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속(Felis)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속으로, '고양이'를 의미하는 고전 라틴어 'fēlis'에서 유래되었다. 이 속에는 집고양이를 포함하여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의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2017년 분류 체계에 따르면 7종이 인정된다. 고양이속은 약 500만 년에서 700만 년 전에 벵골고양이속과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이속 - 들고양이
들고양이는 고양이과의 야생 동물로, 유럽들고양이와 코카서스들고양이 두 아종이 있으며, 집고양이보다 크고 튼튼하며 줄무늬가 있는 털을 가지고 있지만, 잡종화와 서식지 파괴로 인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고양이속 - 정글고양이
정글고양이는 ''Felis''속에 속하는 다리가 긴 중간 크기의 고양이로, 습지나 늪과 같이 물과 초목이 있는 환경에서 작은 포유류를 사냥하며 중동, 코카서스, 아시아 지역에 서식하지만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고양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 | |
분류학적 정보 | |
학명 | Felis |
명명자 | 린네, 1758 |
모식종 | Felis catus |
모식종 명명자 | 린네, 1758 |
하위 분류 계급 | 종 |
종 | 고양이 (Felis catus) 중국산악고양이 (Felis bieti) 정글고양이 (Felis chaus) 모래고양이 (Felis margarita) 검은발고양이 (Felis nigripes) 들고양이 (Felis silvestris) 아프리카들고양이 (Felis lybica) |
형태적 특징 | |
몸길이 | 38 ~ 42 cm |
꼬리 길이 | 62 ~ 76 cm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피아첸차절 – 홀로세 |
기타 | |
![]() |
2. 어원
속명 ''펠리스''는 고전 라틴어 fēlisla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양이, 족제비'를 의미한다.[4]
집고양이는 가축화되어 전 세계로 확대되었지만, 고양이속 본래의 분포 지역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의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있다. 일본 열도에는 원래 서식하지 않는다.
칼 폰 린네는 1758년까지 알려진 모든 고양이 종을 포함하는 속으로 ''Felis''를 간주했다.[5] 이후 분류학자들은 고양이과를 여러 속으로 나누었다. 1917년, 영국의 동물학자 레지날드 이네스 포코크는 ''Felis'' 속에 속하는 종들을 수정했다.[1]
3. 분포
4. 하위 분류
포코크는 Pallas 고양이를 ''Otocolobus'' 속의 단형 분류군으로 받아들였으나,[1] 다른 과학자들은 ''Felis'' 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19]
몇몇 과학자들은 중국산악고양이를 유럽들고양이(F. silvestris)의 아종으로 간주한다.[20]
4. 1. 현존하는 종
칼 폰 린네는 1758년까지 알려진 모든 고양이 종을 포함하는 속으로 ''Felis''를 간주했다.[5] 이후의 분류학자들은 고양이과를 여러 속으로 나누었다. 1917년, 영국의 동물학자 레지날드 이네스 포코크는 다음 표에 나열된 종들만 포함하는 속으로 ''Felis''를 수정했다.[1] 나열된 종들의 추정 유전적 발산 시간은 백만 년 전 (Mya)으로 표시되며, 상염색체, xDNA, yDNA 및 mtDNA 유전자 세그먼트 분석을 기반으로 한다.[2]
종 | 이미지 | IUCN 적색 목록 상태 및 분포 |
---|---|---|
집고양이 (F. catus)[5] | ![]() | 인간과 함께 또는 들고양이로 전 세계 분포[6] |
유럽들고양이 (F. silvestris)[7] | ![]() | [8] |
정글고양이 (F. chaus)[9] | ![]() | [10] |
아프리카들고양이 (F. lybica)[11] | ![]() | [12] |
검은발고양이 (F. nigripes)[13] | ![]() | [14] |
모래고양이 (F. margarita)[15] | ![]() | [16] |
중국산악고양이 (F. bieti)[17] | ![]() | [18] |
분자 계통 분석 결과를 반영한 2017년 분류 체계[30]에 따르면 7종이 인식되고 있다. 한국어 이름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자와(1992)[31]에, 영어 이름은 IUCN SSC Cat Specialist Group(2017)[30]에 따른다.
