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반도 분쟁은 1910년 대한제국의 일본 병합부터 시작되어,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1945년 한반도 분단, 6.25 전쟁을 거쳐 냉전 시대를 겪었다. 냉전 종식 이후 북핵 문제, 햇볕 정책, 남북 정상회담 등 화해 노력이 있었으나,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연평도 포격 사건 등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었다. 현재는 북한의 헌법 개정을 통한 대한민국 '적대 국가' 규정, 대남 노선 전환, 북러 간 협정 등으로 남북 관계가 경색된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반도 분쟁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 한반도 분쟁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 발포 사건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봉기 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 및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남로당 무장봉기와 미군정 및 이승만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제주도민이 희생되었으며, 현재 진상 규명 노력과 국가의 공식 사과가 이루어졌으나 폭동과 항쟁이라는 시각이 대립하며 논쟁이 진행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 분쟁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 분쟁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NLL)은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유엔군 사령부가 설정한 해상 경계선이며, 북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자체적인 해상 군사분계선을 선포하여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 대한민국의 영토 분쟁 - 한반도 분단
한반도 분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38도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면서 시작되어 남북한 정부 수립과 한국 전쟁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냉전의 산물이자 이념 대립과 강대국 이해관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 대한민국의 영토 분쟁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한반도 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한반도 |
좌표 | 38°19′N 127°14′E |
기간 | 1948년 9월 9일 – 현재 |
관련 분쟁 | 냉전 (1991년까지), 아시아 냉전 |
상황 | |
주요 사건 | 한국 전쟁 (1950년~1953년) 한국 정전 협정 체결 (1953년) 한국 DMZ 분쟁 (1966년~1969년) 판문점 선언 (2018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공동 성명 (2018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및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해산 (2024년) |
결과 | 1945년 한국 분단: 38선을 경계로 분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수립 (1948년) 1953년 이후 군사분계선 설정 한국 비무장 지대 설치 (1953년)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
교전국 2 | |
참고 | 전쟁 중 참전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 전쟁 참조 |
지휘관 | |
대한민국 | 윤석열 (2022년–2024년) 문재인 (2017년–2022년) 황교안 (2017년) 박근혜 (2013년–2017년) 이명박 (2008년–2013년) 노무현 (2003년–2008년) 김대중 (1998년–2003년) 김영삼 (1993년–1998년) 노태우 (1988년–1993년) 전두환 (1980년–1988년) 최규하 (1979년–1980년) 박정희 (1962년–1979년) 윤보선 (1960년–1962년) 백낙준 (1960년) 곽상훈 (1960년) 허정 (1960년, 2회) 이승만 (1948년–1960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정은 (2011년–현재) 김정일 (1994년–2011년) 김일성 (1948년–1994년) |
피해 규모 | |
대한민국 | 알 수 없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알 수 없음 |
2. 배경 (1910년 ~ 1945년)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에 병합되었다. 이후 수많은 독립단체들이 해외에서 독립 투쟁을 전개했지만, 서로 다른 관점과 접근 방식으로 인해 단일된 민족 운동을 벌이기는 어려웠다.[182][183] 1919년 3·1 운동을 전후로 여러 독립운동 단체들이 좌우 합작을 이루기도 했지만, 노선 차이로 인해 해산되거나 분열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국인들은 일제 강점기 동안 정치적 탄압과 일본 문화 동화를 강요받으며 고통을 겪었다.
일본의 항복 이후, 많은 한국인 고위층 인사들이 친일파로 일본 제국주의에 협력했다는 혐의를 받았다.[186] 김구, 여운형 등 여러 독립운동가들이 이러한 갈등 속에서 암살되기도 했다.[187]
2. 1.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독립 운동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 제국에 병합된 후, 수많은 독립단체들이 해외에서 독립 투쟁을 전개했지만, 단일된 민족 운동을 벌이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182][183] 1919년 3·1 운동을 전후로 신간회, 근우회 등 좌우 합작 단체들이 활동했으나, 노선 차이로 해산되거나 분열되기도 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신규식 선생에 의해 중국에 본부를 두고 건립되었으며, 1921년 11월 중국의 승인을 받았으나 창조파 주도의 분열로 국제적인 승인을 받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184]이승만은 미국에서 교육을 받고 미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고, 김일성은 1930년대부터 만주 지역에서 항일전을 펼쳤다.[185]
