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장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장수는 사천 조동을 대표하는 유학자 가문 출신으로, 당대의 다른 유학자들과 달리 국제 정세에 밝아 '군병체제'를 갖춰 국가의 위기를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차례 조정에 상소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일제강점기에 대한제국이 강제 병합되자 비분강개하여 4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하장수는 서예에도 능했으나 문집은 전해지지 않으며, 장남의 혼인을 위해 보낸 서신을 통해 그의 필력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유학자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대한제국의 유학자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진양 하씨 - 하태경
    1968년 부산 출생의 하태경은 학생운동과 북한 민주화 운동가 활동 후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개혁보수를 표방하는 정치인이다.
  • 진양 하씨 - 하대돈
    하대돈은 부산고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국가재건최고회의 행정관, 국회 운영위원회 행정실장, 국무총리 정보비서관, 제10대 국회의원,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이다.
하장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송파 하장수(河長水)
출생일1864년 3월 17일
사망지사천조동
사망일1912년 8월 11일
국적조선
대한제국
본관진양
별명초휘 한수(漢水)
자 여안(汝安)
호 송파(松波)
군주대한제국 태황제(1897~1907)
대한제국 효황제(1907~1910)
직업유학자, 서예가, 사회운동가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김백림(金伯林)
자녀하재세(河在世)
부모부 하재흥(河再興)
모 강진민씨(江津旻氏)

2. 생애

하장수는 평소 조부와 부친으로부터 ''''출사에 뜻을 두지 말고 농사와 더불어 학문에만 정진하라''''는 유훈을 실천한 유학자였다. 학문이 뛰어나고 식견이 넓었음에도 향시나 대과에 뜻을 두지 않았다.[1] 이는 세도정치의 폭정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선대 조상의 의지를 따른 것이었다. 하연계유정난 이전에 '세월이 심상치 않으니 관직에 연연하지 말고 고향으로 내려와 세파에 휩쓸리지 말 것'을 당부한 가문의 전통과도 관련이 있다.

하연의 직계 후손 중 일부는 당상관 이상 관직에 올랐으나, 대부분은 사대부임에도 농사와 학문에 정진했다. 사천에 부임한 수령들이 하장수의 집에 자주 방문하거나 초청받아 시국을 논하고 자문을 구했다는 점에서 그의 학문과 식견을 엿볼 수 있다.

1912년 경술국치를 당한 그 달 8월, 48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가풍에 따라 명예와 재물을 경계했으며, 뛰어난 필력을 가진 서예가였음에도 문집은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1909년 장남 하재세의 혼인을 위해 밀양 박씨 문중에 보낸 서신이 115년 만에 사천조동 문중 본가에서 발견[2]되어 그의 필력이 확인되었다.

2. 1. 군병체제 주창과 좌절

하장수는 사천조동을 대표하는 명망 있는 유학자 가문 출신으로, 당시 다른 유학자들과는 달리 국제 정세에 밝아 청나라와 서구 열강, 왜국(일본)에 관한 동향 등을 알고 있었다. 그는 '''"조선이 하루속히 군관민이 일체화된 ‘군병체제’를 갖추어 앞날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개화파 이론가들과 개화사상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주장이었다.[1]

진양 하씨 사천조동 문중의 구전에 의하면 하장수는 '군병체제'에 대해 여러 차례 조정에 상소하였으나 번번이 무시되자, "조선의 앞날이 심히 걱정된다"는 말을 일상에서 늘 되뇌었다고 한다. 그는 지역 유림의 회합 때마다 이를 전파하였으나 큰 호응이 없자, 거시 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한정된 전파에 그쳤다. 그러나 당시 그의 명망은 사천을 중심으로 경상도 전역의 유림 사회에 널리 알려졌다.[1]

하장수는 1876년 일제와의 불평등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고, 1905년 11월에 을사오적의 한 사람인 박제순에 의해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비분강개하여 피를 토하기까지 했다. 연이어 1907년 7월에 대한제국군이 해산되고 1910년 8월에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제로 병합되자, 분을 참지 못하여 결국 쓰러지고 말았다. 그는 평소에 '''"왜국(일본)을 경계하지 않으면 반드시 나라가 위태로운 지경에 이를 것"'''이라고 예견했다고 한다.[1]

2. 2. 유학자로서의 삶과 시대 인식

하장수는 사천 조동을 대표하는 명망 있는 유학자 가문 출신으로, 당시 다른 유학자들과는 달리 국제 정세에 밝았다. 청나라, 서구 열강, 왜국(일본)의 동향을 알고 있었으며, '''조선이 하루속히 군관민이 일체화된 ‘군병체제’를 갖추어 앞날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개화파 이론가나 개화사상가들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자적인 주장이었다.[1]

진양 하씨 사천조동 문중 구전에 따르면, 하장수는 '군병체제'에 대해 여러 차례 조정에 상소했으나 번번이 무시당했다. 이에 '조선의 앞날이 심히 걱정된다'는 말을 자주 되뇌었다고 한다. 지역 유림 모임 때마다 이를 알렸으나 큰 호응을 얻지 못해, 거시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제한적인 전파에 그쳤다. 그러나 그의 명망은 사천을 중심으로 경상도 전역의 유림 사회에 널리 알려졌다.

