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가이 나오유키 (181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이 나오유키는 1816년 미카와 오쿠도노 번에서 태어난 막부 관료로, 에도 시대 말과 메이지 시대를 거치며 외교, 군사, 정치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그는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 총감, 외국 봉행, 군함 봉행 등을 역임하며 근대 일본의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지지하며 에조 공화국에서 하코다테 봉행으로 활약했으나, 신정부군에 항복했다. 메이지 정부에서는 개척사, 원로원 권대서기관 등을 거쳐 1891년 7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후손 중에는 작가 미시마 유키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토 정봉행 - 오쿠보 이치오
    오쿠보 이치오는 에도 막부 말기 하타모토 출신으로 막부 관료를 지내며 가쓰 가이슈를 등용하고 슨푸와 교토 마치 부교 등을 역임했으며, 메이지 시대에는 도쿄부 지사를 지낸 인물이다.
  • 에도 막부 군함봉행 - 오구리 다다마사
    오구리 다다마사는 1827년 에도에서 태어나 견미사절단의 감찰로 미국을 방문하고 요코스카 제철소 건설을 추진하여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대정봉환 반대와 주전론으로 보신 전쟁 중 체포되어 1868년 참수되었다.
  • 에도 막부 군함봉행 - 가쓰 가이슈
    가쓰 가이슈는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활동한 일본의 무사이자 정치가로, 난학과 병학, 해군 지식을 습득하여 간린마루 함장으로 미국을 방문하고 막부 해군 육성에 힘썼으며, 보신 전쟁에서 에도 무혈 개성을 이끌고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정부의 요직을 역임하며 도쿠가와 요시노부와 사이고 다카모리의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저술 활동을 했다.
  • 외국봉행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 외국봉행 - 아베 마사토
    아베 마사토는 에도 막부 말기의 하타모토 출신 다이묘이자 막부 관료로서, 가나가와 봉행, 외국 봉행, 마치부교 등을 역임하고 시라카와 번주와 로주를 지내며 막부 말기 외교 및 군제 개혁을 주도했으나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과 싸웠다.
나가이 나오유키 (181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가이 나오유키
나가이 나오유키
본명나가이 나오유키 (永井 尚志)
다른 이름나가이 겐바 (永井 玄蕃)
나가이 몬도노쇼 (永井 主水正)
출생1816년 12월 21일
출생지미카와국
사망1896년 7월 1일
사망지도쿄
국적일본
직업사무라이
관직
관위종5위하・현번두、주수정
막부에도 막부오메쓰케、와카도시요리
가문
씨족오규 마쓰다이라 가 → 나가이 씨
가족 관계
아버지마쓰다이라 노리타다
어머니측실
양아버지나가이 히사노리
형제마쓰다이라 모 실, 여자, 나가이 나오유키 등
양형제마쓰다이라 노리미쓰
자녀양자: 나가이 나오타다
기타 정보
시대에도 시대 후기 - 메이지 시대
개명마쓰다이라 이와노조 → 나가이 이와노조 (어릴 적 이름) → 나오유키 → 가이도 (법명)
법명숭문원전개당일창대거사
묘소도쿄도아라카와구니시닛포리의 혼교지
주군도쿠가와 이에요시
이에사다
이에모치
요시노부
메이지 천황

2. 생애

분카 13년(1816년) 11월 3일, 미카와 국오쿠도노 번 5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타다와 그의 측실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이와노조, 호는 카이도였다. 아버지의 만년에 태어난 아들로, 이미 가독은 양자인 노리치카에게 물려준 상태였기 때문에, 25세쯤에 하타모토(직속 가신) 나가이 나오노리의 양자가 되었다.

가에이 6년(1853년), 메쓰케(감찰)로서 막부로부터 등용되었다. 안세이 원년(1854년)에는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 총감리(소장)로서 나가사키로 가서 나가사키 제철소 건설에 착수하는 등 활약했다. 1858년 그동안의 공적으로 이와세 다다나리와 함께 외국 봉행에 임명되었다. 러시아, 영국, 프랑스와 교섭을 맡아 통상 조약을 체결했다. 그 공적으로 군함 부교로 승진했지만, 직후 쇼군 후계자 다툼에서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를 지지하는 히토쓰바시파에 가담했기 때문에, 난키파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에 의해 파면되어 실각했다.[4]

이이 나오스케 사후인 1862년 분큐 2년, 교토 정봉행으로 복귀하였고, 1864년 겐지 원년에는 오메쓰케(대목부)가 되었다. 1863년 8월 18일의 정변, 1864년 7월 19일 금문의 변에서는 막부 측 사절로서 조정과 교섭하는 등 수완을 발휘했다.