2. 2. 일제 강점기 한국 사회의 변화
1910년 일본 제국은 대한제국을 병합하였다. 수많은 독립단체가 독립 투쟁을 위해 해외에서 설립되었으나, 서로 다른 관점과 접근 방식으로 인해 단일 민족 운동으로 통합되기 어려웠다.[182][183]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중국에서 건립되었지만, 창조파 주도의 분열 등으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했다.[184] 이승만은 미국 정부에 도움을 요청했고, 김일성은 만주 지역에서 항일전을 펼쳤다.[185] 1919년 3·1운동 이후 수많은 독립무장단체와 독립단체가 설립되었으나, 노선 차이로 해소되거나 분열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인들은 병합 이후 정치적 탄압과 일본 문화에 대한 복종 및 동화를 강요받으며 고통을 겪었다.3. 한반도 분단 (1945년 ~ 1949년)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한반도는 38선을 경계로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다. 소련은 얄타 회담에서의 합의에 따라 소련 대일 참전을 통해 한반도 북부를 점령했고, 미국은 한반도 전체가 소련의 영향권 아래 놓이는 것을 우려하여 38선 이남을 점령하게 되었다.[188]
1945년 8월 24일 붉은 군대는 평양에 진입하여 소련 군정을 수립했고,[188] 9월 8일 미군은 인천에 상륙하여 서울에 미 군정청을 설치했다.[188] 연합국은 당초 신탁통치를 통해 한국을 독립시키려 했으나,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은 즉각적인 독립을 요구했다.[189]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과 소련의 관계는 급속히 악화되었다. 두 점령군은 각자의 정치적 입장에 맞는 인사들을 요직에 앉히고 반대 세력을 제거하려 했다.[190][191] 북한에서는 소련의 지원을 받은 김일성이 주요 정치 지도자로 부상했고,[192] 남한에서는 강력한 반공주의자인 이승만이 주요 정치인으로 떠올랐다.[194]
1948년 5월 10일 남한에서는 총선이 실시되어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북한에서는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어 김일성이 총리에 임명되었다. 이로써 한반도의 분단은 고착화되었다. 남북한은 서로 다른 정부를 수립했을 뿐만 아니라, 국호도 각각 '대한'과 '조선'으로 달리 채택했다.[196]
소련군은 1948년 12월 10일에, 미군은 1949년에 한반도에서 철수했지만,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은 대한민국에 남았다.[195] 남북한 정부는 모두 한반도 전체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분단 상황을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했다.[197][198]
이 시기 남한에서는 제주 4·3 사건, 여수·순천 사건 등 여러 반란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204]
3. 1. 미군정과 남한 사회
미 군정청은 1945년 9월 8일 인천에 상륙하여 서울에 설치되었다.[188] 미 군정은 한반도를 신탁통치를 거쳐 독립시키려 했으나,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은 즉각적인 독립을 요구했다.[189]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과 소련의 협력 관계는 급속히 악화되었고, 미 군정은 자신들의 편에 있는 정치인들을 결집시키고 반대 세력은 제거하려 했다.[190][191]이러한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속에서 강력한 반공주의자였던 이승만이 중요한 정치인으로 부상했다.[194]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고,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미 군정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미 군정이 끝나갈 무렵, 남한 사회는 극심한 좌우 대립과 갈등을 겪었다. 특히 제주 4·3 사건과 여수·순천 사건 등 여러 반란 사건이 발생하여 많은 인명 피해를 낳았다.[204]
3. 2. 소련 군정과 북한 사회
1945년 8월 24일 붉은 군대는 평양을 점령해 38선 이북에 소련 군정을 설립했다.[188] 소련은 북한에서 공산주의자들을 지지했으며, 1941년부터 소련군에서 복무한 김일성이 주요 정치 인물로 부상했다.[192] 북한 사회는 소련식으로 중앙화되었고 분배적으로 변했다.[193]3. 3. 남북한 정부 수립
1945년 8월 9일, 소련 대일 참전으로 소련군이 한반도로 진격했다. 얄타 회담에서 연합군은 소련의 참전을 동의했지만, 미국은 한반도 전체가 소련의 통제하에 놓일 것을 우려하여 소련군의 진격을 38선에서 제한할 것을 요구했다. 그 결과 서울을 포함한 38도선 이남은 미국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었다. 8월 15일 일본이 항복했고, 8월 24일 소련군은 평양을 점령하여 38선 이북에 소련 군정을 수립했다. 미군은 9월 8일 인천에 상륙하여 서울에 미 군정청을 수립했다.[188]연합국은 신탁통치를 거쳐 한국을 독립시키려 했으나,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은 즉각적인 독립을 요구했다.[189] 냉전이 시작되면서 미국과 소련의 협력 관계는 악화되었다. 두 점령군은 각자의 편에 있던 정치인들을 결집시키고 반대 세력을 제거하려 했다.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대중의 지지를 크게 얻지 못한 채 귀국했다.[190][191] 북한에서 소련은 공산주의자들을 지지했고, 1941년부터 소련군에서 복무한 김일성이 주요 정치 인물로 부상했다.[192] 남한의 정치 상황은 혼란스러웠지만, 반공주의자였던 이승만이 중요한 정치인으로 부상했다.[194]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1대 대통령 선거와 대한민국 1대 국회의원 선거가 열렸고,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어 김일성이 총리로 임명되었다. 이 두 정부의 출현은 한반도의 분단을 고착화시켰다. 소련군은 1948년 12월 10일 철수했고, 이틀 후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으로부터 한반도 유일의 합법 정부로 인정받았다. 1949년 미군이 한반도를 떠났지만,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이 대한민국에 남아있었다.[195] 북한은 '조선'이라는 국명을, 남한은 '대한'이라는 국명을 채택했다.[196]
