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시의 지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주시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 고생대 조선 누층군, 옥천 누층군, 중생대 관입 화강암류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지층으로는 호상 편마암, 편상 편마암, 고운리층, 계명산층, 대향산 규암층, 문주리층, 황강리층 등이 있으며, 이들 지층은 단층과 습곡 구조를 보인다. 충주 지역에는 철, 희토류, 활석, 중정석 등 다양한 광상이 분포하며, 수안보온천과 앙성온천 등 온천도 발달해 있다. 중부내륙선 철도 건설 과정에서 지질 구조와 단층, 석회암 공동 등이 고려되었으며, 충주댐은 지진에 대비한 설계를 갖추고 있다.
충주시는 옥천 습곡대에 위치하며, 북서부에는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와 중생대의 관입 화강암류가, 남동부에는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탄산염암 퇴적암 조선 누층군과 시대 미상의 변성퇴적암 옥천 누층군이 분포한다.[1][2][3][4]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조선 누층군은 충주시 남동부 끝 지역인 수안보면 사문리와 살미면 공이리, 고운리에 소규모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한다.[1]
2. 선캄브리아기
2. 1. 호상 편마암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는 충주시 서부 신니면과 양성면, 그리고 북동부 산척면에 분포한다.[1] 호상 편마암은 호상 흑운모편마암과 그 안에 협재된 규암, 편암, 결정질 석회암 등으로 구성된 변성퇴적암 지층이다. 호상 흑운모 편마암은 1 cm 내외의 두께를 갖는 투명 및 유색광물의 얇은 층이 호층을 이루는 편마 구조가 잘 발달해 있다. 이 암석은 양성면 본평리, 지당리, 노은면 대덕리, 가신리, 법동리, 신니면 문락리, 광월리 등지에 분포한다. 호상 편마암 중에 국부적으로 협재되는 편암, 변성 정도가 약한 천매암, 점판암 등은 대개 흑회색 내지 암흑색을 띠며, 녹니석이 풍부한 것은 녹회색 내지 암녹색을 띠기도 한다.[5][6][1]
2. 2. 편상 편마암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는 충주시 서부 신니면과 양성면 그리고 북동부 산척면에 분포한다.[1] 편상 편마암은 충주시 북서부에 분포하는 편마암으로 양성면 용대리~노은면 연하리 지역에 V자 형태로 분포하고 덕련리 북동부의 편마암체중에 분포한다. 흑색 운모류가 주요 구성 광물로 뚜렷한 편리를 보인다.[1]
3. 고생대 조선 누층군
3. 1. 고운리층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조선 누층군은 충주시 남동부 끝 지역인 수안보면 사문리와 살미면 고운리에 소규모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한다. 고운리층은 충주시에 발달하는 조선계 지층 중 최하부 지층이다. 흑색 점판암, 세립 결정질(結晶質) 석회암, 변질(變質) 점판암 내지 변질천매암과 석회규산염암의 호층(互層)으로 구성되는 지층으로 주향은 북동 40~70°이며 경사는 북서 45~60°가 일반적이나 일부 지역에서 습곡의 영향으로 남동 경사를 갖는다. 본 층 상위에 서창리층이 부정합으로 놓인다.[1]
4. 옥천 누층군
옥천 누층군(Okcheon supergroup, 沃川系)은 옥천 습곡대 내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이며 충주시 남동부 계명산, 충주호, 살미면, 수안보면 일대에 분포한다.[1][2][3][4]
중부내륙선 철도 건설 지역(충주역 이남)에는 옥천 누층군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문주리층, 황강리층이 충상단층 경계로 분포한다. 시추 조사 결과 단층 파쇄대와 석회암 공동(空洞)이 발견되었고, 계명산층 및 문주리층에 석회암이 협재되어 지하 공동 발생 가능성이 있다. 옥천 누층군 내 천매암은 절리가 발달해 터널 굴착 시 암반 붕락 위험이 있어, 굴진 방향과 지층 층리 경사를 고려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철도 터널 인근 우라늄 광상으로 인해 라돈 가스 유입 방지 밀폐형 뚜껑이 설치되었다.[30]
4. 1. 층서
옥천 누층군(Okcheon supergroup, 沃川系)은 옥천 습곡대 내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이며 충주시 내에서 충주시 남동부 계명산, 충주호와 살미면, 수안보면 일대에 분포한다. 옥천 누층군의 지층들은 층서적 논란이 심한 관계로 본 문단에서는 옥천 누층군의 하위 지층을 가나다순으로 설명한다.[7]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 괴산군 지역의 옥천 누층군은 대개 고운리층, 서창리층,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대향산 규암층, 북노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 9개 지층으로 구성되나 이들의 상하 관계는 연구자에 따라 모두 다르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알려진 충주-괴산 지역 옥천 누층군의 층서는 아래와 같으며 연구자에 따라 상반되는 층서를 갖는 이유는 이 지역에 분포하는 등사습곡 및 배사, 향사 구조에 의해 옥천 누층군이 심하게 뒤틀려 있어 연구자에 따라 정상층위 혹은 역전층으로 다르게 해석되기 때문이다.
