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의 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의 용은 중국 문화에서 기원전 5천 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상징적인 존재이다. 용은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며, 물과 날씨를 다스리는 존재로 숭배받았다. 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용의 종류와 관련된 다양한 설화가 존재한다. 용은 중국 문화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대에도 행운과 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사오 문화 - 봉황
    봉황은 닭, 제비, 뱀, 학, 물고기, 원앙, 거북, 매의 모습을 닮고 오색 빛깔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지닌 상서로운 새로, 평화와 번영,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로 신성시된다.
  • 양사오 문화 - 삼족오
    삼족오는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세 발 달린 까마귀로, 태양을 상징하며, 중국, 한국, 일본 등 각 문화권에서 다른 의미로 나타난다.
  • 중국의 상징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상징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중국의 용 - 진 (지지)
    진(辰)은 십이지의 여섯 번째 동물로 용을 상징하며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길조로 여겨지지만, 여성 용띠에 대한 미신이나 특정 띠와의 상충, 용띠 해의 출산율 급증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존재한다.
  • 중국의 용 - 흑룡
    흑룡은 한국과 일본의 역사 기록 및 신화에 등장하는 검은 비늘을 가진 신성한 용으로, 한국에서는 우물에서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고 일본에서는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받으며, 오행 사상에서는 북방을 수호하는 신으로, 현대 문화 콘텐츠에서는 다양한 상징으로 활용된다.
중국의 용
용 (龍)
청나라 국기에 묘사된 [[청룡]]
청나라 국기에 묘사된 청룡
분류신화적 생물
하위 분류
관련 문화중국 신화
표기
한자
간체자
병음lóng
주음 부호ㄌㄨㄥˊ
웨이드-자일스lung2
객가어lón
광둥어lung4
예일 로마자 표기lùhng
상고 한어 (정장상팡언)*b·roŋ 또는 *mroːŋ
상고 한어 (백스터-사가르)*mə-roŋ
중고 한어lɨoŋ
일본어 (정자)
일본어 (신자체)
히라가나りゅう, たつ
로마자 (헵번식)ryū, tatsu
한국어 (한자)
한국어 (발음)룡/용, 미르
로마자 표기 (한국어)ryong/yong, mireu
베트남어rồng, long
쯔놈
태국어มังกรจีน
추가 정보
관련 단어龙的传人 (용의 자손)

2. 역사적 배경

중국에서 용의 기원은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싱룽와 문화 유적에서 용의 초기 모습이 발견되었고, 양사오 문화 유적에서는 용 문양이 새겨진 찰흙 냄비가 출토되었다. 1987년 허난성 양사오 문화에서는 용 조각상이 발견되었고,[9] 홍산 문화 (기원전 4700년경~2900년경)에서는 옥으로 만든 둥근 형태의 관직 배지가 발굴되었다.[10] 이처럼 중국 문화 속 용의 존재는 기원전 5천 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 용 유물 중 일부는 홍산 문화의 돼지 용 조각이다.

산싱두이에서 출토된 청동 용, 상 왕조 시대


옥 용 펜던트, 주 왕조 시대


옥 투각 원반, 남월 (기원전 203년~111년)


요나라 (916년~1125년) 묘의 용 조각


구불구불한 용 또는 뱀의 형태는 초기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장 초기의 한자에서 "용"을 나타내는 문자는 꼬인 형태와 유사하며, 상 시대의 옥 용 부적도 마찬가지이다.[11]

고대 중국인들은 발굴된 화석 뼈를 "용골"이라고 불렀고, 이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기원전 300년 창취는 쓰촨성에서 "용골"의 발견을 기록했다.[12] 현대에는 이러한 "용골"이 종종 공룡 뼈로 여겨지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 19세기의 "용골"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멸종된 말 ''히파리온''과 같은 포유류의 뼈가 주를 이룬다고 시사한다.

용은 비(자라), 물고기 또는 공상적인 생물 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네 다리의 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중국의 용은 전통적으로 특히 , 강우, 태풍, 홍수를 제어하는 강력하고 길한 힘을 상징한다.

2. 1. 기원

중국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용 또는 용과 유사한 묘사가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싱룽와 문화 유적에서 용의 초기 묘사 중 일부가 발견되었다. 시안의 양사오 문화 유적에서는 용 문양이 새겨진 찰흙 냄비가 출토되었다. 양사오 문화와 관련된 푸양의 시수이포 유적에서는 조개 껍질로 만든 대형 용 모자이크가 발견되었다.[17] 량주 문화에서도 용과 유사한 패턴이 제작되었다. 오늘날의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홍산 문화 유적지에서는 중국 용의 최초의 3차원 표현인 돼지 용 형태의 옥 용 장식이 제작되었다.[18]

이러한 초기 형태 중 하나는 돼지 용이었다. 이는 멧돼지를 닮은 머리를 가진 둥글고 길쭉한 생물이다.[19] 초기 한자의 "용" 글자는 둥글게 감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 왕조의 후기 옥 용 부적도 마찬가지다.[11] 롱산 문화 2단계의 타오시(산시성)에서 붉은 토기에 그려진 뱀과 같은 용의 몸체가 발견되었으며, 약 2000개의 터키석과 옥으로 덮인 용과 유사한 물체가 얼리터우에서 발견되었다.

고대 중국인들은 발굴된 화석 뼈를 "용골"이라고 불렀고, 이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기원전 300년 창취는 쓰촨성에서 "용골"의 발견을 기록했다.[12]

메이롱의 화석. 본 종이 잠잘 때 현생 조류와 유사한 자세를 취한 것으로 여겨져, "잠자는 용"을 의미하는 "메이롱" ('''寐龍''')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훼(虺)는 500년이 지나 교(蛟)로 변하고, 교(蛟)는 1000년이 지나 용(竜)이 되며, 다시 500년이 지나 각룡(角竜)이 되고, 1000년이 지나 응룡(応竜)이 된다." 고전학자인 원일다는 용은 고대 부족 항쟁 과정에서 등 여러 토템이 흡수·합성되어 만들어졌다는 설을 언급했다.

중국 문화에서 용의 존재는 기원전 5천 년기의 양사오 문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87년 허난성에서 수천 년 전의 용의 조각상이 발견되었다.[49] 또한, 코일 형태의 옥 장식품은 기원전 4700년부터 기원전 2900년까지의 홍산 문화에서 출토되었다.[50]

코일 형태의 뱀과 용의 양식은 초기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은나라 시대 이후의 옥 용 부적과 마찬가지로, 중국어에서 가장 오래된 "용"의 문자는 코일 형태를 하고 있다.[51] 돼지, 호랑이, 새 외에도 용을 새긴 조각이 발견되었다. "저룡(猪竜)" 또는 "옥저룡(玉猪竜)"이라고 불리는 홍산 문화의 옥룡(용을 조각한 옥)의 조형은 단순하며, 용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가 많지만, 후기에는 반룡(盤龍), 문룡(紋龍) 등의 구별이 뚜렷해진다.