두 정부는 서로가 한반도 유일의 정부라고 주장했고, 분단은 일시적인 것이라고 보았다.[197][198]
4. 6.25 전쟁 (1950년 ~ 1953년)
1950년 6월 25일 새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면서 6.25 전쟁이 발발하였다. 제3차 세계대전으로 확전될 것을 우려하여 세계 각국이 참전하였고, 3년간 밀고 밀리는 격전 끝에 1953년 7월 27일 휴전하였다. 북한군이 부산 북쪽까지 진격하거나, 남한군이 압록강까지 북상하는 등 국경선이 계속 바뀌어 '톱니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종전이 아닌 휴전 상태가 70년째 이어지면서, 접경 지역에서는 크고 작은 군사적 충돌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이 전쟁으로 한반도는 초토화되었다. 약 300만 명의 민간인과 군인이 사망했고, 서울특별시는 폐허가 되었으며 네 번이나 주인이 바뀌었다. 수백만 명의 북한 난민이 남한으로 피난했다.[31] 북한의 거의 모든 주요 건물들이 파괴되었고,[32][33] 그 결과 북한 주민들은 미국에 대한 깊은 반감을 갖게 되었다.[31]
4. 1. 전쟁 발발과 초기 전황
1945년 8월 9일,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 간 포츠담 회담 합의에 따라 소련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한반도로 진격했다. 미국은 소련의 진격을 38선에서 중단할 것을 요청했고, 미군은 서울을 포함한 38선 이남을 점령했다. 1945년 8월 24일, 붉은 군대는 평양에 진입하여 38선 이북에 소비에트 민정청을 수립했고, 1945년 9월 8일, 미군은 남한에 미 육군 군정청을 수립했다.[10]냉전이 시작되면서 소련과 미국의 협력은 악화되었고, 양국은 자국에 우호적인 인물들을 요직에 앉히고 반대자들을 배제했다. 김일성은 소련군 복무 경력을 바탕으로 북한의 주요 정치 인물이 되었고, 남한에서는 미국에서 교육받은 반공주의자 이승만이 주요 정치인으로 부상했다.[12][13][14][16]
1948년 5월 10일 남한에서 총선이 실시되어 대한민국이 수립되었고, 이승만이 대통령이 되었다. 같은 해 9월 8일 북한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포되었고, 김일성이 총리가 되었다. 양측 모두 한반도 전체의 정부를 자처하며 분단을 일시적인 것으로 여겼다.[17][18][19][20]
1948년, 북한은 남한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했고,[23] 38선, 특히 개성시와 옹진군 일대에서 양측 간 잦은 충돌이 발생했다.[24][25] 이 시기 남한에서는 제주 4.3 사건, 여수·순천 사건 등 봉기가 발생하여 잔혹하게 진압되었고, 한국 전쟁 발발 전까지 한반도 전역에서 1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26]

1950년, 북한은 소련이 제공한 잉여 무기와 중국 내전 참전 경험을 가진 병력을 바탕으로 남한보다 군사적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27][28] 김일성은 빠른 승리를 예상했으나, 서방은 이 분쟁을 공산주의 침략으로 간주했다.[29][30]

1950년 6월 25일, 북한은 남한을 침공하여 빠르게 국토 대부분을 점령했다. 1950년 9월, 미국 주도의 유엔군사령부가 개입하여 인천 상륙 작전과 부산 교두보 돌파 이후 북한으로 진격했다. 유엔 군이 중국 국경에 접근하자, 중국군이 개입하여 전쟁의 균형을 뒤집었다. 전투는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으로 종료되었고, 남북한의 원래 경계선이 대략 회복되었다.[22]
4. 2. 유엔군 참전과 전세 역전
1950년 9월, 미국이 이끄는 유엔군사령부는 한국 전쟁에서 남한을 방어하기 위해 개입했고, 인천 상륙 작전과 부산 교두보 돌파 이후 북한으로 빠르게 진격했다.[22] 유엔 군대가 중국 국경에 접근하자, 중국군이 북한을 돕기 위해 개입하여 전쟁의 균형을 다시 뒤집었다. 전투는 1953년 7월 27일에 휴전 협정으로 종료되었으며, 이 협정으로 남북한의 원래 경계선이 대략적으로 회복되었다.[22]4. 3. 휴전 협정과 그 영향
1951년 7월 10일, 전쟁이 계속되는 와중에 휴전 협상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휴전선 설정과 포로 교환 문제가 주요 쟁점이었다. 스탈린 사망 후, 소련은 양보를 중재하여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34]이승만 대통령은 한반도가 분단된 상태로 남는다는 이유로 휴전 협정에 반대했다.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자 그는 포로 석방 조치를 방해하고 휴전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이끌었다.[35] 그는 협정 서명을 거부했지만, 마지못해 준수하기로 동의했다.[36]
휴전 협정으로 공식적인 정전은 시작되었지만, 두 한국 간의 평화 조약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37] 이 협정으로 양측 간의 완충 지대인 비무장 지대(DMZ)가 설정되었는데, 이는 38선을 교차했지만 정확히 따르지는 않았다.[36] 이름과는 달리, 이 국경은 세계에서 가장 군사화된 곳 중 하나였으며, 현재도 그러하다.[31]
북한은 1994년, 1996년, 2003년, 2006년, 2009년, 2013년 등 적어도 여섯 차례에 걸쳐 더 이상 휴전 협정을 준수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38][39]
전쟁으로 한반도는 초토화되었다. 약 300만 명의 민간인과 군인이 사망했고, 서울은 폐허가 되었으며 네 번이나 주인이 바뀌었다. 수백만 명의 북한 난민이 남한으로 피난했다.[31] 북한의 거의 모든 주요 건물들이 파괴되었고,[32][33] 그 결과 북한 주민들은 미국에 대한 뿌리 깊은 반감을 갖게 되었다.[31]
5. 냉전 시대의 남북 관계 (1953년 ~ 1991년)
한국 전쟁 이후, 주한 미군은 상호 방위 조약[40]에 따라 남한에 주둔했고, 1958년에는 핵무기를 배치했다.[41] 반면 북한은 1961년 소련 및 중국과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42] 중국은 중조 우호 협조 상호 원조 조약을 통해 북한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약속했다.[43] 이처럼 남북한은 냉전 시기, 서로 대립하는 진영에 속해 있었다.
