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부경화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부경화증은 피부가 단단해지고 매끄러워지며 움직임이 제한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국소성 및 전신성 형태로 나타난다. 전신성 피부경화증은 제한 피부 경화형과 광범위 피부 경화형으로 분류된다. 20~50세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여성에게 더 흔하며,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 과다 생성, 혈관 손상, T 림프구 활성화 등이 병태생리에 관여하며, 레이노 현상, 피부 경화, 소화기, 폐, 심혈관 문제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증상, 병력, 검사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지며,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된다. 예후는 아형에 따라 다르며, 폐동맥 고혈압, 폐 섬유증, 신장 위기 등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임신 중에는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증가시킨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가 면역 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활막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질병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진단에는 류마티스 인자와 항CCP 항체가 사용되고 메토트렉세이트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 자가 면역 질환 - 크론병
    크론병은 위장관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 면역계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복통, 설사,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약물 요법, 영양 요법,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완치 치료법은 없다.
  • 희귀질환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희귀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피부경화증
일반 정보
모반성 경피증
모반성 경피증의 일종
분야류마티스내과
발병 시기중년
종류국소, 전신
원인알 수 없음
위험 요인가족력
특정 유전적 요인
이산화 규소 노출
진단 방법증후, 피부 조직검사, 혈액 검사
감별 진단혼합결합조직병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예방해당 사항 없음
치료지지요법
약물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예후국소: 정상적인 예상 수명
전신: 예상 수명 단축
빈도한 해에 10만 명당 3명 (전신)
질병 분류
ICD-10-
ICD-9
ICD-O해당 사항 없음
MeSH해당 사항 없음
명칭
영어 명칭Scleroderma (스클레로더마)
어원(sklēros, "단단한, 굳은")
(derma, "피부")

2. 분류

피부경화증은 국소적이거나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단단하고 매끄러운 상아색 피부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피부가 움직이지 않고 마치 가죽에 묶인 듯한 모습을 보이는 질환이다. 국소적 형태와 전신적 형태로 모두 발생할 수 있다.[30]

일반적으로 피부경화증(강피증)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며, 흔히 전신성 피부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 국소성 피부경화증 (Localized Scleroderma)
  • * 선상 강피증 (선상 경피증)
  • * 반상 강피증 (모르페아, 국한성 경피증)

  • 전신성 피부경화증 (Systemic Sclerosis: SSc)
  • * 제한 피부 경화형 강피증 (limited cutaneous SSc): 항센트로메어 항체 관련. CREST 증후군이 대표적이다.
  • * 광범위 피부 경화형 강피증 (diffuse cutaneous SSc): 항토포이소머라제 I (항 Scl-70) 항체 또는 항RNA 폴리머라제 III 항체 관련. 과거 진행성 전신성 경화증으로 불리기도 했다.

3. 역학

피부경화증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50세 사이에 처음 나타나지만, 모든 연령대에서 발병할 수 있으며, 특히 30~60대 환자가 많다.[3][3] 여성의 발병 확률이 남성보다 4~9배 더 높으며, 남녀비는 1:9로 여성에게 압도적으로 많다.[3]

이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난다.[3] 각 지역별 통계는 다음과 같다.


  • 미국: 유병률은 100만 명당 240명, 연간 발생률은 100만 명당 19명으로 추정된다.[3] 미국 내에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백인보다 약간 더 흔하게 발생한다.[3] 특히 미국 오클라호마의 초크토 족 아메리카 원주민은 내부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형의 피부경화증 발병률이 유럽계 미국인보다 높으며,[3] 전체 발병률은 10만 명당 469명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
  • 독일: 유병률은 100만 명당 10~150명이며, 연간 발생률은 100만 명당 3~28명이다.[46]
  • 남호주: 연간 발생률은 100만 명당 23명이며, 유병률은 100만 명당 233명이다.[47]

4. 병인

피부경화증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할 수 있다.[58][56][59][3][16][17] 일부 사례에서는 HLA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병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56][3] 또한 이산화 규소(실리카), 방향족 및 염소화 탄화수소 용액(용제), 케톤, 트리클로로에틸렌, 용접 화염(매연), 그리고 백유(화이트 스피릿 또는 미네랄 스피릿)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노출되는 것이 소수의 환자들에게 피부경화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56][60][3][18]