2. 2. 상징적 의미의 발전

역사적으로 중국 용은 중국 황제와 연관되어 황제의 권력을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나라의 창시자인 유방은 그의 어머니가 용을 꿈꾼 후 그를 잉태했다고 주장했다.[3] 당나라 시대에 황제들은 용 문양이 새겨진 옷을 황실의 상징으로 착용했으며, 고위 관리들도 용 옷을 하사받을 수 있었다. 원나라 시대에는 두 개의 뿔과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오직 천자 또는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었고,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제후와 귀족이 사용했다.[28] 마찬가지로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도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엄격하게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청나라의 용은 청나라 국기에 나타났다.[4]

청나라 시대의 직물 조각에 새겨진 이중 용


중국 전설에 따르면,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조인 도어황제는 모두 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황제는 통치 말년에 그의 상징과 닮은 용으로 불멸화되어 하늘로 승천했다고 한다. 다른 전설적인 통치자인 염제는 어머니가 신화 속 용과 텔레파시로 소통하여 태어났다.

용(보통 각 발에 다섯 개의 발톱이 있음)은 많은 중국 왕조에서 황제를 상징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황실 용이 노란색이나 금색이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붉은색이었다.[15] 황제의 왕좌는 ''용상''이라고 불렸다. 청나라 말기에는 용이 국기마저 되었다. 용은 베이징의 자금성과 같은 황실 궁궐과 황실 무덤의 계단과 통로 조각에 등장한다.

일부 중국 전설에서는 황제가 용 모양의 을 가지고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한 전설은 용의 점을 가지고 태어난 농부가 결국 기존 왕조를 전복하고 새로운 왕조를 세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반대로 중국의 황후는 종종 중국 봉황과 동일시되었다.

용은 비(자라), 물고기 또는 공상적인 생물 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네 다리의 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음양의 용어에서는 양은 용이며, 또한 종종 봉황과 병렬된다.

중국의 용은 대중 종교에서 물과 날씨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용은 폭포, 강 또는 바다와 같은 움직이는 물의 지배자로 여겨진다. 용신은 비를 내리는 존재이자 양(yang), 즉 생성의 남성적 힘을 나타내는 동물 형상이다. 물과 날씨의 지배자로서 용은 더 인간형에 가깝게 묘사되며, 종종 왕의 의상을 입은 인간형으로 묘사되지만, 왕의 면류관을 쓴 용의 머리를 하고 있다.

각각 사해를 대표하는 4명의 주요 용왕이 있는데, 동해(동중국해에 해당), 남해(남중국해에 해당), 서해(때로는 칭하이호 등으로 여겨짐), 북해(때로는 바이칼 호수로 여겨짐)이다.

이러한 연관성 때문에 용은 물과 관련된 기상 현상을 "관장"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근대 이전 시대에는 많은 중국 마을(특히 강과 바다 근처)에 지역 "용왕"을 모시는 사당이 있었다. 가뭄이나 홍수가 발생하면, 지역의 유지와 정부 관리들이 용의 노여움을 달래기 위해 제물을 바치고 다른 종교 의식을 수행하여 비를 내려달라거나 비를 멈춰달라고 기원하는 것이 관례였다.

오대십국 시대의 오월국 왕은 바다를 "다스린" 광범위한 수리 시설 때문에 종종 "용왕" 또는 "해룡왕"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해안 지역, 한국, 베트남에서는 바다 위의 사람들의 수호신으로서 고래 신을 숭배하는 전통적인 전설이 불교의 유입 이후 용왕으로 언급되었다.[14]

용과 물의 관계 기원은 인도의 나가로 거슬러 올라가며, 불교를 통해 중국에 전해져 용과 습합되었다. 나가는 코브라를 신격화한 뱀신이었지만, 코브라가 서식하지 않는 중국에서는 한역 경전에서 용으로 번역되었다. 고대 중국이나 한국, 베트남 등 연안부에 존재하는 고래(경신)를 해상의 수호신으로 숭배하는 풍습은, 불교의 용왕 전승과 영합했을 가능성이 있다.[56]

용은 지상에 비를 가져다주는 수신으로 여겨졌지만, 용이 비를 내리는 여부는 종종 옥황상제 등 지위가 높은 신의 명령에 기초했다.[57] 민간 신앙에서도 용왕은 옥황상제의 지배하에 있어 그 명령에 따랐으며, 용왕이 기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없다고 인식되는 경우가 있었다.[58] 옥황상제가 강우를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거역하여 비를 내린 탓에 벌을 받는 용의 전설이 중국 각지에 남아 있다. 저장성의 "옥주봉" 전승에서는, 섣달 그믐에 산 제물이 없었던 것에 분노한 옥황상제가 3년 동안 강우를 멈추도록 용들에게 명령했지만, 구룡정의 옥주룡이 명령에 따르지 않고 비를 내려 지상에 1000년 동안 떨어지는 벌을 옥황상제로부터 받았다.[59] 광시 좡족 자치구에 남아 있는 "금룡과 잉어" 전승에서는, 3년 동안 강우를 금지한 옥황의 명령을 거역한 금룡이, 하늘의 요지에서 쇠사슬에 묶이는 벌을 받고 있다.[59] 음력 2월 2일의 연중 행사 "용태두"와 관련된 산시성 전설에서는, 옥황상제의 명령을 거역하고 비를 내린 옥룡이 지상의 산에 갇힌다.[60]

3. 용의 묘사

중국에서 용은 일반적으로 뱀과 같은 몸에 여러 동물의 특징을 결합한 형태로 묘사된다.

홍산 문화 (기원전 4700–2920년경)의 C자형 옥 용 토템


진나라 쌍두룡 청동 유물, 진시황릉 근처에서 발견됨.


서한 시대 무사와 용이 그려진 묘지 벽화, 뤄양에서 발견됨.


용이나 용과 유사한 묘사는 중국 전역의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용의 가장 초기 묘사는 싱룽와 문화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시안의 양사오 문화 유적에서는 용 문양이 새겨진 찰흙 냄비가 출토되었다. 량주 문화에서도 용과 유사한 패턴이 제작되었다. 오늘날의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홍산 문화 유적지에서는 중국 용의 최초의 3차원 표현인 돼지 용 형태의 옥 용 장식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초기 형태 중 하나는 돼지 용으로, 멧돼지를 닮은 머리를 가진 둥글고 길쭉한 생물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스스로를 "용의 신"이라고 여겼는데, 이는 중국의 용이 조상으로부터의 진화와 기 에너지를 나타내는 상상의 파충류이기 때문이다.[8] 붉은 갈색 돌로 된 동물 형상의 용 모양 모티프가 싱룽와 문화(기원전 6200–5400년)의 차하이 유적지(랴오닝)에서 발견되었다. 중국 문화 속 용의 존재는 기원전 5천 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1987년 허난성 양사오 문화에서 용 조각상이 발견되었고,[9] 홍산 문화 (기원전 4700–2900년)에서는 옥으로 만든 둥근 형태의 관직 배지가 발굴되었다.[10] 가장 초기의 용 유물 중 일부는 홍산 문화의 돼지 용 조각이다.