대한민국은 베트남 전쟁에 깊이 관여했고,[53] 북한은 전투기 조종사를 파견하고 심리전 전문가 팀을 통해 한국군을 대상으로 심리전을 펼쳤으며, 베트남 게릴라를 훈련시켰다.[54]
1960년대 후반 일련의 저강도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1968년 북한은 청와대 습격 사건을 일으켜 박정희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다. 같은 해 미국 첩보선 USS ''푸에블로''가 북한 해군에 나포되기도 했다.[56] 1969년에는 미국 EC-121 정찰기가 일본해 상에서 격추되어 냉전 기간 중 미군 공군 인명 피해로는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60]
1967년, 한국계 작곡가 윤이상이 서독에서 대한민국 요원에 의해 납치되어 간첩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국제적인 항의로 석방되었다.[59] 1969년 대한항공 YS-11기가 북한으로 납치되었고,[61] 1970년 일본항공 351편 납치 사건 납치범들은 북한에서 망명을 허가받았다.[61] 1970년대 북한은 다수의 일본인 시민을 납치하기도 했다.[61]
북한은 주체사상을 발전시키며 군사적 동원을 강화했고,[49] 핵전쟁 위협에 대비해 지하 시설을 건설했다.[50][23]
1977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은 주한 미군 철수를 제안했지만, 미국과 대한민국의 반발로 연기되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정책을 뒤집어 병력 수를 늘리고 F-16 전투기를 공급했다.[87] 김일성은 1984년 모스크바를 방문했고, 소련은 북한과의 군사 원조 및 협력을 재개했다.[88]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고, 독재 정권은 반대 의견을 북한의 전복 행위와 동일시했다.[89][90] 1986년, 전 대한민국 외무부 장관 최덕신이 북한으로 망명하여 천도교 청우당의 지도자가 되었다.[95]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는 대성동 마을에 98m 높이의 깃대를 건설했고, 북한은 기정동 마을에 160m 높이의 깃대를 건설하며 '깃대 전쟁'을 벌였다.[45]
5. 1. 군사적 대립과 긴장 고조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이승만 대통령은 한반도 분단을 우려하여 협정에 반대하였다.[35] 이 협정으로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가 설치되었지만,[36]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군사화된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31]북한은 여러 차례에 걸쳐 휴전 협정을 준수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으며,[38][39] 전쟁 이후에도 산발적인 충돌이 계속되었다. 1953년 10월 1일,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되어[40] 주한 미군이 주둔하게 되었고, 1958년에는 미국이 핵무기를 대한민국에 배치했다.[41] 북한은 1961년 소련 및 중국과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했다.[42]
북한은 주체사상을 발전시키며 군사적 동원을 강화했고,[49] 핵전쟁 위협에 대비해 지하 시설을 건설했다.[50][23] 평양 지하철은 방공호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건설되었다.[51]
1960년대 후반, 일련의 저강도 무력 충돌로 긴장이 고조되었다. 1966년, 김일성은 "남한 해방"을 "국가적 의무"라고 선언했다.[55] 1968년에는 청와대 습격 사건과 푸에블로호 피랍 사건이 발생했다.[56] 1969년에는 EC-121 격추 사건으로 미국 공군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60]

1974년, 문세광이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려다 육영수 여사를 살해했다.[66] 1976년,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으로 DMZ에서 미군 장교 2명이 사망했다.[67][68]
1970년대 동안 북한과 남한은 군사력을 증강했으며,[84] 북한은 DMZ 아래에 터널을 건설했다.[85] 대한민국은 비밀 핵무기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중단되었다.[86]
1983년, 북한은 버마 아웅산 테러를 일으켜 전두환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91] 1987년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으로 미국은 북한을 테러 지원 국가로 지정했다.[92][93]
5. 2. 경제 발전 경쟁과 사회 변화
1970년대 초까지 북한은 경제적으로 남한과 대등한 수준이었다.[52] 그러나 이후 남한은 경제 성장에 성공했고,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같은 민주화 운동을 경험했다.[89][90] 반면 북한은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사회 통제를 강화했다.[49] 핵전쟁 위협에 대응하여 평양 지하철 등 지하 시설을 건설했다.[50][23][51]1970년대 동안 북한과 남한은 모두 군사력을 증강하기 시작했다.[84]
5. 3. 제한적 대화와 교류
1970년대 초, 남북한은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며 대화와 교류를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82] 이를 통해 남북 간의 긴장 완화와 통일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 듯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화와 교류는 제한적이고 간헐적으로 이루어졌다.1972년, 북한은 공산권 외부 국가들로부터 외교적 인정을 받기 시작했고, 4년 만에 93개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남한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다.[82] 세계 보건 기구에 가입하고 유엔에 영구 옵서버 대표단을 파견했으며, 1975년에는 비동맹 운동에 가입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활동 범위를 넓혀갔다.[82][83]
하지만, 이러한 대화 분위기 속에서도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은 계속되었다. 북한은 DMZ 아래에 대규모 병력을 수용할 수 있는 터널을 건설한 사실이 밝혀졌고,[85] 남한은 미국의 철수 가능성에 대비하여 비밀 핵무기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도 했다.[86]
6. 탈냉전 시대의 남북 관계 (1991년 ~ 현재)
냉전이 종식되면서 북한은 소련의 지원을 잃고 경제 위기에 빠졌다. 1994년 김일성 주석의 사망으로[96] 북한 정권이 붕괴되고 한반도가 통일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97][98]
1990년대와 2000년대를 거치면서 북한과의 관계는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다. 햇볕 정책과 같은 교류 협력 시도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 개발과 군사적 도발로 인해 긴장이 고조되었다. 특히 서해 북방한계선을 둘러싼 갈등은 여러 차례의 해상 교전으로 이어졌다.