5. 병태생리

피부경화증은 콜라겐의 과도한 생합성(경화 유발), 작은 혈관 손상, T 림프구 활성화, 변형된 결합 조직 생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19] 피부경화증이 발생하는 과정에 대한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20][21][22][23][24]


  • 발병은 혈관, 특히 내피 세포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바이러스 감염, 산화 스트레스, 또는 자가면역 반응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내피 세포가 손상되고 세포 자멸사가 일어나면 혈관에서 체액이 새어 나와 초기에는 조직 부종으로 나타난다. 이 단계는 주로 Th1 세포 및 Th17 세포와 관련된 면역 반응이 주도한다.
  • 이후 혈관 손상은 더욱 심해진다. 새로운 혈관이 잘 생성되지 못하고(혈관 신생 및 혈관 형성 장애), 이는 항내피 세포 항체(AECA)의 존재와 관련 있을 수 있다.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PDGF나 VEGF 같은 성장 인자의 수치가 높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혈관 확장과 수축의 균형이 깨져 혈관 수축이 우세해진다. 손상된 내피는 혈전이 생기기 쉬운 환경을 만들고, 허혈-재관류 손상 및 활성 산소 생성을 촉진한다. 이 후기 단계는 Th2 세포 중심의 면역 반응이 특징이다.
  • 손상된 내피 세포는 특정 단백질(부착 분자, 케모카인)을 많이 만들어 백혈구를 끌어들인다. 이로 인해 면역계가 활성화되고, 토포이소머라제 I과 같은 자신의 몸 성분(항원)에 대한 면역 관용이 깨질 수 있다. B 세포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여 자가 항체를 만들고, T 세포는 Th2 세포 등으로 분화하여 조직 섬유증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토포이소머라제 1 항체는 I형 인터페론 생성을 자극하기도 한다.
  • 여러 사이토카인과 성장 인자는 섬유아세포를 불러 모으고 활성화시켜 근섬유아세포로 변하게 한다. 피부경화증 환자의 섬유아세포와 근섬유아세포에서는 변형 성장 인자 β(TGF-β) 신호 전달 과정에 문제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활성화된 섬유아세포와 근섬유아세포는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을 과도하게 만들어 조직이 딱딱해지는 섬유증을 유발한다. B 세포 역시 이 단계에 관여하는데, B 세포가 만드는 IL-6와 TGF-β는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고 세포 외 기질 생성을 늘린다. 엔도텔린 신호 전달 체계도 섬유증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25]


비타민 D 역시 질병 발생 과정과 관련이 있다. 혈액 내 비타민 D 수치가 낮을수록 피부경화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비타민 D는 면역 체계의 기능을 조절(주로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6. 증상

피부 병변을 보여주는 피부경화증 환자의 팔


전신 경화증에서 양손의 원위 지골에 나타나는 어둡고 광택이 나는 피부


피부경화증의 잠재적인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다.[13][14][15]

  • 심혈관계:
  • 레이노 현상: 환자의 30%에서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며, 질병 경과 중 95%의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추운 곳에 노출 시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하얗거나 파랗게 변했다가 다시 붉어지는 현상이다. 다른 교원병(혼합성 결합 조직병, SLE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피부경화증에서 특히 특징적이다.
  • 손가락 끝의 함몰성 궤양 (치유된 자국)
  • 피부 및 점막 모세혈관 확장증
  • 심계항진, 불규칙한 심박수, 실신(의학): 심장의 전도 시스템 이상,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소화기계:
  • 위식도 역류 질환
  • 복부 팽만감, 소화 불량, 식욕 부진
  • 설사변비의 교대
  • 건조 증후군 및 관련 합병증
  • 치아 흔들림, 쉰 목소리 (위산 역류로 인해 발생 가능)
  • 장기적으로 장관 근육층의 섬유화로 인한 연동 운동 부전 및 가성 장폐색, 흡수 불량, 저영양 상태 발생 가능
  • 호흡기계:
  •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호흡 곤란
  • 흉통 (폐동맥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
  • 마른 기침 (간질성 폐 질환으로 인해 발생)
  • 근골격계:
  • 관절통, 근육통
  • 관절 운동 범위 감소
  • 손목 터널 증후군
  • 무력증
  • 비뇨생식기계:
  • 발기 부전
  • 성교통
  • 신장 문제 또는 신부전 (특히 신장 위기)
  • 기타:
  • 안면 통증 (삼차 신경통)
  • 손의 이상 감각
  • 두통, 뇌졸중
  • 피로, 체중 감소
  • 석회증 (피부 아래 칼슘 침착)

