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의 기업 자산, 부채, 자본의 잔액을 나타내는 재무 보고서이다.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 원칙에 따라 작성되며, 자산, 부채, 자본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자산은 유동성이 높은 항목부터, 부채는 상환 기한에 따라 유동과 비유동으로 분류된다.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유동비율, 부채비율 등 다양한 경영 지표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주식회사는 정기 주주총회 종료 후 재무상태표를 공고해야 한다.
재무상태표는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 원칙(GAAP, 한국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또는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다.[17] 주요 작성 원칙은 다음과 같다.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보고식과 계정식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5] 개인과 소규모 사업체는 단순한 재무상태표를 가지는 경향이 있는 반면,[5] 대규모 사업체는 더 복잡한 재무상태표를 가지며, 조직의 연차 보고서에 제시된다.[6] 대규모 사업체는 사업 부문에 대한 재무상태표를 작성할 수도 있다.[7] 재무상태표는 다른 시점(일반적으로 전년도)의 재무상태표와 함께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8][9]
2. 작성 원칙
3. 구조
자산 (유동) 부채 및 자본 현금 $6,600 부채 매출채권 $6,200 약속어음 $5,000 style="border-left-style: none" | 자산 (고정) 매입채무 도구 및 장비 $25,000 총 부채 $30,000 colspan="2" | 소유주 지분 colspan="2" | 자본금 $7,000 style="border-left-style: none" | colspan="2" | 이익잉여금 $800 style="border-left-style: none" | colspan="2" | 총 소유주 지분 $7,800 총계 $37,800 총계 $37,800
소규모 사업체의 재무상태표는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과 같은 유동자산, 토지, 건물, 장비와 같은 고정자산, 무형자산, 특허와 같은 무형자산, 미지급금, 발생 비용 및 장기 부채와 같은 부채를 나열한다. 우발 부채는 보증과 같이 재무상태표 주석에 기록된다. 소규모 사업체의 자본은 총 자산과 총 부채의 차이이다.[12]
국제회계기준위원회와 여러 국가별 기구 및 회사에서 상장 기업의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미국 기업은 미국 일반회계원칙(GAAP)을 따르며, 연방 회계 기준 자문 위원회(FASAB)는 연방 재무 보고 실체에 대한 GAAP 개발을 목표로 한다.
대차대조표 계정 이름과 사용은 조직의 국가와 유형에 따라 다르다. 정부 기관은 일반적으로 개인 또는 기업을 위해 설정된 표준을 따르지 않는다.[14][15][16]
밸런스 시트(balance sheet)라는 영어는 Bilanz(독)·bilan(불)·bilancio(이) 등 유럽 각국어와 마찬가지로, 라틴어로 천칭을 의미하는 libra bilanx를 어원으로 한다. 대차대조표는 좌우로 나뉘어 있고, 왼쪽의 "차변 (debit)"과 오른쪽의 "대변 (credit)"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차변에는 "자산"이 있으며, 기업의 특정 시점에서의 자산 액수가 표시된다. 반면, 대변은 "부채"와 "자본"으로 나뉜다.
자산과 부채는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것부터 낮은 순서로 기재되며, 이를 유동성 배열법이라고 한다. 단, 전력 회사 등 유형자산의 액수가 많은 경우 등 특별한 회계 규칙이 적용되는 회사는 고정성 배열법을 따른다.
차변 금액의 총계와 대변 금액의 총계는 같다. 따라서 차변에서 대변을 보면 총자산의 자금 원천이 타인 자본(부채)인지 자기 자본(자본)인지 알 수 있다.
3. 1. 자산
자산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무형의 재화나 권리를 말하며,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기업의 단기 자금 운용 능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26]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되며, 유동자산은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된다.[27]
개인 재무상태표에는 당좌 예금 및 저축 예금과 같은 당좌 자산, 보통주 및 부동산과 같은 장기 자산이 포함된다. 증권 및 부동산 가치는 역사적 원가가 아닌 시장 가치로 기재된다.