1996년 강릉과 1998년 속초에서는 북한 잠수함이 한국 해안에 좌초된 채 발견되었다. 1998년 12월 여수 해전에서는 한국 해군이 북한의 반잠수정을 격침시켰다. 2001년 아마미오시마 해전에서는 일본 해상보안청이 북한 간첩선을 격침시켰다.
21세기 초, 평양과 서울 사이의 화력 집중도는 냉전 시대의 중앙 유럽보다 더 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04] 북한의 조선인민군은 병력 규모가 한국군의 두 배였으며, 포격과 미사일 공격으로 서울을 초토화시킬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군은 여러 면에서 기술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05][106]
주한미군은 한국에 주둔하며 키 리졸브, 독수리 훈련, 을지-프리덤 가디언을 포함한 연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북한은 이를 상례적으로 침략 행위라고 비난했다.[107][108][109] 1997년에서 2016년 사이에 북한 정부는 다른 국가들이 자신에게 선전포고를 했다고 200번이나 주장했다.[110]
2017년은 미국과 북한 간의 긴장이 고조된 시기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략적 인내" 정책을 포기하고 북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북한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시험 발사와 6차 핵실험을 감행하며 국제 사회의 우려를 샀다.[132]
2018년에는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 등 남북미 정상 간의 만남이 이어지며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북미 협상이 결렬되고,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으로 인해 관계는 다시 악화되었다.[149]
2023년 현재, 북한 간행물은 한국에서 여전히 검열 대상이다.[155] 한편, 북한은 외래 문화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는 한편, 미국 정부는 북한에 외부 정보 유입을 지원했다.[156] 북한의 개정 헌법은 이제 대한민국을 "적대 국가"로 규정하며, 평화적 통일 추구를 중단하고 국경을 따라 군사적 요새를 강화했다.[170] 동시에, 북한은 한반도 경계의 특정 지역에서 남한과의 도로 및 철도 연결을 폭파했다.[171]
6. 1. 북핵 위기와 국제 사회의 대응
냉전 종식 후 북한은 소련의 지원 중단과 경제 위기를 겪었다.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으로[96] 북한 정권 붕괴와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대가 있었지만,[97][98] 북한은 핵 개발 의혹을 받았다.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영변 핵시설 폭격을 고려했으나, 막대한 인명 피해를 우려하여[99][100] 1994년 제네바 합의를 통해 북한 핵 프로그램 동결을 추진했다.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은 햇볕 정책으로 대북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101] 9.11 테러 이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며[2][3] 대북 강경책으로 전환했다.
2003년 북한, 대한민국,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이 참여하는 6자 회담이 시작되었지만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결국 2006년 북한은 첫 번째 핵실험을 강행했다.[102]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은 햇볕 정책을 공식 폐기했다.[103]
2016년 9월 북한은 5차 핵실험을 실시했다.
6. 2. 햇볕정책과 남북 화해 협력
김대중 정부는 햇볕 정책을 통해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으며,[101] 노무현 정부 역시 이 기조를 이어받아 남북 화해와 협력을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남북 정상은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여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다짐했다.남북 간에는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 등 다양한 교류 협력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북한을 방문하고 남북 간 경제 협력이 이루어지는 등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 등 북한의 군사적 도발로 인해 남북 관계는 다시 경색되었다.[2][3] 특히,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에서 발생한 이 사건들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햇볕정책을 비롯한 남북 화해 협력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을 불러일으켰다.
6. 3. 대북 강경 정책과 남북 관계 경색
이명박 정부는 2007년 김대중 정부의 햇볕 정책을 공식적으로 폐기하고 대북 강경 정책을 펼치면서 남북 관계가 경색되기 시작했다.[103]
서해 NLL 인근에서는 남북 간의 군사적 충돌이 잦았다. 1999년과 2002년에는 각각 제1연평해전과 제2연평해전이 발발했다. 2010년 3월 26일에는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백령도 인근에서 한국 해군 함정 천안함이 침몰했는데, 이는 북한 어뢰의 소행으로 지목되었다. 같은 해 11월 23일에는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하여 북한이 대연평도에 포격을 가했고, 한국은 이에 대응 사격했다.
