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일 분쟁은 역사적 배경, 영토 문제, 경제, 사회, 문화적 갈등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갈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주요 갈등 현안으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강제 징용 문제,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일본 정치인의 과거사 망언, 독도 영유권 분쟁, 쓰시마 섬 영유권 문제 등이 있다. 또한, 경제, 사회, 문화적 문제, 한일 무역 분쟁, 일본 대중문화 개방 문제, 재일 한국인 문제, 동해 명칭 문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방류 문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외교적 갈등, 독극물 폴리탱크 표류 문제 등도 한일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한일 분쟁 | |
---|---|
분쟁 개요 | |
분쟁 유형 | 영토, 역사 인식, 경제 |
분쟁 당사국 | 日本 北朝鮮 大韓民国 |
주요 쟁점 | 독도 (일본에서는 다케시마) 영유권 동해 (일본에서는 일본해) 명칭 역사 인식 문제 (일본군 위안부, 강제징용 등) 일본의 경제 보복 (수출 규제, 화이트리스트 제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방류 논란 |
영토 분쟁 | |
독도/다케시마 | 한국의 실효적 지배 일본의 영유권 주장 북한도 영유권 주장 |
![]() | |
역사 인식 문제 | |
주요 내용 |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강제징용 문제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
위안부 합의 |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합의 내용에 대한 논란 지속 |
경제 분쟁 | |
일본의 수출 규제 | 2019년 일본의 대한국 수출 규제 대한국 화이트리스트 제외 한일 무역 분쟁 심화 |
대한민국의 대응 | 일본 상품 불매운동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GSOMIA) 종료 검토 (이후 조건부 연장) |
해양 경계 분쟁 | |
배타적 경제 수역 (EEZ) | 한일 양국 간 EEZ 획정 미합의 중간 수역 설정 |
동해/일본해 명칭 문제 | 한국은 동해 표기 주장 일본은 일본해 표기 주장 국제 사회에서의 병기 노력 |
기타 현안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방류 논란 대한민국의 우려 표명 및 정보 공개 요구 일본의 안전성 주장 |
관련 문서 |
2. 역사적 배경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일본은 부산에 조차지를 확보하며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1894~1895년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조선이 청나라의 조공 관계에서 벗어나도록 했다. 그러나 명성황후를 포함한 민씨 일가는 일본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경계했고,[1] 1895년 일본은 명성황후를 시해했다.[2]
양국 간에는 문화 교류 문제에서부터 정치, 경제, 군사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갈등이 존재한다. 특히 역사 교과서 문제는 일본의 역사관이 한국의 역사관과 달라 한국으로부터 비판받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혐한, 반일 감정으로 이어지기도 했고, 한국의 사죄와 양보 요구는 일본에 한국 피로(Korea fatigue)를 일으켜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었다.
2. 1. 고대
고고학적 증거는 한국이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여러 중요한 중국의 문화 및 기술 혁신이 일본으로 전달되는 교차로 역할을 해왔음을 보여준다. 논농법,[91] 새로운 스타일의 도자기,[92] 야금술, 문자 등은 중국과 한국에서 전래되었다.[93] 불교는 처음 백제를 통해 일본에 전해졌지만, 이후 일본 불교의 발전은 주로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94] 유지우산과 같이 현재 일본의 전통적인 문화 유물이 된 다른 문화 유물들 역시 한국을 통해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제의 아사 태자는 쇼토쿠 태자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간무 천황의 어머니인 다카노노 니이가사는 한국계였으며, 이는 2001년 기자 회견에서 아키히토 천황이 인정한 사실이다.[95]고류지 조각상과 같이 일본 초기 역사에서 많은 국보들은 한국의 원형을 기반으로 하거나 한국에서 만들어졌다.[96] 1976년, 일본은 서기 2세기 경의 고서시 고분을 연구하는 모든 외국 고고학자들의 접근을 막았는데, 이곳은 진구 황후의 묘소로 추정된다. 2008년, 일본은 통제된 제한적인 접근을 외국 고고학자들에게 허용했지만, 국제 사회는 여전히 많은 질문에 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뉴스는 "궁내청이 묘소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관계자들이 '순수한' 황실과 한국 간의 혈통 관계를 발굴이 밝혀낼 것을 두려워하거나, 어떤 묘소에는 왕족의 유해가 전혀 없을지도 모른다는 소문을 낳고 있다"고 보도했다.[97]
2. 2. 중세
일본 역사 교과서의 한일 관계에 관한 기술(도이의 입구, 몽골의 일본 침략, 응영의 외구, 임진왜란 등 전근대에서의 한일 간의 군사적 충돌)과 관련하여, 일본의 역사관이 한국의 역사관과 다르다는 점이 한국으로부터 비판받고 있다.[133]2. 3. 근대: 일본 제국주의와 식민지배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일본은 부산에 조차지를 확보하며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1894년~1895년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조선이 청나라의 조공 관계에서 벗어나도록 했다. 그러나 명성황후를 포함한 민씨 일가는 일본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경계했다.[1] 1895년 일본은 명성황후를 시해했다.[2]1897년 조선은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변경했지만, 고종이 러시아에 의존하면서 일본은 러시아와 갈등을 빚었다. 일본은 한일 을사 조약을 강요하여 대한제국을 보호국으로 만들었다. 초대 일본 총리 이토 히로부미는 한국 통감으로 부임했으나, 1909년 안중근에게 암살당했다.[3] 1910년 일본은 한일 합병 조약을 통해 대한제국을 강제 병합했다.
한일 을사 조약은 강압적인 상황에서 체결되었고, 고종의 비준을 받지 못했다는 점에서 불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4]
2. 4. 현대: 냉전과 갈등, 그리고 협력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과 일본은 복잡한 관계를 이어왔다.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했고, 더글러스 맥아더에 의해 남한 행정관으로 인정받았다.[8] 반면, 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건국하고 일본과 평화 조약을 맺지 않았다.1965년에는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어 양국 간 외교 관계가 정상화되었다. 2005년 공개된 외교 문서에 따르면, 일본은 대한민국에 3억달러의 무상 원조와 5억달러의 차관을 제공했다.[9] 대한민국은 이 조약으로 추가적인 보상을 요구하지 않기로 합의했지만,[9] 개인 보상 문제는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있다.
한일기본조약 체결 당시, 일본은 "독립 축하금과 개발도상국 지원" 명목으로 8억달러(당시)를 제공했고, 한국은 대일 배상권을 포기했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는 위안부 등 일부 개인에 대한 보상은 대상 외였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이후 한국 정부는 이 방침을 따르고 있다. 일본 정부는 한일 간 청구권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주장한다.
냉전 시기,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 체제가 형성되어 한일 양국은 안보 분야에서 협력했다. 그러나 문화 교류, 역사 교과서 문제 등 여러 분야에서 갈등이 지속되었다. 특히 역사 교과서 문제는 일본의 역사관이 한국의 역사관과 달라 한국으로부터 비판받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혐한, 반일 감정으로 이어지기도 했고, 한국의 사죄와 양보 요구는 일본에 한국 피로(Korea fatigue)를 일으켜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들었다.