피부 증상은 손가락 말단에서 시작하여 몸 중심으로 진행되는 피부 경화가 특징이다.

  • 레이노 현상: 위 심혈관계 증상 설명을 참조한다. 피부경화증의 가장 특징적인 초기 증상 중 하나이다.
  • 손톱 주위 출혈점 (Nail Fold Bleeding, NFB): 손톱 주위 표피에 나타나는 점 모양의 검은색 출혈점으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피부경화증 환자의 약 70%에서 관찰되며, 이차성 레이노 현상 진단에 유용하다. 피부근염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 피부 경화: 병변은 주로 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점차 몸의 중심으로 진행된다. 초기에는 피부가 부어올라 '소시지 모양 손가락'처럼 보이다가, 점차 탄력을 잃고 단단해지며 나중에는 위축될 수 있다. 심하면 피부가 매우 딱딱해져 관절 운동이 제한된다. 피부 경화가 팔꿈치나 무릎 아래 국한되고 몸통을 침범하지 않는 경우를 국한형 피부경화증이라고 한다.
  • 피부 석회화: 특히 국한형 피부경화증에서 두드러지며, 피하에 칼슘 아파타이트가 침착된다. 손의 엑스레이 촬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색소 탈실: '소금 후추 모양 피부 변화'(salt-and-pepper skin changeseng)라고 불리는, 색소 탈실로 인해 피부가 하얗게 변하는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장기 침범피부경화증은 전신적인 혈관염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장기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모세 혈관망이 풍부한 폐와 신장(사구체는 작은 동맥으로 구성)이 손상되기 쉽다. 반면, 은 동양 구조로 되어 있어 모세 혈관망이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덜 침범된다. 임상 양상과 자가항체 종류에 따라 침범되는 장기의 특징이 다르다.

  • 국한형 피부경화증 (Limited Cutaneous Systemic Sclerosis):
  • 피부 경화가 손가락, 팔꿈치 또는 무릎 아래, 얼굴에 국한된다.
  • 일반적으로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내장 침범은 비교적 적다.
  • 항센트로메어 항체가 양성인 경우가 많다.
  • 특정 증상(석회증, 레이노 현상, 식도 운동 저하, 손가락 경화, 모세혈관 확장증)을 만족하면 CREST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 폐고혈압증은 항U1-RNP 항체(혼합 결합 조직병) 양성인 경우 합병되기 쉬우며 예후가 좋지 않다.
  • 전신형(미만형) 피부경화증 (Diffuse Cutaneous Systemic Sclerosis):
  • 폐 섬유증이나 신장 등 주요 내장 기관 침범이 더 흔하고 심각할 수 있다.
  • 항 토포이소머라제 I 항체(항 Scl-70 항체) 양성인 경우 폐 섬유증 합병 위험이 높다.
  • 항 RNA 폴리머라제 III 항체 양성인 경우 급격한 신기능 악화(신장 위기)를 일으켜 혈액 투석이 필요한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악성 종양의 합병 빈도도 높다.
  • 발병 초기에 피부 경화 진행을 막기 위해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치료가 신장 위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7. 진단