충주호 지역에서 옥천 누층군은 구조적으로는 문주리층, 대향산 규암, 향산리 돌로마이트, 계명산층 순서로 놓여 있으나 이 구조적 층순과 층서적 층순이 일치하는지(정상층위) 등사습곡에 의해 구조적 층순과 층서적 층순이 반대인지(역전층)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충주 지질도폭(1965)에서는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및 대향산 규암층을 옥천 누층군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서는 옥천 누층군이 서창리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북노리층을 기저로 하여 그 위에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 순으로 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지질시대 | 충주도폭 (1965)[1] | 김옥준 (1968) | 손치무 (1970) | Reedman et al.(1973)[8] | Lee (1974)[9] | Chough & Bahk (1992)[10] | Lee (1995)[11] | Lee et al. (1998) | 임순복 외 (2005, 06, 07) | 최덕근 외 (2012)[1] | ||||
---|---|---|---|---|---|---|---|---|---|---|---|---|---|---|
트라이아스기 | - | - | - | - | 황강리층 | - | - | - | - | - | ||||
페름기 석탄기 데본기 실루리아기 | 문주리층 황강리층 명오리층 북노리층 ----- 서창리층 | - | 옥천층군 | 황강리층 운곡리층 서창리층 문주리층 미원층 대향산 규암 | - | - | 문주리층 황강리층 한수 석회암 명오리층 북노리층 | - | 문주리층 황강리층 명오리층 북노리층 서창리층 | E 층 비봉층 C 층 B 층 A 층 | - | |||
충주층군 | 대향산층 계명산층 | |||||||||||||
오르도비스기 캄브리아기 | 조선계 고운리층 | 조선 누층군 | 조선 누층군 | 충주층군 | 삼태산층 계명산층 대향산층 | 문주리층 대향산 규암 향산리 돌로마이트 | 서창리층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 대향산층 | 덕평층군 | 명오리층 내사리층 황강리층 구룡산층 화전리층 | 고운리층 조선 누층군 | F 층 황강리층 | - | ||
미원층군 | 운교리층 증평층 | |||||||||||||
선캄브리아기 | - | 군자산층 황강리층 창리층 (서창리층+명오리층) 문주리층 | - | 옥천층군 | 문주리층 황강리층 명오리층 북노리층 서창리층 고운리층 | 계명산층 | - | - | - | MV 층 | 수안보층군 | 고운리층 명오리층 황강리층 문주리층 | ||
충주층군 | 대향산 규암 향산리 돌로마이트 계명산층 | |||||||||||||
4. 2. 계명산층과 희토류 광상
옥천 누층군의 하부 지층 중 하나인 계명산층(Gyemyeongsan formation)은 충주시 용탄동, 종민동, 안림동에 있는 계명산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철 광상을 발달시키고 있다.[1] 충주 지질도폭(1965)에 따르면, 충주시 지역에서는 층서상 계명산층이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아래에 있지만, 등사 습곡 구조로 인해 지층이 역전되어 지질도에서는 외관상 계명산층이 향산리 돌로마이트층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계명산층은 각섬석-흑운모편마암, 적철석-자철석-석영편암, 견운모-석영편암 등으로 구성된 준(準)편마암류이며, 백색-회색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이 협재된다. 계명산 정상에서의 본 층 편리는 북동 30° 주향 및 남동 66° 경사를 보이며, 자철석 결정이 광염(鑛染)되어 있다. 연수동 부근에서는 박층의 자철광, 직동 창룡사 북측 458 m 고지에서는 자철석 결정이 편리의 주향과 일치하게 포함되어 자성을 띤다.[1] 대소원면과 괴산군 불정면 경계 지역에는 철 및 중정석 광상이 발달하며, 지층 편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65~75°및 북서 60~70°가 일반적이다.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서는 계명산층이 목벌동 서부~중부에 분포하며 옥천 누층군 하부 지층으로 해석되었다. 본 층 상위에는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이 정합으로 놓이나, 지향사 구조에 퇴적된 옥천 누층군의 서익부가 역전되어 외관상 순서가 바뀐 것처럼 보인다. 본 지층은 북동 30° 주향과 북서 50° 경사를 나타낸다.[1]
목계 지질도폭(1971)의 충주층군 계명산층(PZokg)은 용탄동에 분포하고, 서부에서 중생대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으며, 동부에서는 상부의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과 정합으로 접하나 일부 단층으로 접한다. 금가면 원포리에는 화강암 가운데 포획암으로서 본 지층이 일부 분포한다. 이 지층은 대부분 자철석 결정을 포함한 함자철석회색세립편마암이며, 화강암과의 접촉부는 스카른화 되어 각섬석과 녹렴석 등이 있다. 이 지역 계명산층은 북동 50~55° 주향과 북서 또는 북동 경사를 가진다.[1]
장기홍(1971)은 계명산층이 대체로 편마암화되어 옥천계층보다 광역변성도가 높고, 자철광 결정을 함유하는 점에서 선캄브리아기 지층임을 암시한다고 보았다.[12]
충주시 남서부 계명산층에는 철과 희토류 원소 광상이 발달한다. 이 지역 계명산층은 석영편암, 석영-운모편암, 석영-장석편암, 함철규암, 알칼리 화강암 등으로 구성된다. 희토류 원소 광상은 알칼리 화강암 기원의 석영-장석편암과 밀접하게 수반되며, 북동-남서 주향으로 분포한다. 확인된 폭은 10~30 m, 연장은 1.2 km이며, 희토류 광물은 석영-장석편암 내 소규모 렌즈상 또는 판상으로 유색광물과 선구조를 형성하며 수반된다. 희유원소 광석 중 갈렴석 맥상형 광물의 희토류 함량이 가장 높다.[13][14]
강지훈과 류충렬(1997)은 계명산층이 역질암, 니질암, 사질암, 염기성 및 산성질암 기원의 변성암류로 구성되고, 교호된 염기성질암과 산성질암은 열곡 환경의 바이모달(bimodal)형 화성활동의 산물임을 지시한다고 보았다. 계명산 지역에서는 최소 세 번의 변형작용으로 습곡 구조가 형성되었다.[15]
계명산층 내에는 알칼리 화강암류가 불규칙하게 관입하여 암주 내지 암맥 형태로 분포한다. 연홍색 화강암은 세립 내지 중립질이며, 철 및 희토류 광체와 밀접하게 수반된다. 알칼리 화강암은 형석, 인회석, 갈렴석, 저어콘 등 희토류 원소가 풍부한 광물을 함유한다. Sm-Nd 연대측정 결과는 338±30 Ma이다.[16]
박종길 외(2003)는 충주시 지역 계명산층이 주로 변성화성암으로 구성되며, 계명산층 산성 변성화산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는 시생대 말인 2685.8±11 Ma라고 하였다. 따라서 계명산층이 옥천변성대에 속하지 않으며, 시생대 말에 형성된 옥천변성대의 기반암인 것으로 해석했다. 산성 변성화산암은 석영, 백운모, 정장석, 자철석과 부수광물로 흑운모, 녹니석, 녹렴석 등을 포함한다. 염기성 화산암은 각섬석, 사장석, 녹렴석과 소량의 휘석, 흑운모, 석영 및 녹니석을 포함한다.[17]
박맹언 외(2005)는 계명산층 내 충주 철광상에서 산출되는 산성 변성화산암들이 매우 높은 희토류 원소 농도를 가지며, 지구화학적 특징은 문주리층의 산성 변성화산암과 비슷하다고 보았다.[18]
주요 | 이산화 규소 | 이산화 타이타늄 | 산화 알루미늄 | 산화 철(III) | 산화 마그네슘 | |||||||||
---|---|---|---|---|---|---|---|---|---|---|---|---|---|---|
wt % | 72.45~75.25 | 0.23~0.59 | 7.24~10.01 | 3.49~9.04 | 0.04~0.16 | |||||||||
미량 | 바륨 | 루비듐 | 탄탈럼 | 나이오븀 | 하프늄 | 지르코늄 | 이트륨 | 토륨 | 우라늄 | 셀레늄 | ||||
