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는 조선로동당의 일당 지배 체제 하에 최고지도자가 모든 권력을 장악하는 형태이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습 체제를 통해 최고지도자가 국가를 통치하며, 조선로동당은 국가 정책 결정 및 집행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주체사상과 선군정치를 주요 이념으로 하며, 최고인민회의, 국무위원회, 내각 등의 국가 기구가 존재하지만, 실제 권력은 최고지도자와 조선로동당에 집중되어 있다. 대외적으로는 대한민국, 미국 등과의 적대적 관계와 핵 개발 문제로 인한 국제적 고립을 겪고 있으며, 중국, 러시아 등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
---|---|
기본 정보 | |
정치 체제 | 단일 일당제 사회주의 공화국 |
헌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
집권 정당 | 조선로동당 |
최고 지도자 | 김정은 |
당 최고 기관 | 당 대회 |
당 최고 상설 기관 | 중앙위원회 |
당 정치 기관 | 정치국 |
당 집행 기관 | 비서국 |
당 군사 기관 | 중앙군사위원회 |
최고 주권 기관 | 최고인민회의 |
최고 주권 기관 형태 | 단원제 |
최고 주권 기관 위치 | 만수대의사당, 평양 |
최고 주권 기관 상임 기관 | 상임위원회 |
최고 주권 기관 상임 위원장 | 최룡해 |
행정부 | 내각 |
행정부 수반 직함 | 총리 |
현 행정부 수반 | 김덕훈 |
행정부 수반 임명 기관 | 최고인민회의 |
군사 | 중앙군사위원회 |
군 최고 지도자 | 김정은 |
사법부 | 중앙재판소 |
중앙재판소 소장 | 최긍년 (재판소장) |
중앙재판소 위치 | 평양 |
감사 기관 | 중앙검사위원회 |
정치 관련 정보 | |
검열 | '' |
인권 | '' |
김씨 왕조 | (10대 원칙) |
선전 | '' |
불법 행위 | '' |
법률 | '' |
사회안전성 | '' |
최근 선거 | |
의회 | 2009년 2014년 2019년 |
지방 | 2015년 2019년 2023년 |
대외 관계 | |
외무성 | 외무성 |
외무상 | 최선희 |
재외공관 | 재외공관 |
주재 외국공관 | 주재 외국공관 |
국적법 | 국적법 |
여권 | 려권 |
한반도 분쟁 | 한반도 분쟁 |
남북통일 | 남북통일 |
2.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기본 국가 운영 원칙은 '국가는 당이 영도하고 당은 수령이 영도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조선로동당이 국가를 이끌고, 당은 최고 지도자인 수령이 이끈다.
조선로동당은 전 인민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정책을 실현한다. 최고인민회의는 국가 최고 권력 기관이며, 헌법에도 이러한 권리가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치 체제는 대통령제나 내각제와는 다른 '회의제'로 볼 수 있으며, 과거 소련의 최고 소비에트나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유사하다.
최고인민회의는 내각의 조직 및 인사권을 행사하는 상임위원회 위원과 국방위원회 위원을 선거로 선출한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최고인민회의의 형식적 역할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으로, 1998년 헌법 개정을 통해 명칭이 변경되고 권한이 강화되었다.
북한은 냉전 시기 소련, 중화인민공화국과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주체사상''에 따라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했으며, 군대에 많은 투자를 했다.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 이후 북한은 장기간의 경제 위기를 겪었다. 최근에는 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경제적 지원을 얻으려 노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핵무기 및 탄도 미사일 개발로 인해 대한민국 및 미국과의 관계는 불안정하다. 북한은 시장 경제를 일부 도입하기도 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정부에 대한 반대 의견이 있다는 보도가 가끔 있지만, 이는 고립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 정부에 대한 주요 내부 위협의 증거는 없다. 조선로동당은 여전히 정치 권력을 독점하고 있다.
김정일 시대에는 군대의 위상이 더욱 강화되었고, 북한 정치 시스템의 중심이 되었다. 모든 사회는 군의 정신을 따르고 군사적 방법을 채택하도록 강요받았다. 김정일의 공개 활동은 군 관련 장소와 행사에 대한 "현지 지도"에 집중되었다.
