.

정광사는 함경남도 리원군 원사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2호이다.

량천사는 함경남도 고원군 락천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3호이다.

군자루는 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4호이다.

룡흥사는 함경남도 영광군 봉흥리 백운산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5호이다.

동덕사는 함경남도 단천군 두연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6호이다.

공민루는 함경남도 단천시 양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7호이다.

경성읍성과 경성읍성 남문은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에 있는 고려시대 성곽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18호, 제119호이다.

개심사는 함경북도 명천군 보천리 칠보산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0호이다.

화성 쌍계사는 함경북도 화성군 부암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1호이다.

광제사 대웅전은 함경남도 북청군 죽상리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0호이다.

청해토성터는 함경남도 북청군 하호리에 있는 발해 시대의 토성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7호이다.

북관대첩비는 함경북도 김책시 림명리에 있는 조선시대 비석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3호이다.

  • 평안도

  • 평양시
  • * 글자 새긴 성돌 : 평양시 중구역 종로동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유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0호이다.
  • * 관음사 대리석관음보살상 : 평양시 중구역 대동문동 중앙력사박물관에 위치한 고려시대 유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4호이다.
  • * 고구려 나무다리 : 평양시 대성구역 휴암동과 천호동 사이에 위치한 고구려 유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0호이다.
  • * 광법사 : 평양시 대성구역 대성동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사찰이다. 광법사 오층탑은 고려시대 유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4호, 제185호이다.
  • * 고산동 우물 : 평양시 대성구역 고산동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의 우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2호이다.
  • * 정릉사 :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위치한 고구려의 절이다. 정릉사 팔각칠층석탑은 고구려 유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3호, 제184호이다.
  • * 단군릉 :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의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4호이다.
  • * 온달 장군과 평원왕 공주의 묘 :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위치한 고구려의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0호이다.
  • * 장군 고흘의 무덤 :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위치한 고구려의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1호이다.
  • * 향단리 돌관무덤 : 평양시 강동군 향단리에 위치한 청동기 시대의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2호이다.
  • * 황대성과 고인돌 : 평양시 강동군 향목리 남양에 위치한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3호이다.
  • * 화성동제단 : 평양시 룡성구역 화성동에 위치한 고조선의 제단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8호이다.
  • 안주시
  • * 안주성 내성 : 평안남도 안주시 안주읍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성곽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8호이다.
  • * 칠렬사터 : 평안북도 안주시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6호이다.
  • 향산군 (묘향산)
  • * 보현사 : 묘향산에 있는 사찰로, 보현사 영산전과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은 고려시대 유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1호, 제144호이다.
  • * 김응서집 : 자강도 향산군 향암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건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2호이다.
  • * 수충사 : 자강도 향산군 향암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사당 건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3호이다.
  • * 묘향산 보현산비 :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비석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9호이다.
  • 기타
  • * 중흥사 당간지주 : 평양시 모란봉구역 인흥동에 위치한 고구려 유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7호이다.
  • * 영명사 팔각 석불감 : 평양시 모란봉구역 개선동에 위치한 고려시대 유물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8호이다.
  • * 룡화사 : 평양시 모란봉구역 개선동에 위치한 고려시대 절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3호이다.
  • * 용산리 고인돌 : 평안남도 성천군 룡산리에 위치한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5호이다.

  • 황해도

  • 경암루는 조선 시대 건축물로, 황해북도 사리원시 경암동에 위치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45호이다.
  • 봉천군 원산리 1호 자기가마터는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자기가마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5호이다.
  • 봉천군 원산리 2호 자기가마터는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자기가마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6호이다.
  • 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는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자기가마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7호, 제168호이다.
  • 자혜사 오층탑은 황해남도 신천군 서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오층탑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9호이다.
  • 자혜사 돌등은 황해남도 신천군 서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등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0호이다.
  • 패엽사는 황해남도 안악군 패엽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1호이다.
  • 삼성사는 황해남도 안악군 패엽리 구월산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9호이다.