3. 주요 갈등 현안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은 문화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음악 등)의 유통 및 개방 문제, 정치, 경제, 군사 문제 등 다방면에 걸쳐 갈등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언론 보도나 인터넷을 통해 상대국 및 국민에 대한 혐오 감정(혐한, 반일 감정)을 조장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한국의 지속적인 사과와 양보 요구가 한국 피로(Korea fatigue)를 유발하여, 양국 간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인식이 존재한다.[132]
- '''독도 문제''': 대한민국 영토인 울릉도와 일본 영토인 오키 제도 사이에 위치한 섬(일본명: 다케시마, 한국명: 독도)의 영유권을 둘러싼 문제이다. 1905년 일본이 시마네현에 편입했으나, 1953년 한국 민간 단체가 무력 점거한 후 현재 대한민국 경찰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일본은 국제사법재판소 회부를 제의했지만, 대한민국은 한국 고유 영토라며 거절하고 있다.
- '''조선반도에서 유출된 문화재 반환 문제''': 19세기 조선에서 일본으로 유출된 문화재 대부분은 현재 일본에 보관되어 있다. 한국 시민단체 등은 문화재 양도를 요구하지만, 1965년 협정으로 한국 정부는 1400점 반환 조건으로 청구권을 포기했고, 일본은 약탈 입증이 안 돼 반환 의무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은 "일본의 자발적 반환"을 주장한다.[133]
- '''욱일기''': 2011년경부터 한국에서 욱일기를 전범기로 규정하고 퇴출해야 한다는 민족 정체성이 생겨나면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 '''한일 무역 분쟁'''
- '''역사 교과서 문제''': 일본 역사 교과서의 한일 관계 기술(도이의 래침, 몽골의 일본 침략, 응영의 외구, 임진왜란, 한일 병합, 제2차 세계 대전, 독도 등)에 대한 해석에서 일본과 한국의 역사관 차이로 인해 한국에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 '''해역 명칭 문제''': 일본해 표기에 대한 항의로, 대한민국은 "동해" 또는 "한국 동해"(동해|東海한국어)가 "일본해" 대신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는 최소한 병행해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원전 오염수 문제''': 2021년 4월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방사성 오염수 방출 결정은 양국 간 새로운 갈등의 원인으로 떠올랐다.[117]
3. 1. 역사 문제
1965년 국교 정상화 조약을 통해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음에도,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에 대한 사과와 배상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여러 차례 공식적으로 사과했다.[20] 2012년, 대한민국 정부는 아키히토에게 일본의 한반도 식민 통치에 대해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21]오부치 게이조를 포함한 일부 일본 총리들은 사과를 표명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수적 이념과 위계적 집단 성향을 가진 일본 시민들은 사과에 저항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2][23] 일본 교과서에는 위안부에 대한 각주만 있을 뿐이다.[24]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사과를 발표하는 시간에 47명의 국회의원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은 대한민국 언론에 의해 모순으로 묘사되었으며, 많은 한국인들이 일본의 사과 표명을 불신하게 만들었다.[25]
조선반도에서 유출된 문화재 반환 문제와 관련하여, 19세기에 조선반도에서 일본으로 유출된 문화재의 대부분은 현재 일본의 박물관이나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한국의 시민단체 등은 이러한 문화재를 한국에 양도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1965년의 「문화재 및 문화 협력에 관한 일본국과 대한민국 간의 협정」과 한일 청구권 협정에 의해 한국 정부가 1400점의 문화재 반환을 조건으로 이 외의 문화재에 대한 청구권을 포기하였고, 일본에 있는 조선반도의 문화재가 약탈된 것이라는 점이 입증되지 않아,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에 반환할 의무가 없다. 그 때문에 한국은 "일본이 자발적으로 조선반도의 문화재를 (북한이 아닌) 한국 정부에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133] 2010년 4월 6일, 한국 국회의원 7명이 "한일 병합 100주년을 맞아 일본에게 반성을 촉구하고 문화재 반환을 요구"하기 위해 방일했다.[134] 한국이 반환을 요구하고 있는 문화재는 궁내청이 소유하고 있는 조선왕실의궤나 도쿄 국립 박물관에 기증된 오구라 컬렉션(오구라 다케노스케가 수집하고 재단법인 오구라 컬렉션 보존회가 기증)[135] 등 다양하다. 또한, 한국인 절도단에 의한 "반환" 명목의 일본 문화재 절도로 한국으로 유출된 문화재에 대해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와의 반환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반환이 실현된 사례는 없다.[136]
1905년의 한일 보호 조약 및 1910년의 한일 병합에 대해, 한국은 처음부터 무효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합법이었다고 주장하는 일본 측 학자들 간에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2010년 "한일 병합 재검토 국제회의"에서 한국 측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14조는 일본의 배상 대상국을 "일본이 점령하여 손해를 입힌 연합국"으로 규정하여 한국은 포함되지 않지만, 1965년 한일기본조약 국교 정상화 교섭 중 한국은 배상을 요구했다. 일본은 "독립 축하금과 개발도상국 지원"으로 8억달러(당시)의 유상 무상 자금을 공여했다. 한국은 대일 배상권을 포기하고, 개인에 대한 배상도 완전 해결되었다고 하여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 해결 및 경제 협력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노무현 정권 시에 위안부 등 일부 개인에 대한 보상은 대상 외였다는 성명이 발표되었고, 이후 한국 정부는 이 방침을 따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상기 협정에 따라, 한일 간의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18년, 대한민국 대법원이 일제강점기 일본 기업에 의해 강제 연행되어 강제 노동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한국인("전(前) 징용공")에게 손해 배상을 지급하라고 일본 기업에 명령한 것에 대해, 일본 정부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의해 해결된 문제라고 반발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삼권 분립을 이유로 "사법 판단을 존중한다"고 주장하며, "전 징용공"과 일본 정부, 일본 기업 간의 해결을 요구하고 있어 사태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2011년경부터 일본의 준 국기인 욱일기가 전쟁 범죄의 상징(전범기)이며, 세계에서 몰아내야 한다는 한국의 새로운 민족 정체성이 생겨나면서 일본과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3. 1. 1. 일본군 '위안부' 문제
많은 대한민국 국민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운영한 매춘 시설에서 강제로 일했던 여성인 "위안부"에 대한 보상을 요구해 왔다. 납치, 강제, 기만 등 강압적인 수단을 통해 군 '위안소'에 징집된 한국인 위안부들은 대부분 18세 미만이었으며 강제로 봉사해야 했다.[41] 생존 위안부들이 지속적으로 인정과 진심 어린 사과를 요구했지만, 일본 법원은 그들의 보상 청구를 기각했다.[42]1990년 11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대협)가 대한민국에서 설립되었다. 2008년 기준으로, 한국 정부는 생존자들에게 4,300만 대한민국 원의 일시금과 매달 80만원의 생활비를 지급했다.[41][43] 1993년 일본 정부는 전쟁 중 위안소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기부금을 분배하고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과 서한을 발송하기 위한 사립 아시아 여성 기금을 설립했다.[41] 오늘날, 생존 위안부들 중 상당수는 80대이다. 2007년 현재, 대한민국 정부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109명의 생존자가 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218명이 있다. 대한민국에 있는 생존자들은 매주 수요일 서울 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 시위는 2011년 12월 1,000번째를 맞이했다.[44]

2007년 7월, 미국 하원은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성을 성 노예로 강요한 것에 대해 사과할 것을 촉구하는 비구속력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3세대 일본계 미국인인 마이크 혼다 (캘리포니아주 민주당)가 발의했다.[41][45] 2007년 12월 13일, 유럽 의회는 일본 정부가 일본군의 성 노예 제도 생존자들에게 사과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 결의안은 출석 의원 57명 중 54명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46]