학술적인 경제 저널인 경제연구와 김일성종합대학의 철학 및 경제 저널은 정부 각 부처의 다양한 견해 발표와 토론을 허용하고 있다.[29]
2. 1. 김일성 시대 (1948년 ~ 1994년)
김일성은 1948년 북한 정권 수립 이후 1994년 사망할 때까지 46년간 북한을 통치했다.[16] 그는 1949년부터 1994년까지 조선로동당 총비서(1949년부터 1972년까지는 위원장), 1948년부터 1972년까지 내각총리, 1972년부터 1994년까지 주석을 역임했다.[16]김일성은 주체사상을 내세워 자력갱생 노선을 강화하고 1인 지배 체제를 공고히 했으며, 아들 김정일에게 권력을 세습했다.[16] 1972년에는 국가 주석직을 신설하여 김일성이 취임하였다.[50]
사진 | 이름 | 임기 | 정당 |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1948년 - 1972년) | |||
![]() | 김두봉 | 1948년 9월 8일 – 1957년 9월 20일 | 조선로동당 |
![]() | 최용건 | 1957년 9월 20일 – 1972년 12월 28일 | 조선사회민주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1972년 - 1994년) | |||
![]() | 김일성 | 1972년 12월 28일 – 1994년 7월 8일 | 조선로동당 |
2. 2. 김정일 시대 (1994년 ~ 2011년)
김일성 사망 이후 1994년부터 권력을 승계하여 2011년 사망할 때까지 북한을 통치한 김정일은 선군정치를 내세워 조선인민군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핵무기 개발을 추진하며 국제사회와 대립했다. 1998년 헌법 개정을 통해 국방위원회를 최고 권력 기구로 격상시키고, 국방위원장을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규정하였다.[16]김정일 시대에는 군대의 위상이 강화되어 북한 정치 시스템의 중심을 차지하는 것처럼 보였다. 모든 사회 부문은 군의 정신을 따르고 군사적 방법을 채택하도록 강요받았다. 김정일의 공개 활동은 군과 관련된 장소와 행사에 대한 "현지 지도"에 크게 집중되었다.[28]
1998년 9월 5일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 헌법을 개정하여 주석이 가지고 있던 외국에 대한 국가대표권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가지게 되었고, 중앙인민위원회가 폐지되면서 상훈권, 대사권, 특사권, 행정구역 개폐권 등의 권한도 갖게 되어 최고인민회의의 휴회 시 국가최고주권기관으로서의 위치를 가지게 되었다. 이로써 공식적인 국가수반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었으나, 사실상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국정을 주도하여 공식적 국가수반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실질적 주권자인 국방위원장 간의 괴리가 야기되는 현상이 벌어졌다.
1998년에 개정된 헌법에서는 국방위원회의 역할과 지위가 강조되었다. 김영남은 이 나라의 정치, 경제, 군사에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이 나라의 최고 지위라고 명언했다. 이로써 김정일은 현실적으로 국가의 지도자가 되었다. 한편, 외국 방문이나 외국 요인의 방북 시에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국가의 대표 역할을 맡았으며, 2019년까지 김영남이 그 임무를 수행했다.[28]
2. 3. 김정은 시대 (2011년 ~ 현재)
김정은은 2011년 김정일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하여 현재까지 북한을 통치하고 있다. 김정은은 초기에는 당 중심 통치로 회귀하는 듯했으나, 핵무기 및 탄도 미사일 개발을 지속하며 국제사회와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시장 경제 요소를 일부 도입하며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나, 여전히 권위주의적 통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34]김정은 시대에는 경제적 문제에 대한 강조가 증가했으며, 주요 국방 지출은 경제적 관점에서 지원을 받아야 했다.[29][34] 김정은은 아버지 김정일의 선군정치 스타일을 이어가고 있지만, 군사 통치에 대한 헌신은 덜하다. 김정은은 권력을 잡은 이후 조선인민군으로부터 정치 권력을 분산시키려 노력했으며, 이를 내각과 조선로동당에 분배했다. 이러한 정치적 노력으로 2012년 4월 조선로동당의 중앙위원회에서 권력 이동이 있었다. 위원 17명과 후보 위원 15명 중 군 및 보안 분야 출신은 위원 5명과 후보 위원 6명에 불과했다. 그 이후로 조선로동당, 내각 및 조선인민군의 경제적 권력은 긴장된 균형을 이루고 있다. 현재 정권은 김정일이 자신의 정권을 구축한 기반에서 지속적으로 벗어나고 있기 때문에 조선인민군은 상당한 양의 경제적 영향력을 잃었으며, 이는 추후 내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34]
2018년에는 평창 올림픽에 참가하여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 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및 탄도 미사일 개발 결정은 대한민국 및 미국과의 안정적인 관계를 막았다.[28]
3. 정치 체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로동당의 일당 지배 체제이며, 최고지도자가 모든 권력을 장악하고 있다. 국가주의적 통치를 위해 국무위원회, 내각,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라는 3개의 조직을 두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조선로동당이 모든 국가 정책을 지도하고 통제한다.[39][40][41]
국무위원회는 최고 정책 기구로서 행정, 입법, 사법 권한을 행사한다. 국무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 아니며, 대사 임명 및 소환권, 법령 공포권, 군 통수권, 계엄령 선포 및 조약 비준·폐기 권한, 국가 중요 간부 해임권을 가진다. 현재 국무위원장은 김정은이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최룡해, 내각 총리는 김재룡이다.
내각은 과거 정무원으로 불렸으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조직 및 인사권을 통해 구성되고 헌법에 의해 정부를 대표한다. 1998년 헌법 개정으로 내각으로 변경되었고, 201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신설 후 국무위원회 산하 기구가 되었다. 내각은 3위원회, 29성, 1원, 1은행, 2국과 필요에 따라 임명되는 무임소상으로 구성된다.