  • 개성

  • 만월대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 송악동에 위치한 고려 왕궁터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2호이다.
  • 공민왕릉(공민왕의 무덤)은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으며, 고려 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3호이다.
  • 개성 남문은 개성시 북안동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성문으로, 1391년부터 1393년까지 축조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4호이다.
  • 관음사 대웅전은 개성시 박연리 대흥산성에 위치하며, 고려 시대에 창건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5호이다.
  • 개성 성균관은 개성시 방직동에 위치한 고려 시대의 교육 기관으로, 국자감의 후신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7호이다.
  • 숭양서원은 개성시 선죽동에 위치하며, 고려 말 충신 정몽주를 배향하는 서원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8호이다.
  • 선죽교는 개성시 선죽동에 위치한 고려 시대의 다리로, 정몽주가 피살된 장소로 유명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9호이다.
  • 대흥산성(개성시 박연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6호이다.
  • 발어참성(개성시 송악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29호이다.
  • 개성 나성(개성시 송악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0호이다.
  • 개성 첨성대(개성시 송악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1호이다.
  • 흥국사탑(개성시 박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2호이다.
  • 영통사 오층석탑(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3호이다.
  • 화장사 부도(개성시 룡흥리 보봉산 화장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4호이다.
  • 불일사 오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5호이다.
  • 연복사종(개성시 북안동 남대문 문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6호이다.
  • 적조사 쇠부처(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7호이다.
  • 표충비(개성시 선죽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8호이다.
  • 현화사 칠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9호이다.
  • 현화사비(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1호이다.
  • 광통 보제선사비(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무선봉 남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2호이다.
  • 오룡사 법경대사비(개성시 룡흥리 용암산 오룡산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3호이다.
  • 영통사 대각국사비(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5호이다.
  • 덕흥리 벽화무덤 :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에 위치한 고구려 벽화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6호이다.
  • 왕건왕릉(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9호이다.
  • 령통사(개성시 룡흥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2호이다.

  • 량강도
  • * 진북루 : 량강도 갑산군 갑산읍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누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7호이다.

  • 남포
  • * 룡강큰무덤 : 남포시 룡강군 룡강읍에 위치한 고구려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0호이다.

2. 3. 1. 강원도


  • 금강산 장연사 삼층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탑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1호이다.
  • 묘길상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2호이다.
  • 가학루는 통일신라 시대에 건립된 누각으로,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에 위치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3호이다.
  • 안변 보현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강원도 안변군 령신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4호이다.
  • 주둔리 무지개다리는 고려 시대에 건설된 다리로, 강원도 고성군 주둔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6호이다.
  • 유점사종은 조선 시대의 범종으로, 강원도 고성군 월비산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2호이다.
  • 석왕사 호지문은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문으로,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6호이다.
  • 안양암 마애삼존불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7호이다.
  • 고성 온정리 마애불입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8호이다.
  • 정양사 삼층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탑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6호이다.
  • 신계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1호이다.

2. 3. 2. 함경도



함흥본궁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고향인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에 위치한 왕궁이다. 이성계는 왕이 되기 전에 이곳에서 살았으며, 왕위에 오른 후에도 여러 차례 이곳에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구천각은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에 있는 고려시대 누각이다. 함흥시 중심부를 굽어보는 경치 좋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선화당은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다. 함경도 관찰사가 행정을 처리하던 곳으로, 1399년에 처음 지어졌고 1765년에 다시 지어졌다.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마운령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이 함경남도 지역을 순시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이다. 현재는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함흥력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정광사는 함경남도 리원군 원사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가 1632년에 다시 지어졌다.

량천사는 함경남도 고원군 락천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사찰이다.

군자루는 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이다.

룡흥사는 함경남도 영광군 봉흥리 백운산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동덕사는 함경남도 단천군 두연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공민루는 함경남도 단천시 양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이다.