wt % | 61~350 | 34~217 | 13~113 | 168~1971 | 24~394 | 1162~11912 | 253~1318 | 70~278 | 12~69 | 0.82~1.6 | ||||
희토류 | 란타넘 | 세륨 | 프라세오디뮴 | 네오디뮴 | 사마륨 | 유로퓸 | 가돌리늄 | 터븀 | 디스프로슘 | 홀뮴 | 어븀 | 툴륨 | 이터븀 | 루테튬 |
wt % | 176.2~796.0 | 430.4~1723.8 | 47.5~230.7 | 210.0~960.4 | 39.1~217.0 | 1.4~11.9 | 50.0~226.9 | 7.8~43.2 | 54.3~282.5 | 13.3~54.7 | 34.7~148.3 | 5.0~23.0 | 32.9~101.2 | 4.5~19.0 |
김성원 외(2006)와 강지훈 외(2012)는 계명산층 화산암의 지르콘 U-Pb 연대측정 결과가 1.9 Ga, 870 Ma, 250 Ma이며, 이는 신원생대 토노스기(Tonian)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김성원 외는 계명산층이 870 Ma 혹은 그 이후에 형성되었고 250 Ma에 변성작용을 받은 것으로 해석하였다.[19][20]
유인창과 김태훈(2009)은 충주시 종민동-목벌동 지역에서 계명산층이 담회색 또는 암회색 변성 화산암류와 암회색 편암으로 구성되며, 향산리 돌로마이트층과 계명산층 경계는 단층이라고 하였다.[21]
노신영 외(2012)는 충주시 남산 지역 계명산층이 변성된 심성산성질암, 역질암, 산성화산암질암 등으로 구성되며, 방사선 수치는 변성사질암(26~415 cps)과 변성산성질암(10~170 cps)에서 높다고 하였다.[22]
최덕근 외(2012)는 계명산층이 옥천 누층군과 충주층군의 최하부 지층으로, 부산/박달령 변성암 복합체를 부정합으로 덮으며 정합적으로 향산리 돌로마이트층으로 점이한다고 하였다. 계명산층은 니질 및 사질천매암 내지 편암으로 구성되고 칼슘규산염과 규암이 협재된다. 계명산층에서 있었던 쌍봉식(bimodal) 화산활동은 충청분지에서 일어난 첫 번째 열개 작용의 결과이며, 이는 남중국지괴 난후아 분지의 첫 번째 화산활동에 대비된다.[1]
주덕읍 삼청리 남동부 어래산(392.7 m) 지역의 계명산층은 변성니질암, 화강암질편마암, 함철규암, 변성심성산성암, 변성화산산성암 등으로 구성된다. 방사능 값은 함염기성형 변성심성산성암이 852~1217 cps, 평균 1039 cps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함염기성형 변성심성산성암이 희토류 광체의 기원암일 가능성을 지시한다.[23]
4. 3. 대향산 규암층
옥천 누층군(Okcheon supergroup, 沃川系)의 하위 지층 중 하나인 대향산 규암층(PZotq; Daehyangsan quartzite formation, 大香山 硅巖層)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을 따라 그 남동쪽에서 매우 좁고 길게 분포하는 지층이다. 이 지층은 하부의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을 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주로 규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향과 경사는 일반적으로 북동 60~70° 및 북서 60~65°이다.[1]대향산 규암층의 지질시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박계헌 외(2001)는 U-Pb 연대측정값에 근거해 실루리아기 이후라고 주장했지만,[26] 최덕근 외(2012)는 계명산층과 문주리층 사이에 있는 대향산 규암층의 층서적 위치에 근거해 신원생대의 지층이라고 주장했다.[1]
대향산 규암층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 | 연구 내용 |
---|---|
충주 지질도폭(1965) |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을 따라 그 남동쪽에서 대상 분포하며, 하부의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을 정합으로 덮고 규암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주향과 경사는 북동 60~70° 및 북서 60~65°가 일반적이다.[1] |
황강리 지질도폭(1965) | 유백색 규암으로 구성되며 종민동 지역에서 습곡 구조가 발달한다고 설명한다.[1] |
목계 지질도폭(1967) | 충원교 일대에 고립적으로 소규모 분포하며 주향은 북동 15~55°, 경사는 북서 55°이다.[1] |
장기홍(1971) | 충주 지질도폭 지역의 대향산 규암층은 문주리층 위에 45~50°각도의 역단층으로 올라와 있다고 설명한다.[1] |
이종혁(1972) | 주로 유백색~황갈색의 규질편암 내지 규암으로 구성되며, 이 층 상위에서 최대 20 m 두께의 함력규질편암이 협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보고했다.[24] |
임명적 외(1991) | 후기의 화강암의 국부적인 관입이 대향산 규암층의 변형작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았다. 여기서는 문주리층이 최하위에, 그 위로 대향산 규암, 향산리 돌로마이트, 계명산층 순서로 오는 것으로 보았다.[25] |
강지훈과 류충렬(1997) | 대향산 규암층은 석영사질암 기원의 유백색 규암 내지 (운모)석영편암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한다.[1] |
유인창과 김태훈(2009) | 충주시 종민동-목벌동 지역에서 규암은 주로 유백색을 띠고 대부분 석영으로 구성되며, 암회색의 층리가 일부 발달하나 대부분 규암화가 이루어져 정상 혹은 역전층임을 판별할 수 있는 사층리 또는 점이층리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1] |
박계헌 외(2011) | 충주시 살미면 향산리 지역의 대향산 규암에서 분리한 쇄설성 저어콘 입자에 대해 SHRIMP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연대는 신원생대(1000-850 Ma)와 고생대(460-420 Ma)의 시기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가장 젊은 연령은 423.9±5.6 Ma이다. 이들은 이 수치에 근거하여 대향산 규암의 지질시대를 고생대 전기 실루리아기 이후로 해석했다.[26] |
최덕근 외(2012) | 대향산 규암층은 백색~담회색의 괴상(일부 층상)의 규암으로 구성되며 돌로마이트가 협재된다고 설명한다. 충주시 향산리 서부에서는 대향산 규암층이 첨멸되어 계명산층과 문주리층이 직접 만나, 대향산 규암층과 문주리층은 부정합으로 해석된다. 박계헌 외(2011)가 보고한 U-Pb 연대측정값과 달리, 최덕근 외는 계명산층과 문주리층 사이에 있는 대향산 규암의 층서적 관계로 대향산 규암을 신원생대의 지층으로 해석하였다.[1] |
사기리 스러스트 단층은 동량면 사기리를 중심으로 북동-남서 주향으로 발달하며 단층면이 북쪽으로 50°경사하고 북측이 상승, 남측이 하강한 역단층이다.[1]
4. 4. 문주리층과 수주팔봉
옥천 누층군 문주리층(PZocm; okcheon supergroup munjuri formation, 文周里層)은 충주시 대소원면 문주리에서 그 명칭이 유래된 지층이다. 황강리층과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및 대향산 규암층 분포 지역 사이에서 대소원면 문주리를 중심으로 넓게 분포한다. 하위의 황강리층을 정합으로 덮으며 지층의 편리는 보통 북동 30~70° 주향에 북서 50~60° 경사를 가진다.[1]- 충주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남서쪽으로 갈수록 분포지가 크게 확장되어 충주시 대소원면 문주리, 살미면 세성리, 괴산군 불정면 창산리, 장연면 조곡리 일대에 넓게 분포하는데 이는 지층 내 습곡이 북동쪽으로 침강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
- 황강리 지질도폭(1965)에 의하면 명오리층보다 편리가 더 발달해 있으며 견운모를 함유하고 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된다. 주향은 북동 20~60°, 경사는 북서 35~50°이며 지층의 역전에 의해 하부에는 황강리층이, 상부에는 대향산 규암이 온다.
