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표는 기업의 현금 흐름을 나타내는 재무제표로,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 자본 활용 방침, 재무 상태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1863년 다울라이스 철강 회사의 사례를 통해 현금흐름표의 기원이 거슬러 올라가며, 1987년 미국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의 FAS 95호와 1992년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IAS 7에 의해 기업의 현금흐름표 작성이 의무화되었다. 현금흐름표는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구성되며, 직접법 또는 간접법으로 작성할 수 있다. 흑자도산을 방지하고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재무제표 - 흑자도산 흑자도산은 회계상 이익이 발생했음에도 현금 부족으로 기업이 도산하는 현상으로, 외상 거래나 어음 결제 등으로 인한 이익 발생 시점과 현금 유입 시점의 차이로 발생하는 자금 회전의 어려움이 주된 원인이다.
재무제표 -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재무 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제표로, 손익계산서에 기타포괄손익을 더하여 총포괄이익을 산출하며, 수익, 비용, 당기순이익, 기타포괄손익, 총포괄이익 등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한다.
영업 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 투자 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 재무 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
작성 방법
직접법
총 현금 유입액과 총 현금 유출액을 직접적으로 표시
간접법
당기순이익에서 출발하여 현금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목들을 조정
현금 흐름의 분류
영업 활동 현금 흐름
기업의 주요 영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 (예: 상품 판매, 용역 제공)
투자 활동 현금 흐름
투자 자산의 취득 및 처분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 (예: 유형 자산, 투자 부동산)
재무 활동 현금 흐름
자금 조달과 관련된 현금 흐름 (예: 차입금, 유상증자)
활용
기업 분석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 및 재무 건전성 평가
투자 의사 결정
투자 대상 기업의 현금 흐름 분석을 통한 투자 결정
미래 예측
과거 현금 흐름 패턴 분석을 통한 미래 현금 흐름 예측
장점
정보 제공
손익계산서 상의 이익 정보 외에 실제 현금 흐름 정보 제공
객관성
발생주의 회계의 주관성을 보완하고 객관적인 정보 제공
비교 가능성
기업 간 현금 흐름 비교를 통해 경영 성과 평가 가능
단점
복잡성
작성 방법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음
과거 지향적
과거의 현금 흐름 정보를 제공하며 미래 예측에 한계가 있음
2. 역사 및 의의
재무 회계는 발생주의에 따라 수익 인식을 하므로, 기업의 수익성 평가는 정확하지만 수중 자금(현금)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손익계산서 상의 순손익과 현금 수지가 일치하지 않아 흑자 도산의 위험이 있다. 또한 금융기관 차입은 현금 수입이지만 수익은 아니며, 감가상각비는 비용이지만 현금 지출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수익 발생과 자금 이동의 분리 인식은 발생주의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반면 현금주의는 자금으로 수익을 인식하므로 차이가 없다.
현금흐름표는 발생주의가 아닌 현금주의 관점에서 일정 기간 동안 자금 증감을 기록한 것이다. 이는 기업의 현금 창출 및 지급 능력, 이익의 질 평가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미국, 영국 등 서구권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현금흐름표 작성이 제도화되었다. 일본에서도 국제 회계 기준의 일환으로 2000년 3월부터 상장 기업의 작성이 의무화되었다. 현재 주요 선진국에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와 함께 세 번째 재무제표로 자리 잡고 있다.
2. 1. 역사
1863년, 다울라이스 철강 회사는 사업 부진에서 회복되었지만, 이익을 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고로에 투자할 현금이 없었다. 투자할 자금이 없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이 회사의 경영자는 '비교 대차대조표'라고 불리는 새로운 재무제표를 작성했는데, 이는 회사가 너무 많은 재고를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새로운 재무제표는 오늘날 사용되는 현금 흐름표의 기원이 되었다.[10]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미래의 현금 흐름을 예측하는 것의 유용성에 대해 논의했다.[11]1987년, FASB 성명 95호(FAS 95)는 기업이 현금 흐름표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했다.[12]1992년,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1994년에 발효된 국제 회계 기준 7호(IAS 7), '현금 흐름표'를 발표하여 기업이 현금 흐름표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했다.[13]
미국이나 영국 등 서구 국가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현금흐름표 작성이 제도화되었다. 일본에서도 국제 회계 기준의 일원화 흐름의 하나로서 「연결 현금흐름표 등의 작성 기준」의 도입에 따라, 상장 기업에서는 2000년 3월기부터 작성이 의무화되었다.