경성읍성과 경성읍성 남문은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에 있는 고려시대 성곽이다. 조선시대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심사는 함경북도 명천군 보천리 칠보산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화성 쌍계사는 함경북도 화성군 부암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광제사 대웅전은 함경남도 북청군 죽상리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이다.

청해토성터는 함경남도 북청군 하호리에 있는 발해 시대의 토성이다.

북관대첩비는 함경북도 김책시 림명리에 있는 조선시대 비석이다.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운 정문부 장군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원래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었으나, 러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일본으로 가져갔다가 1978년 북한으로 반환되었고, 2005년 10월 남북 합의에 따라 대한민국으로 다시 반환되어 현재는 대한민국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2. 3. 3. 평안도


  • 평양시
  • * 글자 새긴 성돌 : 평양시 중구역 종로동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유적이다.
  • * 광법사 : 평양시 대성구역 대성동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사찰이다. 광법사 오층탑은 고려시대 유물이다.
  • * 정릉사 :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위치한 고구려의 절이다. 정릉사 팔각칠층석탑은 고구려 유물이다.
  • * 단군릉 :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의 무덤이다.
  • 안주시
  • * 안주성 내성 : 평안남도 안주시 안주읍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성곽이다.
  • * 칠렬사터 : 평안북도 안주시에 있다.
  • 향산군 (묘향산)
  • * 보현사 : 묘향산에 있는 사찰로,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탑은 고려시대 유물이다.

2. 3. 4. 황해도


  • 경암루는 조선 시대 건축물로, 황해북도 사리원시 경암동에 위치한다.

  • 봉천군 원산리 1호 자기가마터는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자기가마터이다.
  • 봉천군 원산리 2호 자기가마터는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자기가마터이다.
  • 봉천군 원산리 3호 자기가마터는 황해남도 봉천군 원산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자기가마터이다.

  • 자혜사 오층탑은 황해남도 신천군 서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오층탑이다.
  • 자혜사 돌등은 황해남도 신천군 서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등이다.

  • 패엽사는 황해남도 안악군 패엽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사찰이다.

  • 삼성사는 황해남도 안악군 패엽리 구월산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2. 3. 5. 개성

만월대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 송악동에 위치한 고려 왕궁터이다. 공민왕릉(공민왕의 무덤)은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으며, 고려 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개성 남문은 개성시 북안동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성문으로, 1391년부터 1393년까지 축조되었다. 관음사 대웅전은 개성시 박연리 대흥산성에 위치하며, 고려 시대에 창건되었다.

개성 성균관은 개성시 방직동에 위치한 고려 시대의 교육 기관으로, 국자감의 후신이다. 숭양서원은 개성시 선죽동에 위치하며, 고려 말 충신 정몽주를 배향하는 서원이다. 선죽교는 개성시 선죽동에 위치한 고려 시대의 다리로, 정몽주가 피살된 장소로 유명하다. 이 외에도 대흥산성(개성시 박연리), 발어참성(개성시 송악동), 개성 나성(개성시 송악동), 개성 첨성대(개성시 송악동), 흥국사탑(개성시 박직동 고려박물관), 영통사 오층석탑(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화장사 부도(개성시 룡흥리 보봉산 화장사), 불일사 오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연복사종(개성시 북안동 남대문 문루), 적조사 쇠부처(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표충비(개성시 선죽동), 현화사 칠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현화사비(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광통 보제선사비(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무선봉 남쪽), 오룡사 법경대사비(개성시 룡흥리 용암산 오룡산터), 영통사 대각국사비(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왕건왕릉(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령통사(개성시 룡흥리) 등 다양한 유적들이 개성에 남아있다.

2. 4. 세계유산

고구려 고분군은 덕흥리 벽화무덤, 온달 장군과 평원왕 공주의 묘, 장군 고흘의 무덤 등 고구려 시대의 벽화무덤이다. 개성 역사유적지구에는 고려의 왕궁터인 만월대공민왕릉, 개성 성균관, 숭양서원 등이 있다.

3. 남북 문화유산 교류 및 협력의 중요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