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독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독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산악 지형을 선호하며, 작은 포유류, 조류 등을 먹이로 한다. 검독수리는 뛰어난 시력과 강력한 발톱, 부리를 가지고 사냥하며, 한 쌍이 평생을 함께하며 번식한다. 검독수리는 문화적으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지며, 매사냥에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서식지 파괴, 중금속 중독, 인간과의 충돌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했다. 현재는 멸종 위기 등급은 아니지만, 서식지 보호와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시카와현의 상징 - 하쿠산
하쿠산은 일본 이시카와현에 있는 산으로, 717년에 처음 등반되었으며, 하쿠산 신앙의 영산으로 198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자연 보고이자 하쿠산 국립공원으로 관리된다. - 아일랜드의 새 - 가시검은딱새
가시검은딱새는 구대륙딱새과에 속하며 유럽과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작은 새로, 곤충과 과일을 먹는 잡식성이며 족제비 등의 천적에게 위협받고 농업 집약화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 덴마크의 새 - 가시검은딱새
가시검은딱새는 구대륙딱새과에 속하며 유럽과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작은 새로, 곤충과 과일을 먹는 잡식성이며 족제비 등의 천적에게 위협받고 농업 집약화 등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검독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quila chrysaetos |
명명자 | Linnaeus, 1758 |
한국어 이름 | 이누와시 (イヌワシ), 검독수리 |
영어 이름 | golden eagle |
멸종 위기 등급 (IUCN) | 관심 필요 |
멸종 위기 등급 (CITES) | 부록 II |
분포 지역 |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
아종 및 분포 | |
Aquila chrysaetos chrysaetos | 유럽, 시베리아 (러시아) |
Aquila chrysaetos canadensis | 북아메리카 |
Aquila chrysaetos kamtschatkensis | 캄차카 반도 (러시아), 일본 |
Aquila chrysaetos daphanea | 중앙아시아, 인도 아대륙 |
Aquila chrysaetos japonica | 한국 일본 |
Aquila chrysaetos homeyeri | 스페인, 북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
생태 | |
서식지 | 탁 트인 산악 지대, 툰드라, 초원 |
먹이 | 주로 설치류, 토끼, 새 |
영역 크기 | 약 200 제곱킬로미터 |
기타 정보 | |
특징 | 강력한 발톱과 날카로운 시력 |
번식 | 둥지는 절벽이나 나무 위에 지음 |
수명 | 야생에서 평균 20-30년 |
보전 상태 | 서식지 파괴 및 밀렵으로 위협 |
2. 분포
검독수리는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부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124][125][122] 유럽에서는 스코틀랜드, 스페인, 알프스산맥에서 발칸반도와 스칸디나비아 반도까지, 아시아에서는 러시아, 중국, 일본을 포함한 지역과 터키, 코카서스 산맥에서 히말라야 산맥까지, 그리고 중동 지역에 이른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멕시코에서 미국 서부 지역과 캐나다 각지에 분포한다.
겨울철에는 남쪽으로 이동하기도 한다.[122] 일본에는 아종인 검독수리(니혼이누와시)가 연중 서식한다(텃새).[124][127][128][129][130]
검독수리는 개방적이거나 반개방된 지역에서 사냥하기 적합하며, 산악 지형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저지대에서도 번식할 수 있다. 주요 서식지는 다음과 같다.
- 유라시아:
- 툰드라와 타이가 가장자리 (\[\[콜라반도]] ~ 시베리아 아나디르)
-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서부 스칸디나비아의 산악 지대
- 서유럽의 탁 트인 초원, 황무지, 습지, 바위 능선 등
- 스웨덴, 핀란드, 발트 3국, 벨라루스, 러시아의 저지대 타이가 숲
- 피레네 산맥, 알프스 산맥, 카르파티아 산맥, 코카서스 산맥
- 이베리아 반도 ~ 모로코 아틀라스 산맥, 그리스, 터키, 이라크의 산악 지대
- 터키 ~ 아프가니스탄 힌두쿠시 산맥 기슭의 온대 사막, 산맥, 숲
- 알타이 산맥, 파미르 산맥, 티베트, 히말라야 산맥, 중국 신장의 고산 지대
- 일본과 한국의 산악 지대
- 모리타니 아드라르 고원 ~ 북부 예멘, 오만의 산악 지대
- 이스라엘의 바위 경사면, 와디 지역
- 동북 아프리카의 사막 지대, 에티오피아 발레 산맥
- 북미:
- 알래스카 북부, 캐나다 북부 (웅가바 반도)
- 알래스카 산맥 ~ 워싱턴주, 오리건주의 수목 한계선 위 또는 강 계곡
- 캐나다 로키산맥 동쪽 ~ 래브라도 산맥의 이탄 습지, 혼합 삼림 지대
- 미국 로키산맥 산기슭의 평원, 대초원
- 남부 아이다호 ~ 북부 애리조나, 뉴멕시코의 그레이트 베이슨
- 멕시코의 다양한 식생 지역
- 캘리포니아, 바하 캘리포니아의 산, 해안 지역
- 미국 동부의 애팔래치아 고원, 늪, 목초지, 늪, 호수 근처 (과거)
- 캐나다 가스페 반도, 퀘벡 (현재)
- 미국 중서부의 저수지, 야생 동물 보호 구역 근처 (겨울)


3. 형태
다 자란 검독수리의 몸길이는 66~102cm이며, 날개 편 길이는 180~234cm이다. 몸무게는 2.5~7kg 정도이다.[154][155] 검독수리는 수리과 내에서도 큰 편에 속하며,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암컷은 수컷보다 1.25~1.3배 정도 더 무겁다.[155] 가장 작은 종류는 한국과 일본에, 가장 큰 종류는 카자흐스탄 남부, 중국 남서부, 만주, 인도 북부 등지에 서식한다.[155]
