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 (191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광은 1918년 라선시에서 태어나 동북항일연군에서 활동했으며, 소련 군사학교를 졸업했다. 해방 후 조선인민군 창설에 참여하여 제1사단 참모장, 사단장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해임되기도 했다. 이후 복귀하여 군 요직과 당, 정부의 주요 직책을 두루 거쳤으며,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다. 1997년 사망했으며, 묘소는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 원수 - 현철해
현철해는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김정일 시대 최측근으로 활동했고 김정은의 군사 교육을 담당했으며 2016년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고 2022년 사망 후 국장이 치러졌다. - 조선인민군 원수 - 리병철 (정치인)
리병철은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인민군 원수를 역임하며 공군사령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정치국원 등을 지냈고 탄도미사일 개발에 관여했으며 국무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정치국 상무위원직에서 해임 후 복귀하여 활동하고 있다. - 빨치산파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빨치산파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동북항일연군 관련자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동북항일연군 관련자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최광 (191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관 | 해주 최씨 |
출생일 | 1918년 7월 17일 |
사망일 | 1997년 2월 21일 |
출생지 | 간교쿠호쿠도(함경북도)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정치 경력 | |
직위 |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중앙군사위원회 위원 인민무력부 부장 총참모장 |
군사 경력 | |
소속 | 조선인민군 |
계급 | 원수 |
참전 | 조선독립운동 한국 전쟁 |
주요 전투 | |
전투 목록 | 고랑포 전투 개성-문산 전투 봉일천 전투 시흥-안양-수원 전투 충주-수안보 전투 이화령-문경 전투 상주 전투 (1950년) 함창 전투 |
기타 | |
한국어 이름 | 최광 |
한자 표기 | 崔光 |
로마자 표기 | Choe Gwang |
2. 생애
최광은 동북항일연군 대위 출신으로, 1948년 조선인민군 창설에 참여하여 제1사단장을 맡는 등 군 경력을 시작했다.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였으며, 이후 군 요직을 두루 거쳤다. 1969년 숙청되어 광산 노동자가 되기도 했지만, 1976년 복권된 후 다시 군과 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1995년에는 인민무력부장에 임명됨과 동시에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다.
1997년 2월 21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4] 그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장례위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5]
김정일 | 리종옥 | 박성철 | 김영주 | 김영남 | 리을설 | 조명록 |
---|---|---|---|---|---|---|
김영춘 | 계응태 | 전병호 | 한성룡 | 김철만 | 최태복 | 양형섭 |
전운섭 | 홍성남 | 홍석형 | 김국태 | 김기남 | 김정린 | 김용순 |
윤기복 | 김광진 | 백학림 | 김익현 | 리두익 | 최인덕 | 황순희 |
최성숙 | 김영연 | 리종산 | 김정각 | 오룡방 | 리병욱 | 정창렬 |
리용수 | 김하규 | 현철해 | 원응희 | 박재경 | 리명수 | 김태식 |
옥봉란 | 김명국 | 김격식 | 장성우 | 전진수 | 주상성 | 김일철 |
강동연 | 박기성 | 리영철 | 김영운 | 전재선 | 여춘석 | 김성규 |
정호균 | 백상호 | 리택철 | 오금철 | 리영환 | 김형룡 | 전지련 |
최상려 | 리병삼 | 지영준 | 김기선 | 박승원 | 안비덕 | 리봉주 |
김성연 | 리창한 | 정태근 | 염철성 | 변상모 | 김문홍 | 리주을 |
한태면 | 손철주 | 김상태 | 최호준 | 동영일 | 김기남 | 백보경 |
김두남 |
그의 묘소는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있다.[14]
2. 1. 초기 생애 및 항일 무장 투쟁
최광은 1918년 7월 함경북도 나선시에서 태어났다. 동북항일연군에서 활동했으며, 1940년에는 제2로군 총지휘부 경위대 제2분대장을, 1942년에는 제88여단 소대장을 역임했다. 소련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의 점령이 끝날 때까지 동북항일연군에서 대위로 복무했다. 종전 후에는 연길에 파견되어 경비 제2단 단장을 맡았으며, 1946년 여름에 귀국했다.2. 2. 해방 이후 군 경력
1948년 2월, 조선인민군 창설과 함께 제1사단장에 임명되었다.[7] 같은 해 9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제13사단장이었으며,[7] 1952년 10월 강건군관학교 교장에 취임했다. 1953년 10월에는 조선인민군 제5군단장에 올랐고, 1954년 1월 조선인민군 중장으로 승진하여 제1집단군 참모장이 되었다.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9] 1958년 6월 공군사령관에 취임했고, 1960년 6월 조선인민군 상장으로 진급했다. 1961년 9월, 제4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10] 1962년 9월 민족보위성 부상에 올랐으며, 1963년 2월 조선인민군 대장으로 진급하면서 총참모장에 취임했다.[11] 1966년 10월 12일 제2차 당대표자회에서 당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으로 보선되었고,[11] 1967년 12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1969년 3월 실각하여 광산 노동자가 되었다.
1976년 4월 황해남도 인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복권되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 정치국 후보위원에 선출되었다. 1981년 3월 정무원 부총리에 올랐으며, 1982년 4월 정무원 부총리 겸 수산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했다. 1988년 2월 12일 부총리에서 물러나 군에 복귀, 조선인민군 총참모장[12]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에 취임하고 조선인민군 대장으로 승진했다.