최고인민회의는 명목상 입법부이자 국가 권력의 최고 기관이지만, 실제로는 요식 선거이며 단독 후보 경선만 치러진다.[18] 모든 당선자는 조선로동당이 주도하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구성원이며, 조선로동당은 다른 정당 후보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한다.[5]
헌법은 인권 보호와 민주주의를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최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특권 계층이 권력을 독점하고, 정보 통제와 사상 교육을 통해 개인 숭배와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인권 유린이 행해지고 있다.[37]
김정일 시대에는 선군 정치가 강조되어 군의 지위가 높아졌지만, 김정은 시대에는 당의 역할이 다시 강화되었다.[42] 2016년 국방위원회가 폐지되고 국무위원회가 설치되면서, 김일성 집권 당시의 중앙인민위원회 정치 체제와 유사해졌다는 분석이 있다.[43][44][45][38]
조선로동당에 지도적 역할을 부여하는 소련형 사회주의(스탈린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다.[42] 당과 정부의 관계는 연속성과 변화를 겪어 왔지만, 가까운 미래에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3. 1. 최고지도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지도자는 국가의 모든 권력을 행사하는 최고 권력자이다. 김일성 (1948년 ~ 1994년), 김정일 (1994년 ~ 2011년), 김정은 (2011년 ~ )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은 조선로동당 총비서, 국무위원회 위원장 등 주요 직책을 겸임한다.[37] 김일성의 혈족은 '혁명의 성지'로 여겨지는 백두산의 이름을 딴 백두혈통으로 불리며, 이 혈통을 가진 자 및 그 가족은 막대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37]
김일성은 1948년부터 1994년 사망할 때까지 북한을 통치했으며, 조선로동당 총비서(1949년부터 1972년까지는 위원장), 내각총리, 주석을 역임했다. 그는 아들 김정일에게 권력을 물려주었다.[16] 김정일은 1997년 조선로동당 총비서에 취임했고, 1998년에는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되어 군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헌법은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국가의 최고 직위"로 만들도록 개정되었다.[16] 동시에 주석직은 헌법에서 삭제되었고, 김일성은 "영원한 주체 조선의 수령"으로 지정되었다.[16]
김정일 시대에는 군대의 위상이 강화되었고, 북한 정치 시스템의 중심을 차지하는 것처럼 보였다.[28] 김정일의 공개 활동은 군과 관련된 장소와 행사에 대한 "현지 지도"에 크게 집중되었다.[28] 1998년 최고인민회의 첫 번째 회기에서 국방위원회 위원들을 공식 권력 계층으로 승진시킴으로써 군대의 강화된 지위와 군대 중심의 정치 시스템은 확인되었다.[28]
김정일 사망 이후, 그의 막내아들 김정은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적 지도력을 물려받았다.[37] 김정은은 2011년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이 되었고, 2012년 조선로동당 제1비서로 임명되었으며, 이틀 뒤에는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자리에 올랐다. 그는 완전한 정치적 권력을 얻기 위해 조선인민군 원수의 군사 칭호를 받았다.[37] 김정은 시대에는 경제적 문제에 대한 강조가 증가했으며, 주요 국방 지출은 경제적 관점에서 지원을 받아야 했다.[29][34]
2011년에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로 취임한 이후, 군사적인 결정은 국가 기관인 국방위원회보다 당 기관인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당의 역할이 재강화되었다고 한다.[42] 2016년 6월 제13기 최고인민회의 제4차 회의에서 국방위원회가 폐지되고 국무위원회가 설치되면서, 당과 당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게 되었고, 초대 최고 지도자 김일성 집권 당시의 중앙인민위원회 정치 체제에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있다.[43][44][45][38]
사진 | 이름 | 임기 | 정당 |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1948년 - 1972년) | |||
김두봉 | 1948년 9월 8일 – 1957년 9월 20일 | 조선로동당 | |
최용건 | 1957년 9월 20일 – 1972년 12월 28일 | 조선사회민주당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1972년 - 1994년) | |||
김일성 | 1972년 12월 28일 – 1994년 7월 8일 | 조선로동당 | |
(공석) 1994년부터 1998년까지는 국가 부주석 박성철이 국가 주석 직무 대행 |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1998년 - 2009년) | |||
![]() | 김영남 | 1998년 9월 5일 – 2009년 4월 9일 | 조선로동당 |
국방위원회 위원장 (1993년 - 2011년) | |||
![]() | 김정일 | 2009년 4월 9일 – 2011년 12월 17일 | 조선로동당 |
(공석)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김영남이 원수 직무 담당 | |||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2012년 - 2016년) | |||
![]() | 김정은 | 2012년 4월 13일 – 2016년 6월 29일 | 조선로동당 |
국무위원장 (2016년 - ) | |||
-- | 김정은 | 2016년 6월 29일 – 현직 | 조선로동당 |
- 초대: '''김일성'''
- 내각 수상 (1948년 9월 9일 - 1972년 12월 28일)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장 (1949년 6월 30일 - 1966년 10월 12일)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1966년 10월 12일 - 1994년 7월 8일)
- 국가 주석 (1972년 12월 28일 - 1994년 7월 8일)
- 제2대: '''김정일'''
- 국방위원회 위원장 (1994년 7월 8일 - 2011년 12월 17일)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1997년 10월 8일 - 2011년 12월 17일)
- 제3대: '''김정은'''
-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2010년 9월 28일 - 2012년 4월 11일)
- 조선로동당 제1비서 (2012년 4월 11일 - 2016년 5월 9일)
-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2012년 4월 13일 – 2016년 6월 29일)
- 조선로동당 위원장 (2016년 5월 9일 - 2021년 1월 10일)
- 국무위원회 위원장 (2016년 6월 29일 - 현재)
- 조선로동당 총비서 (2021년 1월 10일 - 현재)
3. 2.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일한 집권 정당이며, 국가의 모든 활동을 지도한다.[39][40][41] 헌법 11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로동당의 지도 밑에 모든 활동을 진행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42]당 중앙위원회는 당 대회에서 결정된 사업을 구체적으로 조직하고, 세부 기관을 통해 지도하며, 당 대회 폐회 중에는 당을 대표하여 모든 당 사업을 조직하고 지도하며, 당의 재정을 관리하는 최고지도기관이다.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6개월에 한 번 이상 소집되지만, 1991년 이후 1년에 한 번씩만 열렸다. 김일성 시대에는 국가 정책 전반과 조직 문제를 다루었으나, 김일성 사후 그 활동이 공개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면서 당 중심의 운영이 강조되어 대부분의 조직이 중앙위원회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다.