- 제천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의 지등산~관모봉 일대에 넓게 분포하며 인등산 단층 동부에서 황강리층 상부에 정합으로 놓이나 서부에서는 서창리층과 단층으로 접한다. 하부는 혼펠스상 사질암으로, 상부는 각섬편암과 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되며 중간에 황회색의 견운모-석영편암이 협재된다. 주향은 북서 30~80°, 경사는 남서 30~35°이다. 녹니석편암 중에는 자철석이 포함된다.[1]
- 이민성 외(1998)에 의하면 황강리층과 불명확하게 접하고 주향은 북동 30°, 경사는 북서 45°이다. 변성니질암과 사질암으로 구성되며 층상의 염기성화산암을 협재한다. 상부에는 곳에 따라 저품질의 석탄층을 협재하는 흑연질편암이 분포한다.[27]
- 이광식 외(1998)는 충주시의 문주리층 메타화산암(metavolcanic)에서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실시하였고 상한은 755.8±1.3 Ma, 하한은 160±19 Ma로 측정되었다. 이는 문주리층이 선캄브리아기라는 것을 지지하는 최초의 확정적인 증거이다. 각섬암과 규장질메타화산암 네오디뮴 동위원소와 미량원소는 이들이 대륙 열개 환경의 맨틀 기원임을 지시한다. 각 원소 함량은 다음과 같다.[28]
주요 분자 | 이산화 규소 | 이산화 타이타늄 | 산화 알루미늄 | 산화 철(III) | 산화 마그네슘 | |||||||||
---|---|---|---|---|---|---|---|---|---|---|---|---|---|---|
각섬석 (%) | 43.50~47.35 | 1.54~3.58 | 12.08~20.46 | 10.80~16.70 | 5.83~7.31 | |||||||||
화산암 (%) | 64.91~74.48 | 0.19~1.54 | 13.40~20.46 | 3.19~10.80 | 0.30~0.68 | |||||||||
미량 원소 (ppm) | 바나듐 | 스트론튬 | 루비듐 | 바륨 | 크로뮴 | 니켈 | 지르코늄 | 이트륨 | 나이오븀 | 토륨 | ||||
각섬석 | 228~446 | 124~523 | 10~311 | 9~410 | 11~257 | 42~92 | 130~179 | 23~50 | 17~44 | 1.2~2.4 | ||||
화산암 | 21~37 | 38~65 | 140~283 | 186~408 | 1~3 | 17~19 | 568~1350 | 63~195 | 402~548 | 59.5~83.6 | ||||
희토류 원소 (ppm) | 란타넘 | 세륨 | 프라세오디뮴 | 네오디뮴 | 사마륨 | 유로퓸 | 가돌리늄 | 터븀 | 디스프로슘 | 홀뮴 | 어븀 | 툴륨 | 이터븀 | 루테튬 |
각섬석 | 22.31~30.91 | 47.23~72.15 | 6.32~10.07 | 29.40~48.26 | 7.06~12.29 | 2.38~4.22 | 7.45~13.32 | 1.14~2.11 | 6.59~12.88 | 1.24~2.28 | 2.09~5.92 | 0.34~0.81 | 2.24~4.58 | 0.31~0.65 |
화산암 | 173.88~326.23 | 520.97~813.26 | 37.08~68.85 | 125.74~233.82 | 22.07~41.20 | 0.43~1.11 | 21.33~38.23 | 3.51~6.46 | 22.01~42.72 | 4.58~8.43 | 9.31~22.43 | 1.66~3.39 | 11.15~22.37 | 1.60~3.00 |
- 조문섭 외(2004)는 규장질 변성응회암에 대해 고분해능 이차이온질량분석기(SHRIMP) U-Pb 저어콘 연대를 측정하였고 206Pb/238U 가중평균연대는 747±7 Ma으로 이는 이광식 외(1998)의 측정결과와 거의 비슷하며 두 연대측정 결과 모두 약 7.5억년 전 쌍모식 화산활동과 함께 대륙 내 분지가 옥천대에서 발달하였음을 지시한다. 연대측정에 사용한 시료는 충주시 살미면 팔봉 부근의 채석장(N 36°53'35.7", E 127°56'10.7")에서 채집한 규장질 변성화산암이다. 저어콘의 우라늄과 토륨 농도는 각각 41~837 및 17~962 ppm이다.[29]
- 김숭원 외(2006)에 의하면 충주시 문주리층 규장질 메타화산암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는 762±7 Ma이다.[1]
- 유인창과 김태훈(2009)에 의하면 충주시 종민동-목벌동 지역에서 구조적으로 최하부에 위치한 문주리층은 (암)녹색과 (암)회색의 편암으로 구성되며 최상부에 (암)회색 편암이 관찰된다. 문주리층은 상부의 대향산규암에 의해 덮이는데 문주리층과 대향산규암의 경계는 층리면과 평행한 단층으로 접하는 것이 야외에서 확인되었다.[1]
- 충주시 살미면 토계리 수주팔봉의 칼바위는 옥천 누층군 문주리층에 해당하는 암석이다.