2. 2. 의의
현금흐름표는 특정 기간 동안 기업의 현금 흐름(들어오고 나가는 돈)의 원천과 사용 내역을 보여주는 중요한 재무제표이다. 이는 기업의 재정 건전성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데, 손익계산서 상의 이익과 실제 운영에 필요한 현금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2][3] 예를 들어, 2억 원의 이익을 낸 회사라도 모든 현금을 골프장 용지 매수에 사용하면 현금이 부족하여 지급 불능 및 도산(흑자도산)에 이를 수 있다.
현금흐름표는 대차대조표, 손익 계산서와 달리 발생주의 회계에서 요구하는 비현금 거래(예: 감가상각비, 이연 소득세, 대손상각, 미회수 매출 채권)를 제외한다.[5]
현금흐름표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된다:[6][7][8]
# 기업의 유동성, 지급 능력, 재무적 융통성(미래 상황에서 현금 흐름을 변경하는 능력)에 대한 정보 제공.
# 미래 현금 흐름 및 차입 필요성 예측.
# 서로 다른 회계 방식의 영향을 제거하여 기업 간 운영 성과 비교 가능성 개선 (고정 자산 감가상각 기간 등).[9]
현금흐름표는 일정 기간 동안의 현금 및 현금 등가물의 증감(현금 흐름)을 영업 활동, 투자 활동, 재무 활동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손익계산서 등 재무 회계는 발생주의에 따라 수익 인식을 하므로, 수익성과 현금 수지가 일치하지 않아 흑자도산의 위험이 있다. 감가상각비는 손익 계산상 비용이지만, 같은 회계 기간의 현금 지출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현금주의는 자금으로 수익을 인식하므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지만, 발생주의는 수익 발생과 자금 이동을 분리하여 인식하는 것이 본질적인 특징이다. 현금흐름표는 발생주의가 아닌 현금주의 관점에서 일정 기간 동안의 자금 증감을 기록한 것이다.
현금흐름표 작성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기업의 현금 창출 및 지급 능력 평가에 유용한 정보 제공.
이익의 질 평가에 유용한 정보 제공.
미국, 영국 등 서구 국가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현금흐름표 작성이 제도화되었다. 일본에서도 국제 회계 기준의 일환으로 「연결 현금흐름표 등의 작성 기준」 도입에 따라 2000년 3월부터 상장 기업의 작성이 의무화되었다. 현재 주요 선진국에서는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와 함께 세 번째 재무제표로 자리 잡고 있다.
기관 투자자들은 DCF법 등 금융공학의 성과를 기업 및 사업 평가에 응용하면서, "'''Cash is king'''"라는 표어처럼 회계상 이익보다 현금 창출력(특히 "프리 캐시 플로우('''FCF''')")에 중점을 두게 되었고, 이를 위해 현금흐름표 작성을 요구하게 되었다.[29]
현금흐름표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미래 자금 유입 창출 능력
채무 및 배당금 지급 능력
이익과 현금 수수료의 차이
투자 및 재무 거래의 현금/비현금 측면
현금흐름표는 기업 활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32]
# 현금 창출력
# 자본 활용 방침 (기업의 방향)
# 차입금에 따른 지급 이자 부담 능력
# 외부 자금 조달 의존도
# 수익력의 질과 양 (수익 창출 방식)
3. 작성 방법
현금흐름표는 직접법 또는 간접법으로 작성할 수 있다.[18] 직접법은 보고서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지만, 기업이 직접법을 사용하는 경우 간접법과 유사한 보충 보고서를 추가로 요구하기 때문에 간접법이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직접법: 현금 수입과 지출 항목을 직접적으로 관련지어 계산하는 방식이다. 간접법에 비해 현금 흐름과 관련된 수익 및 비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실무 절차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간접법: 당기순이익에서 비현금성 비용을 가감하고 자산 및 부채의 변동을 반영하여 현금 흐름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실무에서는 간접법이 널리 사용되는데, 특히 연결 현금흐름표를 작성하는 데 있어 직접법보다 간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제 재무 보고 기준(IFRS)은 직접법 사용을 권장하는 추세이며, 미국에서도 직접법을 권장하고 있다. 한편, 중국에서는 2012년부터 간접법 사용이 금지되었다.