1867년 와카도시요리까지 출세했다. 대정봉환에서도 교섭 능력을 발휘했다.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따라 에도로 돌아온 후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에조치로 건너가 하코다테 봉행이 되어 신정부군과 싸웠으나, 패배하여 다케아키와 함께 자결하려고 했지만 주위의 만류로 항복했다.[4]

1872년 메이지 정부에 출사하여 개척사 어용계, 좌원 소의관을 거쳐 1875년 겐로인 권대서기관에 임명되었다.

1891년 7월 1일 향년 76세로 사망했다.

나가이 나오유키의 생애는 막말에서 메이지 시대에 걸쳐 일본의 격동기를 살아낸 무사의 모습을 상징하며, 그의 공적과 인품은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2. 1. 어린 시절과 가계

1816년 11월 3일, 미카와 오쿠토노 번 제5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타다와 첩실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이와노쇼(岩之丞), 호는 스케도(介堂)였다. 아버지가 말년에 얻은 아들이었고, 이미 가독은 양자인 마쓰다이라 노리요시에게 물려준 상태였기 때문에, 25세 무렵에 하타모토였던 나가이 히사노리(永井尚徳)의 양자가 되었다.[4]

나가이 나오유키는 오쿠토노 번 누카다 지역에서 다이묘 마쓰다이라 노리타다의 첩에게서 태어났다. 노리타다는 도쿠가와 씨족의 방계 가문 수장이었지만, 아이즈 마쓰다이라 가문과 같은 ''신판''이 아닌 ''후다이'' 다이묘였다. 나오유키는 노리타다의 차남이었으며, 세 살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이후 에도 아자부에 있는 오쿠토노 번 본가로 이주하여, 양형 마쓰다이라 노리요시의 보살핌을 받다가 25세에 2,000 곡의 도쿠가와 ''하타모토'' 나가이 나오노리의 양자가 되었다. 양자가 된 후에는 '나오유키'(또는 "나오무네"라고 읽기도 함)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다음은 나가이 나오유키의 가계 및 어린 시절 연보이다.

연도사건
1816년11월 3일 미카와국 오쿠토노 번에서 5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타다와 그의 측실 사이에서 출생. 어릴 적 이름은 이와노조.
1818년5월 13일 아버지 마쓰다이라 노리타다 사망. 에도 아자부 번저에서 의붓형 마쓰다이라 노리치카에게 양육됨.
1840년하타모토 2,000석 나가이 나오노리의 양자가 됨. 어릴 적 이름 이와노조는 그대로 사용.


2. 2. 막부 관료로서의 활동

1853년 가에이 6년, 막부로부터 감독관으로 등용되었다. 1854년 안세이 원년에는 나가사키 해군전습소 총감(소장)으로 나가사키에 가서, 나가사키 제철소 건설에 착수하는 등 활약했다. 1858년 그동안의 공적으로 상을 받고 이와세 다다나리와 함께 외국 봉행에 임명되었다. 러시아, 영국, 프랑스와 협상을 맡아 통상조약을 체결했다. 그 공적으로 군함 부교로 승진했지만, 직후 장군 후계자 다툼에서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를 지지하는 히토쓰바시파에 속했기 때문에, 난키파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에 의해 파면되고 실각했다.[4]

이이 나오스케 사후인 1862년 분큐 2년, 교토 정봉행으로 복귀하였고, 1864년 겐지 원년에는 대목부(大目付, 감독관)이 되었다. 1863년 8월 18일의 정변, 1864년 7월 19일 금문의 변에서는 막부 측 사절로서 조정과 협상하는 등 수완을 발휘했다.