- 중국산악고양이 (Chinese mountain cat)
- 고양이 (Domestic cat)[32]
- 정글고양이 (Jungle cat)
- 아프리카들고양이 (African wildcat)
- 모래고양이 (Sand cat)
- 검은발고양이 (Black-footed cat)
- 유럽들고양이 (European wildcat)
다만, 중국산악고양이, 고양이, 아프리카들고양이를 유럽들고양이의 아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33][34] 이 경우 고양이속은 4종으로 구성된다.
분자 시계에 의한 분기 연대 추정에 따르면, 500만 년에서 700만 년 전쯤에 벵갈고양이속과 분기된 것으로 생각된다.[29]
4. 2. 멸종된 종
화석 기록에 따르면 멸종된 ''고양이속'' 종은 다음과 같다.5. 특징
고양이속 종은 높고 넓은 두개골, 짧은 턱, 짧은 술이 달린 좁은 귀를 가지고 있지만, 귀 뒤쪽에 흰 반점은 없다. 동공은 세로로 좁아진다.[1]
사투닌이 1904년에 ''F. daemon''으로 묘사한 트란스코카서스 출신의 검은 고양이는[23] 들고양이로 밝혀졌으며, 아마도 야생 고양이와 집 고양이의 교잡일 것이다.[24]
켈라스 고양이는 스코틀랜드에서 발생하는 집 고양이와 유럽 야생 고양이 사이의 잡종이다.[25]
코르시카 야생 고양이는 서기 1천년 초 전에 코르시카로 유입된 것으로 여겨진다.[26][27] 12마리의 개체에 대한 유전자 연구는 이들이 중동에서 기원한 아프리카 야생 고양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28]
6. 계통 분류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38]
{| class="wikitable"
|-
! 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 마카이로두스아과
|-
|
{| class="wikitable"
|-
! 표범아과
|-
|
{| class="wikitable"
|-
! 구름표범속
|-
|
|-
! 표범속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재규어
|-
|
|}
|}
|}
|-
! 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마블고양이속
|-
| 마블고양이
|-
! 황금고양이속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서벌속
|-
| 서벌
|-
! 카라칼속
|-
|
|}
|-
|
{| class="wikitable"
|-
! 호랑고양이속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호랑고양이
|-
|
|}
|}
|}
|-
|
{| class="wikitable"
|-
! 스라소니속
|-
|
{| class="wikitable"
|-
| 붉은스라소니
|-
|
{| class="wikitable"
|-
| 캐나다스라소니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치타속
|-
| 치타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마눌속
|-
| 마눌
|-
! 삵속
|-
|
{| class="wikitable"
|-
| 붉은점박이삵
|-
|
{| class="wikitable"
|-
| 납작머리삵
|-
|
|}
|}
|}
|-
! 고양이속
|-
|
{| class="wikitable"
|-
| 정글고양이
|-
|
{| class="wikitable"
|-
| 검은발고양이
|-
|
|}
|}
|}
|}
|}
|}
2017년 분자 계통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고양이속에는 7종이 있다.[30] 한국어 이름은 이자와(1992)[31], 영어 이름은 IUCN SSC Cat Specialist Group(2017)[30]을 따른다.
- Felis bieti|펠리스 비에티la 중국산고양이(Chinese mountain cat)
- Felis catus|펠리스 카투스la 고양이(Domestic cat)[32]
- Felis chaus|펠리스 카우스la 늪고양이(Jungle cat)
- Felis lybica|펠리스 리비카la 리비아고양이(African wildcat)
- Felis margarita|펠리스 마르가리타la 모래고양이(Sand cat)
- Felis nigripes|펠리스 니그리페스la 검은발고양이(Black-footed cat)
- Felis silvestris|펠리스 실베스트리스la 유럽야생고양이(European wildcat)
다만, 중국산고양이, 고양이, 리비아고양이를 유럽야생고양이의 아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33][34] 이 경우 고양이속은 4종이 된다.
