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킹 소총병 연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킹 소총병 연대는 1884년 프랑스에 의해 창설된 베트남 보조 병력으로, 1870년대 통킹 원정에서 프랑스가 현지 민병대를 활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정규 연대화되었다. 1884년 제1, 제2 연대가 창설되었으며, 이후 제3, 제4 연대까지 확장되었다. 청불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그리고 식민지 내 치안 유지에 기여했으나, 1945년 일본의 쿠데타로 해체되었다. 이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베트남인들이 프랑스군에 복무했지만, 통킹 소총병 연대는 재창설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시 프랑스의 군사 - 프랑스 민병대
프랑스 민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시 프랑스에서 조직되어 레지스탕스 진압, 치안 유지, 유대인 강제 수용 등의 임무를 수행한 준군사 조직으로, 극우 성향 인사와 친독 협력자들이 주축이었으나 해방 후 보복과 처벌을 받았다. - 비시 프랑스의 군사 - 반공 프랑스 의용군단
반공 프랑스 의용군단은 독소전쟁 발발 후 자크 도리오의 제안으로 창설되어 나치 독일을 위해 복무한 프랑스인 부대로, 동부 전선에서 소련군과 교전했으나 기강 해이와 경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다 해산 후 잔여 병력은 샤를마뉴 사단으로 편입되었다. - 청불 전쟁 - 톈진 협약
톈진 협약은 1884년 청나라와 프랑스 간에 체결되어 청나라의 통킹 군대 철수, 프랑스와의 무역 및 교역, 베트남 국경 분쟁 해결 등을 다루었으나, 내용의 불명확성으로 청불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청불 전쟁 - 호아목 전투
호아목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뚜옌꽝 포위 청나라군과 흑기군을 격파하기 위해 유옥 협곡의 청군 방어선을 공격, 점령하여 뚜옌꽝으로 향하는 길을 열고 포위전을 푸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 - 통킹 원정 - 동당 전투
동당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청나라군의 방어선을 뚫고 동당을 점령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승리였으나 3주 후 진남관 전투 패배로 청불 전쟁 종결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통킹 원정 - 톈진 협약
톈진 협약은 1884년 청나라와 프랑스 간에 체결되어 청나라의 통킹 군대 철수, 프랑스와의 무역 및 교역, 베트남 국경 분쟁 해결 등을 다루었으나, 내용의 불명확성으로 청불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통킹 소총병 연대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tirailleurs tonkinois |
활동 기간 | 1884년 ~ 1956년 |
국가 | 프랑스 |
소속 | 프랑스 육군 |
본부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통킹 |
참전 |
2. 배경
프랑수아 가르니에의 1873년 통킹 원정 당시, 프랑스는 통킹에서 비정규 부대인 민병대를 조직했으며, 이들 중 다수는 잔혹한 뜨득 황제 정권에 충성심이 적은 기독교도들이었다. 이러한 부대들은 단 몇 주간만 존재했고, 1874년 봄 프랑스가 통킹에서 철수하면서 해산되었으나, 이는 통킹에서 보조 병력을 모집할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였다. 베트남 보조 병력의 정규적 고용은 코친차이나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1879년 프랑스는 안남 소총병을 조직했다.[1]
1883년에서 1885년 사이, 프랑스군은 통킹에서 흑기군 및 베트남, 청나라 군대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연달아 지휘를 맡은 톤킨 원정군 사령관들은 다양한 형태로 통킹 보조 병력을 활용했다. 1884년 "통킹 소총병" 정규 연대의 창설에 앞서, 1883년 하반기에 부에(Bouët) 장군과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톤킨에서 원주민 보조 병력을 실험적으로 운용했다. 프랑스군은 1883년 8월 전투에서 수백 명의 황기군(Yellow Flags)을 흑기군과의 전투에 보조 병력으로 동원했다. 조르주 블라비아노가 이끄는 황기군은 1873년 프랑수아 가르니에의 통킹 원정에 참가했던 인물로, 8월 15일 푸호아이 전투와 9월 1일 팔란 전투에서 교전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으나, 전투 후 곧 무질서한 행위로 인해 해산되었다.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지휘한 선떠이 전역에서는 코친차이나에서 온 안남 소총병 4개 중대가 해병 보병 대대에 각각 배속되었고, 이와 별도로 통킹 소총병 800명으로 구성된 부대가 배르토-르빌랭(Bertaux-Levillain) 대대장의 지휘 아래 포함되었다. 이들 톤킨 보조 병력 중 다수는 가을 전투에서 조르주 블라비아노와 함께 싸운 인물들이었고, 황기군이 해산된 후 프랑스군에 재입대했다. 쿠르베 제독은 이 통킹 보조 병력에 프랑스 장교를 배치할 수 없었고, 이들은 12월 14일 푸사 전투와 12월 16일 선떠이 전투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반면, 프랑스 장교들의 지휘 아래 싸운 안남 소총병은 푸사 참호를 점령하는 데 있어 두드러진 활약을 보였다.