1867년에는 와카도시요리(若年寄)까지 출세했다. 대정봉환에서도 협상 능력을 발휘했다.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쇼군 요시노부를 따라 에도로 돌아온 후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에조치로 갔다가 하코다테 봉행이 되어 신정부군과 싸웠다. 그러나 패배하여 다케아키와 함께 자결하려고 했지만 주위의 만류로 항복했다.[4]

1872년 메이지 정부에 출사하여 개척사 어용계, 좌원 소의관을 거쳐 1875년에 원로원 권대기관으로 임명되었다.

1891년 7월 1일 향년 76세로 사망했다.

다음은 나가이 나오유키의 연보이다.

연도사건
1853년 (가에이 6년)막부로부터 감독관으로 등용
1854년 (안세이 원년)나가사키 해군전습소 총감(소장)으로 나가사키 부임, 나가사키 제철소 건설 착수
1857년 (안세이 4년)쓰키지 해군 훈련소 개설, 나가이는 일본 최초의 증기 군함인 칸코 마루를 타고 학생 103명과 함께 에도로 귀환[5]
1858년 (안세이 5년)이와세 타다마사와 함께 외국 봉행에 임명, 러시아, 영국, 프랑스와 통상 조약 체결, 군함 부교로 승진
1859년 (안세이 6년)히토쓰바시 요시노부 지지로 인해 이이 나오스케에 의해 파면 및 실각
1862년 (분큐 2년)교토 마치 부교로 복귀
1864년 (겐지 원년)대목부(大目付, 감독관)이 됨, 8월 18일의 정변과 긴몬의 변에서 막부 측 사절로 조정과 협상
1867년 (게이오 3년)와카도시요리(若年寄)까지 출세, 대정봉환에서 협상 능력 발휘
1868년 (게이오 4년)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요시노부를 따라 에도로 도망,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에조치로 이동, 하코다테 봉행 취임


2. 3. 교토에서의 활동과 메이지 유신

1862년 교토 정봉행으로 복귀하였고, 1864년에는 대목부(大目付, 감독관)가 되었다.[4] 1863년 8월 18일의 정변, 1864년 7월 19일 금문의 변에서는 막부 측 사절로서 조정과 협상하는 등 수완을 발휘했다.

1867년 와카도시요리까지 출세했다. 대정봉환에서도 협상 능력을 발휘했다.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쇼군 요시노부를 따라 에도로 돌아온 뒤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에조치로 건너가 하코다테 봉행이 되어 신정부군과 싸웠으나 패배했다. 다케아키와 함께 자결하려 했지만 주위의 만류로 항복했다.

1872년 메이지 정부에 출사하여 개척사 어용계, 좌완 소의관을 거쳐 1875년 원로원 권대기관으로 임명되었다.[6]

2. 4. 에조 공화국과 메이지 정부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나가이 나오유키는 쇼군 요시노부를 따라 에도로 돌아왔다. 이후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가이텐에 승선하여 센다이 번의 마쓰시마를 경유하여 에조로 향했다.[5] 홋카이도에서 나가이는 신생 에조 공화국의 하코다테 시 재판관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곧 메이지 정부군이 홋카이도를 공격하기 시작했고, 나가이는 신선조의 생존자들과 함께 작은 요새인 벤텐 다이바에서 항복했다. 그는 할복을 시도했지만 주변 사람들에 의해 제지당했다.[5]

2. 5. 만년

1867년 와카도시요리까지 출세한다. 대정봉환에서도 협상 능력을 발휘했다.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따라 에도로 도망쳐 돌아온 다음에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에조치로 갔다가, 하코다테 봉행이 되어 신정부군과 싸웠다. 그러나 패배해 다케아키와 함께 자결하려고 했지만 주위의 만류로 항복했다.[5]

1872년 메이지 정부에 출사하여 개척사 어용계, 좌원 소의관을 거쳐 1875년에 겐로인 권대서기관으로 임명되었다.