4. 5. 명오리층
옥천 누층군 명오리층(PZocmy; okcheon supergroup myeongori formation, 鳴梧里層)은 충주시 동량면 명오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북노리층 분포지역 바로 북서쪽에서 북노리층과 같이 북동 방향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하부의 북노리층과 상부의 황강리층과는 정합적 관계에 있으며 암회색 내지 녹회색을 띠고 편리의 발달이 양호한 부분을 갖는다. 본 층의 지배적인 편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60° 및 남동 70°이다.[1] 명오리 북측에서는 북동 방향의 평행한 축을 갖는 파상(波狀) 습곡으로 인하여 경사가 상반됨이 반복되며 파장은 50m~100m 내외다.[1]4. 6. 북노리층
'''북노리층'''(PZocp; okcheon supergroup buknori formation, 北老里層)은 옥천 누층군 최하부의 기저층이며 제천시 한수면 북노리에서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 수안보면 온천리 북부 적보산의 북측 사면을 따라 그리고 살미면 신당리의 악어봉과 대미산을 중심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분포한다. 적보산의 지층은 암회색 석회질인 함력(含礫; 자갈을 포함한)천매암으로 구성되며 주향과 경사는 북동 60°및 남동 70°이다.[1]4. 7. 서창리층
옥천 누층군은 옥천 습곡대 내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이며 충주시 남동부 계명산, 충주호와 살미면, 수안보면 일대에 분포한다. 옥천 누층군의 지층들은 층서적 논란이 심한 관계로 본 문단에서는 옥천 누층군의 하위 지층을 가나다순으로 설명한다.'''서창리층'''(PZomz; seochangri formation, 西倉里層)은 고운리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암회색 천매암으로 구성되며 충주시 남동부의 수안보면 온천리 일대에 분포한다. 온천리-수회리 경계 지역에서 황강리층과 단층으로 접촉하며 본 층의 엽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54/75°와 남동 70° 이 지배적이다.[1]
4. 8.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과 충주 활옥동굴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Hyangsanri Dolomitic limestome Foramtion) 또는 향산리 돌로마이트층은 충주시 종민동에서 목벌동과 살미면 향산리를 지나 대소원면 매현리까지, 계명산층의 남동부를 따라 좁고 길게 분포하는 지층이다. 하부의 계명산층을 정합으로 덮으며 백색 내지 회백색의 돌로마이트질 석회암 지층이다. 종민동 남동부와 살미면 재오개리에서 각각 동-서 및 서북서-동남동 주향의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250~450 m 정도 수평 변위된다.[1] 살미면 향산리와 직동 지역에서 이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60~70°및 북서 50~60°이다. 종민동 지역에서는 주향이 남-북에 서쪽으로 경사한다.[1] 이 지층 중에 '''충주 활옥동굴'''이 발달한다.











윤기원(2022)은 중부내륙선 철도가 통과하는 지역(충주역 이남)에서의 지질과 이에 따른 통과 방안을 연구하였다. 철도가 건설되는 지역에는 중생대 화강암 및 화강반암과 옥천 누층군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문주리층, 황강리층이 분포하며 계명산층,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문주리층의 경계는 충상단층이다. 시추조사 결과 단층파쇄대와 석회암 공동(空洞)이 발견되었으며 계명산층 및 문주리층 구간에 석회암이 일부 협재되어 지하 공동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옥천 누층군에 협재된 천매암은 절리가 발달해 굴진 방향에 따라 암반 붕락의 위험이 있는데, 터널 굴진 방향과 지층의 층리가 경사하는 방향이 반대인 역경사방향의 경우 불안정하므로, 터널 통과구간 내 주요 절리의 방향을 검토하여 안정성을 위해 굴진 방향을 경사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결정하였다. 철도 터널 통과구간과 인접하여 우라늄 광상이 위치한 것이 확인되어 라돈 가스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뚜껑 설치를 하였다.[30]
4. 9. 황강리층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PZoch; okcheon supergroup hwangkangri formation, 黃江里層)은 지금은 충주호에 수몰된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 마을에서 이름이 유래된 지층이다. 살미면 중부와 수안보면 수회리 일대, 충주호와 동량면 지동리 서부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한다. 황강리층은 암회색을 띠고, 자갈을 포함하는 천매암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괴산군-살미면-수안보면 경계 지역에서는 중생대의 화강반암에 의해 관입당해, 황강리층이 중생대 또는 그 이전의 지층임을 알 수 있다.[1] 황강리층 내에는 크고 작은 습곡 구조가 발달하며 특히 살미면 설운리의 북동 방향의 배사축을 중심으로 북측은 북서 40~45°, 남측은 남동 50~60°의 경사를 가진다. 주향은 대체로 북동 방향이다.[1]윤기원(2022)은 중부내륙선 철도가 통과하는 지역(충주역 이남)의 지질을 연구하였다. 철도가 건설되는 지역에는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이 분포한다. 시추조사 결과 단층 파쇄대와 석회암 공동(空洞)이 발견되었으며, 옥천 누층군에 협재된 천매암은 절리가 발달해 굴진 방향에 따라 암반 붕락의 위험이 있다.[30]
5. 중생대 관입 화강암
中生代중국어에 관입한 화강암류는 충주시 시내 지역과 북서부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옥천 누층군 퇴적암 분포 지역을 국소적으로 관입하고 있다.[1]
5. 1. 흑운모 화강암
경상계 불국사층군 흑운모 화강암(Kbgr; biotite granite)은 충주시 시내 동부지역(충주분지)과 대소원면, 노은면, 중앙탑면, 양성면, 소태면, 엄정면 일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주로 저반(底盤)을 형성하고 있다. 주 구성 광물은 흑운모, 석영, 사장석이다.[1]5. 2. 백운모 화강암
中生代중국어에 관입한 화강암류는 충주시 시내 지역과 북서부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옥천계 퇴적암 분포지역을 국소적으로 관입하고 있다.[1]5. 3. 화강반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류는 충주시 시내 지역과 북서부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옥천 누층군 퇴적암 분포 지역을 국소적으로 관입하고 있다.[1] 수안보면 수회리와 살미면 문강리의 경계선을 따라 옥천계 황강리층을 관입하고 있는 화강반암(Kgp)의 주 구성 광물은 각섬석, 석영, 사장석이다.[1]6. 단층