피부경화증 진단은 특정 검사 하나만으로 확정하기 어려우며,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사 소견, 다양한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한다. 진단 과정은 종종 다른 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해 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7] 전형적인 피부경화증은 대칭적인 피부 비후(두꺼워짐)를 특징으로 하며, 약 70%의 환자에게서 레이노 현상, 손톱 주름 모세혈관 변화, 항핵 항체(ANA) 양성 소견이 함께 나타난다. 전신 장기 침범이 동반될 수도 있다. 반면 비전형적인 피부경화증은 피부 변화가 없거나 손가락 부종만 나타나는 등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27]

혈액 검사를 통한 자가항체 확인은 진단 및 예후 예측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자가항체와 관련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가항체관련 피부경화증 형태주요 관련 합병증/특징
항핵 항체 (ANA)전형적 피부경화증-
항토포이소머라제 항체 (항 Scl-70)광범위 전신 형태폐 섬유증[28] (중증화 가능성)
항센트로미어 항체제한 전신 형태, CREST 증후군-[28]
항 RNA 중합효소 III 항체-신장 위기 (급격한 신기능 장애, 신부전), 악성 종양 합병
항 U1-RNP 항체혼합 결합 조직병 관련폐고혈압증 (예후 불량)
항 U3 항체--[28]



제한 전신 형태는 피부 경화가 손가락 등에 국한되며(얼굴 침범은 가능),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고 내부 장기 손상 위험은 비교적 낮다. 특정 기준을 만족하면 CREST 증후군(석회증, 레이노 현상, 식도 운동 저하, 손발가락 경화증, 모세혈관 확장증)으로 불리기도 한다. 광범위 전신 형태는 폐 섬유증이나 신장 등 내부 장기 손상 위험이 높다. 특히 항 Scl-70 항체 양성인 경우 폐 섬유증 합병 빈도가 높아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항 RNA 중합효소 III 항체 양성인 경우, 급격한 신기능 악화(신장 위기)로 혈액 투석이 필요한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악성 종양의 합병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병 초기에 피부 경화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신장 위기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8. 감별 진단

피부경화증과 감별해야 할 질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29]

질환명설명
호산구 증가증혈액 속에 과도한 수의 호산구(기생충을 공격하고 특정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면역 세포의 일종)가 존재하는 상태이다.
호산구-근육통 증후군L-트립토판 보충제에 의해 발생하는 호산구 증가증의 한 형태이다.
호산구성 근막염팔과 다리의 골격근, 뼈, 혈관 및 신경을 둘러싼 결합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이식편대숙주병골수 이식의 결과로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이식된 골수의 면역 세포가 숙주 신체를 공격하는 상태이다.
균상 식육종피부 T세포 림프종의 일종으로, 온몸에 발진을 유발하는 드문 이다.
신성 전신 섬유증일반적으로 조직의 섬유증(비후)을 유발하는 신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원발 담즙성 간경변의 자가면역 질환이다.
원발성 폐고혈압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9. 치료

피부경화증을 완치하는 특별한 방법은 아직 없지만,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사용된다.[61][62][3][31] 이 질환은 자기 면역 이상 → 말초 혈관 장애 → 피부 경화의 단계를 거치며 진행되는데, 피부 경화로 진단될 시점에는 이미 비가역적인 변화가 나타난 경우가 많아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다. 과거 d-페니실아민이나 사이클로스포린 등이 시도되었으나 명확한 유효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증상별 약물 치료각 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약물 치료가 이루어진다.


  • 레이노 현상: 혈관 확장을 위해 칼슘 통로 차단제, 알파 차단제,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앤지오텐신 II 수용체 억제제, 스타틴, 국소 질산염, 일로프로스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등이 사용된다.[61][62][3][31]
  • 디지털 궤양: 치료에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예: 실데나필)나 일로프로스트가 사용되며, 새로운 궤양 예방을 위해 보센탄을 사용하기도 한다.[3][31]
  • 신장 위기: ACE 억제제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가 사용된다.[61][62][3][31] 다만, 예방 목적으로 미리 사용하는 것은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신장 기능 장애가 발생했을 때만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 간질성 폐 질환: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사용된다.[3][31]
  • 폐동맥 고혈압: 엔도텔린 수용체 길항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 프로스타노이드, 에포프로스테놀, 보센탄 등이 사용된다.[3][31]
  • 폐 섬유증: 항섬유화제인 닌테다닙의 효과가 보고되었다.
  • 위식도 역류 질환 (속쓰림): 제산제, 운동 촉진제, 프로톤 펌프 억제제 등이 사용된다.[3][31]
  • 장내 세균 과증식으로 인한 영양실조: 테트라사이클린 항생제(예: 테트라사이클린)가 사용된다.[3][31]
  • 장관 연동 부전: 만성적인 경우 대증 요법 외에 중심 정맥 영양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
  • 피부 증상: 피부 건조 및 경화 완화를 위해 보습제를 사용한다.