1990년 5월 23일 제6기 당중앙위원회 제18차 총회에서 당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고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에 취임했다. 1991년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고, 1992년 4월 20일 조선인민군 차수 칭호를 받았다. 1995년 10월 8일 인민무력부장에 임명되면서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다.[3]
2. 3. 당 및 정부 요직 역임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제3차 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9] 1958년 6월에는 공군 사령관이 되었고, 1960년 6월에는 조선인민군 상장으로 진급했다. 1961년 9월, 제4차 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10] 1962년 9월, 민족보위성 부상에 올랐다. 1963년 2월, 조선인민군 대장으로 진급하면서 총참모장에 올랐다.[2] 1966년 10월 12일, 제2차 당대표자회에서 당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으로 보선되었고,[11] 1967년 12월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에 선출되었다.1976년 4월, 황해남도 인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복권되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 정치국 후보위원에 선출되었다. 1981년 3월, 정무원 부총리에 올랐다. 1982년 4월, 정무원 부총리 겸 수산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 1988년 2월 12일, 부총리에서 물러나 군 간부로 옮겼다. 조선인민군 총참모장[12]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각각 취임하였고, 동시에 조선인민군 대장으로 승진했다.
1990년 5월 23일, 제6기 당중앙위원회 제18차 총회에서 당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에 취임했다. 1991년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92년 4월 20일에 조선인민군 차수 칭호가 부여되었다. 1995년 10월 8일, 인민무력부장으로 임명되면서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가 수여되었다.[3]
2. 4. 숙청과 복권
1969년 3월, 최광은 실각하여 광산 노동자가 되었다.[12]1976년 4월, 황해남도 인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복권되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81년 3월, 정무원 부총리에 올랐다. 1982년 4월, 정무원 부총리 겸 수산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했다. 1988년 2월 12일, 부총리에서 물러나 군 간부로 옮겼다. 조선인민군 총참모장과[2]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각각 취임하였고, 동시에 조선인민군 대장으로 승진했다.
1990년 5월 23일, 제6기 당 중앙위원회 제18차 전원회의에서 당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취임했다. 1991년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92년 4월 20일에 조선인민군 차수 칭호가 부여되었다. 1995년 10월 8일, 인민무력부장으로 임명되면서[3]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가 수여되었다.
2. 5. 복권 이후 활동
1976년 4월, 황해남도 도 인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복권되었다. 1980년 10월, 제6차 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 및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81년 3월, 정무원 부총리에 올랐으며, 1982년 4월에는 정무원 부총리 겸 수산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했다. 1988년 2월 12일, 부총리직에서 물러나 군으로 복귀하여 조선인민군 총참모장[2]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에 취임하고, 동시에 조선인민군 대장으로 승진했다.1990년 5월 23일, 제6기 당 중앙위원회 제18차 전원회의에서 당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고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에 취임했다. 1991년에는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92년 4월 20일에는 조선인민군 차수 칭호를 받았다. 1995년 10월 8일, 인민무력부장[3]에 임명되면서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았다. 그는 조선인민군 원수 칭호를 받은 세 명의 북한 군 장성 중 한 명이었다.[2]
2. 6. 사망
崔光|최광중국어은 1997년 2월 21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4] 그의 장례 위원회는 다음과 같다:[5]김정일 | 리종옥 | 박성철 | 김영주 | 김영남 | 리을설 | 조명록 |
---|---|---|---|---|---|---|
김영춘 | 계응태 | 전병호 | 한성룡 | 김철만 | 최태복 | 양형섭 |
전운섭 | 홍성남 | 홍석형 | 김국태 | 김기남 | 김정린 | 김용순 |
윤기복 | 김광진 | 백학림 | 김익현 | 리두익 | 최인덕 | 황순희 |
최성숙 | 김영연 | 리종산 | 김정각 | 오룡방 | 리병욱 | 정창렬 |
리용수 | 김하규 | 현철해 | 원응희 | 박재경 | 리명수 | 김태식 |
옥봉란 | 김명국 | 김격식 | 장성우 | 전진수 | 주상성 | 김일철 |
강동연 | 박기성 | 리영철 | 김영운 | 전재선 | 여춘석 | 김성규 |
정호균 | 백상호 | 리택철 | 오금철 | 리영환 | 김형룡 | 전지련 |
최상려 | 리병삼 | 지영준 | 김기선 | 박승원 | 안비덕 | 리봉주 |
김성연 | 리창한 | 정태근 | 염철성 | 변상모 | 김문홍 | 리주을 |
한태면 | 손철주 | 김상태 | 최호준 | 동영일 | 김기남 | 백보경 |
김두남 |
그의 묘소는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있다.[14]
참조
[1]
웹사이트
최광(남성)
https://nkinfo.uniko[...]
[2]
뉴스
Brief biography of Choe Kwang
http://www.kcna.co.j[...]
1997-02-22
[3]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Central, South and East Asi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4]
뉴스
Choe Kwang dies
http://www.kcna.co.j[...]
1997-02-22
[5]
웹사이트
북한 인민무력부장 崔光 사망
http://news.donga.co[...]
2019-02-12
[6]
웹사이트
北朝鮮空軍のベトナム戦争参戦 公式文書で初確認
https://jp.yna.co.kr[...]
2022-09-13
[7]
서적
朝鮮戦争全史
岩波書店
[8]
간행물
6·25전쟁사 제8권-중공군 총공세와 유엔군의 재반격
http://www.imhc.mil.[...]
한국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9-06-10
[9]
문서
和田(1992年)、371ページ
[10]
문서
和田(1992年)、372ページ
[11]
서적
1970年の北朝鮮
https://ir.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12]
문서
2월21日の報道で就任が判明。
[13]
학술지
【日誌】――1997年2月
朝鮮問題研究所
1997-04-01
[14]
학술지
【日誌】――1998年2月
朝鮮問題研究所
1998-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