구불구불한 용 또는 뱀의 형태는 초기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장 초기의 한자에서 "용"을 나타내는 문자는 꼬인 형태와 유사하며, 상 왕조 시대의 옥 용 부적도 마찬가지다.[11]

고대 중국인들은 발굴된 화석 뼈를 "용골"이라고 불렀고, 이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기원전 300년 창취는 쓰촨성에서 "용골"의 발견을 기록했다.[12]

용은 비 (자라), 물고기 또는 공상적인 생물 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네 다리의 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음양의 용어에서는 양은 용이며, 또한 종종 봉황과 병렬된다. 중국의 용은 전통적으로 특히 , 강우, 태풍, 홍수를 제어하는 강력하고 길한 힘을 상징한다. 게다가 귀인의 힘, 강함, 그리고 행운의 상징이기도 하다. 중국 황제(목록)에게도 용은 항상 황제의 권력과 강함의 상징이었다[43]

일상적인 중국어에서는 실력과 기품이 있는 사람들은 용에 비유된다. 이에 반해 실력이나 기품이 없는 사람들은 벌레에 비유된다. 중국의 속담이나 관용구 중 일부는 용을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망자성룡(자신의 아들이 용이 되기를 바란다) 등이 있다. 기존의 생물이 수행 등의 끝에 용이 된다는 전승도 예로부터 존재하며, 뱀이나 잉어 등 비늘을 가진 생물 외에도 여우[44]나 말[45] 등이 변화한다는 옛날 이야기도 존재한다.

미술사학자 존 보드먼에 따르면, 중국 용과 인도 마카라의 묘사는 그리스 신화에서 케토스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으며, 중국 용이 파충류처럼 보이고 머리 모양이 바뀐 후 실크로드를 통해 들어온 '케토스'의 이미지를 접한 후일 수 있다.[13]

3. 1. 외형적 특징

중국 용의 외형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한나라의 학자 왕부는 용(龍)이 아홉 가지 해부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중국 신화를 기록했다.

> 사람들은 말의 머리와 뱀의 꼬리로 용의 형상을 그린다. 또한 '세 관절'과 '아홉 가지 닮음'과 같은 표현이 있는데, 머리에서 어깨까지, 어깨에서 가슴까지, 가슴에서 꼬리까지가 그것이다. 이것이 관절이고, 아홉 가지 닮음은 다음과 같다. 뿔은 사슴의 뿔을 닮았고, 머리는 낙타의 머리를, 눈은 귀신의 눈을, 목은 뱀의 목을, 배는 조개(''shen'', 蜃중국어)를, 비늘은 잉어의 비늘을, 발톱은 독수리의 발톱을, 발바닥은 호랑이의 발바닥을, 귀는 소의 귀를 닮았다. 머리 위에는 넓은 융기(큰 덩어리)와 같은 것, 즉 尺木중국어(chimu)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용에게 尺木중국어(chimu)가 없으면 하늘로 올라갈 수 없다.

다른 자료에서는 아홉 가지 동물 닮음에 대한 변형된 목록을 제공한다. 중국학자 앙리 도레|Henri Doré프랑스어는 진짜 용의 이러한 특징들을 열거한다. "사슴의 뿔, 악어의 머리, 귀신의 눈, 뱀의 목, 거북이의 내장, 매의 발톱, 호랑이의 발바닥, 소의 귀. 그리고 뿔로 듣고, 귀는 들을 수 있는 모든 힘을 빼앗긴다." 그는 "다른 사람들은 토끼의 눈, 개구리의 배, 잉어의 비늘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라고 언급한다.

검은 꽃병에 있는 황룡, 원나라


중국 용은 물리적으로 간결하다고 여겨졌다. 117개의 비늘 중 81개는 양의 본질(양)이고 36개는 음의 본질(음)이다. 처음에는 용이 자비롭고, 현명하고, 정의로웠지만 불교도들은 일부 용들 사이에서 악의적인 영향의 개념을 도입했다. 물이 파괴하는 것처럼, 그들은 일부 용이 홍수, 해일, 폭풍을 통해 파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최악의 홍수 중 일부가 필멸의 존재가 용을 화나게 한 결과라고 믿어진다고 주장했다.

중국 용의 많은 그림은 턱 아래나 발톱에 불타는 구슬을 보여준다. 그 구슬은 영적 에너지, 지혜, 번영, 권력, 불멸, 천둥 또는 달과 관련이 있다. 중국 미술은 종종 불타는 구슬을 쫓거나 놓고 싸우는 한 쌍의 용을 묘사한다.

용 디자인의 직물, 원나라


이 묘사는 오늘날까지 용의 예술적 묘사와 일치한다. 용은 또한 거의 무한한 범위의 초자연적인 힘을 얻었다. 그것은 누에로 변장하거나 우리 전체 우주만큼 커질 수 있다고 한다. 구름 속을 날아다니거나 물 속에 숨을 수 있다(《관자》에 따르면). 그것은 구름을 형성하고, 물로 변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색깔을 바꾸고, 효과적인 위장 형태가 되거나 어둠 속에서 빛을 낼 수 있다(《설문해자》에 따르면).

다른 많은 국가에서 민담은 용이 12지신의 다른 11가지 생물의 모든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여기에는 수염의 쥐, 황소의 얼굴과 뿔, 호랑이의 발톱과 이빨, 토끼의 배, 뱀의 몸, 말의 다리, 염소의 턱수염, 원숭이의 재치, 닭의 볏, 개의 귀, 돼지의 코가 포함된다.

남송 시대의 박물지 『이아익』에서는 용의 모습을 "삼정구사(三停九似)", 즉 머리~팔뚝~허리~꼬리 각 부분의 길이가 같고, 뿔은 사슴, 머리는 낙타, 눈은 토끼, 몸통은 , 배는 대합, 등 비늘은 물고기, 발톱은 , 발바닥은 호랑이, 귀는 를 각각 닮았다고 묘사하고 있다.[65][66]

3. 2. 용의 종류

중국 문헌에는 다양한 종류의 용이 등장한다.

