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천기호식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천기호식품은 강렬하거나 불쾌한 냄새, 맛, 식감 등으로 인해 처음에는 거부감을 느낄 수 있지만, 반복적인 섭취를 통해 선호하게 되는 음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호는 발달, 유전, 가족의 영향, 음식의 생화학적 보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습득되며, 의도적인 노력으로 변화시키기도 한다. 한국의 김치, 젓갈, 된장, 청국장, 삭힌 홍어와 같은 발효 음식, 고추, 매운 라면과 같은 매운 음식, 멍게, 해삼, 산낙지, 간장게장과 같은 해산물, 번데기, 보신탕, 순대, 닭발 등과 같은 음식들이 후천적 기호 식품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세계적으로 압생트, 멸치, 맥주, 블루 치즈, 고수, 커피, 다크 초콜릿, 두리안, 낫토, 올리브, 굴, 취두부, 수르스트뢰밍, 와인 등 다양한 종류의 후천적 기호 식품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각 -
    맛은 혀의 미뢰로 느껴지는 감각으로, 음식 섭취를 돕고 영양가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지방맛의 여섯 가지 기본 맛으로 분류된다.
  • 미각 - 매운맛
    매운맛은 캡사이신, 피페린 등의 물질이 삼차 신경을 자극하여 혀와 점막에서 감지되는 맛으로, 요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코빌 지수로 측정되고, 발한 촉진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즐기는 문화가 존재한다.
  • 미학 - 패러다임
    패러다임은 특정 학문 분야나 시대에 널리 받아들여지는 개념, 사고방식, 문제 해결 방식의 체계로, 과학 분야에서는 특정 시기에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이론, 법칙, 실험 방법 등을 포괄하며, 쿤은 과학 발전이 기존 패러다임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되는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 미학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후천기호식품
개요
정의본래는 불쾌하거나 즐겁지 않지만, 반복 노출을 통해 좋아하게 되는 음식, 음료 또는 기타 것.
예시커피
맥주
고수
상세 정보
원인에 대한 후천적 학습
사회적 영향 (문화, 가족, 친구)
쾌감과 관련된 보상 시스템 활성화
추가 정보
관련 현상미식
미각
선호도
길들여짐

2. 특징

후천기호식품은 처음 접했을 때 강하거나 불쾌하게 느껴지는 특징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징에는 강한 냄새, 독특한 , 익숙하지 않은 식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린내가 나는 해산물을 주재료로 하는 사시미스시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음식의 외관이나 특정 재료에 대한 연상 작용, 가령 곤충 섭식이나 내장 섭취와 같은 경우도 처음에는 거부감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3. 습득 과정

(내용 없음)

3. 1. 일반적인 경우

맛을 획득하는 과정에는 발달 성숙, 유전(맛 민감도와 성격 모두), 가족의 영향, 음식의 생화학적 보상 속성이 포함될 수 있다. 유아는 단맛을 선호하며 신맛과 쓴맛을 거부하며 태어나며, 약 4개월 경에 소금에 대한 선호를 발달시킨다. 그러나 채소는 스스로 음식을 먹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좋아하는 음식이 되는 경향이 있다. 신 음식 공포증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은 예측 가능하지만 선형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갓 고형식을 먹기 시작한 아기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음식을 받아들이고, 유아와 어린이는 음식에 대해 비교적 신 음식 공포증을 보이며, 나이가 많은 어린이, 성인 및 노인은 종종 광범위한 취향을 가진 모험적인 식사를 한다.[1]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일반적인 성격 특성이 반드시 새로운 음식을 기꺼이 시도하려는 의향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은 아니다. 음식에 대한 모험심의 정도는 "수퍼 테이스터"에서 관찰되는 음식 선호도의 변동성의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수퍼 테이스터는 쓴맛, 매운맛, 자극적인 맛에 매우 민감하며, 일부는 이를 피하고 순하고 밋밋한 음식만 먹고 싶어하지만, 음식에 대한 모험심이 높은 많은 수퍼 테이스터는 이러한 강렬한 맛을 즐기고 찾는다.[2] 음식에 함유된 일부 화학 물질 또는 화학 물질의 조합은 맛과 신체와 정신에 유익하거나 즐거운 영향을 모두 제공하며 강화될 수 있으며, 이는 획득된 맛으로 이어진다. 카페인과 테오브로민(초콜릿의 활성 화합물)을 위약과 비교하여 동일한 맛의 음료에 첨가하는 효과를 조사한 연구에서 참가자가 여러 번 맛을 본 결과, 화합물이 함유된 음료에 대한 강한 선호도가 나타났다.[3]