중앙위원회 정치국(또는 중앙정치국)은 당의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이며, 당 대회나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가 열리지 않을 때 당내 의사 결정을 담당한다.[57][58] 김정일 시대에는 정무국 중심의 1인 지도 체제였지만, 김정은 시대에는 정치국 상무위원들을 중심으로 한 정치국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로 바뀌었다.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선로동당의 군사에 관한 최고 권력 기관이다.[42] 김정은 시대에는 군사적 결정이 국방위원회보다 당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당의 역할이 다시 강화되었다.[42]
당 조직지도부는 당, 군, 국가 등 각 기관에 대한 사상 검열과 인사 평가를 담당하는 핵심 부서이다.[39][40][41]
2016년 국방위원회가 폐지되고 국무위원회가 설치되면서, 당과 당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었다.[43][44][45][38]
3. 3. 국무위원회
국무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국가 주권의 최고 정책 지도 기관으로, 국방 건설 사업을 비롯한 국가의 중요 정책을 결정한다.[43] 국무위원장은 북한의 최고지도자이며, 국가의 전반 사업을 지도한다.[43] 국무위원회는 내각, 국가보위성, 인민무력성 등을 산하 기관으로 두고 있다.국무위원회는 최고 정책적인 기구로서 행정, 입법, 사법의 모든 권한을 행사한다. 국무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직을 겸하지 않으며, 대사 임명 및 소환권, 법령 공포권을 가진다. 군 통수권은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직함으로 가지며, 계엄령 선포 및 조약 비준·폐기 권한을 가진다. 또한 국가 중요 간부를 해임할 수 있는 권한도 가진다.[43]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겸하며, 내각 총리는 국무위원회 위원을 겸한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제1부위원장으로 겸하게 하여 국무위원장이 북한의 명실상부한 대외적인 국가원수가 되었다.
위원회 구성은 위원장 1인, 제1부위원장 1인, 부위원장 1인, 위원 11인이다. 현재 국무위원회 위원장은 김정은이다.
과거 김정일 시대에는 국방위원회가 최고 권력 기구였으나,[38] 김정은 시대에 국무위원회로 개편되면서 조선로동당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42][43][44][45][38] 이는 일종의 비상 사태 체제가 끝나고, 초대 최고 지도자 김일성 집권 당시의 중앙인민위원회 정치 체제에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있다.[43][44][45][38]
3. 4. 최고인민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에 따르면, 최고인민회의는 명목상 입법부이자 국가 권력의 최고 기관이다. 최고인민회의는 5년마다 선출되는 687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다.[37] 대의원 회의는 1년에 1~3번 정도 열리며, 회의 기간은 하루에서 길어야 며칠 정도로, 이는 세계 의회 중 가장 짧다. 외국의 연구자들은 회기 단축, 불투명한 인사, 정부 제출 법안의 신속한 가결 등을 이유로 최고인민회의가 형식적인 기관에 불과하다고 평가한다.[37]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최고인민회의 휴회 중에 권한을 대행하는 상설 입법 기관이다. 현재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겸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인 최룡해이다.
최고인민회의는 국무위원회 위원장과 내각 총리(수상)를 선출·해임한다.
최고인민회의는 북한 사법 기관인 중앙재판소(최고재판소) 소장(판사)과 검찰 기관인 중앙검찰소(최고검찰청) 소장(검사)을 임명하며, 임기는 5년이다.
3. 5. 내각
내각은 과거 정무원으로 불렸던 기관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조직 및 인사권을 통해 구성되며 헌법에 의해 정부를 대표하는 권한을 가진다. 1998년 9월 5일 10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에서 헌법 개정을 통해 내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내각은 내각총리 1인과 부총리 3명으로 구성되며, 2005년 5월 30일 금속기계공업성을 금속공업성과 기계공업성으로 분리한 것을 기준으로 산하에 3위원회, 29성, 1원, 1은행, 2국을 두고 있다. 필요에 따라 임명되는 무임소상도 임의로 구성된다. 2016년 6월 2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가 신설되면서 내각은 국무위원회 산하 기구가 되었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내각은 내각총리(수상), 부수상, 상(각료)으로 구성된다. 내각총리는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해임)되며, 내각의 수장으로서 통상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을 겸임한다. 현실적으로는 김정은이 행정권을 가지지만, 이론적(명목적)으로는 내각이 중요 부처를 통제하며 정부 행정권에 대한 권한을 가진다.