2013년, 북한은 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긴장 속에서 개성공단을 일시 폐쇄했고,[113] 2016년에 다시 완전 폐쇄했다.[114]
박근혜 정부는 2016년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여 미국의 사드 미사일 방어 체계 배치를 결정했다.[118][119] 같은 해 9월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한국은 북한의 핵 공격 징후가 있을 경우 평양을 쑥대밭으로 만들 계획을 세웠다는 보도가 나왔다.[120]
6. 4.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적극 추진하여 남북 관계와 북미 관계 개선에 힘썼다. 2018년 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년사에서 2018년 동계 올림픽 참가를 제안하면서 거의 2년 만에 서울-평양 핫라인이 재개되었다.[138] 2월에는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대표로 하는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방북을 제안했다.[139]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비핵화와 남북 간 평화 정착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발표했다.[140] 6월 12일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판문점 선언과 같은 약속을 담은 선언문에 서명했다.[141]

2018년 9월, 문재인 대통령은 평양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다시 만나,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경우 북한의 핵시설을 해체하겠다는 약속을 담은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했다. 또한, 양측은 충돌 방지를 위해 국경 지역에 완충 지대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143] 11월 1일에는 DMZ 전역에 완충 지대가 설치되어 육해공에서의 적대 행위를 중단하기로 했다.[144] 완충 지대는 서해의 덕적도 북쪽에서 조도 남쪽, 동해의 속초 북쪽에서 통천군 남쪽까지 뻗어 있었으며, DMZ를 따라 비행 금지 구역도 설정되었다.[144][145]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은 합의 없이 결렬되었고,[146] 2020년 6월에는 북한이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면서[149]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난관에 부딪혔다. 2021년 말,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말 외교적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국민의힘 등 일각의 반대에 직면했다.[150]
6. 5.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과 현재 상황
윤석열 정부는 이전 정부와 달리 북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2022년 9월 9일, 북한은 핵무기 보유국임을 선언하는 법을 통과시켰다.[151]2022년 11월, 한미 연합 공군 훈련인 비질런트 스톰에 맞서 북한은 미사일 시험 발사와 공군 훈련으로 대응했다.[152] 같은 해 12월에는 북한 무인기 5대가 한국 영공에 진입하여 한국 방공망을 뚫고 한 대는 청와대 인근 비행금지구역까지 침범하기도 했다.[153]
2024년 1월 5일, 북한은 연평도를 향해 200발의 포탄을 발사했다.[157] 1월 10일, 김정은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연설에서 남한을 "적"으로 규정하며 대남 노선의 근본적인 전환을 촉구했다.[158] 그는 대한민국 헌법의 한반도 전체 영유권 주장과 윤석열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며, 양국 관계가 "상호 적대국 관계"라고 선언했다.[158]

2024년 1월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김정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개정을 통해 대한민국을 가장 적대적인 국가로 명시하고,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남북 협력 기구 3개를 폐지했다.[161] 또한, 2024년 1월 23일 평양에서 조국통일의 문을 파괴했다.[162]
2024년 3월 1일, 윤석열 대통령 정부는 자유민주주의 원칙을 포함하는 새로운 통일 비전을 개발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1994년 김영삼 정부의 민족공동체 통일 방안 이후 30년 만의 개정이다.[165]
2024년 6월 4일, 대한민국 국무회의는 북한의 쓰레기 풍선 살포에 대응하여 2018년 판문점 선언을 정지시켰다.[166] 6월 9일, 한국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167]
북한은 개정 헌법에서 대한민국을 "적대 국가"로 규정하고, 평화적 통일 추구를 중단했다.[170]
참조
[1]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https://archive.org/[...]
Zed Books
2007
[2]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3]
서적
Korea
Polity Press
[4]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5]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6]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7]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8]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9]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1]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3]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14]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5]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6]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7]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18]
서적
Korea
Polity Press
[19]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20]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21]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2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23]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4]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25]
서적
Rethinking the Korean War: A New Diplomatic and Strategic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27]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28]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9]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3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31]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32]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33]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34]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35]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36]
서적
Korea
Polity Press
[37]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https://archive.org/[...]
Zed Books
2007
[38]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jor North Korean statements on the Korean War armistice
http://english.yonha[...]
연합뉴스
2009-05-28
[39]
뉴스
North Korea ends peace pacts with South
https://www.bbc.co.u[...]
2013-03-08
[4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41]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4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43]
웹사이트
Treaty of Friendship,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betwee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marxists.[...]
1967-07-11
[44]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45]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The petty side of diplomacy
https://www.bbc.com/[...]
BBC
2018-07-21
[46]
간행물
The DPRK Diplomatic Relations
http://www.ncnk.org/[...]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47]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48]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49]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50]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51]
서적
Pyongyang: the hidden history of the North Korean capital
Entente Bt
[52]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53]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54]
뉴스
From comrades to assassins, North Korea and Vietnam eye new chapter with Trump-Kim summit
https://www.reuters.[...]
2019-02-16
[55]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56]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57]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58]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59]
서적
The Oboe Works of Isang Yun
2009
[60]
서적
Cold war shoot downs: Part two
Challenge Publications Inc.
[61]
서적
Korea
Polity Press
[62]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https://archive.org/[...]
Zed Books
2007
[63]
뉴스
Nuclear weapons and South Korea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23-01-18
[64]
웹사이트
아카이브 상세 {{!}} 강남 {{!}} 서울역사아카이브
https://museum.seoul[...]
2023-08-16
[65]
웹사이트
아카이브 상세 {{!}} 강남 {{!}} 서울역사아카이브
https://museum.seoul[...]
2023-08-16
[66]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67]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68]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69]
웹사이트
Minutes of Washington Special Actions Group Meeting, Washington, August 25, 1976, 10:30 a.m.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U.S. Department of State
2012-05-12
[70]
뉴스
South Korean Movie Unlocks Door on a Once-Secret Past
https://www.nytimes.[...]
2018-10-05
[71]
뉴스
S. Korea raided North with captured agents in 1967
https://www.koreatim[...]
2011-02-07
[72]
웹사이트
ko:[현장 속으로] 돌아오지 못한 북파공작원 7726명
https://news.joins.c[...]
2013-09-28
[73]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74]
웹사이트
North Korea and the East German Stasi, 1987–1989
https://www.wilsonce[...]
Wilson Center
2017-05-08
[75]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76]
웹사이트
North Korea and Libya: Friendship through artillery | NK News
https://www.nknews.o[...]
2015-01-05
[77]
웹사이트
North Korea Arms Libya
https://www.piie.com[...]
2011-04
[78]
웹사이트
Juche in the United States: The Black Panther Party's Relations with North Korea, 1969–1971
http://apjjf.org/201[...]
The Asia Pacific Journal
2015-03-30
[79]
뉴스
Rocky road to Pyongyang: DPRK-IRA relations in the 1980s
https://www.nknews.o[...]