깃털은 검은 갈색 또는 짙은 갈색을 띠며, 정수리와 목 뒤쪽 깃털은 황금빛 노란색을 띤다. 햇빛을 받으면 황금빛이 더욱 두드러져 영어 이름 "Golden Eagle"의 유래가 되었다. 날개 위쪽도 밝은 색을 띤다. 어린 새는 어미와 비슷하지만 칙칙한 반점이 있고, 꼬리에 하얀 줄무늬와 날개 관절 부위에 하얀 깃털이 있다. 이 흰 깃털은 5세 정도에 완전히 자라면서 서서히 사라진다. 겉 깃털은 짧은 기간 안에 털갈이를 한다.[156]
검독수리의 날개 길이는 현존하는 독수리 종 중에서 다섯 번째로 크다.[4] 히말라야 검독수리 암컷은 수컷보다 약 37% 더 무겁고 날개 길이가 약 9% 더 길다. 반면 일본 검독수리는 암컷이 26% 더 무겁고 날개는 약 6% 더 길다.[4] 가장 큰 아종(''A. c. daphanea'')에서 수컷과 암컷의 일반적인 체중은 각각 4.05kg와 6.35kg이다. 가장 작은 아종인 ''A. c. japonica''에서 수컷은 2.5kg이고 암컷은 3.25kg이다.[4] 검독수리는 북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무거운 번식하는 독수리이며, 아시아에서는 네 번째로 무겁다.[5][4] 야생 암컷의 가장 큰 인증된 질량은 약 6.7kg이고 날개 길이가 2.55m인 ''A. c. chrysaetos'' 아종의 표본이었다.[34] 2006년 와이오밍주 브리저-테턴 국유림 주변에서 밴딩되어 방생된 암컷은 7.7kg으로 기록상 가장 무거운 야생 검독수리가 되었다.[35]
표준 측정값에는 52cm~72cm의 날개 시위 길이, 26.5cm~38cm의 꼬리 길이, 9.4cm~12.2cm의 부척 길이가 포함된다.[4] 부리 (부리의 위쪽 능선)는 평균 약 4.5cm이며, 범위는 3.6cm~5cm이다. 입가에서 부리 길이는 약 6cm으로 측정된다.[36][37] 길고, 곧고, 강력한 엄지 발톱 (뒷발톱)은 4.5cm~6.34cm 범위일 수 있으며, 흰머리수리보다 약 1cm 더 길고 할피이글보다 1cm 조금 덜 길다.[38][39][40]
홍채는 황갈색이나 옅은 주황색이다.[124][129] 부리의 기부와 그것을 덮는 육질(납막), 뒷다리는 노란색이며, 부리 끝은 검은색이다.[127]
어린 새는 뒷머리에서 뒤목덜미까지 옅은 갈색 세로 줄무늬가 있다.[129] 꼬리 기부나 첫 번째 날개깃, 바깥쪽 두 번째 날개깃 기부의 색상이 흰색이다.[124][127][129] 홍채는 암갈색이다.[124][129]
4. 아종
검독수리는 크기와 깃털의 특징에 따라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카를 폰 린네가 처음 분류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 '''A. c. chrysaetos''' (린네, 1758년) – 이베리아 반도를 제외한 유라시아 전역, 동,서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중간 크기에 가장 옅은 색을 띠며, 목덜미 반점은 빛나는 금색이다.
- '''A. c. canadensis''' (린네, 1758년) -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중간 크기이며, 등은 검은색에서 짙은 갈색이다. 목덜미와 목 윗부분은 녹슨 적색이다.
- '''A. c. kamtschatica'''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동시베리아의 알타이 산맥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분포한다. ''A. c. canadensis''에 포함되기도 한다. 크기가 크고, 색상은 ''A. c. canadensis''와 유사하다.
- '''A. c. daphanea'''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카자흐스탄 남부, 만주 동부, 중국 남동부, 파키스탄 북부, 카슈미르, 인도 서부에 분포한다. 평균적으로 가장 큰 아종이며, 등은 검은색을 띤다.
- '''A. c. homeryi'''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 터키 동부와 이란에 분포한다. 기준 아종보다 작고 짙은 색을 띤다.
- '''A. c. japonica''' (니콜라이 세베르조프, 1888년) – 한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가장 작은 아종이며, 가장 어두운 색을 띤다.
중기 홍적세에 프랑스 지역에 서식했던 더 큰 종류의 검독수리는 ''Aquila chrysaetos bonifacti''로 분류되며, 크레타 섬에서 발견된 후기 홍적세의 거대종은 ''Aquila chrysaetos simurgh''로 명명되었다.[158]
4. 1.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colspan="2" | 검독수리속 계통 분류 (2021년 기준)[159]
|-
|
{| class="wikitable"
|-
| 초원수리
|-
|
{| class="wikitable"
|-
| 황갈색수리
|-
|
|}
|}
|-
|
{| class="wikitable"
|-
| 검독수리
|-
|
{| class="wikitable"
|-
| 카생뿔매
|-
|
{| class="wikitable"
|-
|
모루칸검독수리 |
쐐기꼬리독수리 |
|-
|
{| class="wikitable"
|-
| 흰허리독수리
|-
|
|}
|}
|}
|}
|}
|}
5. 생태
검독수리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을 띠며, 머리와 목에 더 연한 깃털이 있다.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종은 수컷 81cm, 암컷 89cm로 암컷이 더 크며, 날개를 폈을 때 길이는 2m에 달한다.[153] 날개 길이는 57~63cm, 꽁지 길이는 31~35cm, 몸무게는 약 4.4kg이다. 최대 시속 240km로 비행할 수 있다.
검독수리는 조류 중 최상위 포식자로, 다 자란 검독수리는 다른 포식자의 먹이가 되지 않는다. 반면 다른 맹금류에 대한 검독수리의 공격은 몇 건 보고되었는데, 바다매, 참매, 말똥가리 등이 새끼나 알, 성체까지 공격을 받은 사례가 있다. 도둑갈매기 등은 검독수리의 경쟁 포식자로 활동하며, 집단으로 둥지를 틀고 검독수리에 대항한다.[162] 매의 둥지에 접근하던 검독수리가 둥지를 지키던 매 암수의 급습을 받고 사망한 사례도 있으나,[163] 이는 드문 경우이고, 검독수리가 다른 맹금류의 먹이를 빼앗는 경우가 더 흔하다.