1884년 2월, 아메데 쿠르베 제독의 뒤를 이어 통킹 원정군 사령관이 된 샤를-테오도르 미요(Charles-Théodore Millot) 장군은 원주민 보조 병력의 유용성에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미요 장군은 원주민 부대에 충분한 수의 프랑스 장교와 하사관을 배치하면, 이들이 훨씬 더 효과적으로 전투에 임하고 황기군이 보였던 무질서함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시험하기 위해 베르토-르빌랭 대대의 통킹 보조 병력을 정규 중대로 재편성하고, 각 중대에 해병 보병 대장을 배치했다. 여러 통킹 소총병 중대는 1884년 박닌 전역(3월)과 흥호아 원정(4월)에 참여했으며, 1884년 5월에 원정군은 총 1,500명의 통킹 보조 병력을 포함하게 되었다.[2]
2. 1. 프랑스의 통킹 원정과 보조병 활용
프랑수아 가르니에의 1873년 통킹 원정 당시, 프랑스는 통킹에서 뜨득 황제 정권에 충성심이 적은 기독교도들을 중심으로 민병대를 조직했다.[1] 이들은 1874년 봄 프랑스가 통킹에서 철수하면서 해산되었으나, 통킹에서 보조 병력을 모집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 베트남 보조 병력의 정규적 고용은 코친차이나에서 처음 시도되었으며, 1879년 프랑스는 안남 소총병을 조직했다.[1]1883년에서 1885년 사이, 프랑스군은 통킹에서 흑기군 및 베트남, 청나라 군대와 전투를 벌였다. 통킹 원정군 사령관들은 다양한 형태로 통킹 보조 병력을 활용했다. 1883년 하반기, 부에 장군과 쿠르베 제독은 통킹에서 원주민 보조 병력을 운용했다. 프랑스군은 1883년 8월 전투에서 황기군을 흑기군과의 전투에 보조 병력으로 동원했다. 조르주 블라비아노가 이끄는 황기군은 푸호아이 전투와 팔란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전투 후 무질서한 행위로 해산되었다.[2]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지휘한 선떠이 전역에서는 코친차이나에서 온 안남 소총병 4개 중대가 해병 보병 대대에 배속되었고, 조르주 블라비아노와 함께 싸웠던 인물들을 주축으로 한 통킹 소총병 800명으로 구성된 부대가 배르토-르빌랭 대대장의 지휘 아래 포함되었다.[2] 그러나 쿠르베 제독은 이 통킹 보조 병력에 프랑스 장교를 배치할 수 없었고, 푸사 전투와 선떠이 전투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2] 반면, 프랑스 장교들의 지휘 아래 싸운 안남 소총병은 푸사 참호 점령에 기여했다.[2]
1884년 2월, 통킹 원정군 사령관이 된 샤를-테오도르 미요 장군은 원주민 보조 병력의 유용성에 확신을 가지고, 원주민 부대에 충분한 수의 프랑스 장교와 하사관을 배치하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믿었다.[2] 그는 베르토-르빌랭 대대의 통킹 보조 병력을 정규 중대로 재편성하고, 각 중대에 해병 보병 대장을 배치했다. 통킹 소총병 중대는 박닌 전역과 흥호아 원정에 참여했으며, 1884년 5월에 원정군은 총 1,500명의 통킹 보조 병력을 포함하게 되었다.[2]
2. 2. 청불 전쟁과 통킹 보조병의 필요성 증대
1873년 프랑수아 가르니에의 통킹 원정 당시, 프랑스는 통킹에서 비정규 민병대를 조직했다. 이들은 뜨득 황제 정권에 충성심이 적은 기독교도들이 다수였으며, 1874년 봄 프랑스가 통킹에서 철수하면서 해산되었지만, 통킹에서 보조 병력을 모집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879년 프랑스는 코친차이나에서 안남 소총병을 조직하며 베트남 보조 병력의 정규적 고용을 처음으로 시도했다.[1]1883년부터 1885년 사이, 프랑스군은 통킹에서 흑기군 및 베트남, 청나라 군대와 전투를 벌였다. 통킹 원정군 사령관들은 다양한 형태로 통킹 보조 병력을 활용했다. 1883년 하반기, 부에(Bouët) 장군과 아메데 쿠르베 제독은 통킹에서 원주민 보조 병력을 실험적으로 운용했다. 프랑스군은 1883년 8월 전투에서 푸호아이 전투와 팔란 전투에 수백 명의 황기군(Yellow Flags)을 보조 병력으로 동원했지만, 전투 후 무질서한 행위로 인해 해산되었다.
