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해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해선은 창원과 진해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21년 공사가 시작되어 1926년 개통되었다. 2015년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화물 수송을 주로 담당한다. 과거에는 통근열차,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이 운행되었으며, 진해군항제 기간에 임시 열차가 운행되기도 했다. 노선에는 현대로템 공장, 해군 시설 등이 위치해 있으며, 주요 역으로는 창원역, 진해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해선 - 진해역
    진해역은 1926년 진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지만 진해 군항제 기간에는 벚꽃 관광열차가 운행된다.
  • 진해선 - 성주사역
    성주사역은 섬식 승강장 1면 1선의 지상역으로, 1926년 영업을 시작하여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후 역사를 이전하고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격하되었으며, 2006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2022년부터 시내버스 환승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 192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다다미선
    다다미선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역과 니가타현 고이데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총 연장 135.2km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28년 개통 후 2011년 호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상하 분리 방식으로 2022년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36개 역이 운영 중이고 적자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 192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쓰루미선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쓰루미역에서 가와사키시 오기마치역을 잇는 쓰루미선은 공장 지대를 연결하며 지선을 포함하고, 산업 철도에서 지역 교통 수단으로 변화하여 독특한 역사와 풍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진해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명진해선
한글진해선
한자鎭海線
히라가나ちんかいせん
가타카나チネソン
영어Jinhae Line
노선 번호30701
종류지선 철도
상태영업중(여객영업 중단)
기점창원역 ((경상남도 창원시))
종점통해역 ((경상남도 창원시))
역 수7
개통일1926년 11월 11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영업 거리21.2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1 (창원 - 통해)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신창원역 구내 유치선)
신호ATS
이미지
통해역의 역명표

2. 역사

1921년 10월 10일 진해선 창원-진해 간 공사가 시작되었다.[3] 1926년 11월 11일 창원-진해 간 22.7km 구간이 완공되었다.[3]

1961년 1월 1일 통제부역 영업이 개시되었고[4], 같은 해 5월 10일에는 용원역 영업이 개시되었다.[5] 1978년 3월 15일, 용원~경화 간 9.8km 선로이설공사가 착수되었다.[6] 1981년 1월 15일 용원역이 폐지되고 신창원역 영업이 개시되었으며[7], 같은 해 10월 5일 신창원-경화간 이설과 함께 상남역이 폐지되고 남창원역 영업 개시, 성주사역이 이전되었다.[8]

1986년 4월 21일 통제부역이 통해역으로 개칭되었다.[9] 2006년 11월 1일 통근열차가 폐지되고 대구 ~ 진해 간 KTX 연계 새마을호 운행이 시작되면서 남창원역, 성주사역, 경화역의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10] 2012년 7월 25일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구간 공사로 새마을호 운행 구간이 동대구~진해로 단축되었고, 같은 해 11월 1일 동대구역 출발 새마을호가 폐지되고 마산 ~ 진해무궁화호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5년 2월 1일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11]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701'''로 변경되었다.[12]

2. 1. 일제강점기

1921년 10월 10일 진해선 창원-진해 간 공사가 시작되었다.[3] 1926년 11월 11일 창원-진해 간 22.7km 구간이 완공되었다.[3]

2. 2. 해방 이후

1926년 11월 11일 창원-진해 간 22.7km 구간이 완공되었다.[3] 1961년 1월 1일 통제부역 영업이 개시되었고[4], 같은 해 5월 10일에는 용원역 영업이 개시되었다.[5] 1978년 3월 15일, 용원~경화 간 9.8km 선로이설공사가 착수되었다.[6] 1981년 1월 15일 용원역이 폐지되고 신창원역 영업이 개시되었으며[7], 같은 해 10월 5일 신창원-경화간 이설과 함께 상남역이 폐지되고 남창원역 영업 개시, 성주사역이 이전되었다.[8]

1986년 4월 21일 통제부역이 통해역으로 개칭되었다.[9] 2006년 11월 1일 통근열차가 폐지되고 대구 ~ 진해 간 KTX 연계 새마을호 운행이 시작되면서 남창원역, 성주사역, 경화역의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10] 2012년 7월 25일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구간 공사로 새마을호 운행 구간이 동대구~진해로 단축되었고, 같은 해 11월 1일 동대구역 출발 새마을호가 폐지되고 마산 ~ 진해무궁화호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5년 2월 1일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11]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701'''로 변경되었다.[12]

2. 3. 최근 동향

2006년 11월 1일, 통근열차가 폐지되고 대구 ~ 진해 간 KTX 연계 새마을호 운행이 시작되면서 남창원역, 성주사역, 경화역의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10] 2012년 7월 25일에는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구간 공사로 새마을호 운행 구간이 동대구 ~ 진해로 단축되었고, 같은 해 11월 1일에는 동대구 출발 새마을호가 폐지되는 대신 마산 ~ 진해무궁화호 운행이 시작되었다.[10][11] 2015년 2월 1일부로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11]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701'''로 변경되었다.[12]

3. 노선 특성

이 노선의 열차 운행은 정기 운행하는 통근열차와, 관광 목적 등의 임시열차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2006년 11월 1일을 기하여 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13] 그대신 대구역진해역을 왕복하는 새마을호가 1일 왕복 2회 운행했다. KTX 환승수요로 인해 2007년 6월부터는 1일 왕복 8회 운행되었다.