소규모 사업체의 경우, 재무상태표에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의 유동자산과 토지, 건물, 장비, 특허와 같은 무형자산 등이 포함된다.[12]
국제회계기준위원회와 여러 국가별 기구에서는 상장 기업의 재무상태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미국 기업은 미국 일반회계원칙(GAAP)을 따른다. 연방 회계 기준 자문 위원회(FASAB)는 연방 재무 보고 실체에 대한 GAAP 개발을 목표로 한다.[14][15][16]
사업체에 적용 가능한 경우, 매출채권, 현금 및 현금 등가물, 재고자산, 선급 비용, 유형 자산, 무형 자산, 금융 자산, 받을 어음 등의 요약 값을 재무상태표에 포함해야 한다.[17] 순유동자산은 유동 자산에서 유동 부채를 뺀 값이다.[19]
3. 1. 1. 유동자산
유동자산은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내에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을 말한다. 기업의 단기자금 운용능력을 분석하기 쉽도록 재무상태표에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을 구분하여 표시한다.[26]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25]
이 외의 모든 자산은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된다. 유동자산은 다시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으로 구분된다.[27]
'''당좌자산'''은 가장 빨리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다음 항목들이 포함된다:
'''재고자산'''은 차기 제조에 투입되거나 판매될 재화(상품, 제품, 재공품, 원재료, 금융상품)를 의미하며, 다음 항목들이 포함된다:
소규모 사업체의 재무상태표 예시를 보면, 유동자산에는 현금, 매출채권 등이 있다.[11]
3. 1. 2. 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은 유동자산이 아닌 자산으로, 장기간에 걸쳐 기업의 영업활동에 사용되거나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이다.[26]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되며, 비유동자산은 다시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된다.[27]3. 2. 부채
부채는 기업이 갚아야 할 의무를 나타내며,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된다.[17]
소규모 사업체의 재무상태표에는 미지급금, 발생 비용, 장기 부채 등이 부채로 나열된다.[12] 우발 부채는 보증과 같이 재무상태표 주석에 기록된다.[12]
국제회계기준위원회와 여러 국가별 기구/회사에서 상장 기업의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미국의 기업은 미국 일반회계원칙(GAAP)을 따르며, 연방 회계 기준 자문 위원회(FASAB)는 연방 재무 보고 실체에 대한 GAAP 개발을 목표로 한다.[14][15][16]
대차대조표 계정 이름과 사용은 조직의 국가와 유형에 따라 다르며, 정부 기관은 일반적으로 개인 또는 기업을 위해 설정된 표준을 따르지 않는다.[14][15][16]
사업체에 적용 가능한 경우, 재무상태표에는 다음 항목에 대한 요약 값을 포함해야 한다:[17]3. 2. 1. 유동부채
Current liabilities영어은 1년 이내 또는 정상영업주기 내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이다.[17]
소규모 사업체의 예시 재무상태표에서[1] 유동부채에는 다음 항목들이 포함된다.
사업체에 적용 가능한 경우, 대차대조표에 포함해야 하는 요약 값은 다음과 같다:[17]
- 지급 계정
- 충당부채 (보증 또는 법원 결정에 대한 충당부채. 가능성이 높고 측정 가능한 우발 부채)
- 금융 부채 (충당부채 및 지급 계정 제외). 예: 약속 어음, 회사채
- 당기 세금에 대한 부채 및 자산
- 이연 법인세 부채 및 이연 법인세 자산
- 고객이 지불했지만 아직 제공되지 않은 서비스에 대한 미수 수익
- 차입금 이자
- 채권자 지분
'''순유동자산'''은 유동 자산에서 유동 부채를 뺀 것을 의미한다.[19]
3. 2. 2. 비유동부채
유동부채가 아닌 부채로, 장기간에 걸쳐 상환해야 하는 부채이다. 사업체에 적용 가능한 경우, 다음 항목에 대한 요약 값을 재무상태표에 포함해야 한다.[17]- '''지급 계정'''
- '''충당부채''': 보증 또는 법원 결정에 대한 충당부채 (가능성이 높고 측정 가능한 우발 부채)
- '''금융 부채''': 충당부채 및 지급 계정 제외. 예: 약속 어음 및 회사채
- '''당기 세금'''에 대한 부채 및 자산
- '''이연 법인세''' 부채 및 이연 법인세 자산
- '''미수 수익''': 고객이 지불했지만 아직 제공되지 않은 서비스
- '''차입금 이자'''
- '''채권자 지분'''
3. 3. 자본
자본은 기업의 소유주(주주)가 투자한 자본금과 기업 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잉여금 등으로 구성된다.[12]형식적으로 주주 자본은 회사의 부채의 일부이다. 즉, 모든 다른 부채를 지급한 후 주주에게 지급해야 할 자금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채"는 주주 자본을 제외한 부채의 보다 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자산과 부채(주주 자본 포함)의 잔액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재무상태표의 각 계정의 가치에 대한 기록은 복식 부기 회계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지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주주 자본은 구성상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과 같아야 하므로 주주 자본은 잔여 항목으로 간주된다.