3. 1. 직접법
직접법은 주요한 총 현금 수입과 지출 항목을 보고하는 방식이다. 국제회계기준(IAS) 7호에 따르면, 수취 배당금은 영업활동 또는 투자활동으로 보고될 수 있다. 지급 세금이 영업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경우 영업활동으로 보고되며, 투자활동 또는 재무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경우 투자 또는 재무활동으로 보고된다.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GAAP)은 GAAP 규칙에 따라 회사의 투자활동에서 받은 배당금을 "투자활동"이 아닌 "영업활동"으로 보고한다는 점에서 국제 재무 보고 기준(IFRS)과 다르다.[19]
직접법은 현금 수지에 수익과 비용을 관련시켜 계산한다. 간접법에 비해 현금 흐름에 대한 수익과 비용의 관련성을 표기할 수 있는 반면, 실무가 번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연결 현금흐름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연결 측에 포함되지 않는 "매출원가"의 내역을 연결 측에 포함시키고, 내역별로 연결 소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기능을 실현하고 있는 연결 회계 시스템은 극히 일부로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IFRS는 직접법으로 일원화되는 방향이며, 미국 기준도 직접법을 권장하고 있다.
'''직접법을 사용한 현금흐름표 예시'''[20]
영업활동 현금흐름
고객으로부터의 현금 수입
9500USD
공급업체 및 직원에게 지급한 현금
-2000USD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창출 (합계)
7500USD
지급 이자
-2000USD
지급 법인세
-3000USD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 현금흐름
2500USD
투자활동 현금흐름
설비 매각 대금
7500USD
수취 배당금
3000USD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 현금흐름
10500USD
재무활동 현금흐름
지급 배당금
-2500USD
재무활동에 사용된 순 현금흐름
-2500USD
.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순 증가
10500USD
기초 현금 및 현금성 자산
1000USD
기말 현금 및 현금성 자산
11500USD
3. 2. 간접법
(대차대조표 및 순이익 사용)
증가하는 경우
순이익 조정
유동 자산 (비현금)
감소
유동 부채
증가
모든 비현금에 대해...
colspan="1"|
*지출 (고정 자산의 감소)
증가
2개년 비교 대차대조표와 순이익 정보만 있다면,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을 계산할 수 있다. 영업 활동 현금 흐름은 유동 자산, 유동 부채, 때로는 장기 자산의 기초 및 기말 잔액 변화에 따라 순이익을 조정하여 계산한다. 장기 자산의 변화를 비교할 때는 해당 변화가 구매나 판매가 아닌 순전히 가치 하락(즉, 현금을 주고받지 않는 영업 항목)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비영업 항목인지 확인해야 한다.[22]
비현금 유동 자산의 감소는 순이익에 더한다.
비현금 유동 자산의 증가는 순이익에서 뺀다.
유동 부채의 증가는 순이익에 더한다.
유동 부채의 감소는 순이익에서 뺀다.
현금 유출이 없는 지출(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 상각비)은 순이익에 다시 더한다. (현금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음)
현금 유입이 없는 수익은 순이익에서 뺀다.
비영업 손실은 순이익에 다시 더한다.
비영업 이익은 순이익에서 뺀다.
예시:올해 순이익이 100USD이고 연초 이후 매출채권이 25USD 증가한 회사를 가정해 보자. 다른 모든 유동 자산, 장기 자산, 유동 부채 잔액이 변동이 없다면, 현금 흐름은 100USD - 25USD = 영업 활동 현금 흐름 = 75USD로 계산된다. 논리:회사가 발생주의 회계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현금으로 아직 지불되지 않은 소득은 영업 활동 현금 흐름 계산 시 순이익에서 빼야 한다. 매출채권 증가는 25USD의 판매가 외상으로 발생했고 아직 현금으로 받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고정 자산 변화:건물 및 장비 계정이 감소한 경우, 이 변화는 순이익에 다시 더한다. 순이익은 매출 - 매출원가 - 감가상각비 - 기타 비용으로 계산되므로, 순이익은 해당 연도 건물 감가상각비만큼 감소한다. 이 감가상각비는 현금 거래와 관련이 없으므로, 현금 외 활동을 제거하기 위해 감가상각비를 순이익에 다시 더한다.
간접법은 실무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특히 연결 현금흐름표를 비교적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구성 요소
현금흐름표는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구성된다. 이 세 가지 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모두 더하면 현금의 증감이 된다.[15]
'''영업활동''': 기업의 주된 수익 창출 활동으로, 상품 생산 및 판매, 용역 제공 등과 관련된다.
'''투자활동''': 현금 대여 및 회수,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등 비유동자산의 취득 및 처분 활동이다.
'''재무활동''': 현금 차입 및 상환, 신주 발행, 배당금 지급 등 부채와 자본의 증감과 관련된 활동이다.
국제 회계 기준 3은 각 활동 범주에 포함되어야 하는 현금 흐름과 조정을 명시하고 있다.[15]
4. 1.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기업의 주된 수익 창출 활동은 일반적으로 제품 생산, 판매, 용역 제공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활동은 당기순이익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에서 주로 발생하며, 재무상태표의 유동자산 및 유동부채와 관련이 깊다.[15][3]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크게 현금 유입과 현금 유출로 나눌 수 있다.