2015년 12월 28일, 일본 총리 아베 신조와 대한민국 대통령 박근혜는 이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공식 합의에 도달했다. 일본은 생존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기금에 10억엔(97억원; 830.0000000000001만달러)을 지급하기로 합의했으며, 대한민국은 이 문제에 대해 일본을 비판하는 것을 삼가고 서울 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 있는 피해자들을 기리는 동상을 철거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47] 이 발표는 일본 외무상 기시다 후미오가 서울에서 윤병세와 회담한 후 아베가 박근혜에게 전화를 걸어 일본이 이미 제공한 사과를 다시 한번 전한 후에 나왔다. 대한민국 정부는 고령 위안부들을 위한 기금을 관리할 것이다.[48] 이 합의는 당시 생존 위안부 대다수(47명 중 36명)에 의해 처음 환영받았고, 그들은 지급금을 받았다.[49] 그러나 문재인은 이 합의에 대한 비판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라는 활동가 단체가 지지하는 자신의 대통령 선거에 이용했으며, 이 단체는 합의를 비판하고 여성들에게 지급을 거부하도록 설득했다.[50] 문재인이 대통령이 된 후 대한민국 정부는 2015년 합의를 폐기하고 2016년 7월에 합의 정산을 위해 출범한 일본 자금 지원 위안부 재단을 2018년 11월 21일에 폐쇄함으로써 "위안부" 문제를 두 국가 간의 분쟁으로 다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51]
2020년, 전 위안부 이용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와 이 단체의 전 대표인 윤미향을 기금 유용 및 횡령 혐의로 고발했다. 일부 신문들은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전 위안부들을 위해 노력한다고 말하면서도 일본을 비판하기만 하고 전 위안부들을 이용한 것처럼 보이는 이 단체와 윤미향을 비판했다.[52]
한국의 민간 단체가 구 일본군 위안부를 본뜬 동상을 한국 국내외에 설치하고 있다. 특히 서울의 일본 대사관 부근에 설치된 위안부상에 대해, 2015년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에서 한국 정부가 대사관 앞에서 이전시키기로 확인되었으나, 한국 정부가 이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되고 있다. 한일 양국 외무장관이 발표한 "한일 간의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됨을 확인한다"는 합의에 대해, 일본이 모든 조건을 이행한 데 반해, 한국 측이 조건을 이행하지 않은 채,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 재단을 해산시키는 등, 합의를 형해화시키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3. 1. 2. 강제징용 문제
1965년 한일 기본 조약 체결 당시, 일본은 대한민국에 5억달러의 연성 차관과 3억달러의 무상 공여를 제공했고, 대한민국은 이후 정부나 개인 차원에서 추가 보상을 요구하지 않기로 합의했다.[9] 대한민국 정부는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게 직접 보상하는 대신, 일본의 직접 보상 제안을 거부했다.[10][11]일제강점기(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안 일본은 주로 광업 분야의 산업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70만 명의 한국인 노동자를 동원했다.[32] 높은 사망자 수는 전쟁의 혹독한 환경에서 비롯된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다. 미쓰비시, 미쓰이 등 기업들은 책임이 민간 기업이 아닌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32]
2018년 대한민국 대법원은 강제 징용 피해자 28명의 유족에게 미쓰비시 중공업이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16] 문재인 정부는 이 조약이 개인의 배상 청구 권리를 폐지한 것으로 보지 않았다.[17]
2019년 7월, 일본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는 대한민국 정부가 조약을 "위반한 것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청와대 대변인 고민정은 양국 정부가 "선을 넘지 말고" 양국과 국민 간의 미래 협력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18]
2018년 10월과 11월, 대한민국 대법원과 여러 고등 법원은 미쓰비시중공업, 나치후지코시, 신일본제철을 포함한 많은 일본 기업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부당하게 대우받고 불법적으로 강제 징용된 한국인 피해자 가족에게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은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조약에 따라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는 일본 정부를 분노하게 했다.[113]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 정부는 2019년 7월 1일, 불화수소, 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한국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화학 물질의 수출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에 따르면 이러한 규제는 한국이 일본의 수출 통제 보안 규정을 준수하지 못했기 때문에 시행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일본 정부의 주장을 거부하며 이 조치를 "경제 보복"이라고 말했다.[114]
2018년, 대한민국 대법원이 일제강점기 일본 기업에 의해 강제 연행되어 강제 노동을 당했다고 주장하는 한국인(이른바 "전(前) 징용공")에게 손해 배상을 지급하라고 일본 기업에 명령한 것에 대해, 일본 정부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의해 해결된 문제라고 반발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삼권 분립을 이유로 "사법 판단을 존중한다"고 주장하며, "전 징용공"과 일본 정부, 일본 기업 간의 해결을 요구하고 있어 사태 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3. 1. 3.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
일본 역사 교과서 논쟁현대 역사학은 한국과 일본 간 갈등의 원인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청산"을 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일본에 협력한 "친일파"를 찾아 비판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반면, 일본 문부과학성은 일본 학교에서 사용될 역사 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과정에서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의 교과서가 2001년 4월 검정을 통과한 후, 대한민국 정부, 한국과 일본의 59개 시민 단체, 일부 일본 교원 단체는 위안부 및 난징 대학살과 같은 일본 제국의 전쟁 범죄가 생략되거나 축소된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62] 새역모 교과서는 일반 시장에서 60만 부 이상 판매되었지만,[63][64] 일본 학교 채택률은 0.39% 미만에 그쳤다.[65] 2010년에는 새역모의 또 다른 교과서가 검정을 통과하여 지유샤(自由社)에서 출판되었다.[65]
이처럼 일본 역사 교과서의 한일 관계 관련 기술, 즉 도이의 래침, 몽골의 일본 침략, 응영의 외구, 임진왜란 등 전근대 한일 간 군사적 충돌부터 근대 이후 한일 병합, 제2차 세계 대전, 독도 문제 등에 대한 해석에서 일본과 한국의 역사관 차이가 드러나면서 역사 왜곡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3. 1. 4.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야스쿠니 신사는 메이지 시대에 일본을 위해 죽은 이들의 유해를 모시기 위해 건설된 신사이다. 이 신사에는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일본의 총리이자 육군 대신이었던 도조 히데키와 1978년부터 13명의 다른 A급 전범들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53] 야스쿠니 신사는 1,043명의 일본인과 23명의 한국인 B·C급 전범, 그리고 14명의 일본 A급 전범을 기리고 있어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야스쿠니 신사에서 숭배받는 죽은 자들 속에 이러한 전범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중국과 한국에게 전쟁 시대를 옹호하는 행위로 비춰지게 했다.나카소네 야스히로와 하시모토 류타로는 각각 1986년과 1996년에 야스쿠니 신사를 방문하여 일본 총리 자격으로 참배했고, 이로 인해 한국과 중국으로부터 거센 반발을 샀다.[54]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일본 총리 재임 기간 동안 6번이나 신사를 방문하여 참배했는데, 2001년 8월 13일에 첫 방문을 하며 "일본을 지키기 위해 죽은 군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55] 이러한 방문은 다시 일본의 이웃 국가들, 주로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강력한 비난과 항의를 불러일으켰다.[56] 그 결과, 두 나라의 수뇌는 고이즈미와의 회담을 거부했고, 2001년 10월 이후 중국과 일본 간, 2005년 6월 이후 한국과 일본 간에는 상호 방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은 2008년 퇴임할 때까지 한국과 일본 간의 모든 정상 회담을 중단했다.[57] 전 총리 아베 신조는 여러 차례 신사를 방문했으며, 가장 최근 방문은 2013년 12월이었다.