충주시에는 대규모 단층은 없고 중, 소규모 단층만 분포한다.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은 종민동 남동부와 살미면 재오개리에서 각각 동-서 및 서북서-동남동 주향의 주향 이동 단층에 의해 250~450 m 정도 수평 변위된다.[1] 시추 조사 결과 단층 파쇄대와 석회암 공동(空洞)이 발견되었다.[30]
6. 1. 하천 단층
'''하천 단층'''은 동량면 하천리를 중심으로 남-북 주향을 가지는 경사 단층이다. 옥천 누층군의 황강리층과 서창리층을 절단하고 있다.[31]6. 2. 인등산 단층
충주시에는 대규모의 단층은 없고 중, 소규모의 단층만 분포한다.하천 단층은 동량면 하천리를 중심으로 남-북 주향을 가지는 경사 단층이다. 옥천 누층군의 황강리층과 서창리층을 절단하고 있다.[31]
6. 3. 세곡 단층
충주시에는 대규모 단층은 없고 중, 소규모 단층만 분포한다. 인등산 동측에서 남-북 주향을 가지는 단층으로는 '''인등산 단층'''이 있다.[1]6. 4. 포탄리 단층
포탄리 단층은 동량면 포탄리를 지나는 북서 80°및 85°방향으로 평행하게 발달하는 2조의 단층으로 대향산 규암층에서 약 250m의 슬립(slip)차가 확인된다.[1]6. 5. 사기리 단층
충주시에는 대규모의 단층은 없고 중, 소규모의 단층만 분포한다. 포탄리 단층(浦灘理 側傍摺動斷層)은 동량면 포탄리를 지나는 북서 80°및 85°방향으로 평행하게 발달하는 2조의 단층으로 대향산 규암층에서 약 250 m의 슬립(slip)차가 확인된다.[1]6. 6. 기타 단층
충주시에는 대규모 단층은 없고 중, 소규모 단층만 분포한다.사기리 스러스트 단층은 동량면 사기리를 중심으로 북동-남서 주향으로 발달하며 단층면이 북쪽으로 50° 경사하고 북측이 상승, 남측이 하강한 역단층이다.[1]
7. 광산과 지하 자원
충주시는 옥천 습곡대에 위치하여 다양한 지하자원이 분포한다. 특히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와 중생대의 화강암류,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의 탄산염암 퇴적암인 조선 누층군, 그리고 시대 미상의 변성퇴적암인 옥천 누층군이 분포하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여러 광상이 발달했다.[1][2][3][4]
충주시에는 대규모 단층은 없고 중, 소규모 단층만 분포하며, 살미면 재오개리에는 항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과 대향산 규암을 수평 변위시키는 서북서 주향의 소규모 단층이 있다.[1]
충주시에는 주로 철 광상이 분포하며, 이 외에도 희토류, 활석, 중정석, 구리, 형석 등이 있다. 철과 희토류 광상은 계명산층 내에 존재하며, 초기 퇴적물 기원의 광층이 변질작용을 거쳐 생성된 변성 광상으로 보인다. 광석의 품위(品位)는 20~45%가 일반적이다. 활석 광상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내에 있으며, 화성암 관입에 의해 형성된 열수교대광상이다. 옥천 누층군 내 발달하는 활석 광상의 모암(母巖)은 돌로마이트 지층이며, 광상화되기 전의 원암(原巖)은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이다.[32] 충주시 남서부 계명산층의 석영운모 편암과 흑운모 화강암(Rb-Sr : 134±2 Ma)이 접하는 곳에는 회중석을 수반하는 스카른 광상이 산출된다.[33]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충주시 수안보면 안탈골 일대(수안보면 온천리 산 94-1)에 있는 황강리 광화대의 광상이다. 1938년 조선광업진흥주식회사에서 구리, 아연, 텅스텐 및 몰리브데넘 광종으로 등록하여 50톤 규모의 선광장을 설치하고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약 190,000 kg의 휘수연석(몰리브데넘 황화물)을 생산하였다. 1952년 계광순이 월 600 kg 정도의 휘수연정광을 생산하였으나 1995년 등록이 소멸되었다.
7. 1. 목계 지질도폭
충주시에는 주로 철 광상이 분포하며, 이 외에도 희토류, 활석, 중정석, 구리, 형석 등이 있다. 철과 희토류 광상은 계명산층 내에 존재하며, 초기 퇴적물 기원(primary sedimentary origin)의 광층이 변질작용을 거쳐 생성된 변성 광상으로 보인다. 품위(品位)는 20~45%가 일반적이다. 활석 광상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내에 있으며, 화성암 관입에 의해 형성된 열수교대광상이다. 옥천 누층군 내 발달하는 활석 광상의 모암(母巖)은 돌로마이트 지층이며, 광상화되기 전의 원암(原巖)은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이다.[32] 충주시 남서부 계명산층의 석영운모 편암과 흑운모 화강암(Rb-Sr : 134±2 Ma)이 접하는 곳에는 회중석을 수반하는 스카른 광상이 산출된다.[33]7. 2. 충주 지질도폭
충주 지질도폭(1965)에 따르면, 계명산을 중심으로 충주시 내를 U자 형태로 둘러싸듯이 넓게 분포하는 계명산층은 각섬석-흑운모편마암, 적철석-자철석-석영편암, 견운모-석영편암, 흑운모-석영편암, 백운모-석영편암, 석영-흑운모편마암, 대상(帶狀)석영-흑운모편마암 등으로 구성된 준(準)편마암류이며, 백색-회색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이 협재된다. 계명산 정상에서 이 층의 편리 주향 및 경사는 북동 30°, 남동 66°이며 자철석 결정이 광염(鑛染)되어 있다.[1]연수동 부근에서는 박층의 자철광을 볼 수 있으며, 직동 창룡사 북측 458 m 고지에서는 자철석 결정이 편리의 주향과 일치하게 포함되어 있어 자성을 띤다. 충주시 대소원면과 괴산군 불정면 경계 지역에서는 이 층에 다수의 철 및 중정석 광상이 발달하며, 지층 편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65~75°, 북서 60~70°가 일반적이다.[1]
충주시는 철 광산이 발달한 지역으로, 이외에도 희토류, 활석, 중정석, 구리, 형석 등이 발견된다. 철과 희토류 광상은 계명산층 내에 존재하며, 초기 퇴적물이 변질작용을 거쳐 생성된 변성 광상으로 추정된다. 광석의 품위(品位)는 20~45%가 일반적이다. 활석 광상은 향산리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층 내에 있으며, 화성암 관입으로 형성된 열수교대광상이다. 옥천 누층군 내 활석 광상의 모암(母巖)은 돌로마이트 지층이며, 광상화 이전의 원암(原巖)은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이다.[32]
7. 3.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
충주시에는 철, 희토류 원소, 활석, 중정석, 구리, 형석 등 다양한 광상이 분포한다.[32]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삼덕 몰리브데넘 광산에 대한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다.