  • ''천룡''(天龍): 하늘에 사는 용으로, 신들의 궁궐을 지키고 수레를 끄는 역할을 한다. 용자리의 이름이기도 하다.
  • ''신룡''(神龍): 날씨를 다스리는 천둥의 신으로, 사람의 머리와 용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배는 북처럼 생겼다.
  • ''부장룡''(伏藏龍): 화산과 관련된 귀금속과 보석을 지키는 지하의 수호자이다.
  • ''지룡''(地龍): 강과 바다를 다스린다.
  • ''응룡''(應龍): 비와 홍수를 다스리는 날개 달린 용으로, 황제치우를 죽일 때 사용했다고 한다.
  • ''교룡''(蛟龍): 뿔이 없거나 비늘이 있는 용으로, 모든 수생 동물의 지도자이다.
  • ''반룡''(蟠龍): 하늘로 올라가지 않은 호수에 사는 용이다.
  • ''황룡''(黃龍): 뿔이 없는 용으로, 황제를 상징한다.
  • ''비룡''(飛龍): 구름과 안개를 타고 다니는 날개 달린 용이다. 비룡 (공룡)의 이름이기도 하다.
  • ''청룡'': 사신 중 하나로 동쪽을 상징하며, 중국 별자리의 신화적 존재이다.
  • ''규룡''(虬龍): "뿔 달린 용" 또는 "뿔 없는 용"으로 정의된다.
  • ''촉룡''(燭龍): 중국 신화에 나오는 거대한 붉은 용의 태양신이다. 사람의 얼굴과 뱀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눈을 뜨고 감는 것으로 낮과 밤을 만들고, 숨을 쉬는 것으로 계절풍을 만들었다고 한다.
  • ''기룡''(螭龍): 뿔 없는 용 또는 산의 악마이다.


''용(龍)''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중국 용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 ''용왕''(龍王): 사해를 다스리는 신이다.
  • ''용마''(龍馬): 낙수에서 나타나 복희에게 ''팔괘''를 전해 주었다고 한다.


''용(龍)''으로 이름 지어지지 않은 중국 용은 다음과 같다.

  • 홍: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용 또는 무지개 뱀이다.
  • 신: 변신하는 용 또는 바다 괴물로 신기루를 만든다고 여겨진다.
  • ''파사''(巴蛇): 코끼리를 잡아먹는 거대한 뱀과 같은 용이다.
  • ''등''(騰): 다리가 없는 날아다니는 용이다.


송나라 송 휘종 황제는 다섯 가지 색깔의 용을 "왕"으로 칭송했다.

  • 청룡 (青龍중국어): 가장 자비로운 왕이다.
  • 주룡 (朱龍중국어 또는 赤龍중국어): 호수에 축복을 내리는 왕이다.
  • 황룡 (黃龍중국어): 모든 청원을 호의적으로 듣는 왕이다.
  • 백룡 (白龍중국어): 덕이 있고 순수한 왕이다.
  • 흑룡 (玄龍중국어 또는 黑龍중국어): 신비로운 물의 깊은 곳에 사는 왕이다.[21]


동쪽의 청룡에 중앙의 황룡을 더하면, 이 주룡, 백룡, 흑룡은 남쪽의 주작, 서쪽의 백호, 북쪽의 현무를 포함하는 사신과 조화를 이룬다.

한국에서는 용왕 신앙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용왕은 바다를 다스리고 풍요와 안전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졌다.

3. 3. 삼정구사(三停九似)

남송 시대의 박물지 『이아익』에서는 용의 모습을 "삼정구사(三停九似)"로 묘사했다. 삼정(三停)은 머리에서 어깨까지, 어깨에서 가슴까지, 가슴에서 꼬리까지의 세 부분을 말하며, 구사(九似)는 아홉 가지 닮은 모습을 뜻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65][66]

부분닮은 동물
사슴
머리낙타
토끼
대합
비늘잉어
발톱
발바닥호랑이


3. 4. 용생구자(龍生九子)

명나라 시대 문헌에는 용의 아홉 자식인 용생구자(龍生九子)에 대한 기록이 등장한다. 학자 사조철(謝肇淛, 1567–1624)은 그의 저서 《오잡조》(五雜俎, c. 1592)에서 다음과 같이 용생구자에 대해 기록했다.[23]

> 16세기 말의 잘 알려진 작품인 《오잡조》(五雜俎)는 용의 아홉 가지 다른 아들들에 대해 알려주며, 그들의 형태는 그들의 본성에 따라 장식으로 사용된다.

이름설명
포로네 다리를 가진 작은 형태의 용으로, 비명을 지르기를 좋아하며 종의 꼭대기에 손잡이로 표현된다.
규우(囚牛)음악을 좋아하는 용으로, 악기를 장식하는 데 사용된다.
치문삼키는 것을 좋아하는 용으로, 지붕 용마루의 양쪽 끝에 놓인다(모든 악의적인 영향을 삼키기 위해).
초풍(嘲風)모험을 좋아하는 짐승과 같은 용으로, 지붕의 네 모퉁이에 놓인다.
아자(睚眦)죽이기를 좋아하는 용으로, 칼자루에 새겨진다.
희희(屓屭)《치호》(螭虎)와 같은 형태를 지닌 용으로, 문학을 좋아하며 묘비 옆면에 표현된다.
비안(狴犴)소송을 좋아하는 용으로, 감옥 문 위에 놓인다(경계를 지키기 위해).
산예(狻猊)앉는 것을 좋아하는 용으로, 불교 우상 기단 위에 표현된다(부처나 보살의 발 아래).
비희(霸下)무거운 물건을 들기를 좋아하는 큰 거북으로, 묘비 아래에 놓인다.



같은 저자는 아홉 종류의 다른 용을 열거하며, 이들은 감옥, 물, 갓 잡은 생선이나 갓 잡은 고기의 비린 냄새, 바람과 비, 장식, 연기, 입을 막는 것(열쇠 구멍을 장식하는 데 사용), 가파른 곳에 서 있는 것(지붕에 놓임)과 불을 좋아하며, 그들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물건이나 건물 장식으로 표현된다고 기록했다.[23]

시인 양신(楊慎, 1488–1559)의 《성안외집》(升庵外集)은 용의 아들 아홉의 5번째와 9번째 이름을 다르게 제시한다. 짐승의 형태인 도철은 먹는 것을 좋아하며 음식과 관련된 물건에서 발견되며, 조개나 대합과 같은 모습의 교도(椒圖)는 방해받는 것을 싫어하며 현관이나 문간에 사용된다. 양신의 목록은 비희, 치문 또는 초풍, 포로, 비안, 도철, 규우, 아자, 산예, 교도이다. 또한, 파충류 동물과 용의 혼종인 파하(𧈢𧏡)는 물을 마시는 것을 좋아하며 다리 구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말이 있다.[24]

"용의 아들" 목록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노용(陸容, 1436–1494)의 《숙원잡기》(菽園雜記, "콩 정원의 잡다한 기록")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그는 그 목록이 용의 아들이 아닌 다양한 골동품의 단순한 동의어를 열거한다고 언급했다.[25]

4. 용과 관련된 문화

중국의 용은 전통적으로 물, 강우, 태풍, 홍수를 다스리는 강력하고 길한 힘을 상징하며, 힘, 강함, 행운을 상징하기도 한다.[43] 일상적인 중국어에서는 실력과 기품이 있는 사람을 용에 비유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벌레에 비유한다. 망자성룡(望子成龍, 자식이 용이 되기를 바람)과 같은 속담도 있다.