검독수리는 뛰어난 비행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날개 끝에 손가락 모양의 들쭉날쭉한 부분이 있는 넓고 긴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약간의 상승각으로 비행하는 특징이 있다.[4] 활공 시 날개와 꼬리는 한 평면에 유지되며, 날개 끝이 종종 펼쳐진다.[47] 전형적인 활공 속도는 약 45km/h에서 52km/h 사이이다.[48] 사냥이나 과시 행동을 할 때는 최대 190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으며, 먹이를 쫓아 급강하할 때는 240km/h에서 320km/h에 달하는 속도를 낼 수 있다. 이는 송골매와 거의 동등하거나 더 우월한 수준으로, 현존하는 동물 중 가장 빠른 두 종 중 하나로 꼽힌다.[5][49]
검독수리는 개방된 숲이나 초원 등에서 서식하며,[122] 일상 생활은 먹이 획득과 다른 맹금류와의 상호작용 등으로 이루어진다. 아이다호에서 관찰된 바에 따르면, 다 자란 수컷은 하루 평균 78%의 햇빛 시간 동안 깨어 앉아 있었고, 암컷은 85%를 둥지에서 보냈다.[73] 유타에서는 여름철에 주로 오전 9시에서 11시, 오후 4시에서 6시 사이에 사냥과 영토 비행을 했고, 나머지 시간은 휴식에 사용했다.[4] 겨울철 스코틀랜드에서는 먹이를 찾기 위해 활공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으나, 노르웨이에서는 공중 활동이 적었다.[76]
대부분의 검독수리 개체군은 정착성이지만, 일부는 철새이다. 위도 60° N 이상에서 번식하는 개체는 주로 이동하며, 50° N 부근의 개체는 짧은 이동을 할 수 있다.[78] 핀란드에서는 어린 개체가 남쪽으로 1000km에서 2000km 이동하는 반면, 성체는 겨울 동안 지역에 머무른다.[4] 알래스카와 캐나다 북부 개체군도 남쪽으로 이동하며, 앨버타의 마운트 로레트에서는 가을에 약 4,000마리의 검독수리가 이동하는 것이 기록되었다.[80] 반면, 미국 본토 서부,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등에서 번식하는 검독수리는 비이동성이며 연중 번식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4]
영역성은 짝을 이루지 않은 검독수리 간의 상호작용과 대결의 주요 원인이다. 검독수리는 넓은 영역을 유지하며, 영역 크기는 먹이의 풍부함과 서식지 선호도에 따라 20km2에서 200km2까지 다양하다.[84]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카운티에서는 평균 93km2의 영역을 가지지만,[85] 아이다호주 남서부에서는 4.85km2 정도로 좁은 영역이 유지되기도 한다.[61] 위협적인 과시 행동에는 물결 모양의 비행과 공격적인 날갯짓 비행이 포함된다.[89] 성숙한 검독수리는 주로 영역 가장자리에서 과시 행동을 보이며,[4] 침입자는 발톱을 드러내며 대응한다. 드물게 발톱을 맞물린 채 공중에서 굴러 떨어지기도 한다.[4][90]
검독수리는 비교적 장수하는 조류로, 어린 시절을 넘기면 자연 상태에서 오래 살 수 있다. 알려진 가장 오래 산 야생 검독수리는 스웨덴에서 32년 후에 회수된 개체였다.[4] 북아메리카에서는 31년 8개월,[98] 유럽에서는 사육 상태에서 46세까지 생존한 기록이 있다.[99] 스코틀랜드 스카이 섬에서 성체의 연간 생존율은 약 97.5%로 추정되었으나,[100] 이는 다소 과장된 수치로 여겨진다.[4] 어린 검독수리의 생존율은 성체보다 낮으며, 로키 산맥 서부 지역에서는 둥지를 떠난 검독수리의 50%가 2.5세 이전에, 75%가 5세 이전에 사망했다.[101]
5. 1. 먹이
검독수리의 먹이는 주로 토끼, 다람쥐, 청설모, 거북, 뱀 등이며, 사냥 시 재빠른 속도와 민첩함, 강한 발톱으로 공격해서 먹이를 들어올리거나 머리를 제압한다.[153] 먹이가 부족할 때 사체를 먹기도 하고, 때로는 사슴, 산양, 대륙사슴, 아이벡스, 노루, 유럽노루, 사향노루, 고라니, 여우 등 대형 포유류와 중소형 포유류를 사냥하기도 한다.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대형종들은 늑대를 사냥하거나 죽이는 일도 자주 발생하며, 심지어 불곰 새끼를 채 간 사례도 있다. 이외 까마귀, 갈매기와 같은 조류와 함께 백조나 두루미와 같은 대형 조류를 먹이로 삼는 일도 종종 있다.[160]토끼와 다람쥐, 청설모와 같은 작은 포유류가 전체 먹이의 50%에서 94%를 차지한다. 포유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잇감은 닭목에 속하는 조류를 포함한 다른 조류들이다.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는 사체 또한 먹이에 포함되지만, 그조차도 없을 때에는 다 자란 영양이나 순록과 같이 자신보다 몇 배나 큰 동물조차 먹이로 삼는다.[160] 심지어는 불곰의 새끼를 채 간 사례가 한 건 보고되었으며, 다 자란 불곰조차도 검독수리 두 마리의 공격을 받고 달아나는 장면이 촬영된 바 있다.[161] 가끔은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아 먹는 경우도 있어서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이다.
검독수리는 매우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어 2km 거리에서도 토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165] 낮에만 먹이 활동을 하며, 커다란 발톱은 먹이를 부수거나 죽이고,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휘어진 부리는 먹이를 찢고 삼키는데 사용된다. 검독수리 암수는 역할 분담을 통해 사냥하며, 주로 한 쪽이 먹이를 다른 한 쪽이 기다리는 곳으로 모는 방식을 사용한다.
다 자란 검독수리는 하루에 약 230g에서 250g의 먹이가 필요하지만, 풍요와 기근의 주기를 겪으며 일주일 동안 먹이를 먹지 않고 한 번에 최대 900g까지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일본에서는 토끼, 꿩, 뱀류가 주식이며, 특히 토끼가 가장 중요한 먹이이다. 상공에서 먹이를 발견하면 날개를 접어 급강하하여 잡는다.[125][127] 보통 단독으로 먹이를 잡지만, 한 마리가 먹이의 주의를 끌고 다른 한 마리가 먹이의 뒤에서 덮치는 경우도 있다.[128]
5. 2. 번식
검독수리는 155km2 정도의 영역을 차지하며 생활하고, 수컷 한 마리가 암컷 한 마리와 생활하는 일부일처제를 유지한다. 일부일처제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검독수리 수컷 사이의 싸움이 없는 이유이며, 검독수리 수컷이 암컷보다 작은 이유이기도 하다(수컷간의 경쟁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수컷의 크기가 클 필요가 없다).[153] 검독수리는 대개 평생을 함께 한다. 번식 짝은 구애 행동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애 행동에는 암컷과 수컷 모두의 물결치는 과시가 포함되며, 수컷은 바위 조각이나 작은 나뭇가지를 집어 들어 떨어뜨린 다음 급강하하여 공중에서 잡는 동작을 3번 이상 반복한다. 암컷은 흙덩이를 집어 동일한 방식으로 떨어뜨리고 잡는다.검독수리의 둥지는 절벽, 나무 등의 높은 곳에 지어지며, 전신주와 같은 인공 구조물에 지어지기도 한다. 검독수리는 몇 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 번식기에 큰 둥지를 짓고, 암컷은 여기에 한 개에서 네 개 가량의 알을 낳으며, 40일 전후의 부화 기간을 갖는다.[153] 검독수리는 영역 내에 여러 개의 둥지를 짓고(절벽을 선호) 수년간 번갈아 사용한다. 둥지 영역은 둥지 간의 극도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특징지어진다.[96] 짝짓기와 산란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교미는 일반적으로 10~20초 동안 지속된다. 짝짓기는 첫 번째 산란 약 40~46일 전에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4] 일본에서는 2~3월에 한 번에 1~2개의 알을 낳는다.[125][122] 주로 암컷이 알을 품고, 알을 품는 기간은 43~47일이다.[122]
검독수리 새끼는 부화 시작 15시간 전에 알 속에서 소리를 낼 수 있다. 알에서 첫 번째 칩이 부서진 후 약 27시간 동안 활동이 없다. 부화 활동이 가속화되어 35시간 만에 껍질이 부서진다. 새끼는 37시간 만에 완전히 자유로워진다.[4] 처음 10일 동안 새끼는 주로 둥지 바닥에 엎드려 있다. 이들은 생후 이틀째부터 깃털을 다듬을 수 있지만 부모는 약 20일 동안 따뜻하게 해준다. 몸무게가 500g 정도로 상당히 자란다.[97] 또한 더 많이 앉기 시작한다. 생후 약 20일이 되면 새끼는 일반적으로 서기 시작하며, 이는 다음 40일 동안 주요 자세가 된다. 희끄무레한 솜털은 약 25일 동안 계속 유지되며, 이 시점에서 어두운 윤곽 깃털로 점차 대체되어 솜털을 가리고 새들은 전반적인 얼룩무늬 외관을 얻는다. 부화 후 음식물의 80%와 음식 생물의 90%가 어른 수컷에 의해 포획되어 둥지로 가져온다.