선떠이 전역에서 쿠르베 제독은 코친차이나에서 온 안남 소총병 4개 중대를 해병 보병 대대에 배속시키고, 통킹 소총병 800명으로 구성된 부대를 별도로 포함시켰다. 그러나 프랑스 장교가 배치되지 않은 통킹 보조 병력은 푸사 전투와 선떠이 전투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반면, 프랑스 장교들의 지휘를 받은 안남 소총병은 푸사 참호 점령에 기여했다.
1884년 2월, 통킹 원정군 사령관이 된 샤를-테오도르 미요(Charles-Théodore Millot) 장군은 원주민 보조 병력의 유용성을 확신했다. 그는 원주민 부대에 충분한 수의 프랑스 장교와 하사관을 배치하면 전투 효율을 높이고 무질서를 막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통킹 보조 병력을 정규 중대로 재편성하고 각 중대에 해병 보병 대장을 배치했다. 이들은 박닌 전역과 흥호아 원정에 참여했으며, 1884년 5월에는 원정군 내 통킹 보조 병력이 1,500명에 달했다.[2]
3. 설립
1884년 3월과 4월 통킹 보조 병력의 활약에 고무된 샤를-테오도르 미요 장군은 이들의 지위를 공식화하기로 결정했다.[3] 이에 따라 1884년 5월 12일 포고령을 통해 제1, 제2 통킹 소총병 연대가 창설되었다.[3] 각 연대는 3,000명 규모로, 4개 중대(250명)로 이루어진 3개 대대로 조직되었으며, 해병 보병 장교들이 지휘했다.[3] 이는 몇 년 전 코친차이나에서 안남 소총병 연대를 조직할 때 사용된 모델을 따른 것이다.[3]
제1 통킹 소총병 연대는 드 모시옹(de Maussion) 중령이, 제2 통킹 소총병 연대는 베르제(Berger) 중령이 지휘했다.[3] 6개 대대는 토노(Tonnot), 조르나 드 라칼(Jorna de Lacale), 라퐁(Lafont), 멜로(Merlaud), 펠레티에(Pelletier), 피종(Pizon) 대대장이 이끌었다.[3] 초기에는 해병 보병 장교 부족으로 연대가 즉시 정원에 도달하지 못하고 9개 중대, 2개 대대 체제로 운영되었으나, 1884년 여름 동안 모집이 계속되어 10월 30일에는 두 연대 모두 3,000명의 정원에 도달했다.[4]
미요 장군은 모집 가속화를 위해 흑기군 탈영병을 활용했다.[5] 1884년 7월, 흥호아와 뜨옌꽝 점령 이후 항복한 흑기군 병사들을 통킹 소총병 연대의 별도 중대로 받아들였다.[5] 이들은 보항(Bohin) 중위의 지휘 아래 다이강의 외딴 프랑스 주둔지에서 베트남 반군과 도적 소탕 작전에 기여했다.[5] 그러나 1884년 12월 25일 밤, 이들은 탈영하여 뜨옌꽝 포위전에 참여했다.[5] 이후 프랑스는 흑기군 병사를 통킹 소총병 연대에 통합하지 않았다.[5]
1885년 7월 28일, 드 쿠르시(de Courcy) 장군이 제3 통킹 소총병 연대를 창설했고,[5] 1886년 2월 19일, 와르네(Warnet) 장군이 제4 통킹 소총병 연대를 창설했다.[5]
3. 1. 통킹 소총병 연대 창설 (1884년)
1884년 3월과 4월 통킹 보조 병력의 활약에 고무된 샤를-테오도르 미요 장군은 이들의 지위를 공식화하기로 결정했다.[3] 이에 따라 1884년 5월 12일 포고령을 통해 제1, 제2 통킹 소총병 연대가 창설되었다.[3] 각 연대는 3,000명 규모로, 4개 중대(250명)로 이루어진 3개 대대로 조직되었으며, 해병 보병 장교들이 지휘했다.[3] 이는 몇 년 전 코친차이나에서 안남 소총병 연대를 조직할 때 사용된 모델을 따른 것이다.[3]제1 통킹 소총병 연대는 드 모시옹(de Maussion) 중령이, 제2 통킹 소총병 연대는 베르제(Berger) 중령이 지휘했다.[3] 6개 대대는 토노(Tonnot), 조르나 드 라칼(Jorna de Lacale), 라퐁(Lafont), 멜로(Merlaud), 펠레티에(Pelletier), 피종(Pizon) 대대장이 이끌었다.[3] 초기에는 해병 보병 장교 부족으로 연대가 즉시 정원에 도달하지 못하고 9개 중대, 2개 대대 체제로 운영되었으나, 1884년 여름 동안 모집이 계속되어 10월 30일에는 두 연대 모두 3,000명의 정원에 도달했다.[4]