하장수는 평소 조부와 부친으로부터 '출세에 뜻을 두지 말고 농사와 학문에만 정진하라'는 유훈을 실천한 유학자였다. 학문적 능력과 넓은 식견을 갖췄음에도 향시나 대과에 뜻을 두지 않았다.[1] 이는 세도정치의 폭정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선대 조상의 의지를 따른 것이었다. 진양 하씨 사직공파 파조인 문효공 하연이 수양대군의 계유정난 이전에 '세월이 심상치 않으니 관직에 연연하지 말고 고향으로 내려와 세파에 휩쓸리지 말 것'을 당부한 가문의 전통과도 관련이 있다.

하연의 직계 후손 중 일부는 당상관 이상 관직에 올랐으나, 대부분은 사대부임에도 농사와 학문에 정진했다. 하장수의 경우, 사천에 부임한 수령들이 그의 집에 자주 방문하거나 초청받아 시국을 논하고 자문을 구했다는 점에서 그의 학문과 식견을 엿볼 수 있다.

1876년 일본과의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고, 1905년 11월 을사오적 중 한 명인 박제순에 의해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하장수는 매우 비통해하며 피를 토하기까지 했다. 1907년 7월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고, 1910년 8월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제 병합되자 분을 참지 못하고 쓰러졌다. 이후 병을 얻어 1912년 경술국치를 당한 그 달 8월, 48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평소 '왜국(일본)을 경계하지 않으면 반드시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이라고 예견했다. 가풍에 따라 명예와 재물을 경계했으며, 뛰어난 필력을 가진 서예가였음에도 문집은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1909년 장남 하재세의 혼인을 위해 밀양 박씨 문중에 보낸 서신이 115년 만에 사천조동 문중 본가에서 발견[2]되어 그의 뛰어난 필력이 확인되었다. 19세기 말~20세기 초 격동의 시대를 겪은 하장수는, 제한된 환경 속에서도 당시 개화파 인사들과 교류 없이 '''독자적이고 실제적인 국가 위기 타개책인 ‘군병체제’'''를 제시했다.

2. 3. 일제 침략에 대한 비분강개와 죽음

하장수는 1876년 일제와 맺은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 체결과, 1905년 11월에 을사오적 중 한 명인 박제순에 의해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이에 비분강개하여 피를 토하기까지 했다.[1] 1907년 7월 대한제국군이 해산되고, 1910년 8월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제로 병합되자, 분을 참지 못하고 쓰러졌다. 이후 병을 얻은 그는 1912년 경술국치가 일어난 같은 해 8월, 48세의 이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평소 '''"왜국을 경계하지 않으면 반드시 나라가 위태로운 지경에 이를 것"'''이라고 예견했다고 한다.[1]

3. 가계

직계선조인 하연 선생


하장수는 증조부 하덕량(河德良, 유학자), 조부 하용우(河龍佑, 유학자), 부친 하재흥(河再興), 모친 강진민씨(江津旻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배우자는 김해김씨백림(金海金氏伯林)이다. 슬하에 4남을 두었는데, 장남은 하재세(河在世), 며느리는 밀양박씨연순(密陽朴氏連順), 장손은 하치호(河致鎬), 손자며느리는 강숙순(姜淑順)이다. 증손은 하홍술(河洪述), 하홍순(河洪舜), 하미숙(河美淑)이며, 증삼손은 하승무(河承武)이다.[3] 차남, 삼남, 사남은 각각 하재겸(河在兼), 하재상(河在尙), 하재근(河在根)이다.