용은 뱀, 물고기, 자라 등 기존 생물이나 토템을 기원으로 하여 신화 속 동물로 진화했다는 설이 있다. 중국 문화에서 용의 존재는 기원전 5천 년 전 앙소 문화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홍산 문화에서는 코일 형태의 옥 장식품이 출토되기도 했다.[49][50]

용 전설의 기원으로는 고래나 공룡 뼈의 발견, 악어와 같은 파충류 관찰, 뱀에 대한 공포 등이 제시된다.[52] 고대 중국에서는 공룡 뼈를 용의 뼈로 기록하기도 했다.[53][54]

용을 의미하는 진(辰)은 십이지 중 유일한 전설 속 동물이며, 왜 진만이 전설 속 동물이 되었는지는 아직 논란거리다.

용과 관련된 풍습으로는 용에게 기우제를 지내는 것과 단오절의 용선 경주, 설날의 용춤 등이 있다.

홍콩 용선 경주(14세기 그림)


한국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는 용과 관련된 지명과 설화가 많이 남아 있다.

명칭설명
용두사미용을 위대한 존재에, 뱀을 평범한 존재에 비유하는 표현
용호(龍虎)호랑이와 용처럼 강대한 힘을 가진 두 영웅을 비유
등용문잉어가 폭포를 오르면 용이 된다는 중국 고사에서 유래
역린용의 턱에 거꾸로 난 비늘을 만지면 반드시 죽는다는 전설
용왕인도의 나가 신앙이 용과 습합된 것, 고래 숭배와도 연관 가능성[56]
황하그 모양 때문에 용에 비유
풍수기의 흐름을 용맥이라 칭함
고금, 고토(箏)용에 비유, 「용각」, 「용미」, 「용안」 등 용의 신체 부위에 기인한 명칭



현대 사회에서도 용은 강력한 힘과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용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용의 기운을 받는다는 속설이 있다.[34][35] 용은 중국 조디악의 12가지 동물 중 하나이며, 용의 해는 아이를 낳기에 가장 인기 있는 해이다. 또한 다양한 대중 매체에 등장한다.

4. 1. 용과 황제

역사적으로 중국 용은 중국 황제와 연관되어 황제의 권력을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나라의 창시자인 유방은 그의 어머니가 용을 꿈꾼 후 그를 잉태했다고 주장했다.[3] 당나라 시대에 황제들은 용 문양이 새겨진 옷을 황실의 상징으로 착용했으며, 고위 관리들도 용 옷을 하사받을 수 있었다. 원나라 시대에는 두 개의 뿔과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오직 천자 또는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었고,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제후와 귀족이 사용했다.[28] 마찬가지로 명나라청나라 시대에도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엄격하게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청나라의 용은 청나라 국기에 나타났다.[4]

용은 여러 왕조 동안 중국 황제의 상징이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청룡이 최초의 중국 국기에 등장했다. 1913년부터 1928년까지 중화민국 시대에 사용된 12지 휘장에도 등장했다. 용은 베트남에서 국가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 응우옌 왕조 시대에는 용이 황실 기에 등장했다. 또한 베트남국, 이후 남베트남의 문장에도 등장했다.

카이딘 황제와 바오다이 황제의 황실 기, 1922–1945


중국 전설에 따르면,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조인 염제 신농씨와 황제는 모두 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황제는 그의 상징과 닮은 용으로 불멸화되어 하늘로 승천했다고 한다. 염제는 어머니가 신화 속 용과 텔레파시로 소통하여 태어났다.

용(보통 각 발에 다섯 개의 발톱이 있음)은 많은 중국 왕조에서 황제를 상징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황실 용이 노란색이나 금색이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붉은색이었다.[15] 황제의 왕좌는 ''용상''이라고 불렸다. 청나라 말기에는 용이 국기마저 되었다. 용은 베이징의 자금성과 같은 황실 궁궐과 황실 무덤의 계단과 통로 조각에 등장한다.

일부 중국 전설에서는 황제가 용 모양의 을 가지고 태어날 수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한 전설은 용의 점을 가지고 태어난 농부가 결국 기존 왕조를 전복하고 새로운 왕조를 세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또 다른 전설은 적에게 숨어 있는 왕자가 용의 점으로 신분을 확인받는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다. 반대로 중국의 황후는 종종 중국 봉황과 동일시되었다.

16세기 청나라 도자기 공에 그려진 오조룡


8세기 당나라 청동 거울 뒷면, 발에 세 개의 발톱이 있는 용이 묘사되어 있다.


원래 초기 중국 용은 대부분 세 개의 발톱으로 묘사되었지만, 두 개에서 다섯 개의 발톱까지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중국 용을 받아들인 다른 나라들은 각기 다른 선호도를 보였는데, 몽골과 한국에서는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이 사용되었고, 일본에서는 세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이 일반적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대에 세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이 옷에 널리 사용되었다.[27] 용 문양의 사용은 원나라 시대에 공식화되었고,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황제가,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제후가 사용하도록 규정되었다.[28] 봉황과 다섯 개의 발톱, 두 개의 뿔을 가진 용은 원나라 시대에는 관리의 옷과 접시, 그릇과 같은 다른 물건에 사용될 수 없었다.[28][29] 또한 평민의 경우 "기린, 수컷 봉황, 달토끼, 영지 버섯,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두 개의 뿔을 가진 용, 여덟 용, 아홉 용, '만세', 복·수 글자 및 금색 노란색 등"의 문양이 있는 옷을 입는 것이 금지되었다.[30]

명나라홍무제는 용 문양의 사용에 대한 원나라의 규칙을 모방하여 용을 자신의 상징으로 하고 다섯 개의 발톱을 갖도록 칙령을 내렸다.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일반적으로 황실 귀족과 특정 고위 관리에게 사용되었다. 세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은 하위 계급과 일반 대중이 사용했다(명나라 시대 다양한 중국 상품에서 널리 볼 수 있다). 그러나 용은 황실 가족과 밀접하게 관련된 선택된 왕족만을 위한 것이었으며,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징적 색상으로 표현되었다. 황제 자신을 제외하고는 누구든지 완전히 금색인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 모티프를 사용하는 것은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다. 발톱 수나 색상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반역으로 간주되어 범인의 모든 일족을 처형하는 처벌을 받았다.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족이 처음에는 세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을 가장 신성하게 여겨 사용하다가 1712년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으로 대체했으며, 청나라 황제의 초상화는 일반적으로 다섯 개의 발톱을 가진 용으로 묘사되었다.[31]