전신적 질병 완화 치료면역 체계 이상을 조절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질병 완화 치료가 시도된다.[32][33][34][35][36] 주요 약물로는 아자티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마이코페놀레이트, 정맥 내 면역 글로불린, 리툭시맙, 시롤리무스, 알레파셉트 등이 있으며,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인 이마티닙, 닐로티닙, 다사티닙도 사용된다.[3][37]

초기에는 부신피질 스테로이드가 피부 경화나 폐 병변 진행에 일정한 효과를 보일 수 있으나, 신장 위기 발병 위험 증가 등 부작용 우려로 인해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사이클로포스파미드는 질병 진행을 어느 정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최근에는 미코페놀산 모페틸, 리툭시맙, 토실리주맙의 유효성이 보고되어 점차 보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피부경화증 치료에 사용되는 면역 조절제
INN작용 기전[3][40]투여 경로[3]임신 카테고리[3][41]주요 독성[42]
알레파셉트인간 백혈구 기능 항원-3의 CD2 부분에 결합하여 T 림프구 활성화를 억제하는 단클론 항체.근육 주사B (미국)악성 종양, 주사 부위 반응, 혈전, 림프구 감소증, 간독성 및 감염.
아자티오프린메르캅토푸린으로 전환하여 림프구 증식을 억제하는 퓨린 유사체경구 투여, 정맥 주사D (호주)골수 억제 및 *드물게* 악성 종양, 간염, 감염, 간 동양 혈관 폐쇄 증후군 및 과민 반응.
사이클로포스파미드DNA 염기쌍을 가교 결합하여 파괴를 일으키고 조혈 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발하는 질소 머스타드경구 투여, 정맥 주사D (호주)구토, 골수 억제, 출혈성 방광염 및 *드물게* 심부전, 폐 섬유증, 간 동양 혈관 폐쇄 증후군, 악성 종양 및 SIADH
다사티닙다양한 혈관 신생 성장 인자(PDGF 및 VEGF 포함)에 대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경구 투여D (호주)체액 저류, 골수 억제, 출혈, 감염, 폐 고혈압, 전해질 이상 및 *드물게* 간독성, 심장 기능 부전/실패, 심근 경색, QT 간격 연장, 신부전 및 과민 반응.
이마티닙위와 동일경구 투여D (호주)위와 동일, *드물게:* 위장관 천공, 무혈관 괴사 및 횡문근 융해증
면역 글로불린면역 글로불린, 면역 체계를 조절함.정맥 주사해당 없음다양함
메토트렉세이트항엽산제; 디히드로폴산 환원 효소를 억제함.경구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피하 주사, 척수강 내 주사D (호주)골수 억제, 폐 독성, 간독성, 신경 독성 및 *드물게* 신부전, 과민 반응, 피부 및 뼈 괴사, 골다공증
마이코페놀레이트이노신 일인산 탈수소 효소 억제제, 림프구에서 퓨린 생합성 감소를 유발함.경구 투여, 정맥 주사D (호주)골수 억제, 혈전, *덜 흔하게* 위장관 천공/출혈 및 *드물게* 췌장염, 간염, 재생불량성 빈혈 및 적혈구 무형성증.
닐로티닙다사티닙과 동일경구 투여D (호주)이마티닙과 동일
리툭시맙B 림프구에서 발현되는 CD20에 대한 단클론 항체정맥 주사C (호주)주입 관련 반응, 감염, 호중구 감소증, 면역 글로불린 수치 감소, 부정맥, *덜 흔하게* 빈혈, 혈소판 감소증, 협심증, 심근 경색, 심부전 및 *드물게* 용혈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혈청병, 심각한 피부 상태, 폐 침윤, 폐렴, 뇌신경병증(시력 또는 청력 손실) 및 진행성 다발 백질 뇌병증.
시롤리무스mTOR 억제제, 사이토카인 유도 림프구 증식을 감소시킴.경구 투여C (호주)호중구 감소증, 저칼륨 혈증, 간질성 폐 질환, 심낭 삼출, 흉수, *덜 흔하게* 폐 출혈, 신증후군 및 *드물게* 간독성 및 림프 부종.
경구 투여 = 경구. 정맥 주사 = 정맥 내. 근육 주사 = 근육 내. 피하 주사 = 피하. 척수강 내 주사 = 척수강 내.
위에서 선호하는 임신 카테고리는 호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미국 카테고리로 대체됩니다.