미요 장군은 모집 가속화를 위해 흑기군 탈영병을 활용했다.[5] 1884년 7월, 흥호아와 뜨옌꽝 점령 이후 항복한 흑기군 병사들을 통킹 소총병 연대의 별도 중대로 받아들였다.[5] 이들은 보항(Bohin) 중위의 지휘 아래 다이강의 외딴 프랑스 주둔지에서 베트남 반군과 도적 소탕 작전에 기여했다.[5] 그러나 1884년 12월 25일 밤, 이들은 탈영하여 뜨옌꽝 포위전에 참여했다.[5] 이후 프랑스는 흑기군 병사를 통킹 소총병 연대에 통합하지 않았다.[5]
3. 2. 연대 확장 및 추가 창설
초기 통킹 소총병 연대는 정원을 채우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1884년 여름 동안 모집이 계속되어 10월 30일에는 두 연대 모두 3,000명의 정원에 도달했다.[4] 모집을 가속화하기 위해 흑기군 탈영병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1884년 12월 25일 밤, 흑기군 병사들이 집단 탈영하는 사건으로 실패했다.[5] 이들은 무기, 유니폼, 장비를 가지고 흑강(Black River) 방면으로 도주했으며, 뜨옌꽝 포위전에 참여했다. 흑기군을 지휘했던 프랑스 해병 보병 장교 보항(Bohin) 중위는 흑기군 병사들의 배신에도 불구하고 침대에서 평온하게 자고 있는 상태로 남겨졌다.[5]이후, 1885년 7월 28일 드 쿠르시(de Courcy) 장군이 제3 통킹 소총병 연대를 창설했고,[5] 1886년 2월 19일 와르네(Warnet) 장군이 제4 통킹 소총병 연대를 창설했다.[5]
4. 활동
4. 1. 청불 전쟁 (1884년~1885년)
통킹 소총병 제1연대 8중대는 1884년 6월 2일 프랑스군의 뜨옌꽝 점령 작전에 참여했다. 이 중대는 1884년 11월 두셴느 대령이 지휘한 뜨옌꽝 구원 원정에 참여하여 유옥 전투에서 전투를 벌였다.[6] 이후, 뜨옌꽝 공방전에서 프랑스 외인부대와 함께 용맹히 싸웠다.[7]제1연대 12중대는 박레 전투 및 람 전투에 참여했다. 람 전투 중 바타유 중위가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지휘관을 잃은 그의 부대는 후퇴했으나, 이후 프랑스군 반격에 참여했다.[8]
제1연대 1중대는 1885년 1월 4일 누이봅 전투에 참가했다. 제1연대 제1대대와 통킹 소총병 제2연대 제1대대는 랑손 전역에 참여했다. 특히 토노 대대는 박비에 전투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제2연대 1중대는 1885년 2월 23일 동당 전투에 참여했다.[9]
제1연대 7중대는 호아목 전투 초반에 청나라 참호를 정찰하던 중 큰 피해를 입었고, 도나 소위가 부상당했다.[10]
두플롱 대위가 지휘하는 제1연대 1중대의 파인 소위가 이끄는 50명의 소대는 1885년 4월 18일 선떠이 근처의 타이탓에서 청나라, 베트남 및 므엉 도적들을 격퇴했다. 이 전투는 "1885년 4월 4일 휴전 협정" 체결 후 발생했으며, 브리에르 드 릴 장군은 "1885년 4월 26일 명령서"를 통해 통킹 소총병의 용맹함을 널리 알렸다.[11]
4. 2. 프랑스의 베트남 정복 이후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인도차이나 소총병"들은 현재의 베트남 영토 내에서 해적과 도적을 소탕하는 임무를 계속 수행했다. 그러나 이들의 신뢰성에 대한 근거 없는 의심으로 인해, 통킹 부대는 대개 프랑스 식민지 보병 또는 외인부대 소대와 동행했다. 통킹 소총병 제5연대는 1902년에 창설되었으나, 1908년에 해체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통킹 소총병과 안남 소총병 부대의 많은 프랑스 장교 및 부사관들이 프랑스로 소환되었다. 이후 통킹 소총병 1개 대대는 서부 전선의 베르됭 근처에서 전투에 참여했다.[12] 1915년, 통킹 소총병 제3연대의 1개 대대가 중국으로 파견되어 상하이 프랑스 조계를 수비했다. 인도차이나에 남아 있던 소총병들은 1917년 타이응우옌에서 발생한 원주민 헌병의 반란을 진압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18년 8월, 통킹 소총병 3개 중대는 프랑스 식민지 보병 대대의 일부로 편성되어 시베리아 개입에 참여했다.[13]