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고양이속(Felis|펠리스la)으로 분류된 것은 사자, 호랑이, 표범, 재규어, 오셀롯, 집고양이, 스라소니의 7종이었다. 19세기까지 이들은 새로운 속으로 분할되었고, 1917년 레지날드 인즈 포코크가 고양이과 현생종의 분류 체계를 정리했을 때 현재의 고양이속과 거의 유사하게 한정되었다.[35] 하지만 고양이과 현생종은 형태 차이가 적어 다시 통합되는 경우가 많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표범아과나 치타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고양이과 현생종이 고양이속에 포함되기도 했다.[36] 현재는 대체로 신생대의 시작(약 520만 년 전)까지 분기했다고 생각되는 단일 계통군을 속으로 취급한다.[37]
6. 1. 고양이속 내 분기도
다음은 고양이과 고양이속의 분기도이다.[2]분자 시계에 의한 분기 연대 추정에 따르면, 500만 년에서 700만 년 전쯤에 벵골고양이속과 분기된 것으로 생각된다.[29]
7. 인간과의 관계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고양이속' 문서의 '인간과의 관계' 섹션 내용을 작성하고, 그 결과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Catalogue of the genus ''Felis''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1951
[2]
학술지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3]
학술지
Patterns of Y and X chromosome DNA sequence divergence during the Felidae radiation
http://www.genetics.[...]
1998
[4]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Latin Language
A. J. Valpy
1828
[5]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i Salvii
[6]
서적
A Natural History of Domesticated Mamm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7]
서적
Die Säug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Dritter Theil)
Expedition des Schreber'schen Säugthier- und des Esper'schen Schmetterlingswerkes
1778
[8]
iucn
''Felis silvestris''
2015
[9]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olfgang Walther
1778
[10]
iucn
''Felis chaus''
2016
[11]
서적
Herrn von Büffons Naturgeschichte der vierfüssigen Thiere. Mit Vermehrungen, aus dem Französischen übersetzt. Sechster Band
Joachim Pauli
[12]
iucn
''Felis lybica''
2022
[13]
서적
Travels in the Interior of Southern Africa, Vol. II
Longman, Hurst, Rees, Orme, Brown, and Green
[14]
iucn
''Felis nigripes''
2016
[15]
학술지
Description d'une nouvelle espèce de Chat par M. le capitaine Loche
https://archive.org/[...]
[16]
iucn
''Felis margarita''
2016
[17]
학술지
Observations sur les mammifères du Thibet
https://archive.org/[...]
1892
[18]
iucn
''Felis bieti''
2015
[19]
MSW3
[20]
학술지
The Near Eastern Origin of Cat Domestication
http://www.mobot.org[...]
2007
[21]
학술지
Su due Mustelidi e un Felide del Pliocene Toscano
https://archive.org/[...]
1906
[22]
학술지
On two carnivores from the Pliocene breccia of Węże
https://www.app.pan.[...]
1961
[23]
학술지
The Black Wild Cat of Transcaucasia
https://archive.org/[...]
1904
[24]
서적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Caucasian Large Mammalian Fauna in the Collection
http://caucasian-lar[...]
Georgian National Museum
[25]
학술지
The taxonomic status of black wild felids in Scotland
1992
[26]
학술지
Zooarchaeology and the biogeographical history of the mammals of Corsica and Sardinia since the last ice age
1992
[27]
학술지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17
[28]
웹사이트
Meet the Cat-Fox, an Oddball Feline Roaming Around a French Island
https://www.livescie[...]
2019
[29]
학술지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30]
학술지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e
https://repository.s[...]
[31]
간행물
食肉目(ネコ目)の分類表3
朝日新聞社
[32]
간행물
ネコ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33]
학술지
The Near Eastern origin of cat domestication
[34]
문서
[35]
학술지
The Classification of existing Felidae
https://doi.org/10.1[...]
[36]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https://repository.s[...]
[37]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https://repository.s[...]
[38]
논문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