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기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있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이 운행된다. 지상 2층 규모의 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980년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역사가 확장되었으며, 2013년 경희대학교 부역명이 병기되었다. 역명은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묘인 회묘에서 유래되었다. 주변에는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의료원 등 교육 및 의료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신이문역
신이문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상의 역으로, 이문역과의 이름 중복을 피해 명명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광운대, 의정부, 청량리, 서울, 인천 방면 열차가 운행되고 이문동 주변 지역과 인접해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신설동역
신설동역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성수지선, 우이신설선 등 3개 노선의 환승역이며,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신내역
신내역은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경춘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 환승역으로, 2013년 경춘선이 먼저 개통하고 2019년 6호선이 개통되었으며, 중랑공영차고지, 서울의료원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회기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회기역 |
로마자 표기 | Hoegi-yeok |
한자 표기 | 回基驛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96 (휘경동 317-101) |
개업일 | 1980년 4월 1일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역 종류 | 운전 간이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지상역 (교상역) |
수송 정보 | |
승차 인원 (2023년) | 26,051명 |
승강 인원 (2023년) | 51,129명 |
2012년 일일 평균 승객 수 (1호선, 중앙선 포함) | 59,145명 |
노선 정보 |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앙선) |
1호선 역 번호 | 123 |
1호선 영업 거리 | 소요산역 기점 59.2km |
1호선 이전 역 | 외대앞역 |
1호선 이전 역 간 거리 | 0.8km |
1호선 다음 역 | 청량리역 (지하) |
1호선 다음 역 간 거리 | 1.4km |
경의중앙선 & 경춘선 역 번호 | K118 |
경의중앙선 영업 거리 | 청량리역 기점 1.4 km 용산 기점 14.1 km |
경의중앙선 이전 역 | 청량리역 (지상) |
경의중앙선 이전 역 간 거리 | 1.4km |
경의중앙선 다음 역 | 중랑역 |
경의중앙선 다음 역 간 거리 | 1.8km |
비고 | 경의중앙선의 기점은 임진강역 |
기타 정보 | |
부역명 | 경희대앞 |
![]() | |
![]() | |
![]() | |
![]() |
2. 역 구조
회기역은 지상 2층 규모의 선상역으로, 개찰구 및 역무 시설은 지상 2층에 있으며, 출구는 2개다.
2. 1. 승강장
회기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교상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서쪽 1면 2선은 1호선이, 동쪽 1면 2선은 경의·중앙선이 사용한다. 양쪽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승강장 번호 | 노선 | 방향 | 행선지 |
---|---|---|---|
1 | 1호선(경원선) | 상행 | 광운대·창동·의정부·양주·동두천·소요산 방면 |
2 | 1호선(경원선) | 하행 | 서울역·구로·인천·수원·서동탄 방면 |
3 | 경의·중앙선 | 하행 | 덕소·양평·용문·경춘선 춘천 방면 |
4 | 경의·중앙선 | 상행 | 청량리·용산·행신·일산·문산 방면 |
1978년 5월에 착공하여 1980년 4월 1일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9] 개업과 동시에 수도권 전철 1호선 본선 계통 및 용산 - 성북 계통 운행이 시작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 지하 청량리역을 경유하는 열차와 경원선 왕십리역을 경유하는 열차가 같은 선로와 승강장을 공유하였다. 두 계통의 열차는 이 역 남쪽에서 평면 교차하여 광운대역(당시 성북역) 방면으로 운행했다.
회기(回基)라는 이름은 이 곳 근처에 조선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묘, 회묘(懷墓)가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회묘는 지금의 경희여자고등학교 및 경희여자중학교 자리에 있었으나 1967년 경희대학교가 옮겨오면서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서삼릉으로 이장되었다.[11] 폐비 윤씨의 묘가 회릉으로 이름이 바뀌자 이 지역의 이름은 회릉동(懷陵洞)이었으며, 이후 회묘로 격하되면서 회묘동(懷墓洞)으로 바뀌었다. 훗날 '회(懷)'자가 어렵다 하여 '회(回)'자로 바꾸고, '묘(墓)'자가 좋지 않은 글자라 하여 '기(基)'자로 바꾸어 오늘날의 회기(回基)라는 이름이 되었다.[12]
3. 역사
1983년 8월 1일에는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8월 20일에 운전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0]
2005년 12월 16일에는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어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이 시작되면서 중앙선 역번호가 124에서 K118로 변경되었고, 회기 신역사가 사용 개시되었다. 이와 함께 승강장이 2면 4선으로 확장되었고, 중앙선 복선 전철화에 따른 계통별 선로 분리로 평면 교차 또한 해소되었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 열차는 중앙선 선로를 사용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회기역 진입 선로에서 더 이상의 평면 교차는 일어나지 않는다. 5일 후인 12월 21일에는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24에서 123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 12월 1일에는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으며, 2010년 12월 1일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3년 1월 16일에는 경희대학교 부역명이 병기되기 시작했다.
2016년 9월 26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운행 구간이 청량리역까지 연장되어 운행이 개시되었다.날짜 내용 1978년 5월 착공 1980년 4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9], 수도권 전철 1호선 본선 계통 및 용산 - 성북 계통 운행 개시 1983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 1983년 8월 20일 운전간이역으로 격하[10]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복선 전철화 개통,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 개시와 함께 중앙선 역번호가 124에서 K118로 변경, 회기 신역사 사용 개시 2005년 12월 21일 동묘앞역 개업으로 1호선 역번호가 124에서 123으로 변경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0년 12월 1일 스크린도어 설치 2013년 1월 16일 경희대학교 부역명 병기 시작 2016년 9월 26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운행 구간이 청량리역까지 연장되어 운행 개시
4. 역명 유래
5. 역 주변
6. 이용객 변동
회기역의 운행되는 모든 열차는 같은 개찰구를 공유하며, 모든 승하차량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것으로 간주된다.[13]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24,942 | 28,545 | 28,962 | 32,830 | 14,758 | 24,678 | 26,792 | 27,958 | 28,812 | 29,064 | [13] | |||
하차 | 19,779 | 23,405 | 28,223 | 28,538 | 14,275 | 23,856 | 26,238 | 27,813 | 28,809 | 28,865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1호선 | 승차 | 29,526 | 30,064 | 29,660 | 30,147 | 30,510 | 30,578 | 30,421 | 29,441 | 29,245 | 29,581 | 19,536 | 20,079 | 23,668 | [13] |
하차 | 29,344 | 29,867 | 29,485 | 29,819 | 30,048 | 30,133 | 29,872 | 28,945 | 28,524 | 28,752 | 18,874 | 19,524 | 22,910 |
7. 인접한 역
급행·완행
중앙급행
용산급행·완행
급행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