8. 충주시의 온천
수안보온천은 옥천 누층군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으로 구성된다. 수온은 53°C, 1일 채수량은 4800ton이며 지하 250 m에서 용출되는 수소이온농도 8.14~8.27의 약알칼리성 온천이다. 수안보온천 일대에는 동-서 및 북서-남동 주향의 고각 단층이 2개 교차하며 일대의 암석은 심하게 파쇄되어 있고 열수의 유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돈-222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210~7930 pCi/L, 온천수가 190~340 pCi/L, 라듐-226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0.25~0.42 pCi/L, 온천수가 0.29~0.32 pCi/L이다. 온천수는 심하게 파쇄된 천매암 지층에서 나오나 천매암층은 다만 통로의 역할만을 할 뿐 주요 온천수 대수층은 화강암 저반 내에 깊은 곳까지 발달한 정단층으로 추정된다.[35]
수안보온천 인근의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충주시 수안보면 안탈골 일대(수안보면 온천리 산 94-1)에 위치한다.
8. 1. 수안보온천
수안보온천 인근의 삼덕 몰리브데넘 광상은 충주시 수안보면 안탈골 일대(수안보면 온천리 산 94-1)에 있는 황강리 광화대의 광상이다. 광상 일대의 지질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화전리층을 기저로 하여 고운리층, 서창리층, 이원리층, 황강리층 순으로 나타나며 백악기 우백질 반상화강암 및 화강반암이 관입했다. 이 광상은 1938년 조선광업진흥주식회사에서 구리, 아연, 텅스텐 및 몰리브데넘 광종으로 등록하여 50톤 규모의 선광장을 설치하고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약 190,000 kg의 휘수연석(몰리브데넘 황화물)을 생산하였다.[34] 이후 1952년 계광순이 월 600 kg 정도의 휘수연정광을 생산하였으나 1995년 등록이 소멸되었다.[34]이 광상은 서창리층 내에 발달한 남-북 방향의 열극대를 따라 충진한 3개의 석영맥으로 구성된 광상으로 석영맥의 폭은 0.05~0.3 m 정도로 팽축이 심하고 석영맥의 연장성은 약 400 m 정도이다.[34] 이 광상에서는 삼덕항, 본항, 노두항(상일항), 대곡상항 및 대곡본항이 개설되어 광석을 채굴하였으며 상부의 석영맥에는 주로 황동석과 철망간중석이 풍부했으나 하부의 석영맥에서는 황철석, 철망간중석 및 휘수연석이 풍부하게 산출되었다.[34] 1977년 시추 결과 화강암 내에서도 몰리브데넘을 함유한 석영맥이 산출되어 백악기 이후 몰리브데넘 광화작용이 있었음을 지시한다.[34] 산출 광물은 석영, 형석, 백색 운모, 흑운모, 인회석, 모나자이트, 금홍석, 티탄철광, 휘수연석, 황동석, 철-마그네슘-망가니즈 산화물 및 철 산화물 등이다.[34]
8. 2. 앙성온천
수안보온천 일대는 옥천 누층군 서창리층의 천매암 지층으로 구성된다. 수안보온천의 수온은 53°C, 1일 채수량은 4800ton이며 지하 250 m에서 용출되는 수소이온농도 8.14~8.27의 약알칼리성 온천이다. 수안보온천 일대에는 동-서 및 북서-남동 주향의 고각 단층이 2개 교차하며 일대의 암석은 심하게 파쇄되어 있고 열수의 유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돈-222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210~7930 pCi/L, 온천수가 190~340 pCi/L, 라듐-226 함량은 지역 지하수가 0.25~0.42 pCi/L, 온천수가 0.29~0.32 pCi/L이다. 온천수는 심하게 파쇄된 천매암 지층에서 나오나 천매암층은 다만 통로의 역할만을 할 뿐 주요 온천수 대수층은 화강암 저반 내에 깊은 곳까지 발달한 정단층으로 추정된다.[35]9. 중부내륙선 철도
이 지역의 지질은 고원생대 편마암류, 쥐라기 화강암과 백악기의 산성, 중성암맥 및 석영반암맥이 분포한다. 앙성천을 따라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이 발달하며 문상호 외(2022)에 의해 '앙성 단층'으로 명명되었다.[36]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일대에서 관찰된 이 단층은 수 미터 폭의 단층비지대와 단층각력대로 이루어진 고각의 단층대를 형성하며, 인접한 모암에 형성된 단층손상대의 폭은 수십 미터이다.[36] 우수향으로 변위된 편마암과 화강암의 경계를 기준으로 측정된 이 단층의 수평 변위량은 최소 400 m 이상이다.[36] 이 단층을 형성시킨 변형작용은 백악기 암맥류 또는 광맥을 배태시킨 단열대의 형성과 시공간적 및 운동학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지역의 지하수 유동에도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36] 탄산온천공들은 모두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체 내에 분포하며,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앙성 단층과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단층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인다.[36] 탄산온천의 이산화탄소는 텅스텐-몰리브데넘 광화대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36]
10. 충주댐
2016년 경주 지진이 규모 5.8이었음을 고려하면 충주시의 충주댐도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다. 1985년 준공 당시 규모 5.4의 지진까지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7] 대지진 발생으로 댐이 붕괴할 경우 가옥과 농지가 수몰되고 기존 하천의 범람도 예상된다.[37] 정부는 이미 지진으로 인한 충주댐의 붕괴 시나리오를 만들었지만 확률상 희박한 시나리오를 공개할 경우 혼란과 재산권 침해를 야기할 수 있다며 비공개했다.[37]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忠州 地質圖幅說明書 (충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년
[3]
웹인용
黃江里 地質圖幅說明書 (황강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5년
[4]
웹인용
牧溪 地質圖幅說明書 (목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1년
[5]
웹인용
長湖院圖幅 地質報告書 (장호원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9년
[6]
저널
A Study on Landform Development and Geology in Mt. Kookmang, Chungju 충주 국망산 지역의 지형과 지질
https://scienceon.ki[...]