3. 2. 의도적인 경우

의도적으로 선호를 바꾸는 것은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원하는 취향을 만들어낼 반응과 감정을 얻기 위해 어떤 것을 좋아하는 척 행동해야 할 수도 있다. 이때, 지위나 동조에 의해 동기 부여된 진정성 없는 취향과, 깊이 있는 고려를 통해 선호도가 변화한 결과로 나타나는 진정한 취향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4. 한국의 후천적 기호

후천적 기호 식품은 처음에는 낯설거나 강렬한 맛 때문에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점차 즐기게 되는 음식을 의미한다.[6][7] 한국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가진 다양한 음식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한국 요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김치를 들 수 있다. 배추 등의 채소를 고추, 마늘, 젓갈 등과 함께 발효시켜 만드는 김치는 특유의 향과 매운맛, 신맛 등이 어우러져 외국인이나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낯설 수 있지만, 한국인에게는 매우 익숙하고 선호되는 음식이다.

또한, 누에의 번데기를 삶거나 쪄서 만든 번데기는 고소한 맛을 지녔지만 특유의 외형 때문에, 개고기를 주재료로 하는 보신탕은 문화적, 윤리적 논란과 함께 후천적 기호 식품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돼지의 피를 이용해 만드는 피순대나 일부 해산물 등 개인의 경험이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음식들이 한국의 후천적 기호 식품 예시이다.

4. 1. 발효 음식

발효 과정을 거친 음식들은 특유의 강한 향이나 맛 때문에 후천적 기호 식품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4. 2. 매운 음식

후천적 기호 식품은 처음에는 낯설거나 강렬한 맛 때문에 선호되지 않지만,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점차 즐기게 되는 음식을 의미한다.[6][7] 고추는 이러한 후천적 기호 식품의 대표적인 예로, 특유의 '매운' 맛을 내는 향신료로 널리 사용된다. 많은 사람이 처음에는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지만, 경험을 통해 점차 즐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 음식 중에서는 고추를 사용하여 매운맛을 낸 발효 음식인 김치가 대표적이다. 김치는 주로 배추를 사용하여 만들며,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특정 식문화권에서는 매운 음식이 보편적으로 소비되지만, 매운맛 자체는 개인의 경험과 식습관에 따라 선호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 후천적 기호의 특징을 보인다.

4. 3. 해산물

4. 4. 기타

후천적 기호 식품은 그 자체의 맛보다는 경험이나 문화적 배경을 통해 익숙해지거나 선호하게 되는 식품을 의미한다. 낯설거나 강렬한 맛, 독특한 식감이나 외형 때문에 처음에는 거부감을 느낄 수 있지만, 반복적인 노출이나 특정 문화권의 영향으로 즐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후천적 기호 식품으로 여겨질 수 있는 몇 가지 예시이다.