현금 유입: 상품 및 제품 판매, 이자 수익 및 배당금 수익, 투자활동과 재무활동에 속하지 않는 거래에서 발생한 기타 현금 유입 등이 있다.
현금 유출: 원재료, 상품 및 제품 등의 매입, 판매비 및 관리비와 종업원 급여, 법인세 납부 및 이자비용 지급, 기타 투자활동과 재무활동에 속하지 않는 거래에서 발생한 현금 유출 등이 있다.
영업 현금 흐름에는 회사의 제품 생산, 판매 및 배송, 고객으로부터의 대금 회수, 원자재 구매, 재고 구축, 광고, 제품 배송 등이 포함될 수 있다.[15][3]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직접법과 간접법이 있다. 간접법은 당기순이익에서 시작하여 현금 유출입이 없는 항목들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올해 순이익이 100USD이고, 매출채권이 25USD 증가했다면, 다른 모든 유동자산, 장기자산, 유동부채의 잔액 변동이 없다고 가정할 때,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75USD (100USD - 25USD)가 된다. 이는 발생주의 회계 시스템 하에서 아직 현금으로 회수되지 않은 매출은 순이익에서 차감해야 하기 때문이다.[22]
직접법과 간접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최종적인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동일하다. 기업 활동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지급 이자는 '재무활동', 수취 이자 및 배당금은 '투자활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4.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현금 대여/회수, 투자자산, 유형/무형자산(비유동자산) 취득/처분 활동을 의미한다.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미수금 및 장단기 대여금의 회수, 장기금융상품 또는 장기투자증권의 처분, 유무형자산의 처분 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장단기 대여금의 대여, 장기금융상품 또는 장기투자증권의 취득, 유무형자산의 취득 등[16]
투자 활동은 직접법으로 작성하며, 영업 활동 이외의 자산과 관련된 모든 자금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설비 투자, 유형 자산 취득, 자금 대여에 따른 자금의 증감, 타사에 대한 자본 투자에 관해 기재한다.
현금 유출: 장단기 차입금의 상환, 사채의 상환, 유상감자, 자기주식의 취득 및 현금배당의 지급 등
금융 활동은 투자자와 회사 간의 현금 유입 및 유출을 포함한다.[17]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장기 미지급 어음의 감소(대차대조표상의 부채 상환을 의미)는 유출로 포함
신규 미지급 어음의 발행은 유입으로 포함
기업이 외부 당사자에게 지급한 모든 배당금은 유출로 포함
외부 당사자로부터 받은 배당금 지급은 유입으로 포함
어음, 주식 또는 채권의 구매는 유출로 포함
이러한 금융 수단에 대한 지급금 수령은 유입으로 포함
보다 복잡한 회계 상황의 경우, 회계사는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내부 배당금 지급 제외
내부 채권 이자 제외
이러한 내용을 전통적인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예시: XYZ의 현금 흐름'''
XYZ 유한회사 현금 흐름표 (모든 수치는 백만 루피 기준)
기간 종료일
2010년 3월 31일
2009년 3월 31일
2008년 3월 31일
금융 활동으로 제공되거나 사용된 현금 흐름:
지급된 배당금
(9,826)
(9,188)
(8,375)
주식의 판매(재매입)
(5,327)
(12,090)
133
부채의 증가(감소)
101,122
26,651
21,204
기타 금융 활동으로 인한 현금 흐름
120,461
27,910
70,349
금융 활동으로 인한 순 현금 흐름
206,430
33,283
83,311
직접법으로 작성하며, 영업 활동 이외의 부채와 순자산과 관련된 모든 자금의 흐름을 나타낸다. 주로 차입금에 의한 조달 및 상환의 증감, 자사 주식 및 채권에 관한 발행익, 배당금 지급, 매입, 상환 등을 기재한다.