2008년
[7]
저널
The Okcheon Supergroup in the Lake Chungju area, Korea: Neoproterozoic volcanic and glaciogenic sedimentary successions in a rift basin
https://www.proquest[...]
2012년
[8]
간행물
The geology of the Hwanggangri mining district, Republic of Korea.
Anglo-korean Mineral Exploration Group.
1973
[9]
간행물
"Study for the geologic age determination of Ogcheon Group, Korea"
1974
[10]
저널
Sedimentary Basi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djacent Seas
https://db.history.g[...]
Korean Sedimentology Research Group, Special Publication, Hallimwon Publishers
1992년
[11]
간행물
"Geology of Ogcheon Supergroup"
1995
[12]
저널
History of Ogcheon Geosyncline (沃川地向斜의 歷史)
https://www.dbpia.co[...]
1971-12
[13]
저널
충주지역 희토류 광상의 성인: 산출상태와 지화학적 특성 (Genesis of the REE Ore Deposits, Chungju District, Korea: Occurrence Feature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https://scienceon.ki[...]
1995년
[14]
저널
충주지역 희유원소광상에서 산출되는 갈렴석의 지구화학적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lanite from Rare Metal Deposits in the Chungju Area, Chungcheongbuk-Do (Province), Korea)
https://scienceon.ki[...]
1996년
[15]
저널
충주 계명산지역 옥천변성대의 화성활동과 지질구조 (Igneous Activity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Og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Kyemyeongsan area, Chungju, Korea)
https://www.dbpia.co[...]
1997-12
[16]
저널
충주지역 계명산층 내에 산출하는 알카리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연구 (A Geochemical Study of the Alkali Granite in the Kyeomyeongsan Formation)
https://scienceon.ki[...]
1998년
[17]
저널
옥천변성대 북서부 계명산층 내 변성화성암류의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와 그 지구조적 의의 (Geochemical and Geolchronological Studies on Metaigneous Rocks in the Gyemyeongsan Formation, Nor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
https://www.dbpia.co[...]
2003-12
[18]
저널
계명산층 내의 충주 철광상 주변에 분포하는 산성 변성화산암의 성인 (Genesis of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distributed aroundthe Chungju iron deposit in the Gyemyeongsan Formation)
https://www.dbpia.co[...]
2005-09
[19]
저널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Okcheon Belt, South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the Nanhua Rift,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Rifting in Rodinia
https://www.jstor.or[...]
2006년 11월
[20]
저널
SHRIMP zircon age of Gyemyeongsan Formation in the Eoraesan area, Chungju, Korea
https://www.dbpia.co[...]
2012년 5월
[21]
저널
Stratigraphy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Northwe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Near the Chungju Area
https://www.kseeg.or[...]
2009년 2월
[22]
웹인용
충주 남산 지역의 지질 (Geology of Namsan area, Chungju, Korea)
https://www.gskorea.[...]
2012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대회
2012년 10월
[23]
저널
Geology and Constituent Rocks, and Radioactive Values of the Eoraesan Area, Chungju, Korea (충주 어래산지역의 지질 및 구성암류와 방사능 값)
http://koreascience.[...]
2018년
[24]
저널
The Study of the Lower Unit of the Metamorphic Belt in the Ogcheon Geosyncline 沃川地向斜內 基底地質에 關한 硏究
https://www.dbpia.co[...]
1972-03
[25]
저널
Deformation History and Strain Analysis of Daehyangsan Quartzite in Chungju Area, Korea (忠州地域 大香山 硅岩層 周邊一帶의 變形量 分析 및 變形作用史)
https://www.dbpia.co[...]
1991년 4월
[26]
저널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the Daehyangsan Quartzite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옥천변성대 대향산규암층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령)
https://www.dbpia.co[...]
2011년 8월
[27]
저널
Glaciogenic diamictite of Ogcheon System and its geologic age, and paleogeography of Korean Peninsula in Late Paleozoic (옥천계의 빙하기원 다이아믹타이트와 그 지질시대 및 고생대 말의 한반도의 고지리)
https://www.dbpia.co[...]
1998년 12월
[28]
저널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age and tectonic implication
https://www.scienced[...]
1998년 5월
[29]
저널
옥천변성대 규장질 변성응회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신원생대(약 7.5억년전) 화산활동 (SHRIMP U-Pb Zircon Age of a Felsic Meta-tuff in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Korea: Neoproterozoic (ca. 750 Ma) Volcanism)
https://scienceon.ki[...]
2004년
[30]
웹인용
옥천 분지 지질특성에 따른 철도터널 통과방안에 관한 연구
https://www.riss.kr/[...]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건설공학과
2022년
[31]
웹인용
堤川 地質圖幅說明書 (제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년
[32]
저널
Origin of Talc Deposit in the Chungju Area: Origin and Types of Initial Rocks and their Origin
https://www.dbpia.co[...]
1987-06
[33]
저널
충주광산 지역 계명산층의 텅스텐 스카른화작용 (Skarn Formation in Metamorphic Rocks of the Chungju Mine Area)
https://accesson.kis[...]
1995년
[34]
저널
삼덕 Mo 광상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 및 화학조성 (White Mica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amdeok Mo Deposit, Republic of Korea)
https://scienceon.ki[...]
2019년
[35]
저널
수안보지역의 온천수위 변동과 수리지구화학에 관한 연구 (Thermal Water Level Change and Geochemistry in the Suanbo Area, Korea)
https://scienceon.ki[...]
1999년
[36]
저널
충주 앙성지역 탄산천의 수위/수질 변동과 주변 지질 특성: 탄산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찰 (Water Level and Quality Variations of CO2-rich Groundwater and Its Surrounding Geology in the Chungju Angseong Spa Area, South Korea: Considerations on Its Sustainability)
https://scienceon.ki[...]
2022
[37]
뉴스
충주댐 붕괴 시나리오 있는데 왜 주민들은 모를까?
https://www.youtube.[...]
2016-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