4. 3. 전간기 및 제2차 세계 대전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인도차이나 소총병"들은 현재의 베트남 영토 내에서 해적과 도적을 소탕하는 임무를 계속 수행했다. 그러나 이들의 신뢰성에 대한 근거 없는 의심으로 인해, 통킹 부대는 대개 프랑스 식민지 보병 또는 외인부대 소대와 동행했다. 통킹 소총병 제5연대는 1902년에 창설되었으나, 1908년에 해체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통킹 소총병과 안남 소총병 부대의 많은 프랑스 장교 및 부사관들이 프랑스로 소환되었다. 이후 통킹 소총병 1개 대대는 서부 전선의 베르됭(Verdun) 근처에서 전투에 참여했다.[12] 1915년, 통킹 소총병 제3연대의 1개 대대가 중국으로 파견되어 상하이 프랑스 조계를 수비했다. 인도차이나에 남아 있던 소총병들은 1917년 타이응우옌(Thai Nguyen)에서 발생한 원주민 헌병(Garde Indigène)의 반란을 진압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18년 8월, 통킹 소총병 3개 중대는 프랑스 식민지 보병 대대의 일부로 편성되어 시베리아 개입에 참여했다.[13]
전간기 동안 통킹 소총병 4개 연대는 인도차이나, 시리아-프랑스 전쟁, 리프 전쟁 및 프랑스-태국 전쟁에서 활약했다. 1945년 3월 9일, 일본이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식민지 행정부를 상대로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통킹 소총병 연대와 안남 소총병 연대는 모두 해체되었다.[14] 그 이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많은 베트남인들이 프랑스 연합군에 복무했지만, 이들은 다른 부대에 통합되었으며 "인도차이나 소총병 연대"는 재창설되지 않았다.[14] 프랑스 육군 내 마지막 인도차이나 부대는 극동 특공대(Le Commando d'Extrême-Orient)로, 약 200명의 베트남인, 몽타냐르드(Montagnards), 크메르(Khmers), 눙족(Nùngs) 병사들로 구성되었으며, 알제리에서 1956년부터 1960년 6월 해체될 때까지 활약했다.[15]
4. 4.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많은 베트남인들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 연합군에 복무했지만, 이들은 다른 부대에 통합되었으며 "인도차이나 소총병 연대"는 재창설되지 않았다.[14] 프랑스 육군 내 마지막 인도차이나 부대는 극동 특공대(Le Commando d'Extrême-Orient)로, 약 200명의 베트남인, 몽타냐르드(Montagnards), 크메르(Khmers), 눙(Nùngs) 병사들로 구성되었으며, 알제리에서 1956년부터 1960년 6월 해체될 때까지 활약했다.[15]5. 평가 및 영향
5. 1. 프랑스 식민 통치에 대한 기여
5. 2. 베트남인들의 저항과 협력
5. 3. 한국의 시각에서 본 통킹 소총병
참조
[1]
서적
Histoire militaire
[2]
서적
Conquête
[3]
서적
Histoire militaire
[4]
서적
Histoire militaire
[5]
서적
[6]
서적
Lang-Son
[7]
서적
Conquête
[8]
서적
Lang-Son
[9]
서적
Lang-Son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Les Troupes de Marine
[1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