기타 및 연구 중인 치료법조혈모세포 이식의 유효성도 지적되고 있지만, 치료 자체의 위험성이 높아 시행 가능한 의료기관은 매우 제한적이다.[38][39] 현재 연구 중인 실험적 치료법으로는 엔도텔린 수용체 길항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베타-글리칸 펩타이드, 할로푸기논, 바실릭시맙, 알렘투주맙, 아바타셉트 등이 있다.[38][39]

10. 예후

2012년 기준으로 전신성 경피증의 5년 생존율은 약 85%였으며, 10년 생존율은 70% 미만이었다.[3] 이는 경피증의 아형에 따라 다르며, 국소성 경피증은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드물지만, 전신성 형태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광범위한 전신성 형태가 제한된 형태보다 예후가 좋지 않다. 경피증과 관련된 주요 사망 원인은 폐동맥 고혈압, 폐 섬유증, 그리고 경피증 신장 위기이다.[3]

경피증 환자는 골다공증 발병 위험이 높으며, (특히 간암, 폐암, 혈액암, 방광암)에 걸릴 위험도 높다.[43] 또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44]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된 호주의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경피증 환자의 평균 기대 수명은 66세에서 74세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호주 전체 인구의 평균 기대 수명은 76세에서 82세로 증가했다.[45]

11. 임신

임신 중 피부경화증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증가시키는 복잡한 상황이다.[63][48] 전반적으로 피부경화증은 임신 주수에 비해 태아의 체중 감소와 관련이 있다.[56][3] 피부경화증 치료에는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마이코페놀레이트(mycophenolate)와 같이 기형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테라토겐)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임신 중에는 이러한 약물을 신중하게 피하는 것이 권고된다.[56][3] 이러한 경우, 질병 조절을 위해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과 저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56][3]

