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천대역은 수인·분당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1994년 분당선 개통과 함께 경원대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1년 가천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가천대학교 비전타워와 연결된다. 주변에는 가천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봉국사, 태평중학교, 태평초등학교, 수진초등학교, 성남서초등학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전철역 - 산성역
산성역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8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96년 남한산성역으로 개통되어 1998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수도권 전철 중 가장 깊은 역이며, 주변에 교육 및 주거 시설과 남한산성이 있다. - 성남시의 전철역 - 수내역
수내역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전철역으로, 1994년 초림역으로 개통되어 2002년 역명 변경을 거쳤으며, 롯데백화점과 연결되고 주변에 상업 및 교육 시설이 위치한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과천역
과천역은 1994년 과천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7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철역으로 과천시 주거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공원역과 정부과천청사역과 인접해 있다. - 1994년 개업한 철도역 - 도원역
도원역은 인천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1994년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교육, 체육 시설과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고, 완행 열차는 모든 승강장에, 급행 및 특급 열차는 일부 승강장에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가천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5113-9 |
운영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승강장 | 2 |
선로 | 2 |
구조 | 지하 |
개업 | 1994년 9월 1일 |
사건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개통 |
한국어 역 정보 | |
역명 (한글) | 가천대역 |
역명 (로마자 표기) | Gacheondae-yeok |
일본어 역 정보 | |
역명 | 가천대역 |
역명 (히라가나) | かせんだいえき |
역명 (로마자) | Kachondai eki |
사진 설명 | 3번 출입구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이전 역 | 복정역 (서울) |
다음 역 | 태평역 (경기도) |
역간 거리 | 이전 역: 2.4km 다음 역: 1.0km |
위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지하 1332 (태평동 7131) |
역 번호 | K223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킬로미터 | 왕십리역 기점 18.9km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
승차 인원 (2019년) | 9,510명 |
승강 인원 (2019년) | 20,142명 |
한국 철도 정보 | |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지하1332 |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수서관리역 |
개업일 | 1994년 9월 1일 |
종별 | 무배치간이역 |
등급 | 3급 |
승강장 | 2면 2선 |
노선 | 분당선 |
영업 거리 | 청량리역 기점 21.3 km |
전 역 | 복정 (K222) |
후 역 | 태평 (K224) |
2. 역사
1994년 9월 1일 분당선 개통과 함께 '''경원대역'''(暻園大驛|경원대역한국어)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3년 9월 3일 선릉 ~ 수서 구간 개통으로 선릉 기점 12.2km로 변경되었고,[4]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11년 12월 28일 '''가천대역'''(嘉泉大驛)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5] 2012년 9월 18일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18.9km로 변경되었다.[6] 2013년 11월 30일 급행 열차 정차역이 되었다. 2020년 9월 12일 수인선의 수원 연장에 따라 노선명이 분당선에서 수인·분당선으로 변경되었다.
2. 1. 경원대역 개통 (1994년)
1994년 9월 1일 : 분당선 개통과 함께 '''경원대역'''(暻園|경원대한국어)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2. 2. 가천대역으로 역명 변경 (2011년)
2011년 12월 28일 : '''가천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5]2. 3. 수인·분당선 시대 (2020년 ~ 현재)
2020년 9월 12일 수인선의 수원 연장에 따라 노선명이 분당선에서 수인·분당선으로 변경되었다.[5]3. 역 구조
가천대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가천대학교 내의 비전타워와 직결되는 통로가 있다.[2] 출구는 5번까지 있다.
4. 역 주변
가천대역 주변에는 가천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봉국사, 태평중학교, 태평초등학교, 수진초등학교, 성남서초등학교가 있다.
4. 1. 주요 시설
가천대학교는 가천대역 비전타워 출구를 통해 지하캠퍼스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이 역의 동쪽에는 역 이름의 유래가 된 가천대학교가 있고, 서쪽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있다. 이 역은 성남대로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5. 이용객 변동
가천대역의 이용객은 수인·분당선 개통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2000년대 초반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은 3,000명대였으나, 2010년대에는 9,000명대로 크게 늘었다. 2013년에는 9,184명, 2015년에는 9,768명을 기록했다.[8] [3]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용객이 일시 감소했으나, 2021년부터 회복하여 2022년에는 8,000명대를 넘었다.[8]
5. 1. 연도별 이용객 수 (2000년 ~ 2023년)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분당선 | 승차 | 3,125 | 7,690 | 8,388 | 9,181 | 7,473 | 7,402 | 7,237 | 7,159 | 7,289 | 7,583 | 8,011 | [7] [3] | ||
하차 | 2,531 | 6,732 | 13,717 | 8,830 | 7,566 | 7,979 | 7,825 | 7,749 | 8,233 | 8,692 | 9,194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분당선 | 승차 | 8,206 | 8,451 | 9,184 | 9,477 | 9,768 | 9,334 | 9,222 | 9,374 | 9,510 | 5,707 | 6,330 | 8,124 | 9,258 | [8] [3] |
하차 | 9,382 | 9,677 | 10,475 | 10,978 | 11,267 | 10,634 | 10,324 | 10,489 | 10,632 | 6,475 | 7,134 | 8,825 | 9,751 |
6. 인접한 역
급행
(고색, 인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