다음은 2021년 1월 17일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4차 회의 시점의 내각 각료 일부이다.[53]
- 내각총리: 김덕훈
- 내각부총리: 양승호, 전현철, 김성룡, 리성학, 박훈
- 내각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장: 박정근
- 내각부총리 겸 농업위원회 위원장: 주철규
- 외무상: 리선권
- 내각 사무국장: 김금철
인민무력성, 인민보안성, 국가보위성은 그 중요성으로 인해 내각 산하가 아닌 국무위원회 직속 기관이다.[53]
2022년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기관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통일부의 '북한정보포털' 권력기구도를 근거로 한다.[54])
위원회 | 성 | 원 | 은행 | 국 |
---|---|---|---|---|
4. 정치 이념
북한의 공식적인 정치 이념은 주체사상이며, 이는 자력갱생과 민족 자주성을 강조한다. 북한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비롯된 ''주체''를 강조하며, 사회주의 자립 경제를 채택했다.[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은 인권 보호와 민주주의적인 정부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최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특권 계층이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 피지배자에게는 정보 통제와 사상 교육을 통해 최고 지도자에 대한 개인 숭배와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인권 유린이 행해지고 있으며, 전체주의 체제가 지배하는 독재·사회 파시즘 국가로 국제 사회에 인식되고 있다.[37]
최고 지도자는 김일성(1948년 - 1994년), 김정일(1994년 - 2011년), 김정은(2011년 - )과 같이 공산주의 국가로서는 이례적으로 3대 세습이 이루어졌다. 김일성의 혈족은 '''혁명의 성지'''로 여겨지는 백두산의 이름을 딴 백두혈통으로 불리며, 백두혈통을 가진 자 및 그 가족은 막대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
김정일을 사실상의 부장으로 둔 당 조직지도부는 당, 군, 국가 등 각 기관에 대한 사상 검열과 인사 평가를 해왔다.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장성택과 리제강이 크게 권세를 휘둘렀으며, 김정은 정권 하의 2013년에 행해진 장성택의 숙청에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 조연준이 암약했다고 여겨진다. 이로 보아 당 조직지도부야말로 북한의 진정한 권력 중추 기관이며, 선군정치가 내걸린 이후에도 군에 대한 당의 일정한 지배는 일관되게 이루어져 왔다는 분석도 있다.[39][40][41]
4. 1. 주체사상
원래 요시프 스탈린의 소련의 가까운 동맹국이었던 북한은 사회주의 자립 경제를 채택한 주체를 점차 강조해왔으며, 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비롯되었고, 특정한 이념 형태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채택한 것은 북한의 상황에 특수하다.[21] 주체는 1972년 북한이 새로운 헌법을 채택하면서 공식 이념으로 자리 잡았다.[22][23] 2009년에는 헌법이 다시 개정되면서 공산주의|공산주의한국어에 대한 간략한 언급이 조용히 삭제되었다.[24] 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스스로를 전 세계 좌파 운동의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 조선로동당은 다른 좌파 정당들과 관계를 유지하며, 국제 공산당 및 노동자당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하고 있다.[25] 북한은 쿠바와 강력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26] 2016년 북한 정권은 피델 카스트로가 사망한 후 사흘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27]
4. 2. 선군정치
김정일이 조선로동당 총비서에 취임한 1997년부터 선군정치가 강조되면서 군의 지위가 높아지고, 북한 정치 체제의 중추를 차지하게 되었다.[38] 사회의 모든 기관은 군의 정신에 따르고 군의 방법론을 받아들일 것을 강요받았다. 최고 지도자의 공적 활동은 특히 주목받았으며, 사건은 군과 관련되었다. 제10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 김정일이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더 나아가 이 직책이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선언됨으로써 국가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인 국방위원회가 정치의 중추로서 권력의 정점에 서게 됨이 확인되었다.[38]이처럼 "선군 정치"가 내걸리고, 국방위원장이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정해짐으로써 국방위원회가 최고의 권력 기관으로 간주되었지만, 헌법 11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모든 활동을 조선로동당의 지도 아래 진행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39][40][41]
2011년에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로 취임한 이후, 군사적인 결정은 국가 기관인 국방위원회보다 당 기관인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당의 역할이 재강화되었다.[42] 2016년 6월의 제13기 최고인민회의 제4차 회의에서 국방위원회가 폐지되고 국무위원회가 설치되면서, 당과 당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게 되었고, 김일성 집권 당시의 중앙인민위원회 정치 체제에 가까워졌다는 분석이 있다.[43][44][45][38]
5. 정당 및 선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로동당이 70년 간 장기 집권하고 있는 일당제 국가이다. 조선사회민주당, 천도교청우당과 같은 야당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조선로동당의 통제를 받는 형식적인 야당에 불과하며 실질적인 정치적 권한은 없다.[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에 따르면, 최고인민회의와 도 인민회의는 직접 보통 선거와 비밀 투표로 선출되며, 만 17세 이상의 모든 시민에게 선거권이 보장된다.[17] 그러나 실제 선거는 단독 후보 경선만 치러지는 요식 선거이며,[18] 유일 후보에 반대하려면 선거 관리관 앞에서 후보자 이름을 지우고 투표해야 하는 위험이 따른다.[19]
모든 당선자는 조선로동당이 주도하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소속이다. 천도교청우당과 조선사회민주당은 몇몇 선출직 공무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조선로동당은 이들 정당의 후보 선출에 직접적인 통제권을 행사한다.[5] 과거에는 조선불교도연맹, 민주독립당, 동로인민당, 공민인민동맹, 인민공화당 등도 선거에 참여했다.[20]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지명을 받으면 무소속으로도 입후보할 수 있지만, 이는 조선총련 최고 간부 등 북한 국외에 활동 거점을 둔 자로 제한되며, 이들 역시 조선로동당 당적을 가진 경우가 많다.