3. 1. 5. 일본 정치인들의 과거사 망언
1950년대 이후 일본의 많은 정치인과 관리들이 한국의 일본 식민 통치에 대한 발언을 하여 한국인들 사이에서 반일 감정을 불러일으켰고, 한일 관계에 외교적 문제를 야기했다.[80][81][82][83] 이러한 발언들은 식민 통치에 대한 일본의 사과가 진정성이 없고, 이러한 발언들로 인해 무효화되었다는 인식을 낳았다.[80][81][82][83] 다음은 일본 정치인들의 주요 과거사 망언 사례이다.연도 | 발언자 | 직책 | 망언 내용 |
---|---|---|---|
1953년 | 구보타 간이치로 | 일본 대표 | "일본의 식민 통치는 한국에 유익했다... 어차피 한국은 다른 나라에 의해 식민 지배를 받았을 것이고, 일본의 통치보다 더 가혹한 통치를 받았을 것이다."[84] |
1997년 | 아베 신조 | 중의원 의원, 전 일본 내각총리대신 | "소위 위안부 피해자라고 하는 많은 사람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 한국에는 많은 사창가가 있었기 때문에 매춘은 흔한 일이었다."[85] |
2003년 | 아소 타로 | 총무대신, 이후 일본 내각총리대신 | "일본 식민 통치 기간 동안의 창씨개명은 한국인들이 원했던 것이다"[86] |
2003년 | 이시하라 신타로 | 도쿄도지사 | "한국과 일본의 병합은 한국인들의 선택이었다... 비난받아야 할 사람들은 한국인들의 조상이다"[80] |
2007년 | 시모무라 하쿠분 | 일본 정부 부관방장관 | "위안부 제도는 존재했지만, 당시 한국 부모들이 딸을 팔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81] |
2010년 | 에다노 유키오 | 일본 국가전략담당 대신 | "중국과 한국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화는 역사적으로 불가피했다... 중국과 한국이 스스로 근대화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82] |
3. 2. 영토 문제: 독도
독도는 대한민국에서는 독도(獨島, '외로운 섬')라고 불리고, 일본에서는 다케시마(竹島, '대나무 섬')라고 불리는 동해에 위치한 섬들이다.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에 독도 영유권 분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 섬 주변에는 가치 있는 어장이 있고, 잠재적으로 대량의 메탄 하이드레이트 매장량이 존재한다.[69]이 영유권 분쟁은 민족주의적 긴장의 주요 원인이다.[70] 대한민국 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민족주의가 고조되어 왔으며, 한국인 관광객들은 국가적 연대감을 보여주기 위해 접근하기 어렵고 험난한 섬을 방문한다.[70] 반면 일본에서는 지도에 이 섬들을 일본 영토로 표시하고 있다.
1951년 8월 10일, 러스크 문서로 알려진 비밀 서신이 대한민국에 전달되어 당시 미국이 강화 조약에서 영토 주권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었는지 설명하며, 독도가 일본 영토라고 믿었던 이유를 설명했다. "이 일반적으로 사람이 살지 않는 암석 지형은 우리가 알고 있기로는 한국의 일부로 취급된 적이 없으며, 1905년경부터 일본 시마네 현의 오키 제도 지청의 관할 하에 있었다. 이 섬은 이전에 한국이 영유권을 주장한 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1954년 9월과 1962년 3월에 일본은 이 분쟁을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할 것을 대한민국에 제안했지만, 대한민국은 이 제안을 거부했다. 2005년, 일본 시마네 현(일본 측 주장에 따르면 이 섬들이 속한 현)의 의원들은 이 섬에 대한 영토 주장을 강조하기 위해 "다케시마의 날"을 선포했다.[70] 일본은 2012년 8월에 다시 분쟁을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할 것을 제안했지만, 2012년 8월 30일 대한민국에 의해 공식적으로 거부되었다.
독도는 일본과 한국 모두가 영유권을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양경찰이 주둔하고 있으며, 두 명의 고령의 한국인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71]
대한민국 영토인 울릉도와 일본 영토인 오키 제도 사이에 위치한 섬(일본명: 다케시마, 한국명: 독도)의 영유권을 둘러싼 문제이다. 이 섬은 1905년 일본 정부에 의해 시마네 현에 편입되었으나, 대한민국 정부가 이승만 라인을 선포한(1952년) 다음 해인 1953년에 한국의 민간 단체에 의해 무력 점거되었으며, 현재도 대한민국 경찰에 의한 실효 지배가 계속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를 대한민국 정부에 제의하고 있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 고유의 영토라며 거절하고 있다.
3. 3. 쓰시마 섬 (대마도)
소수의 한국인들은 쓰시마 섬(대마도)이 한국에 속한다고 주장하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주장을 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쓰시마", 한국에서는 "대마도"라고 불리는 이 섬은 고대부터 중국 역사서에 일본의 영토로 기록되었다. 이 섬은 쓰시마국으로서 나라 시대부터 일본 정부에 의해 통치되어 왔다.[72] 호머 헐버트에 따르면, 이 섬은 한국의 삼국 중 하나인 신라의 부속 영토였다고 한다.[73] 그러나 1145년에 쓰여진 한국의 역사서 삼국사기에 따르면, 쓰시마는 서기 400년부터 일본에 의해 통치되었다.[74] 15세기에는 조선의 세종대왕이 군대를 섬으로 보내 한국 정부에 세금을 납부할 것을 요구한 후 점령했다.1948년, 대한민국 정부는 "역사적 주장"에 근거하여 이 섬을 대한민국에 할양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1949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거부되었다. 1951년 7월 19일,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과의 평화 조약 협상과 관련하여 이전의 쓰시마에 대한 요구를 철회하기로 합의했다.[75]
201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37명으로 구성된 단체가 쓰시마에 대한 한국의 영유권 주장을 연구하고 대중에게 홍보하기 위한 포럼을 결성했다. 그들은 쓰시마가 한국 역사의 일부이며 섬의 주민들이 한국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76] 쓰시마의 현직 시장인 다카라베 야스나리는 대한민국의 영유권 주장을 거부하며, "쓰시마는 항상 일본이었다. 그들이 잘못된 역사 인식을 철회하기를 바란다. 이는 중국 삼국지의 위지왜인전 (魏志倭人伝)에서 왜 (일본)의 일부로 언급되었다. 이는 결코 대한민국 영토가 아니며, 될 수도 없다."라고 말했다.[77]
3. 4. 경제, 사회, 문화 문제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은 문화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음악 등)의 유통 및 개방 문제, 정치, 경제, 군사 문제 등 다방면에 걸쳐 갈등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언론 보도나 인터넷을 통해 상대국 및 국민에 대한 혐오 감정(혐한, 반일 감정)을 조장하기도 한다.일본에서는 한국의 지속적인 사과와 양보 요구가 한국 피로(Korea fatigue)를 유발하여, 양국 간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인식이 존재한다.