참조

[1] 웹사이트 Handout on Health: Scleroderma https://www.niams.ni[...] NIAMS 2017-07-15
[2] 웹사이트 Scleroderma https://rarediseases[...] 2017-07-14
[3] 논문 Systemic sclerosis 2017-10
[4] 논문 Epidemiology of systemic sclerosis: incidence, prevalence, survival, risk factors, malignancy, and environmental triggers 2012-03
[5] 논문 The immune pathogenesis of scleroderma: context is everything 2013-01
[6] 서적 Current Opinions in Pediatric Rheumatology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6
[7]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 Hill 2018
[8] 웹사이트 Scleroderma https://rarediseases[...] NORD (National Organization for Rare Disorders) 2017-07-14
[9] 서적 The Autoimmune Diseas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6
[10] 서적 Kelley's Textbook of Rheumat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11] 문서 "{{OEtymD|scleroderma}}"
[12] 문서 "{{LSJ|sklhro/s2|σκληρός}}, {{LSJ|de/rma|δέρμα|ref}}"
[13] 웹사이트 Systemic Sclerosis http://www.merckmanu[...] Merck Sharp & Dohme Corp. 2014-03-05
[14] 웹사이트 Scleroderma Clinical Presentation http://emedicine.med[...] WebMD 2014-03-05
[15]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Professional
[16] 논문 Scleroderma – new aspects in pathogenesis and treatment 2012-02
[17] 논문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 systemic sclerosis 2013-03
[18] 논문 P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ystemic sclerosis and occupational exposur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4-02
[19] 논문 Pathogenesis and treatment modalities of localized scleroderma http://medicina.kmu.[...]
[20] 논문 The pathogenesis of systemic sclerosis
[21] 논문 Angiogenic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in systemic sclerosis 2011-08
[22] 논문 Cellular players in angiogenesis during the course of systemic sclerosis 2011-08
[23] 논문 B cells in systemic sclerosis: a possible target for therapy 2011-08
[24] 논문 Scleroderma: from pathophysiology to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2010-05
[25] 논문 The role of endothelin-1 signaling in the fibrosis observed in systemic sclerosis 2011-06
[26] 논문 Serum 25-OH vitamin D concentrations are linked with various clinical aspects in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1-06
[27] 웹사이트 Scleroderma Workup http://emedicine.med[...] WebMD 2014-03-06
[28] 웹사이트 Scleroderma http://emedicine.med[...] WebMD 2014-03-05
[29] 웹사이트 Scleroderma Differential Diagnoses http://emedicine.med[...] WebMD 2014-03-06
[30]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https://archive.org/[...] Saunders Elsevier
[31] 논문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complications: what to use when first-line treatment fails--a consensus of systemic sclerosis experts 2012-08
[32] 논문 Scleroderma: nomenclature, etiology, pathogenesis, prognosis, and treatments: facts and controversies 2013-07
[33] 논문 My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scleroderma 2013-04
[34]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http://pamw.pl/sites[...]
[35] 논문 Morphogen pathways as molecular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fibrosis in systemic sclerosis 2013-01
[36] 논문 Emerging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scleroderma 2012-06
[37] 논문 Immunotherapy of systemic sclerosis 2010-11
[38] 논문 Pharmacotherapy of systemic sclerosis 2010-04
[39] 논문 Innovative therapies for systemic sclerosis 2010-05
[40] 서적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Professional
[41] 웹사이트 Medscape Multispecialty {{ndash}} Home page http://reference.med[...] WebMD 2013-11-27
[42] 서적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The Australian Medicines Handbook Unit Trust
[43] 논문 Preventative Care in Scleroderma: What Is the Best Approach to Bone Health and Cancer Screening? 2023-05
[44] 논문 Systemic sclerosis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PRISMA-compliant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2020-11
[45] 논문 Improving life expectancy of patients with scleroderma: results from the South Australian Scleroderma Register 2018-03-23
[46] 논문 Systemic sclerosis-dermatological aspects. Part 1: Pathogenesis, epidemiology, clinical findings 2012-10
[47] 논문 Epidemiology of systemic sclerosis 2010-12
[48] 논문 Pregnancy issues in scleroderma 2012-05
[49] URL http://www.nejm.org/[...]
[50] 웹인용 Scleroderma https://rarediseases[...] 2017
[51] 저널 Epidemiology of systemic sclerosis: incidence, prevalence, survival, risk factors, malignancy, and environmental triggers. 2012-03
[52] 저널 The immune pathogenesis of scleroderma: context is everything. http://www.ncbi.nlm.[...] 2013-01
[53] 서적 Current Opinions in Pediatric Rheumatology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6
[54]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e McGraw Hill 2018
[55] 웹인용 Scleroderma https://rarediseases[...] 2007
[56] 서적 Kelley's Textbook of Rheumatolog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57] 웹인용 Handout on Health: Scleroderma https://www.niams.ni[...] 2016-08
[58] 저널 Scleroderma - New aspects in pathogenesis and treatment 2012-02
[59] 저널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 systemic sclerosis. 2013-03
[60] 저널 P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ystemic sclerosis and occupational exposur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4-02
[61] 웹인용 Systemic Sclerosis http://www.merckmanu[...] Merck Sharp & Dohme Corp. 2013-06
[62] 저널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complications: what to use when first-line treatment fails — a consensus of systemic sclerosis experts. 2012-08
[63] 저널 Pregnancy issues in scleroderma. 20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