  • '''번데기''': 누에고치를 삶거나 쪄서 조리한 한국 요리의 하나로, 주로 길거리 음식으로 접할 수 있다. 고소한 맛이 특징이지만, 특유의 외형 때문에 낯설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 '''보신탕''': 개고기를 주재료로 하여 끓인 한국의 탕 요리이다. 과거에는 보양식으로 여겨졌으나, 개를 식용으로 사육하고 도축하는 과정에서의 동물 복지 문제와 개 식용 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로 인해 윤리적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유의 냄새에 대한 거부감도 존재한다.
  • '''피순대''': 돼지를 주재료로 하여 채소, 당면 등과 함께 돼지의 창자 또는 인공 케이싱에 채워 넣어 굳을 정도로 익힌 소시지의 일종이다. 선지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부 사람들에게는 낯설게 느껴지거나 거부감을 줄 수 있다.
  • '''닭발''': 의 발 부위를 주재료로 하여 주로 맵게 양념하여 조리하는 음식이다.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지만, 발의 형태가 그대로 드러나는 외형 때문에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

5. 세계의 후천적 기호

음식이나 음료가 후천적 기호 식품이 되는 경우는 강하거나 불쾌한 냄새, , 식감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린 해산물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미스시가 그렇다. 때로는 음식의 외관이나 연관성(예: 곤충 섭식 또는 내장 섭취) 때문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다음은 '후천적 기호 식품'으로 여겨질 수 있는 세계 여러 나라의 음식 및 음료의 예시이다. 이는 주로 낯설음과 강렬한 맛의 조합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원칙적으로 맛을 느낄 수 있는 모든 것은 후천적 기호가 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그 대상 자체가 아니라 그 맛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다.


  • 압생트: 강한 허브 향이 나는 증류주로, 종종 뚜렷한 아니스와 쓴맛() 향이 특징이다.[6][7]
  • 멸치: 소금물에 절인 작은 물고기로, 강렬하고 짠맛으로 유명하며 종종 피자 토핑으로 사용된다.
  • 맥주: 특히 에일이나 스타우트와 같이 맛과 향이 강한 맥주는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 쓴 멜론: 오이와 비슷하게 생긴 매우 쓴 맛의 과일이다.
  • 블루 치즈: 푸른곰팡이를 이용해 숙성시킨 치즈로, 특유의 강한 향과 맛이 특징이다. 감로스트, 염소 치즈, 림버거 등 다른 향이 강한 치즈들도 후천적 기호 식품으로 여겨질 수 있다.
  • 고수 (실란트로): 일부 사람들에게는 불쾌한 비누 맛이나 냄새로 느껴질 수 있다. 이는 맛을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특성 때문으로 여겨진다.
  • 커피: 볶은 커피 씨앗으로 만든 쓴맛의 음료이다.
  • 다크 초콜릿: 설탕이나 우유 함량이 매우 적거나 없어 쓴맛이 강한 초콜릿이다.
  • 두리안: 강하고 독특한 냄새로 유명한 동남아시아 과일이다.
  • 낫토: 을 발효시킨 일본 음식으로, 특유의 냄새와 끈적한 식감이 특징이다.
  • 올리브: 올리브나무의 열매를 소금에 절이거나 발효시킨 것으로, 종류에 따라 짠맛, 쓴맛, 기름진 맛 등 다양한 맛이 난다.
  • : 종종 날것으로 먹는 조개류로, 특유의 식감과 바다 향이 있다.
  • 취두부: 두부를 발효시킨 음식으로, 이름처럼 매우 강한 냄새가 특징이다.
  • 수르스트뢰밍: 청어발효시킨 스웨덴의 전통 음식으로, 극심한 악취로 유명하다.
  • 와인: 포도발효시켜 만든 술로,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이 매우 다양하여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참조

[1] 논문 Development of food preferences 1999
[2] 논문 PROP taster status and self-perceived food adventurousness influence food preferences 2004
[3] 논문 Reinforcing effects of caffeine and theobromine as found in chocolate 2005
[4] 논문 Sour Grapes and Character Planning 1992
[5] 논문 The Intentional Acquisition of Mental States 1995
[6] 웹사이트 Absinthe, What is Absinthe? About its Science, Chemistry and Structure http://www.3dchem.co[...]
[7] 웹사이트 Absinthe, the Potent Green Fairy http://www.chick.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