2013-05-17
[80]
뉴스
North Korea: Opponents of Apartheid
https://www.nknews.o[...]
2013-12-16
[81]
간행물
Juche and North Korea's Global_Aspirations
http://www.wilsoncen[...]
2009-04
[82]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83]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84]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85]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86]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87]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88]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89]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90]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91]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9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93]
서적
Korea
Polity Press
[9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odern Olympic Movement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95]
웹사이트
Choi Duk Shin, 75, Ex-South Korean Envoy
https://www.nytimes.[...]
1989-11-19
[96]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97]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98]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https://archive.org/[...]
Zed Books
2007
[99]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100]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101]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02]
서적
Korea
Polity Press
[103]
웹사이트
South Korea Formally Declares End to Sunshine Policy
http://www.voanews.c[...]
oice of America
2010-11-18
[104]
서적
Korea
Polity Press
[105]
서적
Korea
Polity Press
[106]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https://archive.org/[...]
Zed Books
2007
[107]
뉴스
Backgrounder: How DPRK has condemned U.S.-S. Korea joint military exercises
http://news.xinhuane[...]
Xinhua
2016-08-22
[108]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W. W. Norton & Company
[109]
서적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Basic Books
[110]
뉴스
China, North Korea criticize new U.S. sanctions
https://www.nknews.o[...]
2016-07-08
[111]
서적
Korea
Polity Press
[112]
웹사이트
S. Korea raided North with captured agents in 1967
https://www.koreatim[...]
2015-11-24
[113]
웹사이트
North and South Korea reopen Kaesong Industrial Complex
http://edition.cnn.c[...]
CNN
2014-01-17
[114]
웹사이트
South Korea to Halt Work at Joint Industrial Park With North
https://www.nbcnews.[...]
NBC News
2016-02-10
[115]
웹사이트
Leftist lawmaker gets 12-year prison term for rebellion plot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Agency
2014-02-17
[116]
뉴스
Trump Inherits a Secret Cyberwar Against North Korean Missiles
https://www.nytimes.[...]
2017-03-04
[117]
뉴스
Did cyber attacks slow down North Korea's missile progress?
https://www.nknews.o[...]
2017-03-09
[118]
웹사이트
The Real Answer to China's THAAD Dilemma
https://thediplomat.[...]
2022-04-29
[119]
뉴스
S.Korea to review possible new sites for THAAD deployment
https://www.nknews.o[...]
2016-08-22
[120]
뉴스
S. Korea unveils plan to raze Pyongyang in case of signs of nuclear attack
http://m.yna.co.kr/m[...]
Yonhap News Agency
2015-09-11
[121]
뉴스
Graphic, pro-North Korea leaflets found in downtown Seoul
https://www.nknews.o[...]
2017-02-10
[122]
뉴스
New South Korean party accused of using Pyongyang's Juche Tower as logo
https://www.nknews.o[...]
2017-02-14
[123]
뉴스
South Korea: Government to pay defectors for North Korea secrets
https://asiancorresp[...]
Asian Correspondent
2017-03-05
[124]
뉴스
North Korean Hackers Stole U.S.-South Korean Military Plans, Lawmaker Says
https://www.nytimes.[...]
2017-10-10
[125]
뉴스
U.S. Said to Find North Korea Ordered Cyberattack on Sony
https://www.nytimes.[...]
2014-12-17
[126]
뉴스
South Korea's likely next president warns the U.S. not to meddle in its democracy
https://www.washingt[...]
2018-05-28
[127]
뉴스
North Korea Claims Success in Long-Range Missile Test
https://www.nytimes.[...]
2017-07-04
[128]
뉴스
North Korea Launches Ballistic Missile, the Pentagon Says
https://www.nytimes.[...]
2017-07-28
[129]
뉴스
North Korea vows to retaliate against US over sanctions
https://www.bbc.co.u[...]
2017-08-07
[130]
웹사이트
North Korea considering firing missiles at Guam, per state media
https://www.foxnews.[...]
2017-08-08
[131]
뉴스
Atom: Nordkorea legt detaillierten Plan für Raketenangriff Richtung Guam vor
https://www.welt.de/[...]
2017-08-10
[132]
뉴스
North Korea nuclear test: what we know so far
https://www.theguard[...]
2017-09-03
[133]
뉴스
North Korea: Sanctions tighten screws on regime but China, Russia get their way
https://www.smh.com.[...]
2017-09-12
[134]
웹사이트
North Korea's Longest Missile Test Yet
http://allthingsnucl[...]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17-11-28
[135]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Tightens Sanctions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2397 (2017)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17-12-24
[136]
웹사이트
Canada and United States to co-host Vancouver Foreign Ministers' Meeting on Security and Stability on Korean Peninsula
https://www.canada.c[...]
Office of th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2018-01-06
[137]
웹사이트
Co-chairs' summary of the Vancouver Foreign Ministers' Meeting on Security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canada.c[...]
2018-01-16
[138]
웹사이트
North Korea reopens cross-border communication channel with South Korea
http://www.chicagotr[...]
2018-01-05
[139]
뉴스
Delegation visit shows N. Korea can take "drastic" steps to improve relations: MOU
https://www.nknews.o[...]
2018-02-12
[140]
뉴스
Kim, Moon declare end of Korean (War
https://www3.nhk.or.[...]
NHK World
2018-04-27
[141]
웹사이트
Document signed by Trump and Kim includes four main elements related to 'peace regime'
https://www.cnbc.com[...]