자본 부문의 항목과 관련하여 필요한 공시는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주식의 수 | 승인, 발행, 전액 납입 및 발행되었지만 전액 납입되지 않은 주식 |
주식의 액면가 | |
기간 시작과 종료 시 유통 주식의 조정 | |
주식의 권리, 우선권 및 제한 사항 | |
자기 주식 | 자회사 및 관련 회사에서 보유한 주식 포함 |
옵션 및 계약에 따라 발행을 위해 예약된 주식 | |
소유주 자본 내 각 적립금의 성격과 목적 |
4.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 (K-IFRS 기준)
국제회계기준(IFRS)에 따르면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어야 하는 최소한의 항목은 다음과 같다. 기업은 필요에 따라 더 많은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24]
구분 | 항목 |
---|---|
자산 | 유형자산 |
투자부동산 | |
무형자산 | |
금융자산 (⑸, ⑻, ⑼ 제외) | |
지분법에 따라 회계처리하는 투자자산 | |
농림어업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생물자산 | |
재고자산 | |
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에 따라 매각예정으로 분류된 자산과 매각예정으로 분류된 처분자산집단에 포함된 자산의 총계 | |
부채 | 매입채무 및 기타 채무 |
충당부채 | |
금융부채 (⑾, ⑿ 제외) | |
법인세에서 정의된 당기 법인세와 관련한 부채와 자산 | |
법인세에서 정의된 이연법인세부채 및 이연법인세자산 | |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에 따라 매각예정으로 분류된 처분자산집단에 포함된 부채 | |
자본에 표시된 비지배지분 | |
자본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납입자본과 적립금[25] |
국제회계기준위원회와 여러 국가별 기구/회사에서 상장 기업의 재무상태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미국의 기업은 미국 일반회계원칙(GAAP)을 따르며, 연방 회계 기준 자문 위원회(FASAB)는 연방 재무 보고 실체에 대한 GAAP을 개발하는 연방 자문 위원회이다.
재무상태표 계정 이름과 사용은 국가와 조직 유형에 따라 다르다. 정부 기관은 일반적으로 개인 또는 기업을 위해 설정된 표준을 따르지 않는다.[14][15][16]
5. 재무상태표 분석
재무상태표는 다양한 경영 지표를 통해 분석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경영 성과를 평가할 수 있다.
지표 | 설명 | 적정 수준 |
---|---|---|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100 | 기업의 단기 지급 능력 | 200% 이상 |
당좌비율(%)=당좌자산÷유동부채×100 | 즉시 지급 능력 | 100% 이상 |
고정비율(%)=고정자산÷자기자본×100 | 자기자본에 대한 고정자산의 비율 | 100% 미만 |
고정장기적합률=고정자산÷(고정부채+자기자본) |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급 능력 | 100% 미만 |
자본고정비율(%)=자기자본÷고정자산×100 | 자기자본의 고정화 비율 | 100% 이상 |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100 | 자기자본에 대한 부채의 비율 | 100% 미만 |
자본부채비율(%)=자기자본÷부채×100 | 자기자본에 대해 부채가 적절한지를 판단 | 100% 이상 |
자기자본이익률(%)=순이익÷자기자본×100 | 이 비율이 높을수록 수익력이 큼 | - |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산×100 | 이 비율이 높을수록 회사의 경영은 안정적 | 40% 이상 |
- 「×100」은 백분율을 나타낸다.