깨어난 새끼가 둥지를 떠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3개월이며, 이 기간 동안 1~2마리 정도만 살아남는다.[153] 육추도 주로 암컷이 하며, 육추 기간은 70~94일로 보통 한 마리만 자란다.[133] 새끼는 부화 후 65~80일이면 비행할 수 있게 되며, 3개월에 독립한다.[122] 이다호에서는 생후 66~75일, 스코틀랜드에서는 70~81일에 둥지를 떠난다. 둥지를 떠난 후 처음으로 시도하는 비행은 갑작스러울 수 있으며, 새끼가 뛰어내려 짧고 뻣뻣한 날갯짓을 연달아 하여 아래로 활공하거나 날갯짓을 하면서 둥지 밖으로 날려 보내진다. 둥지를 떠난 지 18~20일 후에 어린 독수리는 처음으로 원을 그리며 비행하지만, 둥지를 떠난 지 약 60일이 될 때까지 부모만큼 효율적으로 고도를 높일 수 없다. 컴브리아에서 어린 검독수리는 둥지를 떠난 지 59일 만에 큰 먹이를 사냥하는 모습이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둥지를 떠난 지 75~85일 후 어린 독수리는 부모에게서 완전히 독립했다. 일반적으로 먹이가 풍부하게 있는 곳에서 번식 성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생후 3~4년이면 성적 성숙하고[122], 생후 5년에 깃털이 다 자란다.[128]
6. 인간과의 관계
인간은 기록된 역사 초창기부터 검독수리에 매료되었으며, 대부분의 초기 기록 문화는 검독수리를 숭배했다. 프리-히스패닉 메소아메리카에서 독수리는 주요 멕시카(아즈텍)의 상징이었다. 부족이자 태양신인 후이칠로포치틀리는 자신의 백성에게 붉은 열매가 달린 선인장에 앉아 있는 독수리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곳에 도시 테노치티틀란을 건설하라고 말했다.[115]
산업 혁명 이후 스포츠 사냥이 널리 퍼지고 상업적 축산이 국제적으로 일반화되면서 인간은 검독수리를 생계에 위협이 되는 존재로 여기기 시작했다. 이 시기는 총기와 산업화된 독극물의 사용으로 이어져 인간이 검독수리를 쉽게 죽일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프랑스군은 드론을 잡기 위해 검독수리를 훈련시켰다.[116] 검독수리는 양의 어린 새끼를 잡아먹는 해로운 새로 여겨지기도 한다.[122] 카자흐인과 키르기스인은 검독수리를 길들여 여우나 늑대를 사냥하는 매사냥에 사용하기도 한다.[144][145][146][147][148][149]
2016년 12월,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은 풍력 터빈 발전 회사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면 벌금 없이 검독수리를 죽이는 것을 허용하는 제안을 했다. 허가 기간은 현재의 5년에서 30년으로 늘어날 수 있다.[113][114]
6. 1. 매사냥
매사냥은 주로 매를 길들여 사냥에 이용하는 방식인데, 검독수리도 예외는 아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검독수리를 생포하여 길들인 후 사냥에 이용한다.[171]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과 같은 지역의 유목민들이 대표적으로 검독수리를 이용한 사냥을 이어오고 있다.[171] 몽골 지역에서는 청동기 시대로 추정되는 매사냥 관련 암석 조각이 발견될 정도로, 이러한 사냥 전통은 매우 오래되었다.[172]이러한 사냥꾼들은 어린 시절부터 기술을 익히고 후대에 전승하는 방식으로 기술을 이어왔다. 기술 습득은 여러 단계에 걸쳐 서서히 이루어지며, 숙련된 사람만이 크고 강하며 위험한 검독수리를 훈련시킬 수 있는데, 이마저도 스승의 감시 하에 이루어진다.[173] 카자흐스탄에서는 길들여진 검독수리의 나이에 따라 이름이 다르게 불린다.
검독수리를 매사냥에 활용하기 위해 훈련할 때는 주로 갓 날기 시작한 어린 아성체를 사용한다. 검독수리 포획에는 약 1~2일이 소요되며, 사냥꾼은 비둘기 등의 먹이를 미끼로 사용하여 유인한다. 포획된 검독수리는 굶주림과 불면증으로 쇠약해질 때까지 며칠 동안 방치된다. 이때 조련사는 악기 연주 등을 통해 교감을 시도하고, 이후 직접 먹이를 주며 훈련을 시작한다. 검독수리는 인간에 대한 경계심이 매우 강해 대부분 거부하며 조련사를 공격하려 하기도 한다. 그러나 점차 익숙해지면서 조련사에게 복종하게 된다.