3. 4. 1. 한일 무역 분쟁
2018년 10월과 11월, 대한민국 대법원과 여러 고등 법원은 미쓰비시중공업, 신일본제철 등 여러 일본 기업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강제 징용된 한국인 피해자 가족에게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조약에 따라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며 반발했다.[113]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 정부는 2019년 7월 1일, 불화수소, 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한국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화학 물질의 수출 규제를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이 일본의 수출 통제 보안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규제를 시행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일본 정부의 주장을 거부하며 이 조치를 "경제 보복"이라고 비판했다.[114]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 기술 수입에 대한 한국의 의존도를 고려하여 한국이 일본에 덜 의존하도록 "기술 혁신"을 촉구했다.[18] 이 문제는 한일 군사 협력과 경제 무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19]
3. 4. 2. 일본 대중문화 개방 문제
대한민국에서는 일본의 식민지 시대가 끝난 후, 음악, 영화, 책과 같은 일본 문화 상품이 금지되었다. 이 금지 조치는 1998년부터 해제되기 시작했다.[87] 그러나 만화, 애니메이션, 음악 등 일부 일본 문화 상품은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 도입되었다.대한민국에서는 지상파 신호를 통해 일본 음악과 텔레비전 드라마를 방송하는 것이 여전히 불법이다.[87]
히마루야 히데카즈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헤타리아'는 한국을 대표하는 캐릭터가 한국인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하고 불명예스럽다는 한국 측의 항의로 인해 일본 TV 방송국인 키드 스테이션에서 방영이 금지되었다. 이는 웹 코믹 버전에서는 등장하지만, 애니메이션 시리즈에는 한국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88]
대한민국 정부는 "자국 문화 보호"와 "대일본 제국의 한국 병합의 영향으로 국민 감정을 해치는" 이유로 일본 대중문화의 대한민국 내 유입을 규제해왔다.[145] 20세기 말부터 여러 단계에 걸쳐 일본 문화 규제를 개방하는 계획이 세워졌지만, 아직 완전 개방에는 이르지 못했다.
2005년 초부터 애니메이션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일본 대중문화는 점차 개방되고 있다. 2010년 9월 10일,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SKE48이 "2010 서울 드라마 어워즈" 시상식에서 "강한 자여", "푸른 하늘 첫사랑"을 일본어로 불렀고, 이 모습이 대한민국의 지상파 텔레비전에서 생중계되었다. 대한민국은 2004년 1월 일본 대중문화 4차 개방으로 일본어 노래 방송을 허용했지만, 방송사 측에서는 녹화 방송만 허용했었다. 생중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사전에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거쳐 방송이 결정되었다.[145]
3. 4. 3. 재일 한국인 문제
재일 한국인재일 한국인은 현재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계 민족을 지칭한다. 이들 대부분은 일본 국적을 신청하지 않은 2세, 3세 또는 4세 한국인이다.[105] 일본의 한국 강점기 동안 일본으로 이주하거나 자발적으로 이민을 간 경우, 한국 전쟁을 피해 불법적으로 일본에 입국한 경우 등이 있다.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로 일본의 한국 병합이 공식적으로 종식되면서, 이들은 일본 국적을 상실했다. 재일 한국인 사회는 북한 또는 남한과의 제휴에 따라 분열되어 있다.
전직 한국인 강제 징용자들과 그 가족들의 거주지인 우토로 지구는 반한 감정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2022년에는 한국인에 대한 증오심에 사로잡힌 일본 남성이 이 지역의 집에 방화를 저지르기도 했다.[106][107]
긍정적인 면을 보면, 일본 통신 대기업 소프트뱅크의 사업가이자 CEO인 손정의는 재일 한국인 출신이다. 김신락 (力道山), 최영의 (大山倍達), 장훈 (張本勲), 김경홍 (金田正一) 등 일부 일본 야구 선수와 무술가들도 재일 한국인 출신이며, 이들은 차별을 피하기 위해 일본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과 한국의 관계가 개선됨에 따라, 유미리 (아쿠타가와상 수상 작가), 이충성 (李忠成)과 같은 한국 출신 일본 축구 선수와 같이 출신을 숨기지 않고 활발하게 활동하는 일본 국적을 가진 많은 재일 한국인 또는 전 재일 한국인들이 존재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특정 업계에서 활약하는 조선 민족 인물에 대해 "조선 민족의 우수성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하거나, 위업을 달성한 일본의 유명인을 근거 없이 재일 조선·한국인이나 코리안 계 동포라고 주장하는 "재일 인정"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일본 인터넷상에서는 범죄가 발생하면 그 용의자를 근거 없이 재일 조선·한국인이라고 하는 "재일 인정"도 존재한다.
3. 4. 4. 기타 갈등 현안
이 해역의 국제 명칭을 둘러싸고 분쟁이 있다. 일본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유럽 지도에 "일본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지도에서 이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일본이 일본 제국주의 팽창으로 한국이 외교 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력을 잃은 동안 "일본해"라는 명칭 사용을 장려했다고 항의했다.[78] 대한민국은 이 해역의 옛 유럽 지도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명칭 중 하나였던 "동해" 또는 "한국 동해"(동해|東海한국어)가 "일본해" 대신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또는 최소한 병행해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일본은 1894년 청일 전쟁 발발 이후 일본이 한국 외교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기 전인 1860년 이전에 서방 국가들이 이 해역을 "일본해"라고 명명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일본은 주요 명명이 일본이 외국과의 교류가 거의 없었던 쇄국 시대에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일본이 명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고 주장한다.[79] 1929년 국제수로기구의 ''해양과 바다의 경계''에서 "일본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이는 결국 유엔과 같은 다른 공식적인 국제 문서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은 한국이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1929년 항의할 국제적인 목소리가 사실상 없었다고 주장한다.