3. 1. 직계


  • 증조부: 하덕량(河德良, 유학자)
  • 조부: 하용우(河龍佑, 유학자)
  • 아버지: 하재흥(河再興)
  • 어머니: 강진민씨(江津旻氏)
  • 배우자: 김해김씨백림(金海金氏伯林)
  • 장자: 하재세(河在世)
  • 장자부: 밀양박씨연순(密陽朴氏連順)
  • 장손: 하치호(河致鎬)
  • 장손부: 강숙순(姜淑順)
  • 증손: 하홍술(河洪述)
  • 증차손: 하홍순(河洪舜)
  • 증차손녀: 하미숙(河美淑)
  • 증삼손: 하승무(河承武)[3]
  • 차남: 하재겸(河在兼)
  • 삼남: 하재상(河在尙)
  • 사남: 하재근(河在根)

3. 2. 직계 선조

3. 3. 문파/종파 인물

참조

[1] 문서
[2] 문서
[3] 웹인용 "'하승무 교수 국회의장 공로장 수상' 무등일보" https://www.mdilbo.c[...] 2024-04-23
[4] 뉴스 https://blog.naver.c[...] 고신대 동문뉴스 2020-04-22
[5] 뉴스 https://www.veritas-[...] 베리타스알파 2020-04-23
[6] 뉴스 http://www.thekorea.[...] 더코리아 2020-04-23
[7] 뉴스 https://www.crs-news[...] CRSNews 2020-05-11
[8] 뉴스 https://www.kchannel[...] K채널 2020-04-23
[9] 뉴스 http://www.newstokto[...] 톡톡뉴스 2020-04-23
[10] 뉴스 http://www.mdilbo.co[...] 무등일보 2020-04-23
[11] 뉴스 http://www.jndn.com/[...] 전남매일 2020-04-23
[12] 뉴스 https://www.asiae.co[...] 아시아경제 2020-11-26
[13] 뉴스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20-11-26
[14] 뉴스 http://www.wikitree.[...] 위키트리 2020-11-26
[15] 뉴스 https://www.jnilbo.c[...] 전남일보 2020-11-26
[16] 뉴스 http://kjdaily.com/a[...] 광주매일신문 2020-11-26
[17] 뉴스 http://www.newspim.c[...] 뉴스핌 2020-11-26
[18] 뉴스 http://www.namdonews[...] 남도일보 2020-11-26
[19] 뉴스 http://www.gukjenews[...] 국제뉴스 2020-11-25
[20] 뉴스 http://www.onews.tv/[...] 열린통신뉴스 2020-11-26
[21] 뉴스 http://www.job-post.[...] 잡포스트 2020-11-25
[22] 뉴스 http://www.sisamagaz[...] 시사매거진 2020-11-25
[23] 뉴스 http://www.ndnnews.c[...] 앤디앤뉴스 2020-11-24
[24] 뉴스 http://www.mrepublic[...] 미디어리퍼블릭 2020-11-25
[25] 뉴스 http://www.ihopenews[...] 교육신문
[26] 뉴스 하승무 동문 제10회 '자랑스런대한국민大賞'에 선정 https://www.bufs.ac.[...]
[27] 뉴스 하승무 교수 무공수훈자회 유공표창 받아, 경북하나굿뉴스 http://www.gbhana.co[...]
[28] 뉴스 http://www.dailywrn.[...] 매일종교신문 2020-03-19
[29] 뉴스 2018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부산광역시청 https://www.busan.go[...]
[30] 뉴스 고신대학교 선교목회대학원 하승무 동문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에 선정 http://www.busan.com[...]
[31] 뉴스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8-10-04
[32] 뉴스 http://www.newstokto[...] 톡톡뉴스 2018-09-18
[33] 뉴스 http://www.dailywrn.[...] 매일종교신문 2018-09-17
[34] 뉴스 부산시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 수상자 선정,공정뉴스 http://www.fairn.co.[...]
[35] 뉴스 하승무 동문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에 선정 https://www.bufs.ac.[...]
[36] 뉴스 고신대 하승무 동문, 제34회 '자랑스러운 시민상'에 선정 http://www.kscoramde[...] 코람데오닷컴
[37] 뉴스 자랑스런부산시민상 선정 https://m.nocutnews.[...] 노컷뉴스
[38] 뉴스 ‘한국신학교육자상에 하승무 시인’ 연합뉴스 2018-01-18
[39] 뉴스 http://www.dailywrn.[...] 종교매일신문 2018-01-18
[40] 뉴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8-01-18
[41] 뉴스 https://m.mk.co.kr/n[...] 매일경제신문
[42] 뉴스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7-09-13
[43] 뉴스 http://www.viva100.c[...] 브릿지경제 2017-10-12
[44] 뉴스 http://www.gukjenews[...] 국제뉴스 2017-10-12
[45] 뉴스 https://www.konas.ne[...] 코나스뉴스 2017-09-06
[46] 뉴스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7-09-13
[47] 뉴스 http://www.gukjenews[...] 국제뉴스 2017-10-12
[48] 뉴스 http://www.viva100.c[...] 브릿지경제 2017-10-12
[49] 뉴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7-09-07
[50] 뉴스 https://www.konas.ne[...] 코나스뉴스 2017-09-06
[51] 뉴스 http://m.viva100.com[...] 브릿지경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