그러나 2010년 12월 15일 마산역까지 KTX운행이 시작되자, 여객수요가 감소하여 2012년 11월 1일부터 새마을호를 폐지하고 마산~진해무궁화호가 하행 6회, 상행 7회 운행하였다.[13] 2013년 7월 15일부터 1일 왕복 2회로 단축되었으며, 민영화를 검토했으나 철도노조의 반발로 무산되었다.[13] 결국 2015년 1월 31일을 끝으로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13]

진해군항제 기간에만 여객열차를 하루에 약 4번씩 여객열차를 운행했으나, 2016년 진해군항제 임시 셔틀열차마저 운행중단되었다. 현재 전 역이 여객 영업을 하지 않는다.

진해선의 연선에는 현대로템의 철도차량 공장 등 각종 산업 및 특수 시설이 있다. 진해선은 이들 시설에 대한 화물 수송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진해선 지선 행암선(구 사비선) 화물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진해선 창원~신창원 간에는 전차선이 가설되어 있었으나, 이것은 현대로템 사에서 제작한 전기철도차량의 시험 및 회송 등의 용도로만 이루어져서 한국철도공사측의 본선 열차들은 이용하지 않았다. 경전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창원역 부근의 선로가 이전되면서 이들 전차선은 모두 철거된 상태이다.

과거 통근열차 운행이 이루어지던 당시 진해선 통해역은 영업거리표 상에 등재되어 있고, 여객 취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해군기지사령부 내에 위치하고 있어 군인이나 군무원 이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역이며 군항제 기간에는 일반인 출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근열차가 운행하였으나 일반 이용이 통제된 역으로 괴동선제철역이 있었으나, 제철역은 통해역과 달리 영업거리표에 등재되어 있지 않다. 2006년에 이르러 현재 이런 특이한 영업태는 전부 폐지되었다.

3. 1. 여객 운행

진해선은 정기 운행하는 통근열차와 관광 목적 등의 임시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6년 11월 1일부로 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13] 그 대신 대구역진해역을 왕복하는 새마을호가 1일 왕복 2회 운행했고, KTX 환승 수요로 인해 2007년 6월부터는 1일 왕복 8회 운행되었다.

그러나 2010년 12월 15일 마산역까지 KTX 운행이 시작되자 여객 수요가 감소하여, 2012년 11월 1일부터 새마을호가 폐지되고 마산~진해무궁화호가 하행 6회, 상행 7회 운행하였다.[13] 2013년 7월 15일부터는 1일 왕복 2회로 단축되었으며, 민영화가 검토되었으나 철도노조의 반발로 무산되었다.[13] 결국 2015년 1월 31일을 끝으로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13]

진해군항제 기간에만 여객열차를 하루에 약 4번씩 운행했으나, 2016년 진해군항제 임시 셔틀열차마저 운행 중단되었다. 현재 전 역이 여객 영업을 하지 않는다.

과거 통근열차 운행 당시 진해선 통해역은 영업거리표 상에 등재되어 있고 여객 취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되었으나, 해군기지사령부 내에 위치하고 있어 군인이나 군무원 이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역이었다. 군항제 기간에는 일반인 출입이 가능했다. 이러한 통근열차가 운행하였으나 일반 이용이 통제된 역으로 괴동선제철역이 있었으나, 제철역은 통해역과 달리 영업거리표에 등재되어 있지 않았다. 2006년에 이르러 현재 이런 특이한 영업 형태는 전부 폐지되었다.

2012년 개정 이전에는 2006년 11월 1일 열차 운행 개정으로 새마을호만 운행되도록 변경되었고, 운행 구간도 경부선 대구 - 경전선 창원 - 진해 간 4회 왕복이었다(2008년 초 증편, 그 이전에는 2회 왕복). 2006년 개정 이전에는 경전선 마산 - 진해( - 통해) 간 통근열차(구 통일호)가 아침과 낮 종착 2회 왕복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노선 주변에는 차량 제조업체인 현대로템 창원 공장과 대한민국 해군 시설이 있으며, 특히 끝부분인 진해 - 통해 간은 노선 전체가 군사 시설에 포함되어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2006년 10월 31일까지는 여객 열차도 통해역까지 운행되었지만, 진해 - 통해 간은 군 관계자 외에는 탑승할 수 없었다.

3. 2. 화물 운행

진해선 연선에는 현대로템의 철도차량 공장 등 각종 산업 및 특수 시설이 있어, 이들 시설에 대한 화물 수송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13] 진해선 지선인 행암선(구 사비선)에서는 화물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과거 창원~신창원 간에는 전차선이 가설되어 있었으나, 이는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전기철도차량의 시험 및 회송 등의 용도로만 사용되었고, 한국철도공사의 본선 열차들은 이용하지 않았다. 경전선 복선전철화로 창원역 부근 선로가 이전되면서 이 전차선은 모두 철거되었다.