2013년부터 대한민국은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 우려를 이유로 일본산 모든 수산물 수입을 금지했다.[110] 이 금지 조치는 후쿠시마를 포함한 7개의 다른 일본 현으로 확대되었다. 일본 정부는 자국 어업 수출품이 엄격한 검사 절차를 거쳐 섭취에 안전하다고 주장하며, 대한민국의 수입 금지 조치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111] 이 금지 조치로 인해 일본은 이 문제를 WTO 분쟁 해결 절차에 회부하는 것을 고려하게 되었다. 2019년 4월, WTO는 수입 금지 조치를 지지했다.[112]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일본과 대한민국의 외교 관계가 악화되었다. 대한민국은 일본이 한국발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여행 금지 및 검역 조치를 시행하자 일본의 "모호하고 소극적인 방역 노력"을 비판했다.[115][116]
2021년 4월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방사성 오염수 방출 결정은 양국 간 새로운 갈등의 원인으로 떠올랐다.[117] 일본이 계획을 발표한 직후, 대한민국 정부는 즉각적으로 이 결정을 규탄하고 주한 일본 대사를 초치하여 강력하게 항의했다.[118][119] 일본의 결정으로 인해 전국에서 시민 시위가 잇따랐다.[120][121][122] 대한민국 정부는 일본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고려하고 있으며, 다양한 한국 시민 단체와 협회에서도 같은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123][124][125] 또한 대한민국은 이 문제에 대한 지원을 위해 미국, 덴마크 및 기타 G7 국가와 같은 다른 국가와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126][127][128] 2021년 6월 대한민국 국회에서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을 규탄하는 결의안이 여야를 막론하고 통과되면서 분쟁은 더욱 심화되었다.[129]
한국에서 독극물을 담은 폴리탱크가 동해에 버려져 일본 해안 지역으로 떠밀려오는 문제도 있다. 표류는 1999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 진행된 조사에서는 약 6,000개 이상이 확인되었고,[137] 니가타현에서는 500개의 폴리탱크가 확인되었다.[138] 일본 정부는 국제 회의 및 외무성, 환경성을 통해 한국 측에 항의하고 있으며, 환경성은 연간 50억엔을 들여 폐기물 처리를 하고 있다. 폴리탱크에 담겨 있는 약품은 김 양식에서 그물 세척에 사용되는 과산화수소가 많으며, 김 양식 시장이 커진 것이 원인으로 보도되고 있다.[139]
4. 한일 관계의 미래
기본 조약 체결 이후, 일본은 대한민국 정부에 배상금을 지급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이 자금을 경제 개발과 강제 징용 피해자 유족 지원에 사용했다.[10][12] 그러나 배상 문제는 여전히 한일 관계의 주요 쟁점 중 하나로 남아있다. 2005년 이후 한국인 피해자들은 대한민국 정부를 상대로 배상 소송을 제기했으며, 한국 법원은 일본과 일본 기업의 개인 배상 책임에 대해 상반된 판결을 내렸다.[13] 일본은 1965년 조약을 통해 모든 책임이 해결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 국제 법정과 같은 모의 재판에서는 국가 간 조약으로 개인의 배상 청구 권리를 면제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나오기도 했다.[15]
2018년 대한민국 대법원은 미쓰비시 중공업에 강제 징용 피해자 유족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고,[16] 이는 양국 간 외교 갈등을 심화시켰다. 일본은 이 조약을 최종적인 합의로 간주했지만, 문재인 정부는 대한민국 대법원의 판결을 지지하며 개인의 배상 청구 권리가 유효하다는 입장을 밝혔다.[17]
2019년 아베 신조 일본 내각총리대신은 대한민국 정부가 조약을 위반했다고 비난했고,[18] 청와대는 양국 정부가 미래 협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 기술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기술 혁신을 촉구하기도 했다.[18] 이 문제는 한일 군사 협력과 경제 무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9]
한일 관계는 문화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음악 등) 교류부터 정치, 경제, 군사 문제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복잡하게 얽혀 있다. 매스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상대국에 대한 혐오 감정(혐한, 반일 감정)이 확산되기도 하며, 한국의 지속적인 사죄와 양보 요구는 일본 내 한국 피로(Korea fatigue) 현상을 심화시켜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참조
[1]
논문
Queen Min of Korea: Coming to Power
http://anthony.sogan[...]
1996
[2]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1997
[3]
웹사이트
asahi.com:伊藤博文の韓国統治 日韓両国の研究者が再評価 - 文化一般 - 文化・芸能
http://www.asahi.com[...]
[4]
뉴스
Was the 1910 Annexation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Concluded Legally?
http://www.murdoch.e[...]
2007-02-19
[5]
서적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6-01-04
[6]
뉴스
Treaty of Annexation
http://www.isop.ucla[...]
2007-02-19
[7]
웹사이트
대한민국임시정부 大韓民國臨時政府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8]
서적
The Korean War: a History
https://books.google[...]
Modern Library
2016-01-04
[9]
뉴스
S. Korea discloses sensitive documents
http://washingtontim[...]
The Washington Times
[10]
뉴스
Compensation for Colonial Victims Is Not Just a Legal Problem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11]
뉴스
"韓国政府、韓日会談で個別請求権放棄"
http://japanese.chos[...]
The Chosun Ilbo
[12]
뉴스
Seoul Demanded $364 Million for Japan's Victims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13]
웹사이트
Court Decis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on Japan's Accountability for Sexual Slavery of the Comfort Women
https://academic.oup[...]
2023-03-16
[14]
웹사이트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Surges Again With Court's 'Comfort Women' Decision
https://thediplomat.[...]
2023-03-16
[15]
웹사이트
The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http://www1.jca.apc.[...]
[16]
뉴스
Mitsubishi payout ordered over WW2 labour
https://www.bbc.com/[...]
2020-09-15
[17]
뉴스
Why South Korea and Japan have fallen out
https://www.bbc.com/[...]
2020-09-15
[18]
웹사이트
"Don't Cross the Line," Korea Tells Japan
http://english.chosu[...]
2019-07-23
[19]
웹사이트
Abe Ruined the Most Important Democratic Relationship in Asia
https://foreignpolic[...]
2020-09-15
[20]
웹사이트
Japan apologizes again for colonial rule of Korea
http://edition.cnn.c[...]
[21]
웹사이트
Japanese Emperor must apologize for colonial rule: S. Korean president
http://www.japantime[...]
2016-01-02
[22]
간행물
The Impact of Political Apologies on Public Opinion
https://www.cambridg[...]
2021
[23]
간행물
The Association between ideology and resistance to governmental apology depends on political knowledge
2023
[24]
웹사이트
What Japanese History Lessons Leave Out
https://www.bbc.com/[...]
2013-03-14
[25]
뉴스
Japanese apologize statement... However, politicians made a tributary visit
http://news.naver.co[...]
YTN
2005-08-15
[26]
웹사이트
MOFA: Japan-DPRK Pyongyang Declaration
http://www.mofa.go.j[...]
2016-01-02
[27]
웹사이트
Speeches and Statements by Prime Minister Junichiro Koizumi
http://www.kantei.go[...]
2016-01-02
[28]
뉴스
Kyoto's notorious Mimizuka
https://www.koreatim[...]
2023-09-20
[29]
뉴스
Japan, Korea and 1597: A Year That Lives in Infamy
https://query.nytime[...]
2008-09-22
[30]
웹사이트
Yonhap News
http://english.yna.c[...]
2006-10-14
[31]
웹사이트
Key Issues: Nuclear Weapons: History: Cold War: Survivors: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http://www.nuclearfi[...]
Nuclearfiles.org
2012-04-19
[32]
웹사이트
ZNet |Japan | Mitsubishi, Historical Revisionism and Japanese Corporate Resistance to Chinese Forced Labor Redress
http://www.zmag.org/[...]
Zmag.org
2012-04-19
[33]
잡지
A Legacy Lost
http://www.time.com/[...]