본격적인 훈련은 고기를 채운 동물 인형을 이용하는데, 마치 개를 훈련할 때 줄로 묶은 공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굶주린 검독수리는 이를 실제 먹이처럼 사냥하여 운반하고, 속에 채워진 먹이를 먹으며 사냥 능력을 키운다. 조련사는 검독수리를 안장 위에 앉혀 사냥터로 함께 나가 흔들림과 말발굽 소리에 적응시킨다. 또한 조련사의 손등 위로 돌아오도록 훈련한다. 이러한 훈련을 거친 후에야 검독수리는 사냥 도구로서 능력을 발휘하고 조련사로부터 벗어나려 하지 않게 된다.[174][175]
6. 2. 상징
검독수리는 독일,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멕시코, 카자흐스탄 5개국의 국조이며, 이 중 독일, 알바니아, 오스트리아는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계승한 것이다. 살라딘의 수리 문장의 영향으로, 현재 이 문장은 이집트, 이라크, 팔레스타인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과거 리비아와 예멘에서도 사용되었다.[115]로마 군단의 깃발로 사용되었던 검독수리는 독수리자리의 모태가 되었으며, 이후 독일,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멕시코, 이집트, 루마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문장으로 사용되었다.[115]

프리-히스패닉 메소아메리카에서 검독수리는 주요 멕시카(아즈텍)의 상징이었다. 부족이자 태양신인 후이칠로포치틀리는 자신의 백성에게 붉은 열매가 달린 선인장에 앉아 있는 독수리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곳에 도시 테노치티틀란을 건설하라고 말했다.[115]
산업 혁명 이후 스포츠 사냥과 상업적 축산이 일반화되면서 검독수리는 생계에 위협이 되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2017년 프랑스군은 드론을 잡기 위해 검독수리를 훈련시키기도 했다.[116] 검독수리는 양의 어린 새끼를 잡아먹는 해로운 새로 여겨지기도 한다.[122]
일본에서 검독수리의 일본 명칭인 '이누'는 "열등한, 하급의"라는 뜻을 가지며, 이는 꼬리깃이 화살의 깃으로 가치가 낮았던 데에서 유래한다.[123] 한자 표기인 '狗(구)'는 텐구를 연상시키는 데에서 유래한다.[123]
일본에서 검독수리는 서식지 감소와 농약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번식 성공률도 저하되고 있다.[135][136][133] 21세기에 들어 간벌 등을 통한 먹이 환경 조성, 인위적인 둥지 개량 등 보전 대책이 시도되고 있다.[138][139][140]
일본에서는 1965년에 검독수리가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1993년에는 국내 희귀 야생 동식물 종 및 특정 동물로 지정되었다.[125][142]
이시카와현의 현(県)의 새로 선정되어 이시카와현 경찰의 마스코트, 가나자와공업대학의 학교 심볼, 제306비행대 (항공자위대)의 인시그니아 모티브가 되었다.[143] 도호쿠 지방의 스포츠팀 심볼로도 사용되는데, 베갈타 센다이는 구단 마크와 깃발에,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는 팀명과 마스코트에 검독수리를 사용하고 있다.
1973년에는 90엔 보통 우표의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과거 우크라이나 내무부 경찰기동대 명칭(БЕРКУТ)과 러시아 시제 전투기 Su-47의 애칭(Беркут)이 검독수리를 의미한다. 카자흐인과 키르기스인은 검독수리를 매사냥에 사용하기도 한다.[144][145][146][147][148][149]
6. 3.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검독수리가 양의 어린 새끼를 잡아먹는 해로운 새로 여겨지기도 한다.[122]6. 4. 보존 상태
한때 검독수리는 유럽, 북아시아,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일본 등 온대 지역 대부분에 서식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널리 분포하며 매우 안정적이지만, 많은 지역에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심지어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되기도 했다. 전 세계 검독수리 수는 170,000~250,000마리로 추정되며, 번식 쌍은 60,000~100,000쌍으로 추정된다.[4][117] 검독수리는 1억 4천만 제곱킬로미터로 추정되는 가장 넓은 분포 지역을 가진 수리과 구성원이다. 매목으로 따지면, 검독수리는 물수리(''Pandion haliaetus'') 다음으로 두 번째로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이다.[2][118]검독수리만큼 개체 수가 많은 다른 수리 종은 드물지만, 황갈색수리, 쐐기꼬리수리, 흰머리수리와 같은 일부 종은 더 제한적인 분포에도 불구하고 검독수리와 비슷한 총 개체 수를 가지고 있다.[5][4] 세계에서 가장 개체 수가 많은 수리는 아프리카물수리(''Haliaeetus vocifer'')일 수 있는데, 이 종은 300,000마리로 안정적인 총 개체 수를 가지고 있으며,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된다.[5][119] 전 세계적으로 검독수리는 IUCN에 의해 위협받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2]
일본 명칭인 '이누'는 "열등한, 하급의"라는 뜻으로, 수리류나 참수리 등에 비해 본종의 꼬리깃이 화살의 깃으로의 가치가 낮았던 데에서 유래한다.[123] 한자 표기인 '狗(구)'는 본종이 텐구를 연상시키는 데에서 유래한다.[123]
일본에서의 현재 생존 개체 수는 400~500마리로 추정되지만, 산악 지역의 산림 벌채로 인한 서식 환경 감소, 댐 건설 및 임도 공사로 인한 교란이 일어나 개체 수가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35] 과거 해로운 새로서의 구제[122], 인간에 의한 번식 방해도 감소의 요인이며, 농약에 의한 오염도 우려되고 있다.[133]
일본의 검독수리는 1990년대부터 번식 성공률이 저하되고 있다.[136] 검독수리의 채집 활동에서는 탁 트인 초원이 시야와 비행에 적합하며, 숲으로 덮이면 육아를 위한 먹이의 양이 부족해진다. 과거 벌채, 방목, 그리고 풀 베기를 위한 불 지르기로 유지되었던 탁 트인 장소가 임업·축산의 쇠퇴로 숲으로 변한 것이 그 원인이 아닐까 생각된다.[137]
21세기에 들어 일본 각지에서 간벌 등을 통한 검독수리의 먹이 환경 조성이 시도되고 있다.[138][139] 또한 번식 중에 반달가슴곰 등의 외적에 의한 알이나 새끼의 포식, 둥지 붕괴, 낙석·낙설에 의한 번식 실패가 많은 것도 알려져 있어, 인위적인 둥지 개량을 통한 보전 대책의 시도도 보인다.[140]
암수 한 쌍으로 영역을 가지며, 한쪽이 죽으면 영역 밖에서 온 이성과 짝을 맺지만, 아사마산 기슭에서는 조림된 낙엽송의 성장 등으로 검독수리의 사냥 환경이 악화되어, 마지막 암수 한 쌍 중 암컷이 2020년경부터 확인되지 않게 되었다.[141] 이 때문에 환경성은 숲을 일부 벌채하는 등 검독수리가 사냥하기 쉽게 하고, 암컷이 자연적으로 날아오지 않을 경우 사육 개체의 야생 복귀도 검토하고 있다.[141]
일본에서는 1965년(쇼와 40년)에 종으로 국가의 천연기념물로, 1976년(쇼와 51년)에 이와테현의 이와이즈미정과 기타카미시가 "검독수리 번식지"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125] 1993년(헤이세이 5년)에 종의 보존법 시행에 따라 국내 희귀 야생 동식물 종으로 지정[142], 또한 동물 애호 관리법의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142]

아일랜드의 검독수리는 사냥으로 인해 1912년에 멸종되었는데, 이를 재도입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이에 따라, 2001년에서 2006년까지 총 46마리의 검독수리가 글렌비히 국립 공원과 더니골주에서 방사되었는데, 이후 최소 3마리의 검독수리 암컷이 사망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외에도 안정적인 개체 수 확보를 위해 앞으로 총 60마리의 검독수리를 방사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2007년 4월에는 검독수리 암수 한 쌍이 아일랜드에서 100여 년 만에 처음으로 새끼를 부화시켰다. 한편, 글렌비히 국립 공원에서 검독수리의 번식을 촉진하려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169]