4. 2. 용과 관련된 풍습

용은 물과 비를 다스리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져, 가뭄이 들면 용에게 기우제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

근대 이전 시대에는 많은 중국 마을(특히 강과 바다 근처)에 지역 "용왕"을 모시는 사당이 있었다. 가뭄이나 홍수가 발생하면, 지역의 유지와 정부 관리들이 용의 노여움을 달래기 위해 제물을 바치고 다른 종교 의식을 수행하여 비를 내려달라거나 비를 멈춰달라고 기원하는 것이 관례였다.[14]

  • '''용선 경주(Dragon boat racing):''' 단오절에 행해지는 전통 행사로, 용 모양의 배를 타고 경주를 벌인다.


특별한 축제, 특히 단오절에는 용선 경주가 축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이 경주는 최대 20명의 노를 젓는 사람과 북을 치는 사람, 키잡이로 구성된 팀이 참여하는 배로 진행된다. 배는 용의 머리와 꼬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용선 경주는 중국 외 지역, 예를 들어 춘절과 같은 축하 행사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용춤(Dragon dance):''' 설날 등 명절에 행해지는 전통 춤으로, 용 모양의 인형을 쓰고 춤을 춘다.

중국 설날과 상점 및 주택 개업과 같은 길한 행사에서 축제는 종종 용 인형과 함께 춤을 추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여러 명이 팀을 이루어 용을 막대기로 지탱하며 조작하는 "실물 크기"의 천과 나무 인형이다. 그들은 북, 드라마, 음악 반주에 맞춰 안무된 동작을 수행한다. 그들은 또한 실크로 만든 좋은 옷을 입었다.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호랑이를 따른다"는 중국의 고사에 따라, 기우제로서의 용춤과 재해 방지를 기원하는 호랑이춤이 아시아 각지에 전승되고 있다.

4. 3. 용과 관련된 지명 및 설화

한국에는 용과 관련된 지명이 많이 남아 있으며, 용과 관련된 설화도 다양하게 전해진다.

명칭설명
용두사미용을 위대한 존재에, 을 평범한 존재에 비유하는 표현이다.
용호(龍虎)호랑이와 용처럼 강대한 힘을 가진 두 영웅을 비유하는 말이다.
등용문잉어폭포를 오르면 용이 된다는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했다.
역린용의 턱에 거꾸로 난 비늘을 만지면 반드시 죽는다는 전설이 있다.
용태두음력 2월 2일의 연중 행사로, 산시성의 전설에서는 옥황상제의 명령을 거역하고 비를 내린 옥룡이 지상의 산에 갇힌다고 한다.
옥주봉저장성의 전설에서는 섣달 그믐에 산 제물이 없었던 것에 분노한 옥황상제가 3년 동안 강우를 멈추도록 용들에게 명령했지만, 구룡정의 옥주룡이 명령에 따르지 않고 비를 내려 지상에 1000년 동안 떨어지는 벌을 받았다고 한다.
금룡과 잉어광시 좡족 자치구에 남아 있는 전설에서는 3년 동안 강우를 금지한 옥황의 명령을 거역한 금룡이 하늘의 요지에서 쇠사슬에 묶이는 벌을 받고 있다.
용왕불교를 통해 중국에 전해진 인도의 나가 신앙이 용과 습합된 것으로, 고래 숭배 풍습과도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6] 민간 신앙에서 용왕은 옥황상제의 지배하에 있었고, 기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없다고 여겨졌다.[58]
황하그 모양 때문에 용에 비유되었다.
풍수의 흐름을 용맥이라고 칭했다.
고금, 고토(箏)용에 비유되어, 「용각」, 「용미」, 「용안」 등 많은 부분이 용의 신체 부위에 기인한 명칭으로 불린다.


4. 4. 현대 사회에서의 용

용은 여전히 강력한 힘과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예술 작품이나 상품 등에 등장한다. 용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용의 기운을 받아 강하고 활기차다는 속설이 있다.[34][35]

일상에서 쓰이는 중국어에서 실력과 기품이 있는 사람들은 용에 비유된다. 반면 실력이나 기품이 없는 사람들은 벌레에 비유된다. 중국의 속담이나 관용구 중 일부는 용을 언급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망자성룡(「자신의 아들이 용이 되기를 바란다」) 등이 있다.

동쪽의 청룡을 묘사한 벽 타일, 일 칸국


용은 중국 조디악의 12가지 동물 중 하나이며, 중국 달력에서 해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각 동물은 특정 성격 특성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용의 해는 일반적으로 아이를 낳기에 가장 인기 있는 해이다. 용의 해에 태어난 사람은 조디악의 다른 동물 해보다 더 많다.

전통 민간 설화에서 용은 다양한 신화적 소설에 등장한다. 중국 용은 오늘날의 대중 문화에서 수많은 매체에 등장하며,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및 텔레비전 쇼, 만화 뿐만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을 의인화한 서구의 정치 만화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16세기 고전 소설인 ''서유기''에서, 서해 용왕의 아들은 천상의 연회에서의 부주의한 행동으로 여행자들의 말로 복무하게 되었다. 손오공여의금고봉은 동해의 용왕 아오광에게서 빼앗은 것이다.
  • ''봉신연의'' 및 기타 이야기에서 소년 영웅 나타는 용왕을 물리치고 바다를 길들인다.
  • 나오미 노빅의 ''테메레르'' 소설에서 중국의 용에 대한 존경심이 강조된다. 그들은 용을 처음으로 길들인 사람들이었고, 서양에서 전쟁을 위해 길들여진 짐승이 아닌 동등한 존재, 지식인, 심지어 왕족으로 대우받는다.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호랑이를 따른다"는 중국의 고사에 따라, 기우제로서의 용춤과 재해 방지를 기원하는 호랑이춤이 아시아 각지에 전승되고 있다.

「용」은 위대한 영수로 여겨지기 때문에, 한자 문화권에서는 인명에 자주 사용된다.

「용호(龍虎)」는 호랑이와 용처럼 강대한 역량을 지니고 실력이 막상막하인 두 영웅 호걸을 비유하는 말로 현대에도 사용되고 있다. 「잉어의 폭포 오르기」는 잉어폭포를 오르면 용이 된다는 「등용문」이라는 중국의 고사 전승에서 유래한다. 또한, 「용두사미」와 같이 「용」을 위대한 존재에, 「사(蛇)」를 평범한 존재에 비유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황하는 옛날부터 그 모양 때문에 용에 비유되었다.