2018-06-12
[142]
뉴스
Trump's decision to halt military exercises with South Korea leaves Pentagon and allies nervous
https://www.latimes.[...]
2018-06-12
[143]
뉴스
North Korea agrees to dismantle nuclear complex if United States takes reciprocal action, South says
http://www.abc.net.a[...]
ABC
2018-09-19
[144]
웹사이트
Yonhap News Agency
http://english.yonha[...]
2018-11-02
[145]
뉴스
Two Koreas end military drills, begin operation of no-fly zone near MDL: MND
https://www.nknews.o[...]
2010-11-01
[146]
뉴스
North Korea's foreign minister says country seeks only partial sanctions relief, contradicting Trump
https://www.washingt[...]
2019-05-08
[147]
웹사이트
Donald Trump meets Kim Jong Un in DMZ; steps onto North Korean soil
https://eu.usatoday.[...]
2019-06-30
[148]
뉴스
North Korea Says Nuclear Talks Break Down While U.S. Says They Were 'Good'
https://time.com/569[...]
Time
2019-10-05
[149]
웹사이트
North Korea's Wrecking of Liaison Office a 'Death Knell' for Ties With the South
https://www.nytimes.[...]
2020-06-16
[150]
뉴스
Speakers at Seoul forum question push for end-of-war declaration with DPRK
https://www.nknews.o[...]
NK News
2021-12-02
[151]
뉴스
North Korea declares itself a nuclear weapons state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9-09
[152]
뉴스
North Korea flies 180 military aircraft near South Korean border as Seoul scrambles warplanes
https://www.abc.net.[...]
ABC
2022-11-04
[153]
뉴스
N Korea drone entered S Korea's presidential no-fly zone: Army
https://www.aljazeer[...]
2023-01-05
[154]
뉴스
ROK activist received North Korean orders while running for office: Lawmaker
https://www.nknews.o[...]
NK News
2023-02-13
[155]
뉴스
South Korea upholds firewall against North
https://www.eastasia[...]
East Asia Forum
2023-01-12
[156]
뉴스
North Korean museum targets drug use, K-pop in campaign against social ills
https://www.nknews.o[...]
NK News
2023-01-16
[157]
웹사이트
North Korea fires artillery shells, evacuation order for South Korea island
https://insiderpaper[...]
2024-01-05
[158]
뉴스
North Korea says it will no longer seek reunification with South Korea, will launch new spy satellites in 2024
https://www.cnn.com/[...]
2023-12-31
[159]
뉴스
Why North Korea declared unification 'impossible,' abandoning decades-old goal
https://www.nknews.o[...]
2024-01-01
[160]
뉴스
Reunification with South? No, says North Korea's Kim Jong-un
https://www.scmp.com[...]
2023-12-31
[161]
뉴스
North Korea to redefine border, purge unification language from constitution
https://www.nknews.o[...]
2024-01-16
[162]
웹사이트
North Korea demolishes symbolic unification arch, satellite imagery suggests
https://www.nknews.o[...]
2024-01-23
[163]
웹사이트
김정은 "꼴불견"…철거 지시한 '조국통일3대헌장 기념비'는 무엇?
https://biz.heraldco[...]
2024-01-16
[164]
웹사이트
N. Korea erases image of Korean Peninsula from major websites
https://en.yna.co.kr[...]
2024-02-19
[165]
웹사이트
S. Korea to update unification vision for 1st time in 30 years
https://en.yna.co.kr[...]
2024-03-01
[166]
웹사이트
South Korea suspends a military deal with North Korea after tensions over trash balloons
https://apnews.com/a[...]
2024-06-04
[167]
뉴스
South Korea to resume propaganda broadcasts after North sends hundreds more rubbish balloons {{!}} South Korea {{!}}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
2024-06-09
[168]
뉴스
North Korea claims 1 million youth enlist amid drone tensions
https://www.trtworld[...]
2024-10-16
[169]
뉴스
North Korea says 1.4 million apply to join army amid tensions with South
https://www.reuters.[...]
2024-10-15
[170]
뉴스
North Korea says its revised constitution defines South Korea as 'hostile state' for first time
https://www.independ[...]
2024-10-17
[171]
뉴스
North Korea blows up road, rail links with ‘hostile state’ South Korea
https://www.aljazeer[...]
2024-10-17
[172]
뉴스
North Korea’s involvement in Ukraine draws China into a delicate balancing act
https://amp.theguard[...]
2024-11-06
[173]
문서
(2nd LD) N. Korea decides to dispatch 12,000 soldiers to support Russia in Ukraine war: spy agency
https://en.yna.co.kr[...]
[174]
문서
North Korean troops have arrived in Russia to fight Ukraine, says Seoul
https://www.theguard[...]
[175]
문서
North Korean troops in Russia readying for combat in Ukraine war, S.Korea says
https://www.reuters.[...]
[176]
뉴스
South Korea cabinet lifts martial law
https://www.bbc.com/[...]
BBC News
2024-12-03
[177]
문서
(2022-)
[178]
문서
(2011-)
[179]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Zed Books
2007
[180]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81]
서적
Korea
https://archive.org/[...]
Polity Press
[18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83]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84]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85]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86]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87]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88]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89]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1]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9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3]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4]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5]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96]
서적
Korea
https://archive.org/[...]
Polity Press
[197]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198]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99]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200]
서적
The Making of Modern Korea
https://archive.org/[...]
Routledge
[201]
서적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203]
서적
Rethinking the Korean War: A New Diplomatic and Strategic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4]
서적
Brothers at War – The Unending Conflict in Korea
Profil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