북아메리카의 경우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개체 수의 눈에 띄는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개체 수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19세기 말부터 진행된 거주하던 영역의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이다.[170] 20세기에는 중금속 중독 또한 빈번한 문제였지만, 이는 환경 오염에 대한 강력한 규제로 인해 그 심각성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미국에서 검독수리는 흰머리독수리와 함께 보호 법령 제정을 통해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2016년 12월,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조건으로 풍력 터빈 발전 회사가 벌금 없이 검독수리를 죽이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제안했다. 만약 허가된다면, 허가 기간은 현재의 5년 허가의 6배인 30년이 될 것이다.[113][114]
참조
[1]
웹사이트
Aquila chrysaetos Linnaeus 1758 (golden eagle)
https://paleobiodb.o[...]
[2]
간행물
"''Aquila chrysaetos''"
2023-01-14
[3]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서적
The Golden Eagle
https://books.google[...]
A&C Black
[5]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Wellfleet
[6]
서적
Systema Naturaæ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Volume 1
https://www.biodiver[...]
Holmiae:Laurentii Salvii
[7]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éces & leurs variétés. &c
https://archive.org/[...]
C.J.B. Bauche
[8]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9]
논문
A multi-gene phylogeny of aquiline eagles (Aves: Accipitriformes) reveals extensive paraphyly at the genus level
http://si-pddr.si.ed[...]
[10]
논문
Phylogeny of eagles, Old World vultures, and other Accipitridae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http://heatherlerner[...]
2005-11
[11]
웹사이트
Lophaetus pomarinus
http://globalraptors[...]
The Peregrine Fund
2013-04-22
[12]
웹사이트
"''Aquila morphnoides''"
http://www.globalrap[...]
The Peregrine Fund
2013-04-22
[13]
웹사이트
"''Aquila wahlbergi''"
http://www.globalrap[...]
The Peregrine Fund
2013-04-23
[14]
웹사이트
"''Aquila africana''"
http://www.globalrap[...]
The Peregrine Fund
2013-04-23
[15]
서적
Raptors Worldwide: Proceedings of the VI World Conference on Birds of Prey and Owls, Budapest, Hungary, 18–23 May 2003
World Working Group on Birds of Prey/MME-BirdLife Hungary
[16]
웹사이트
Birds of Kazakhstan.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chrysaetos'').
http://www.birds.kz/[...]
birds.kz
2013-04-23
[17]
뉴스
Golden Eagle in Armenia
http://www.abcc-am.o[...]
TSE NGO, Armenian Bird Census Council
2017
[18]
웹사이트
Birds of Kazakhstan.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homeyeri'').
http://www.birds.kz/[...]
birds.kz
2013-04-23
[19]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Volume 2
Smithsonian Institution & Lynx Edicions
[20]
웹사이트
Birds of Kazakhstan. Himalayan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daphanea'').
http://www.birds.kz/[...]
birds.kz
2013-04-23
[21]
웹사이트
Himalayan Golden Eagle
http://avis.indianbi[...]
Foundation for Ecological Security- Indian Biodiversity
2013-04-23
[22]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Mexico
https://embamex.sre.[...]
2016-03-31
[23]
뉴스
Cornell University
http://bna.birds.cor[...]
[24]
웹사이트
Birds of Kazakhstan.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kamtschatica'').
http://www.birds.kz/[...]
birds.kz
2013-04-23
[25]
문서
Simurgh is a mythical bird. Some say the Persian word simurgh or its Middle Persian form sēn-murw also meant golden eagle; see "Simorğ" in ''Encyclopædia Iranica''.
[26]
논문
The Quaternary avifauna of. Crete, Greece
http://palaeovertebr[...]
[27]
논문
Avian zoogeographical patterns during the Quaternary in the Mediterranean region and paleoclimatic interpretation
http://avesfosiles.c[...]
[28]
논문
An ancestral Golden Eagles a question in taxonomy
[29]
웹사이트
Golden Eagle, Life History
http://www.allaboutb[...]
Cornell Lab of Ornithology
2010-12-26
[30]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Harcourt
[31]
서적
A Field Guide to Western Birds: A Completely New Guide to Field Marks of All Species Found in North America West of the 100th Meridian and North of Mexico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32]
서적
National Geographic Field Guide To The Birds Of North America
National Geographic Society
[3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34]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Enfield, Middlesex : Guinness Superlatives
[35]
웹사이트
Golden Eagle May Set Record
http://newwest.net/m[...]
Newwest
2015-06-26
[36]
웹사이트
Sagip Eagle
http://www.gbgm-umc.[...]
2012-08-22
[37]
웹사이트
Birds of North America Online—Birds of North America Online
http://bna.birds.cor[...]
Bna.birds.cornell.edu
2012-11-08
[38]
논문
Age and sex size variation in Golden Eagles
[39]
논문
Notes on the Harpy Eagle in British Guiana
[40]
웹사이트
Journey North Bald Eagles
http://www.learner.o[...]
Journey North
2013-04-22
[41]
논문
Plumage Changes in the Golden Eagle
http://sora.unm.edu/[...]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2010-12-27
[42]
논문
The field identification of North American eagles
http://sora.unm.edu/[...]
2010-12-27
[43]
논문
How to Age Golden Eagles
http://www.aba.org/b[...]