풍수에서의 의 흐름은 '''용맥'''이라고 칭해졌다. 또한, 중국의 고금이나 일본 전통 악기인 고토(箏)는 용에 비유되며, 「용각」, 「용미」, 「용안」 등 많은 부분이 용의 신체 부위에 기인한 명칭으로 불린다. 마작에서는 삼원패를 용에 비유하는 경우가 있다 (영어로는 Dragon tiles). 도라는 삼원패를 "드래곤"이라고 부르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용의 턱에는 단 한 장의 거꾸로 된 비늘이 있으며, 이것을 만지면 반드시 죽는다고 한다. (역린 참조).

5. 한국의 관점에서의 용

용은 비, 자라, 물고기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네 다리의 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음양 사상에서 양은 용을 상징하며, 종종 봉황과 함께 나타난다.

중국에서 용은 전통적으로 , 강우, 태풍, 홍수를 다스리는 강력하고 상서로운 힘을 상징한다. 또한 뛰어난 사람의 힘, 강인함, 행운을 나타내기도 한다. 중국의 황제에게 용은 황제의 권력과 힘을 상징했다.[43] 일상 중국어에서는 실력과 기품이 있는 사람을 용에 비유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을 벌레에 비유한다. 망자성룡(「자신의 아들이 용이 되기를 바란다」)과 같은 속담도 있다.

뱀이나 잉어 등 비늘을 가진 생물 외에도 여우[44]나 말[45] 등이 수행을 통해 용이 된다는 전승도 예로부터 전해진다.

말기에는 청나라 국기에 용이 사용되었다.[46] 용은 중국의 국장으로 서구에서 사용된 적도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대만) 모두 국가 상징으로 사용하지 않고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홍콩에서는 "Brand Hong Kong" 디자인의 일부로 사용되어 홍콩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상징이 되었다.[47]

유럽의 영향을 받은 문화에서는 용이 공격적이고 호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 중국 정부가 용을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는 추측도 있다.[48] 중국인들은 민족적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용의 자손"(龍的傳人)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46]

5. 1.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의 관점

용은 전통적으로 , 강우, 태풍, 홍수를 제어하는 강력하고 길한 힘을 상징하며, 귀인의 힘, 강함, 그리고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43] 이러한 긍정적 이미지는 사회 개혁과 발전의 동력을 상징하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일상에서 쓰이는 중국어 속담 중 망자성룡(「자신의 아들이 용이 되기를 바란다」)처럼, 실력과 기품이 있는 사람들은 용에 비유된다.[43] 이는 용이 긍정적인 가치를 상징함을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용은 황제의 상징이었으며, 말기에는 국기에 사용되기도 했다.[46] 현대에는 민족적 정체성의 표식으로 "용의 자손"(龍的傳人, 龙的传人)이라는 말이 사용되기도 한다.[46] 이러한 용의 상징성은 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

5. 2. 한반도 통일과 용

용은 비, 자라, 물고기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보통 네 다리를 가진 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용은 전통적으로 , 강우, 태풍, 홍수를 다스리는 강력하고 상서로운 힘을 상징하며, 뛰어난 사람의 힘, 강인함, 행운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상징성 때문에 용은 오랫동안 한반도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져 왔다.

남북한 모두 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공통의 문화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용은 한반도 통일의 상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남북한이 함께 용 문화를 연구하고 교류하며, 용을 주제로 한 문화 콘텐츠를 공동 제작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용을 통일의 상징으로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5. 3. 국제 관계에서의 용

중국에서 용은 오랫동안 황제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43] 전설에 따르면, 중국 최초의 통치자들인 도어황제는 용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황제는 말년에 자신의 상징과 닮은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고 전해진다.[15] 이러한 전설들은 용이 황제의 권력을 상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중국 왕조에서 용, 특히 발톱이 다섯 개인 용은 황제를 상징했다. 청나라 시대 황실의 용은 노란색이나 금색이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붉은색이었다.[61] 황제의 자리는 '용상'이라고 불렸다. 청나라 말기에는 용이 국기에 사용되기도 했다. 베이징의 자금성과 같은 황궁과 황실 무덤에는 용 조각이 새겨져 있다.

일부 전설에서는 황제가 용 모양의 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용의 점을 가진 농부가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세웠다는 이야기가 있다. 반대로, 중국의 황후는 종종 봉황과 동일시되었다.

역사적으로 용은 황제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서구에서는 중국의 국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대만) 모두 국가 상징으로 용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대신 문화의 상징으로 주로 사용된다. 홍콩에서는 "Brand Hong Kong" 디자인의 일부로 사용되어 홍콩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상징이 되었다.[47]

유럽의 영향을 받은 문화에서는 용이 공격적이고 호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어, 중국 정부가 용을 국가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는 추측도 있다.[48]

중국인들은 민족적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용의 자손"(龍的傳人)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46]

6. 결론

용은 비, 자라, 물고기 등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네 다리의 뱀과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음양에서 양은 용이며, 종종 봉황과 병렬된다.

중국의 용은 전통적으로 , 강우, 태풍, 홍수를 제어하는 강력하고 길한 힘을 상징한다. 또한 귀인의 힘, 강함, 그리고 행운의 상징이기도 하다. 중국의 황제에게 용은 항상 황제의 권력과 강함의 상징이었다.[43]

일상적인 중국어에서 실력과 기품이 있는 사람들은 용에 비유된다. 반면 실력이나 기품이 없는 사람들은 벌레에 비유된다. 중국의 속담이나 관용구 중 일부는 용을 언급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망자성룡(「자신의 아들이 용이 되기를 바란다」) 등이 있다.

뱀이나 잉어 등 비늘을 가진 생물 외에도 여우[44]나 말[45] 등이 수행 등의 끝에 용이 된다는 전승도 예로부터 존재한다.