6. 국제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비교적 폐쇄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고 있어,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러시아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다른 나라와의 교류가 매우 적고 형식적이다.[37] 특히 미국은 부시 행정부 이후 북한을 악의 축 중 하나로 평가했으며, 일본, 대한민국 등과 함께 북한의 미사일 및 핵 개발 계획을 우려하고 있다.[37] 북한은 주변국인 대한민국, 일본, 러시아, 중국, 미국과 함께 핵 문제를 중심으로 6자 회담을 진행하고 있다.
북한은 대한항공기 폭파 사건(1987), 미얀마에서의 대한민국 요인 폭살 사건(1983), 레바논인 여성 납치 사건 등 테러 활동을 벌였으며,[37] 한국인, 일본인 등을 납치하고, 일본과 대한민국에 공작원을 파견해왔다.[37] 또한, 여러 나라에서 마약 밀수, 미국 달러 지폐 대량 위조 등으로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37]
냉전 초기에 북한은 공산 국가들로부터의 외교적 승인만 받았다. 이후 수십 년 동안 개발도상국들과 관계를 맺고 비동맹 운동에 참여했다. 동구권이 1989년에서 1992년 사이에 붕괴되자 북한은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동시에 한반도에서의 대립(한반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이 있었다. 동시에 북한은 핵무기를 획득하여 국제 사회의 우려를 더했다.[35]
최근에는 몽골, 시리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와 교류를 맺고 있다. 1999년에는 아일랜드와 스위스를 제외한 동유럽 및 서유럽 여러 나라와 교류를 맺었으며, 2001년부터는 영국도 북한과 수교를 맺었다.
모잠비크와 토고에는 김일성의 이름을 딴 도서관과 도로가 있으며, 모잠비크의 수도 마푸토에는 김일성 거리가 있다. 일본의 일본주체사상연구회와 국제주체사상토론회 같은 단체들도 북한과 교류하고 있다. 타이에서도 북한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 많다.
네팔에서는 마오쩌둥의 사상을 기초로 하는 네팔 공산당 (마오쩌둥주의)이 주체사상에 대한 토론회를 열었고, 김정일을 우상화하는 문학작품들이 많이 나왔다.
6. 1. 대한민국과의 관계
북한 정치는 역사상 대부분 기간 동안 적대적인 대한민국과의 관계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28] 북한과 남한 정부 모두 한반도 전체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한다. 1950년대 한국 전쟁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북한은 군사 분계선을 넘어 남한 및 주한 미국군과의 군사적 대치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35]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와 소련 원조의 손실 이후 북한은 장기간의 경제 위기에 직면했다. 이후 대한민국과의 관계 개선 노력이 다소 성공을 거두기도 하였는데, 김정은이 자신의 악단과 몇몇 관리들을 대한민국에 방문하도록 보냈을 때, 북한은 평창 올림픽에 참가하여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 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및 탄도 미사일 개발 결정은 대한민국 및 미국과의 안정적인 관계를 막았다.[28]
6. 2. 미국과의 관계
미국은 부시 행정부 이래 북한을 악의 축으로 평가해 왔으며, 일본, 대한민국과 함께 북한의 미사일 개발 계획과 핵 개발을 우려하고 있다.[35] 북한의 핵무기 및 탄도 미사일 개발 결정은 대한민국 및 미국과의 안정적인 관계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북한과 남한 정부 모두 한반도 전체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하는 가운데, 1950년대 한국 전쟁은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북한은 군사 분계선을 넘어 남한 및 주한 미국군과의 군사적 대치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6. 3. 중국과의 관계
중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전통적인 우방국으로, 경제적·정치적으로 북한을 지원하고 있다. 북한은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으며, 중국은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35] 중-북 관계는 전략적 동맹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핵 문제 등으로 인해 갈등을 겪기도 한다.6. 4. 러시아와의 관계
냉전 시대 동안 북한은 소련 및 중화인민공화국과 제휴했다.[35] 소련의 붕괴와 소련 원조의 소실 이후 북한은 장기간의 경제 위기에 직면했다.[28]
최근 북러 관계는 더욱 밀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6. 5. 일본과의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일본을 "과거 침략자"로 규정하며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 일본인 납치 문제, 핵 문제 등으로 인해 북일 관계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1] 일본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1]북한은 한국인, 일본인 등을 납치했을 뿐만 아니라 공작원들을 일본과 대한민국에 파견해왔다.[1]
6. 6. 기타 국가와의 관계
북한은 비교적 폐쇄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고 있어,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다른 나라와의 교류가 매우 적고 형식적이다.[37] 미국은 부시 행정부 이후 북한을 악의 축 중 하나로 평가했으며, 대한민국, 일본 등과 함께 북한의 미사일 및 핵 개발 계획을 우려하고 있다.[37] 북한은 주변국인 대한민국, 일본, 러시아, 중국, 미국과 함께 핵 문제를 중심으로 6자 회담을 진행하고 있다.북한은 한국인, 일본인 등을 납치하고, 일본과 대한민국에 공작원을 파견해왔다.[37] 또한, 여러 나라에서 마약 밀수, 미국 달러 지폐 대량 위조 등으로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37] 대한항공기 폭파 사건(1987), 미얀마에서의 대한민국 요인 폭살 사건(1983), 레바논인 여성 납치 사건 등 테러 활동도 있었다.[37]
최근에는 몽골, 시리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와 교류를 맺고 있다. 1999년에는 아일랜드와 스위스를 제외한 동유럽 및 서유럽 여러 나라와 교류를 맺었으며, 2001년부터는 영국도 북한과 수교를 맺었다.