2010-12-27
[44]
논문
Age determination of Golden Eagles, ''Aquila chrysaetos''
[45]
논문
Thinking about feathers: adaptations of golden eagle rectrices
https://zenodo.org/r[...]
[46]
서적
Eagles of the World
David and Charles
[47]
웹사이트
Golden Eagle Fact Sheet
http://library.sandi[...]
San Diego Zoo
2013-05-01
[48]
웹사이트
ADW: ''Aquila chrysaetos'':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2012-08-22
[49]
논문
Speed of a Golden Eagle's flight
[50]
서적
Family Accipitridae (concluded) Buteos, Golden Eagle, Family Falconidae, Crested Caracara, Falcons
Yale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Cornell University
http://bna.birds.cor[...]
2012-08-22
[52]
서적
Hawks in Flight: The Flight Identification of North American Migrant Raptor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Harcourt
[53]
간행물
Raptor monitoring program
Kluane National Park, YT
[54]
논문
An annotated list of birds wintering in the Lhasa river watershed and Yamzho Yumco, Tibet Autonomous Region, China
http://orientalbirdc[...]
[55]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Nepal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56]
서적
The Birds of Israel: A Complete Avifauna and Bird Atlas of Israel
Academic Press
[57]
논문
Notes on Golden Eagle productivity and nest site characteristics, Porcupine River, Alaska, 1979–1982
https://sora.unm.edu[...]
[58]
논문
Birds of the Kilbuck and Ahklun Mountain Region, Alaska
https://digital.libr[...]
[59]
논문
Food Habits of Golden Eagles in Eastern Washington
[60]
논문
Results of a helicopter survey of cliff nesting raptors in a deep canyon in southern Idaho
https://sora.unm.edu[...]
[61]
논문
Spatial use and habitat selection of Golden Eagles in southwestern Idaho
https://sora.unm.edu[...]
[62]
서적
Distributional status of Falconiformes in west central Arizona-with notes on ecology, reproductive success and management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Land Management
[63]
서적
Atlas of wintering North American birds; an analysis of Christmas Bird Count dat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4]
간행물
A pilot Golden Eagle population study in the Altamont Pass Wind Resource Area, California
Predatory Bird Research Group,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65]
논문
The breeding status of the Golden Eagle in the Appalachians
[66]
논문
Status of the Osprey, Bald Eagle, and Golden Eagle in the Adirondacks
[67]
논문
Distribution of wintering Golden Eagle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68]
서적
Proceedings of the Midwest raptor management symposium and workshop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69]
간행물
Habitat use and hunting strategies of Prairie Falcons, Red-tailed Hawks, and Golden Eagles
Fin. Rep. Western Illinois University, Macomb
[70]
웹사이트
Foraging Behavior and Success of Golden Eagles
http://sora.unm.edu/[...]
Auk
2013-04-24
[71]
웹사이트
Golden Eagle | the Peregrine Fund
https://www.peregrin[...]
[72]
웹사이트
Aquila chrysaetos (Golden eagle)
https://animaldivers[...]
[73]
논문
Territory size, activity budget, and role of undulating flight in nesting Golden Eagles
https://sora.unm.edu[...]
[74]
뉴스
Eye on the Sky
Utah Life Magazine
2024-Spring
[75]
논문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Available Drinking Water on Wildlife in Utah's West Desert
https://scholarsarch[...]
2021-12-09
[76]
논문
Territorial behaviour of Golden Eagles in western Norway
http://www.britishbi[...]
[77]
논문
A large concentration of roosting Golden Eagles in southwestern Idaho
https://sora.unm.edu[...]
[78]
논문
Movements of golden eagles (''Aquila chrysaetos'') from interior Alaska during their first year of independence
[79]
간행물
'Birds of the Soviet Union, Vol. 1'
Israel Programme of Scientific Translations, Jerusalem
[80]
논문
Golden Eagle migration the Front Ranges of the Alberta Rocky Mountains
[81]
논문
Complete migration cycle of Golden Eagles breeding in northern Quebec
https://sora.unm.edu[...]
[82]
논문
Golden Eagle population studies in the Southwest
https://sora.unm.edu[...]
[83]
서적
Conservation studies on raptors
International Council for Bird Preservation
[84]
논문
Golden Eagle
[85]
논문
The Golden Eagle in San Diego County, California
[86]
논문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in the Bale Mountains, Ethiopia
https://sora.unm.edu[...]
[87]
논문
What is the function of undulating flight display in Golden Eagles?
https://sora.unm.edu[...]
[88]
간행물
Aspects in the ecology and biodynamics of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homeyeri'') in the arid regions of Israel. Master's Thesis.
Tel Aviv Univ. Tel Aviv, Israel
[89]
서적
Development of behaviour in the Golden Eagle
Wiley
[90]
논문
Spatial organization and dynamics of a population of Golden Eagles (''Aquila chrysaetos'') in the central Alps
[91]
간행물
The Golden Eagle in the Grisons: Long-term studies on the population ecology of ''Aquila chrysaetos'' in the centre of the Alps
Ornithol. Beob. Beiheft 9:1–167
[92]
논문
Inter- and intra-specific dominance relationships and feeding behaviour of golden eagles ''Aquila chrysaetos'' and Sea Eagles ''Haliaeetus albicilla'' at carcass
[93]
간행물
Population status and chemical contamination in Golden Eagles in southwestern Idaho
Masters in Science thesis. University of Idaho, Moscow
[94]
논문
The Golden Eagle in relation to its food supply
[95]
논문
Postfledging behavior of Golden Eagles
https://sora.unm.edu[...]
[96]
논문
Regularity in spacing of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nests used within years in northeast Scotland
[97]
논문
Parental care and feeding ecology of Golden Eagle nestlings
[98]
웹사이트
Bird Banding Laboratory
https://www.pwrc.usg[...]
2019-06-25
[99]
서적
'The Golden Eagle; king of birds'
Citadel Press, New York
[100]
서적
Avian ecology
New York: Chapman & Hall
[101]
논문
Encounters of Golden Eagles banded in the Rocky Mountain West
[102]
논문
Survival probability and mortality of migratory juvenile Golden Eagles from Interior Alaska
[103]
논문
Brut biologie und Populations dynamic des Steinadlers ''Aquila chrysaetos'' im Werdenfelser Land/Oberbayern
[104]
논문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and porcupine
[105]
서적
Eagles
Whittet Books, London
[106]
논문
A recollection of an encounter between a Golden Eagle and a Great Blue Heron
[107]
문서
Oil and the eagle: an unsolved riddle
Country Life
December
[108]
논문
Trap and poison mortality of Golden and Bald Eagles
[109]
서적
El Aquila Real Aquila chrysaetos en Spana: distribution, reproduccion y conservacion
ICONA, Madrid
[110]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golden eagle in southwestern Idaho
https://sora.unm.edu[...]