참조

[1] 뉴스 Happy New Year of the Dragon - or should that be 'Loong'? https://www.cnn.com/[...] 2024-02-16
[2] 서적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3] 서적 The Construction of Racial Identities in China and Japan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Ltd 1997-11-10
[4] 간행물 Academic Nations in China and Japan Framed in concepts of Nature, Culture and the Universal Routledge publishing 2004
[5] 웹사이트 Brand Overview http://www.brandhk.g[...] Brand Hong Kong 2004-09
[6] 뉴스 Fiery Debate Over China's Dragon http://news.bbc.co.u[...] BBC News
[7] 웹사이트 The Mongolian Message http://www.history.u[...] 2016-11-28
[8] 서적 Taoism and Science: Cosmology, Evolution, Morality, Health and more https://books.google[...] Ultravisum 2015
[9] 서적 An introduction to Chinese culture through the famil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0] 웹사이트 Teaching Chinese Archeology http://www.nga.gov/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11] 서적 The Language of Adornment: Chinese Ornaments of Jade, Crystal, Amber and Glass Ten Speed Press 2002
[12] 서적 Dinosaurian Faunas of China China Ocean Press, Beijing
[13] 서적 The Greeks in Asia Thames and Hudson 2015
[14] 논문 護る神から守られる神へ : 韓国とベトナムの鯨神信仰を中心に 国立民族学博物館調査報告 Vol.149 1999
[15] 서적 The Chinese Dragon https://archive.org/[...] Commercial Press Ltd. Shanghai, China 1923
[16] 서적 Dragon's Name: A Folk Religion in a Village in South-Central Hebei Province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2013
[17] 서적 The Dragon in the Cockpit: How Western Aviation Concepts Conflict with Chinese Value Syste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서적 Atlas of World Art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2004-04-26
[19] 웹사이트 Jade coiled dragon, Hongshan Culture (c. 4700–2920 B.C.) http://www.nga.gov/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20] 논문 Chinese Dragon Names http://sealang.net/s[...] 1990
[21] 문서 Adapted from Doré
[22] 서적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23] 문서 Visser
[24] 서적 中國文化背景八千詞 (Eight thousand words and expressions viewed against the background of Chi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Commercial Press
[25] 웹사이트 九、龙的繁衍与附会 – 龙生九子 (1) http://vip.book.sina[...]
[26] 웹사이트 2012 lunar dragon nine sons of the dragon 20 coin set https://www.coincomp[...]
[27] 서적 The Arts of Chi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28] 논문 Beyond the Legacy of Genghis Khan
[29] 웹사이트 《志第二十八 輿服一》 http://ctext.org/wik[...]
[30] 웹사이트 《本紀第三十九 順帝二》 http://ctext.org/wik[...]
[31] 서적 All About Chinese Dragons https://books.google[...] Lulu.com
[32] 서적 The British Museum Book of Chinese Art British Museum Press 2007
[33] 서적 Ming: 50 years that changed China British Museum Press 2014
[34] 뉴스 Why Chinese children born in years of the dragon are more successful https://www.economis[...] 2017-09-04
[35] 논문 Can Superstition Create a Self-Fulfilling Prophecy? School Outcomes of Dragon Children of China https://www.nber.org[...] 2019-05
[36] 웹사이트 Dragon, bear, horse, tiger, eagle ... the 12 animal fighting styles in Chinese martial arts https://www.scmp.com[...] 2024-08-10
[37] 간행물 Inventory of Seeds and Plants Imported ... April–June 1915 https://web.archive.[...] 1918-03
[38] 웹사이트 U. pumila 'Pendula' http://www.cfh.ac.cn[...] Cfh.ac.cn 2013-08-30
[39] 문서 古語。[[崔世珍]]『[[訓蒙字会]]』(1527年)などに見える。
[40] 문서 「龍」は「竜」の旧字体である。
[41] 문서 慣用音の「りゅう」は[[呉音]]、[[漢音]]は「りょう」。
[42] 문서 龍の[[草書体]]から。
[43] 서적 The Illustrated Book of Dragons and Dragon Lore Cognoscenti Books
[44] 문서 [[南総里見八犬伝]]の政木狐
[45] 문서 寺沢正美、日本の民話 第65巻 三河の民話、空を飛んだ黒駒、[[未来社]]
[46] 서적 Academic Nations in China and Japan: Framed in concepts of Nature, Culture and the Universal Routledge publishing
[47] 웹사이트 Brand Overview http://www.brandhk.g[...] brandhk.gov(Brand Hong Kong) 2004-09
[48] 뉴스 BBC Article: Fiery Debate Over China's Dragon http://news.bbc.co.u[...]
[49] 서적 An introduction to Chinese culture through the famil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0] 웹사이트 Teaching Chinese Archeology http://www.nga.gov/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2008-02-11
[51] 서적 The Language of Adornment: Chinese Ornaments of Jade, Crystal, Amber and Glass Ten Speed Press
[52] 웹사이트 Where Did Dragons Come From? https://www.smithson[...] スミソニアン博物館
[53] 서적 Dinosaurian Faunas of China China Ocean Press, Beijing
[54] 서적 華陽国志 https://archive.org/[...]
[55] 뉴스 Dinosaur bones 'used as medicin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7-06
[56] 간행물 護る神から守られる神へ : 韓国とベトナムの鯨神信仰を中心に https://doi.org/10.1[...] 国立民族学博物館 2019-06
[57] 문서 "[[#百田 2006|百田 2006]], p. 208."
[58] 간행물 華北農村における民間信仰と国家権力 https://hdl.handle.n[...] 長崎県立大学 2022-05-10
[59] 문서 "[[#百田 2006|百田 2006]], p. 207."
[60] 문서 "[[#櫻井 2013|櫻井 2013]], pp. 73-74.(中国【漢民族】 3 金豆の花が咲くとき 陝西省一帯 漢民族)"
[61] 문서 Hayes, L. (1923). The Chinese Dragon. Shanghai, China: Commercial Press Ltd. Retrieved from https://archive.org/details/chinesedragon00hayeuoft/page/n7/mode/2up?view=theater
[62] 웹사이트 Chinese Dragon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2012-11-27
[63] 웹사이트 "Jade coiled dragon, Hongshan Culture (c. 4700-2920 B.C.)" http://www.nga.gov/e[...]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64] 문서 Carr, Michael. 1990. [http://sealang.net/sala/archives/pdf4/carr1990chinese.pdf "Chinese Dragon Names"], Linguistics of the Tibeto-Burman Area 13.2:87-189. He classified them into seven categories: Rain-dragons, Flying-dragons, Snake-dragons, Wug-dragons [''wug'' refers to "worms, bugs, and small reptiles"], Crocodile-dragons, Hill-dragons, and Miscellaneous dragons.
[65] 서적 爾雅翼 https://archive.org/[...]
[66] 서적 六如居士画譜 http://ctext.org/lib[...]
[67] Citation 中国文明論集 岩波書店
[68] 문서 "禁服麒麟、鸞鳳、白兔、靈芝、雙角五爪龍、八龍、九龍、萬壽、福壽字、赭黄等服", The [[Twenty-Four Histories]]: The [[History of Yuan]]-[[Ukhaantu Khan, Emperor Huizong of Yuan|Emperor Shundi]] ([[:zh:元史|元史]]・順帝紀), compiled under [[Song Lian]] ([[:zh:宋濂|宋濂]]), AD 1370.
[69] 서적 Academic Nations in China and Japan: Framed in concepts of Nature, Culture and the Universal Routledge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