5. 흑자도산
흑자도산은 이익이 발생했음에도 유동성 부족으로 부도가 발생하여 도산하는 경우를 말한다.[1] 예를 들어, 2억 원의 이익을 내는 회사라도 가진 돈 전부를 골프장 용지 매수에 투입하면 현금이 없어지고, 그 후 지불이 불가능해져 도산할 수 있다.[1] 이처럼 현금의 유무는 이익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도산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현금흐름표가 매우 중요하다.[1]
손익계산서 등 재무 회계는 발생주의에 따라 수익 인식을 하므로, 기업의 수익성 평가는 정확하지만 수중에 있는 자금(현금)의 인식을 정확하게 할 수 없다.[2] 따라서 손익계산서 상의 순손익이 반드시 현금 등의 수지와 일치하지 않아 현금이 부족해지고, 기업이 흑자도산에 몰리는 경우가 있다.[2] 감가상각비는 손익 계산상 비용이지만, 같은 회계 기간의 현금 지출과는 일치하지 않는다.[2]
이러한 수익 발생과 자금 이동의 분리 인식은 발생주의의 본질적인 특징이며, 그 차이는 피할 수 없다.[2] 반면, 현금주의는 자금으로 수익을 인식하므로 차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2]
6. 비현금 활동 공시
국제회계기준(IAS) 7에 따르면 비현금 투자 및 재무 활동은 재무제표 주석에 공시된다.[15] 미국의 일반적인 회계 원칙(GAAP)에 따르면 비현금 활동은 주석이나 현금흐름표 자체에 공시될 수 있다.[15]
현금의 유무는 이익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2억 원의 이익을 내는 회사라고 해도 가진 돈 전부를 골프장 용지 매수에 투입하면 회사에 현금이 없어지며, 그 후 지불이 불가능해 도산할 수 있다. 이처럼 흑자도산은 이익이 발생했음에도 유동성 부족으로 부도가 발생하여 도산하는 경우를 말한다. 한편, 적자를 내는 회사라도 거래처가 지불 기한을 연장해 주거나 은행에서 차입금을 늘릴 수 있다면 도산하지 않고 버틸 수 있다. 이처럼 현금의 유무가 도산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현금흐름표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32]
현금흐름표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기업 활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명확히 할 수 있게 해준다.[32]
현금 창출 능력
자본의 활용 방침 (기업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차입금에 따른 지급 이자 부담 능력
외부 자금 조달에 대한 의존도
수익력의 질과 양 (기업은 무엇으로 현금을 벌고 있는가)
참조
[1]
서적
Financial Analysis - Tools and Techniques - A Guide for Managers
[2]
서적
Essentials of Investments, 5th ed
McGraw-Hill Irwin
[3]
웹사이트
Literature Review on Cash Flow Statements
https://ukdiss.com/l[...]
ukdiss.com
2018-11
[4]
서적
Finance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2012
[5]
서적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John Wiley & Sons
[6]
서적
Finance: Introduction to Markets, Institutions & Management
South-Western Publishing
1988
[7]
문서
Epstein, pp.90-91.
[8]
서적
Melicher & Welshans op cit page 150
[9]
문서
Epstein, p. 91.
[10]
간행물
Watanabe, Izumi: The evolution of Income Accounting in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Britain
http://www.osaka-ue.[...]
Osaka University of Economics
2007-01
[11]
문서
Epstein, p. 90.
[12]
문서
Bodie, p.454.
[13]
문서
Epstein, p. 88
[14]
문서
Epstein, p. 92.
[15]
문서
Epstein, p. 93.
[16]
웹사이트
Literature Review on Cash Flow Statements op cit
[17]
웹사이트
Literature Review on Cash Flow Statements op cit
[18]
문서
Epstein, p. 95.
[19]
웹사이트
Operating Activity on Dividends in GAAP
http://smallbusiness[...]
2012-01-16
[20]
문서
Epstein, p. 101
[21]
문서
Epstein, p. 94.
[22]
서적
Fundamental Accounting Principles
McGraw-Hill Companies
2006-05
[23]
Yahoo finance report
Yahoo finance report on Citigroup
https://finance.yaho[...] [24]
웹사이트
Citigroup finance report
http://www.citigroup[...]
2004-11-10
[25]
문서
Bodie, p. 455.
[26]
문서
"『キャッシュ・フロー計算書』は、一会計期間におけるキャッシュ・フローの状況を一定の活動区分別に表示するものであり ... 『キャッシュ・フロー計算書』を導入するに当たり、これを財務諸表の一つとして位置付けることが適当である"
https://www.fsa.go.j[...]
2008
[27]
문서
"キャッシュ・フロ-計算書では ... キャッシュの増減から会社の資金状況を判断します。"
https://www.chusho.m[...] [28]
문서
"現金主義では,基本的に現金勘定残高が利益を示すことになるので,利益に対して資金的な裏付けがなされることになる."
2016
[29]
서적
EVA創造の経営
[30]
웹사이트
http://www.sap.com/j[...] [31]
웹사이트
http://www.sap.com/j[...] [32]
문서
以下本節、出典:『キャッシュフロー分析と企業価値判断』シグマベイスキャピタ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