[111]
논문
Diseases of Golden Eagles: a review
[112]
논문
Metastatic cholangiocellular carcinoma and renal adenocarcinoma in a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113]
뉴스
New federal rule would permit thousands of eagle deaths
https://apnews.com/a[...]
2013-04-18
[114]
뉴스
New Wind Energy Permits Would Raise Kill Limit of Bald Eagles But Still Boost Conservation, Officials Say
https://abcnews.go.c[...]
2016-05-04
[115]
문서
Eagles
Oxford University Press
[116]
웹사이트
France Is Destroying Drones by Using Real, Live Eagles
https://www.esquire.[...]
2021-09-16
[117]
간행물
Partners in flight: North American landbird conservation plan
Cornell Lab of Ornithology, Ithaca, NY
[118]
웹사이트
Osprey Pandion haliaetus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0-11-21
[119]
웹사이트
African Fish Eagle, Haliaeetus vocifer
http://globalraptors[...]
2013-05-24
[120]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2015-12-17
[121]
논문
Aquila chrysaetos
2015-12-17
[122]
서적
動物大百科 7 鳥類1(ダチョウ・ペンギン・カモ・ワシほか)
https://iss.ndl.go.j[...]
平凡社
1986
[123]
서적
山溪名前図鑑 野鳥の名前
山と溪谷社
[124]
서적
日本の鳥550 山野の鳥 増補改訂版
文一総合出版
[125]
서적
日本の天然記念物
講談社
[126]
웹사이트
“大空と森の王者”イヌワシって、どんな鳥?
https://www.nacsj.or[...]
日本自然保護協会
2017-03-28
[127]
서적
フィールドガイド 日本の野鳥 増補改訂版
日本野鳥の会
[128]
서적
原色ワイド図鑑4 鳥
学習研究社
[129]
서적
日本の野鳥590
平凡社
[130]
서적
小学館の図鑑NEO 鳥
小学館
[131]
문서
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2015
http://www.birds.cor[...]
2015-12-17
[132]
웹사이트
New World vultures, Secretarybird, kites, hawks & eagles
http://www.worldbird[...]
2015
[133]
웹사이트
イヌワシ
http://www.biodic.go[...]
環境庁
[134]
뉴스
※記事名不明※
中日新聞
2017-06-23
[135]
웹사이트
RL/RDB:環境省 イヌワシ Aquila chrysaetos japonica
https://ikilog.biodi[...]
環境省自然環境局 生物多様性センター
2022-06-08
[136]
웹사이트
生息・繁殖状況調査報告
https://srge.info/rp[...]
日本イヌワシ研究会
[137]
논문
北上山地の景観と環境:山里の暮らしが作った景観
東北芸術工科大学東北文化研究センター
[138]
논문
森林の帯状間伐によるイヌワシの採餌場所整備効果の検討:施業後1年目の結果から
https://www.pref.iwa[...]
岩手県環境保健研究センター
2003
[139]
논문
イヌワシの餌場再生を目指した森林管理計画の立案
https://doi.org/10.1[...]
日本森林学会
2011
[140]
논문
ニホンイヌワシの保全科学:現状と将来展望について
http://id.nii.ac.jp/[...]
日本野生動物医学会
2020-03
[141]
뉴스
イヌワシの森 つがい再生を:雄1羽の浅間山 森林整備で挑む/環境省などプロジェクト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2-11-05
[142]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https://www.env.go.j[...]
2022-11-12
[143]
웹사이트
都道府県の鳥について
http://www.jspb.org/[...]
[144]
서적
鷲使い (イーグルハンター) の民族誌 : モンゴル西部カザフ騎馬鷹狩文化の民族鳥類学
https://id.ndl.go.jp[...]
ナカニシヤ出版
[145]
문서
'The Art of Horse-Riding Falconry by Altai-Kazakh Falconers’
Green Line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46]
문서
'Contemporary Falconry in Altai-Kazakh in Western Mongolia’
http://www.ijih.org/[...]
[147]
간행물
アルタイ=カザフ鷹匠たちの狩猟誌 モンゴル西部サグサイ村における騎馬鷹狩猟の実践と技法の現在
https://researchmap.[...]
ヒトと動物の関係学会
2013-07
[148]
간행물
Ethnographic study of Altaic Kazakh falconers
https://researchmap.[...]
[149]
웹사이트
Discover Bayan-Olgii:Promoting tourism in the spectacular Altai Mountains of Mongolia, home of the Kazakh Eagle
http://discover-baya[...]
2022-11-12
[150]
웹사이트
Aquila chrysaetos
https://dx.doi.org/1[...]
2021-11-11
[151]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52]
문서
Aquila chrysaetos (Linnaeus, 1758) 검독수리
[153]
웹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검독수리 [golden eagle]
http://100.naver.com[...]
[154]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Company
[155]
웹사이트
Golden Eagle
http://www.sandiegoz[...]
[156]
간행물
Short-term oscillations in avian molt intensity: evidence from the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157]
문서
Falco cera lutea, pedibus lanatis, corpore fusco ferrugineo vario, cauda nigra basi cinereo-undulata.
[158]
문서
[159]
문서
[160]
웹사이트
Cornell University
http://bna.birds.cor[...]
[161]
저널
Predation by a Golden Eagle on a Brown Bear Cub
[162]
웹사이트
Cornell University
http://bna.birds.cor[...]
[16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elibrary.unm.[...]
2010-11-17
[164]
웹사이트
Cornell.edu
http://bna.birds.cor[...]
[165]
웹인용
What animal has the sharpest eyesight?
http://www.ebiomedia[...]
BioMedia Associates
2009-12-01
[166]
문서
Golden Eagle
Encyclopædia Britannica
[167]
웹사이트
Report for 2003-4
http://www.rbbp.org.[...]
2010-03-04
[168]
저널
Rare breeding birds in the United Kingdom in 2007
[169]
뉴스
RTÉ News
[170]
문서
[171]
문서
[172]
문서
Авиафауна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по древним рисункам и археолог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м источникам
Археология, эт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173]
웹인용
Беркут
http://proeco.visti.[...]
Натуралист (украинский журнал)
2009-12-08
[174]
웹인용
Охота с ручным беркутом
http://www.unesco.kz[...]
ЮНЕСКО
2009-12-08
[175]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176]
문서
USDCDN, USFWS-SR, USFWS-OLE, e-CFR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District of Nevada, USFWS, Code of Federal Regulations
1986, 2001, 2004, 2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