2009-06-27
[34]
뉴스
Japan, Seoul sign deal on artifact returns
http://www.upi.com/T[...]
2010-11-14
[35]
문서
菅野朋子 【特別リポート】消えた「重要文化財を追え!」壱岐・安国寺の寺宝は「韓国の国宝」になっていた!(週刊新潮 2005年10月13日号)
[36]
논문
KOREA: A TUSSLE OVER TREASURES
http://www.newsweek.[...]
2011-05-14
[37]
뉴스
http://press.chosun.[...]
The Chosun Ilbo
2006-10-17
[38]
웹사이트
Recovering South Korea's lost treasures
https://www.latimes.[...]
2016-01-04
[39]
웹사이트
Bloomberg Business
http://www.businessw[...]
[40]
뉴스
Japan returns Korean royal archives after a century
http://ajw.asahi.com[...]
Asahi Shimbun
2011-12-08
[41]
웹사이트
The World Conference o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http://www.jmss.info[...]
[42]
뉴스
Court rejects Korean wartime claim
http://news.bbc.co.u[...]
BBC
2001-03-26
[43]
웹사이트
일본군 '위안부' : 지식백과
http://100.naver.com[...]
2016-01-02
[44]
웹사이트
Not the normal approach
http://www.bbsi.co.k[...]
Bbsi.co.kr
2012-04-19
[45]
웹사이트
U.S. Demands Apology for 'Comfort Women'
https://www.npr.org/[...]
2016-01-02
[46]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f 13 December 2007 on Justice for the 'Comfort Women' (sex slaves in Asia before and during World War II)
http://www.europarl.[...]
[47]
뉴스
South Korea and Japan 'finally and irreversibly' reconcile on World War II sex slaves
https://www.latimes.[...]
2015-12-28
[48]
웹사이트
Japan and South Korea agree WW2 'comfort women' deal
https://www.bbc.com/[...]
BBC
2015-12-28
[49]
웹사이트
South Korea formally closes Japan-funded 'comfort women' foundation
https://www.japantim[...]
2019-07-05
[50]
웹사이트
South Korea Wants to Reopen 'Comfort Women' Wound with Japan | Voice of America - English
https://www.voanews.[...]
[51]
뉴스
South Korea Signals End to 'Final' Deal with Japan over Wartime Sex Slaves
https://www.nytimes.[...]
2018-11-21
[52]
웹사이트
'Comfort women' advocates deny allegations
http://www.koreahera[...]
2020-05-11
[53]
웹사이트
야스쿠니신사
http://100.naver.com[...]
2016-01-02
[54]
웹사이트
日 야스쿠니신사 논란 일지
http://news.naver.co[...]
2016-01-02
[55]
웹사이트
Official interview of Koizumi Junichiro on August 15, 2006
http://www.kantei.go[...]
Kantei.go.jp
2012-04-19
[56]
뉴스
Koizumi Move Sparks Anger In China and South Korea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1-08-14
[57]
웹사이트
노무현 대통령, “고이즈미 일본총리가 신사참배 중단하지 않으면 정상회담도 없을 것” (영문기사 첨부)
http://www.voanews.c[...]
[58]
웹사이트
ASIA SOCIETY: THE COLLECTION IN CONTEXT
http://www.asiasocie[...]
[59]
웹사이트
Culture diffusion from Baekje to Japan (백제문화의 일본전파)
http://100.naver.com[...]
Naver
[60]
웹사이트
Joseon Tongsinsa (조선통신사)
http://100.naver.com[...]
Naver
[61]
뉴스
Why can't Koreans see Japan straight?
http://www.atimes.co[...]
Asia Times
2012-07-25
[62]
웹사이트
"[日 역사교과서 검정통과] 한·일 시민단체 공동 반대 운동 돌입"
http://news.naver.co[...]
2016-01-02
[63]
웹사이트
Nippan, 2001
http://www.nts-inc.c[...]
Nts-inc.co.jp
2012-04-19
[64]
웹사이트
http://www2.asahi.co[...]
Asahi Shimbun
2004-07-20
[65]
웹사이트
일 우익교과서 낸 곳은 '듣보잡' 2인 출판사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66]
웹사이트
韓国、光復会長「親日清算」祝辞…交錯する反応
https://s.japanese.j[...]
2020-08-20
[67]
웹사이트
김원웅 "이승만, 미국에 빌붙어 대통령 돼 미국 이익 챙겨"
https://mnews.joins.[...]
2020-08-20
[68]
웹사이트
'History on trial': Why Japan's wartime labor dispute is more than another tit-for-tat with South Korea
https://www.japantim[...]
2020-08-20
[69]
웹사이트
Gas exploration off Dokdo
http://www.petro-onl[...]
2011-12-12
[70]
뉴스
Desolate Dots in the Sea Stir Deep Emotions as South Korea Resists a Japanese Claim
https://www.nytimes.[...]
2008-08-31
[71]
웹사이트
독도경비대 > 독도경비대소개 > 임무 및 주요활동
https://www.gbpolice[...]
2023-05-08
[72]
웹사이트
ながさきのしま|長崎のしま紹介【対馬】|
http://www.pref.naga[...]
[73]
서적
History of Korea Volume I
The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5
[74]
문서
三国史記(Samguk Sagi)
[75]
간행물
Subject:Japanese Peace Treaty
http://www.geocities[...]
The Foreign Relations Series (FRUS)
1951
[76]
웹사이트
"대마도는 우리땅" 여야 의원 37인, 국회 정식포럼 창립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12-04-19
[77]
웹사이트
【動画】竹島問題で韓国退役軍人が抗議 対馬市民反発で現場騒然
https://archive.toda[...]
The Nagasaki Shimbun
2011-05-15
[78]
웹사이트
Naming of the East Sea
http://english.histo[...]
North East Asia history foundation
2011-08-15
[79]
웹사이트
The Issue of the Name of the Sea of Japan
http://www.mofa.go.j[...]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0-08-02
[80]
웹사이트
이시하라지사 '한일합방은 조선인이 선택한 것'
http://news.naver.co[...]
2016-01-02
[81]
웹사이트
<연합시론> 일본, 언제까지 망언 되풀이할 것인가
http://news.naver.co[...]
2016-01-02
[82]
웹사이트
되풀이되는 日 고위직 망언 구제불능인가
https://www.seoul.co[...]
2016-01-02
[83]
웹사이트
'은혜론'부터 '다케시마'까지…일본 '망언' 끝이 없다
http://www.hankyung.[...]
2016-01-02
[84]
웹사이트
일본 '구보타 망언' 전략에 말려든 한국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85]
웹사이트
한국아이닷컴!
http://news.hankooki[...]
[86]
웹사이트
"3조원대 징용 미불 임금, 아직 일본에 있다"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87]
웹사이트
"韓国政府による日本文化開放政策(概要)" (Open-door policy of Japanese culture by the Korean government – Overview)
https://web.archive.[...]
Embassy of Japan in South Korea
2003-12-30
[88]
웹사이트
Korean Protests Call for Hetalia Anime's Cancellation (Update 2) – News
https://www.animenew[...]