3. 3. 기타

이 노선의 열차 운행은 정기 운행하는 통근열차와, 관광 목적 등의 임시열차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2006년 11월 1일을 기하여 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 그 대신 대구역진해역을 왕복하는 새마을호가 1일 왕복 2회 운행했다. KTX 환승수요로 인해 2007년 6월부터는 1일 왕복 8회 운행되었다.[13]

2010년 12월 15일 마산역까지 KTX 운행이 시작되자, 여객수요가 감소하여 2012년 11월 1일부터 새마을호를 폐지하고 마산~진해무궁화호가 하행 6회, 상행 7회 운행하였다. 2013년 7월 15일부터 1일 왕복 2회로 단축되었으며, 민영화를 검토했으나 철도노조의 반발로 무산되었다.[13] 결국 2015년 1월 31일을 끝으로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13]

진해군항제 기간에만 여객열차를 하루에 약 4번씩 운행했으나, 2016년 진해군항제 임시 셔틀열차마저 운행 중단되었다. 현재 전 역이 여객 영업을 하지 않는다.[13]

진해선의 연선에는 현대로템의 철도차량 공장 등 각종 산업 및 특수 시설이 있다. 진해선은 이들 시설에 대한 화물 수송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진해선 지선 행암선(구 사비선) 화물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진해선 창원~신창원 간에는 전차선이 가설되어 있었으나, 이것은 현대로템 사에서 제작한 전기철도차량의 시험 및 회송 등의 용도로만 이루어져서 한국철도공사 측의 본선 열차들은 이용하지 않았다. 경전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창원역 부근의 선로가 이전되면서 이들 전차선은 모두 철거된 상태이다.

과거 통근열차 운행이 이루어지던 당시 진해선 통해역은 영업거리표 상에 등재되어 있고, 여객 취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해군기지사령부 내에 위치하고 있어 군인이나 군무원 이외에는 이용할 수 없는 역이며 군항제 기간에는 일반인 출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근열차가 운행하였으나 일반 이용이 통제된 역으로 괴동선제철역이 있었으나, 제철역은 통해역과 달리 영업거리표에 등재되어 있지 않다. 2006년에 이르러 현재 이런 특이한 영업태는 전부 폐지되었다.

4. 교통량

201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진해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선구선로용량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창원~진해3424814


5. 차량

현재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차량은 없으며, 임시 열차로 무궁화호 등이 운행될 수 있다.

과거에 운행하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5. 1. 현재 운행 차량

현재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차량은 없으며, 임시 열차로 무궁화호 등이 운행될 수 있다. 과거에는 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 CDC,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 등이 운행되었다.

5. 2. 과거 운행 차량

무궁화호 개조형 디젤 액압 동차 외에 임시열차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등이 진해선을 운행하였다. 과거에 운행하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6. 역 목록

현재 진해선 역 목록 및 영업 거리는 1981년 10월 5일 이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창원Changwon昌原0.00.0경전선경상남도창원시
신창원Sinchangwon新昌原4.84.8구 용원역
남창원Namchangwon南昌原4.49.2구 상남역
성주사Seongjusa聖住寺3.612.8
경화Gyeonghwa慶和4.116.9
진해Jinhae鎭海2.619.5
통해Tonghae統海1.721.2일반인 이용 불가



1978년 10월 5일 이전의 역 목록 및 영업 거리는 다음과 같다. 로마자 역명은 당시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랐으며, 한자 역명은 해당 지역명의 한자 표기를 참조하여 기재하였다.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용원Yongweon龍院4.74.7
상남Sangnam上南4.49.1
성주사Seongjusa聖住寺4.413.5
경화Gyeonghwa慶和4.417.9



현재 정기 여객 열차는 운행하지 않으며, 역 소재지는 전 노선이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다.

참조

[1] 뉴스 100년 전 창원 진해선 건설 일본군 투입 사진 첫 확인 https://view.asiae.c[...] 경남도민일보 2023-02-06
[2] 뉴스 창원시, 미세먼지 없는 수소트램 도입 … 부산·진해도 연결 https://view.asiae.c[...] 아시아경제 2021-01-26
[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317호 1926-10-18
[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620호 1960-12-31
[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595호 1960-05-09
[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건설부 고시 제50호 1978-03-18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73호 1980-12-27
[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44-45호 1981-10-06
[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7호 1986-04-11
[10] 뉴스 진해시, KTX 환승 새마을호 운행 환영식 https://n.news.naver[...] 뉴시스 2006-11-01
[11] 뉴스 오늘 마지막 운행…마산역~진해역 여객열차 역사 속으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1-31
[1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13] 뉴스 [앵커&리포트] ‘철도 지선’ 민영화…경쟁체제 도입 https://news.kbs.co.[...] KBS 9시뉴스 2013-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