6. 재무상태표의 종류
재무상태표는 작성 목적과 주체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보고식과 계정식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5] 개인과 소규모 사업체는 단순한 재무상태표를 갖는 경향이 있는 반면, 대규모 사업체는 더 복잡한 재무상태표를 갖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조직의 연차 보고서에 제시된다.[6] 대규모 사업체는 사업 부문에 대한 재무상태표를 작성할 수도 있다.[7] 재무상태표는 비교를 위해 다른 시점(일반적으로 전년도)의 재무상태표와 함께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8][9]
자산 (유동) | 부채 및 자본 | |||
---|---|---|---|---|
현금 | $6,600 | 부채 | ||
매출채권 | $6,200 | 약속어음 | $5,000 | style="border-left-style: none" | |
자산 (고정) | 매입채무 | |||
도구 및 장비 | $25,000 | 총 부채 | $30,000 | |
colspan="2" | | 소유주 지분 | |||
colspan="2" | | 자본금 | $7,000 | style="border-left-style: none" | | |
colspan="2" | | 이익잉여금 | $800 | style="border-left-style: none" | | |
colspan="2" | | 총 소유주 지분 | $7,800 | ||
총계 | $37,800 | 총계 | $37,800 |
소규모 사업체의 재무상태표는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과 같은 유동자산, 토지, 건물, 장비와 같은 고정자산, 무형자산, 특허와 같은 무형자산, 그리고 미지급금, 발생 비용 및 장기 부채와 같은 부채를 나열한다. 우발 부채는 보증과 같이 재무상태표의 주석에 기록된다. 소규모 사업체의 자본은 총 자산과 총 부채의 차이이다.[12]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유한 회사가 아닌 소규모 자선 단체는 재무 상태표 대신 자산 및 부채 명세서를 제출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는 회계 연도 말 현재 자선 단체의 주요 자산과 부채가 나열된다.[13]
국제회계기준위원회와 여러 국가별 기구/회사에서 상장 기업의 대차대조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미국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기준은 미국 일반회계원칙(GAAP)을 따른다. 연방 회계 기준 자문 위원회(FASAB)는 연방 재무 보고 실체에 대한 일반 회계 원칙(GAAP)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국의 연방 자문 위원회이다.
대차대조표 계정 이름과 사용은 조직의 국가와 조직 유형에 따라 다르다. 정부 기관은 일반적으로 개인 또는 기업을 위해 설정된 표준을 따르지 않는다.[14][15][16]
7. 법적 규제 (한국)
주식회사는 정기 주주총회 종료 후 지체 없이 대차대조표를 공고해야 한다(상법 제440조]).[14] 이는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투자자와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참조
[1]
서적
Financial & Managerial Accounting
McGraw-Hill Irwin
[2]
웹사이트
Four Types of Financial Statements
https://online.mason[...]
2022-11-28
[3]
서적
Corporation Financial Statements
Arno Press
[4]
문서
Williams, p.50
[5]
웹사이트
US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sample spreadsheet for a small business
http://www.sba.gov/l[...]
2003-08-10
[6]
웹사이트
Microsoft Corporation balance sheet, June 30, 2004
http://www.microsoft[...]
Microsoft.com
2012-10-04
[7]
웹사이트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Global Financing" balance sheet comparing 2003 to 2004
http://www.ibm.com/a[...]
Ibm.com
2012-10-04
[8]
웹사이트
Balance sheet comparing two year-end balance sheets
http://www.xbrl.org/[...]
2012-10-04
[9]
웹사이트
Balance sheet comparing two year-end balance sheets
http://www.timberry.[...]
2010-05-08
[10]
웹사이트
Personal balance sheet structure
http://www.state.co.[...]
2010-05-08
[11]
문서
Williams, p. 50.
[12]
웹사이트
Get more funding
https://www.sba.gov/[...]
U.S.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2022-07-15
[13]
간행물
Receipts and Payments Accounts Introductory Notes
https://assets.publi[...]
Charity Commission for England and Wales
2023-11-16
[14]
웹사이트
Personal balance sheet structure
http://www.fp.ucalga[...]
2010-05-08
[15]
웹사이트
STATE OF ALABAMA CHART OF ACCOUNTS
http://www.comptroll[...]
2007-09-21
[16]
웹사이트
New York State (USA) public utilities balance sheet accounts
http://www3.dps.ny.g[...]
2012-07-24
[17]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http://www.iasplus.c[...]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2007-06-24
[18]
서적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John Wiley & Sons
[19]
간행물
Net current assets definition
https://www.accounti[...]
Accounting Tools, Inc.
2023-11-15
[20]
웹사이트
IFRS VS GAAP: BALANCE SHEET AND INCOME STATEMENT
http://accounting-fi[...]
Accounting-financial-tax.com
2016-05-14
[21]
웹사이트
バランスシート(ばらんすしーと)
https://www.smd-am.c[...]
三井住友DSアセットマネジメント
[22]
문서
Complete set of financial statements ... a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IASB
2020
[23]
문서
국제회계기준(IFRS)는 다른 명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미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한 EU 국가의 기업들은 재무상태표의 명칭으로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balance sheet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상법은 2011년에 개정이 되었지만 여전히 대차대조표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24]
서적
IFRS 중급회계 제3판
탐진
[25]
문서
K-IFRS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2015 개정)
[26]
서적
IFRS 밀레니엄 회계원리, 제7판
탐진
[27]
문서
일반기업 회계기준 제02장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Ⅰ(2014 연차개선 반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