모잠비크와 토고에는 김일성의 이름을 딴 도서관과 도로가 있으며, 모잠비크의 수도 마푸토에는 김일성 거리가 있다. 일본의 일본주체사상연구회와 국제주체사상토론회 같은 단체들도 북한과 교류하고 있다. 타이에서도 북한 상품을 판매하는 곳이 많다.
네팔에서는 마오쩌둥의 사상을 기초로 하는 네팔 공산당 (마오쩌둥주의)이 주체사상에 대한 토론회를 열었고, 김정일을 우상화하는 문학작품들이 많이 나왔다.
7. 사회 문제
북한은 심각한 사회 문제들을 안고 있다. 2005년 김일성경기장에서 열린 월드컵 예선 경기 중 축구 선수와 심판 간의 분쟁으로 폭동이 일어났다.[31][30] 2006~2007년에는 정부의 배급 제도 실패로 지방에서 "시장 폭동"이 발생했다.[31] 안드레이 란코프는 "공공의 불만이 터져 나오는 것은 보통 시장에서 상인들이 자신들의 돈벌이 권리가 당국의 어떤 결정에 의해 부당하게 침해당한다고 믿을 때"라고 설명한다.[31]
2011년 6월, 정부는 북아프리카에서 일어난 사태를 우려하여 학생들을 건설 현장에 동원하려 했고, 이에 앞서 중국에서 방폭 장비를 주문하기도 했다.[32] 그러나 대학이 다시 문을 열자 낙서가 다시 나타나는 등 주민들의 의식 수준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33]
7. 1. 인권 문제
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은 인권 보호와 민주주의적인 정부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최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특권 계층이 강력한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보 통제와 사상 교육을 통해 주민들에게 최고 지도자에 대한 개인 숭배와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인권 유린이 행해지고 있다.[37]북한의 사법 기관은 중앙재판소(대법원), 나치 독일의 인민재판소와 유사한 인민 재판 체계, 군사법원과 같은 특별재판소 체계로 크게 나뉜다. 그러나 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은 모든 재판소가 최고인민회의 및 상임위원회에 책임을 지도록 규정하여, 서방 선진국의 삼권분립과는 다르다.
중앙재판소 장관은 최고인민회의에서 임명되며, 임기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과 같다. 하급 재판소는 중앙재판소가 지휘 감독하지만, 인민 재판이나 군사 법정 등은 중앙재판소의 감독을 받지 않는다. 또한, 조선로동당의 지도적 역할, 인민군 총정치국, 국무위원회, 백두산 혈통 최고 지도자 등이 사법에 간섭하는 경우가 많으며, 외국인에 대한 노동 교화형 (징역), 사면 등이 최고 지도자의 뜻대로 결정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관리소로 보낼 때도 일반적인 재판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투옥되는 경우가 많다. 탈북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특히 미국 국무부와 프리덤 하우스는 북한의 인권 탄압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37]
정보 부족으로 인해 북한 내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법치주의가 어느 정도 실현되고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서방 국가들은 북한의 인권 상황이 매우 열악하며, 많은 사람들이 재판이나 법적 근거 없이 구속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7. 2. 경제난
북한은 1990년대 초 소련 붕괴 이후 경제적 지원이 끊기면서 심각한 경제난에 직면했다. 계획 경제의 실패와 더불어 식량 및 생필품 부족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었다. 특히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대량 아사자가 발생하기도 했다.[38]김정일 정권 시기에는 선군정치가 강조되면서 군이 정치의 중심에 섰고, 이는 경제난 속에서 비상 관리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38] 부분적으로 시장 경제를 도입하고 경제 특구를 설치하는 등 경제 개혁을 시도했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김정은 정권은 자본주의적 요소를 도입하는 경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전까지는 비교적 안정적인 체제를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경제난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7. 3. 정보 통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은 인권 보호와 민주주의적인 정부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최고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특권 계층이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피지배자에게 정보 통제와 사상 교육을 통해 최고 지도자에 대한 개인 숭배와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인권 유린을 행하고 있으며, 전체주의 체제가 지배하는 독재·사회 파시즘 국가로 국제 사회에 인식되고 있다.[37]참조
[1]
서적
Rogue Regime: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Cleanest Race: How North Koreans See Themselves and Why It Matters
[3]
웹사이트
Naenar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naenara.c[...]
2022-08-09
[4]
웹사이트
Being a minor party in the North
https://www.nknews.o[...]
2014-11-26
[5]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 2006
http://freedomhouse.[...]
Freedom House
2007-02-13
[6]
서적
North Korea Today: Strategic and Domestic Issu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enter for Korean Studies
[7]
서적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Minnesota Lawyers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mmittee
[8]
서적
Understanding North Korea 2014
http://eng.unikorea.[...]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9]
뉴스
North Korea country profile
https://www.bbc.co.u[...]
2018-04-09
[10]
뉴스
Kim Jong Un's North Korea: Life inside the totalitarian state
https://www.washingt[...]
[11]
웹사이트
Totalitarian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8
[12]
서적
Britannica Book of the Year 2014
Encyclopedia Britannica, Inc.
[13]
뉴스
North Korea rewrites rules to legitimise Kim family succession
http://www.scmp.com/[...]
2013-10-16
[14]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System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asgp.info[...]
Association of Secretaries General of Parliaments (ASGP) of the Inter-Parliamentary Union
2010-10-01
[15]
뉴스
North Korea drops communism, boosts "Dear Leader"
https://www.reuters.[...]