Anime News Network
2012-04-19
[89]
뉴스
Expert speaks on 1980s Japanese kidnappings
https://web.archive.[...]
Yale Daily News
2007-10-11
[90]
뉴스
Abductions unite South Korea and Japan
http://www.iht.com/a[...]
2007-10-11
[91]
웹사이트
Road of rice plant
http://www.kahaku.go[...]
National Science Museum of Japan
2011-01-15
[92]
웹사이트
Kofun Period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01-15
[93]
웹사이트
Yayoi Culture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01-15
[9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뉴스
The emperor's new roots
https://www.theguard[...]
2022-01-02
[96]
웹사이트
Japanese Art and Its Korean Secret
http://www2.kenyon.e[...]
[97]
웹사이트
Japanese Royal Tomb Opened to Scholars for First Time
https://web.archive.[...]
[98]
뉴스
방송 일본 TV 베끼기 "아직도 그대로네"
http://www.chosun.co[...]
The Chosun Ilbo
2007-10-11
[99]
뉴스
SC 매거진 TV 오락프로 이대로 좋은가...끊임없는 표절 논란
https://archive.toda[...]
Sports Chosun (Naver)
2007-10-11
[100]
뉴스
한국 인기 먹거리, 일본 제품 표절 심하네
https://web.archive.[...]
Ilgan Sports
2007-10-11
[101]
뉴스
MBC´일밤´´추격남녀´도 표절의혹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7-10-11
[102]
뉴스
가수 노블레스 뮤비, 드라마 '프라이드' 표절 의혹
http://www.mydaily.c[...]
데일리안
2007-10-11
[103]
뉴스
표절 의혹
http://zine.media.da[...]
Sisa Journal
2007-10-11
[104]
뉴스
Court Bans Ivy's Music Video
https://web.archive.[...]
The Korea Times
2007-10-11
[105]
웹사이트
http://mic.e-osaka.n[...]
2005-10-28
[106]
뉴스
"'Utoro is my identity': can a museum heal the scars of Korean migrants in Jap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09-19
[107]
웹사이트
Kyoto Korea Town fights for survival
https://apjjf.org/-D[...]
2023-09-19
[108]
뉴스
Cabbage Is Cabbage? Not to Kimchi Lovers; Koreans Take Issue with a Rendition of Their National Dish Made in Jap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0-02-05
[109]
간행물
CODEX STANDARD FOR KIMCHI
http://www.codexalim[...]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110]
웹사이트
South Korea bans fish imports from Japan's Fukushima region
https://www.theguard[...]
Guardian
2013-09-06
[111]
웹사이트
South Korea extends Japan fisheries ban as Fukushima concerns grow
https://www.reuters.[...]
Reuters
2013-09-06
[112]
웹사이트
WTO Upholds South Korean Ban on Fukushima Seafood {{!}} Business News {{!}} US News
https://www.usnews.c[...]
[113]
뉴스
S. Korea oourt orders Japan's Mitsubishi to pay compensation for wartima labor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8-11-30
[114]
웹사이트
Japan to restrict semiconductor-related exports to S. Korea
https://mainichi.jp/[...]
2019-08-05
[115]
뉴스
Coronavirus quarantine plans ignite row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3-06
[116]
뉴스
Japan and Korea Won't Let A Pandemic Stop Them Fighting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20-03-12
[117]
웹사이트
South Korea weighs fighting Fukushima water plan at tribunal
https://asia.nikkei.[...]
2021-07-01
[118]
웹사이트
Korea condemns Japan's decision to release water from Fukushima
http://www.koreahera[...]
2021-07-01
[119]
웹사이트
S.Korea aims to fight Japan's Fukushima decision at world tribunal
https://www.reuters.[...]
2021-07-01
[120]
웹사이트
Protests against Japan's Fukushima decision spreading in S. Korea
https://en.yna.co.kr[...]
2021-07-01
[121]
웹사이트
Protests grow in South Korea over Japan's Fukushima water plan
https://www.aljazeer[...]
2021-07-01
[122]
웹사이트
'[Photo News] South Korean civic groups' strong petition against Japan's Fukushima water release'
http://www.koreahera[...]
2021-07-01
[123]
웹사이트
South Korea eyes legal action to stop water release from Fukushima plant
https://english.kyod[...]
2021-07-01
[124]
웹사이트
S.Korean fishermen sue Japanese govt over Fukushima water -Yonhap
https://www.reuters.[...]
2021-07-01
[125]
웹사이트
Korean civic group starts litigation against Japan's Fukushima decision
https://en.yna.co.kr[...]
2021-07-01
[126]
웹사이트
South Korea conveys serious concern over Fukushima water to Kerry
https://www.japantim[...]
2021-07-01
[127]
웹사이트
'(LEAD) S. Korea seeks Denmark's cooperation over Japan's Fukushima water release plan'
https://en.yna.co.kr[...]
2021-07-01
[128]
웹사이트
FM Chung to attend G7 ministerial talks in London next week
https://en.yna.co.kr[...]
2021-07-01
[129]
웹사이트
'(LEAD) Parliament adopts resolution against Japan's Fukushima water release plan'
https://en.yna.co.kr[...]
2021-07-01
[130]
뉴스
Fallout from Japan-South Korea tensions
https://www.japantim[...]
2019-01-31
[131]
뉴스
US Voices Exasperation Over Japan-ROK Disputes
https://thediplomat.[...]
2014-08-21
[132]
서적
日本は世界4位の海洋大国
講談社プラスアルファ新書
2010
[133]
뉴스
【社説】日本政府は皇室保管朝鮮宝物を速かに返還せよ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134]
뉴스
議員7人、朝鮮儀軌返還求めて日本へ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135]
뉴스
朝鮮時代の王冠・鎧兜、東京国立博物館が所蔵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136]
뉴스
対馬の盗難仏像巡る控訴審 きょう再開=一審は韓国の寺が勝訴
https://jp.yna.co.kr[...]
2020-04-28
[137]
뉴스
ポリタンクに韓国企業名 転売され不法投棄か
2017-03-28
[138]
뉴스
ポリタンク漂着 新潟県でも 「触らず、自治体に通報を」
2017-03-15
[139]
웹사이트
韓国ノリに発がん性の疑い 韓国から証拠の危険物が海岸に漂着、撤去に巨額税金
https://biz-journal.[...]
2018-03-25
[140]
웹사이트
韓国で日本の高級マスカット“無断栽培”…なぜ合法?「日本ブランド」を守れ!
https://www.fnn.jp/p[...]
フジテレビ
2019-10-22
[141]
뉴스
無断栽培に日本が「待った!」 韓国、ミカン出荷できず
https://web.archive.[...]
fnn
2019-01-10
[142]
뉴스
日韓軍事情報協定を破棄 韓国政府が決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9-08-24
[143]
뉴스
韓国漁船の違法漁具回収 但馬の漁業者怒りあらわ
https://megalodon.jp[...]
新日本海新聞社
2013-06-10
[144]
간행물
水産省 報道発表資料 韓国はえ縄漁船の拿捕について
http://www.jfa.maff.[...]
[145]
뉴스
韓国地上波放送で日本歌手が日本語の歌、初の生放送
http://japanese.yonh[...]
2011-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