2009-09-28
[16]
서적
Whitaker's Shorts 2014: International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3-11-07
[17]
문서
Constitution of North Korea
[18]
웹사이트
Yes, There Are Elections in North Korea and Here's How They Work
https://www.theatlan[...]
2014-03-06
[19]
웹사이트
North Korea votes for new rubber-stamp parliament
http://www.foxnews.c[...]
Associated Press
2009-03-08
[20]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South East Asia, East Asia, and the South Pacif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Kim Takes Control: The 'Great Purge' in North Korea, 1956-1960
[22]
문서
Constitution of North Korea (1972)
[23]
서적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North Korea and the Kim Dynasty
Thomas Dunne Books
[24]
웹사이트
DPRK has quietly amended its Constitution
http://leonidpetrov.[...]
[25]
웹사이트
13th International meeting of Communist and Workers' Parties in Athens
http://actofdefiance[...]
Act of Defiance
2011-11-29
[26]
간행물
The North Korea-Cuba Connection
https://thediplomat.[...]
2016-06-07
[27]
뉴스
N.K. declares 3-day mourning over ex-Cuban leader Castro's death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6-11-28
[28]
논문
They Think They’re Normal: Enduring Questions and New Research on North Korea—A Review Essay.
Project MUSE
[29]
뉴스
Understanding Kim Jong Un's Economic Policymaking: Defense Versus Civilian Spending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1-10-06
[30]
웹사이트
Soccer Riot in Tightly Controlled North Korea Surprises Observers
https://www.latimes.[...]
2020-09-14
[31]
서적
The Real North Korea Life and Politics in the Failed Stalinist Utop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2
[32]
뉴스
North Korea shuts down universities for 10 months
https://www.telegrap[...]
2011-06-28
[33]
뉴스
The symbols of the Kims' power under attack, North Koreans are waking up
http://www.asianews.[...]
AsiaNews
2012-02-14
[34]
간행물
Kim Jong-il's military-first politics and beyond: Military control mechanisms and the problem of power succession
2014-06
[35]
웹사이트
Understanding North Korea's Nuclear Coercion Strategy
http://38north.org/2[...]
2017-04-28
[36]
웹사이트
核と経済の「並進」路線で虚勢 「核軍縮」と引き換えに経済支援狙う?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16-05-09
[37]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 2006
http://freedomhouse.[...]
Freedom House
2007-02-13
[38]
웹사이트
金正恩氏、国務委員長に…党・国家とも最高位
https://megalodon.jp[...]
毎日新聞
2016-06-30
[39]
뉴스
拷問、犬刑、密告、政治犯収容所 恐怖支配強まる金正恩の北朝鮮3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3-12-23
[40]
웹사이트
"張成沢処刑は党組織指導部のクーデター。キム·ジョンウンかかしに転落」
http://www.chogabje.[...]
2013-12-19
[41]
웹사이트
北、李済剛の死亡で張成沢の独走時代
http://japan.dailynk[...]
デイリーNK
2010-06-03
[42]
웹사이트
朝鮮労働党大会「設計図なき戴冠式」(4) 金与正「中央委員」人事の意味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6-05-21
[43]
웹사이트
金正恩氏「国務委員長」に就任 最高人民会議、独裁体制強める
https://megalodon.jp[...]
日本経済新聞
2016-06-30
[44]
웹사이트
北 개정헌법 살펴보니…'최고영도자' 김정은 권력집중에 초점
http://news.naver.co[...]
聯合ニュース
2016-06-30
[45]
웹사이트
김정은, 당·국가 최고위직 겸직… 아버지 시대와 결별
http://news.naver.co[...]
国民日報
2016-06-30
[46]
웹사이트
北朝鮮
https://www.mofa.go.[...]
外務省
[47]
웹사이트
ジョンウン氏「後継」確定…党軍事委副委員長に
https://web.archive.[...]
YOMIURI ONLINE
2010-09-29
[48]
웹사이트
金正恩氏、党第1書記に 正日氏は「永遠の総書記」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電子版
2012-04-11
[49]
뉴스
北朝鮮が「党委員長」新設 金正恩氏就任
https://web.archive.[...]
中日新聞
2016-05-10
[50]
뉴스
Making sense of Kim Jong Un's new position: who is North Korea's head of state?
https://www.nknews.o[...]
NK News
2019-09-05
[51]
뉴스
North Korea changes constitution to solidify Kim Jong Un's rule
https://www.reuters.[...]
Reuters
2019-08-29
[52]
웹사이트
朝鮮勞動黨19人政治局委員名單出爐
https://megalodon.jp[...]
大公網
2016-05-10
[53]
뉴스
北朝鮮、保衛部を保衛省に格下げ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6-08-16
[54]
웹사이트
権力機構図
https://nkinfo.uniko[...]
韓国統一部
2022-02-12
[5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North Korea
http://en.wikisource[...]
Wikisource
2007-02-22
[56]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2006-03-08
[57]
웹인용
"北 黨정치국중심 집단지도체제"
https://news.naver.c[...]
2020-03-11
[58]
웹인용
정책기획위원회의 김정은 리더십 재평가 이유
http://www.sisaweek.[...]
2020-03-11
[59]
문서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60]
문서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61]
문서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62]
문서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63]
문서
중동 지역 이슬람 국가들의 조약 또는 합의에 의해 인정되고 있는 지역이며, [[유엔|국제 연합]] 옵서버 국가이다
[64]
문서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65]
문서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