1891년 7월 1일에 향년 76세로 사망했다.[6]

3. 평가 및 영향

나가이 나오유키는 난학을 독학으로 익혀 서양 사정에 정통했으며,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를 설립하고 미쓰비시 중공업의 전신이 되는 조선소를 건설하는 등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무진 전쟁에서는 막부 측에 가담하여 끝까지 충절을 지킨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8]

그러나 제1차 초슈 정벌 당시 모리 다카치카를 처형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사이고 다카모리에게 논파당하는 등 정치적으로 경직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는 그가 막부 중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7] 그러나 이는 표면적인 관점일 뿐이며, 실제로는 조슈 번의 과격파를 해체하려는 의도였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그의 후손으로는 작가 미시마 유키오가 있으며, 미시마는 자신의 작품과 활동을 통해 나오유키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을 재조명하기도 했다.[10]

3. 1. 긍정적 평가


  • 어릴 적부터 총명하고 독서를 좋아하여, 스승에게서 경전을 배우고 독학으로 난학을 익혀 서양 사정에 정통했다. 이러한 학재를 인정받아 나가이 노토노카미 나오노리의 양자가 되었다.[7]
  •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에서 가쓰 가린타로 등 수십 명을 가르쳤다.[7]
  • 무진 전쟁에서 막부군이 패배할 것을 알면서도 끝까지 충성을 다해 싸운 충신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하타모토에서 와카도시요리로 영전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7]
  • 무진 전쟁에서 아들(양자)인 이와노조와 함께 고료카쿠에 틀어박혀 싸웠다.[7]
  • 양자인 나가이 이와노조의 장녀 나쓰코를 통해 미시마 유키오와 혈연 관계를 맺게 되었다. 나오유키는 미시마의 고조부에 해당한다.[7]
  • 나오유키의 자손들이 모이는 "사쿠라기회"가 있었으며, 1970년에는 270명의 회원이 있었다고 한다. 미시마 유키오도 그 일원이었으며, 친목회에 참석한 적도 있었다.[7]
  • 손자 나가이 도루는 할아버지 나오유키가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를 만들고, 미쓰비시 중공업의 전신이 된 조선소를 건설하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 또한 곤도 이사미, 히지카타 도시조신선조 사람들에게도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8]
  • 손자 오야 아쓰시는 나오유키가 군함 봉행으로서 일본 해군의 창시자였으며, 문인적인 면모를 지녔다고 회고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대정봉환 주상문을 초안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9]
  • 미시마 유키오는 영화 『인간사』에서 다나카 신베에 역을 맡았을 때, 자신의 조상이 연관된 사건을 연기하는 것에 대한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10]

3. 2. 부정적 평가

제1차 조슈 정벌에서 교섭에 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리 다카치카를 붙잡아 공개 처형할 것을 주장하여, 교섭을 성사시킨 정벌 총독 도쿠가와 요시카쓰 등의 면목을 깎아내리고, 참모 사이고 다카모리에게 모순을 지적받고 논파당하는 실수를 저질렀다는 점에서, 정치적으로는 구태의연한 막부 중심주의에서 최후까지 벗어나지 못한 인물로 볼 수도 있다.[7]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표면적이며, 나가이의 행동은 조슈 번의 과격파를 해체하는 프로그램에 따른 것이었고, 오와리 번과의 교섭에서 관전론을 발언한 것은 소호의 『국민사』에서도 분명하다. 다시 말해, 관료로서 막부 강경파에 대한 해명에서 사쓰마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제스처를 취한 것이 실제 상황이다.

3. 3. 후대에 미친 영향

나가이 노토노카미 나오노리가 나가이 가문의 양자로 맞이한 나가이 나오유키는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에서 가쓰 가린타로, 야다호리 코우, 기노시타 도시요시, 에노모토 가마지로, 히다 하마고로 등 수십 명을 가르쳤다.[8] 무진 전쟁에서 막부군이 패배할 것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최후까지 충성을 다해 싸운 충신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나가이 나오유키는 무진 전쟁에서 아들(양자)인 이와노조와 함께 시나가와를 탈출하여 하코다테고료카쿠에 틀어박혀 함께 싸웠다. 양자인 나가이 이와노조의 장녀 나쓰코는 내무 관료인 히라오카 사다타로에게 시집갔고, 그 손자가 히라오카 기미타케, 즉 작가 미시마 유키오이다. 즉 나오시는 미시마의 고조부이다.

나오시의 자손들이 모이는 "사쿠라기회"가 있으며, 연 1회의 친목회가 열렸고, 쇼와 45년(1970년)에는 270명의 회원이 있었다고 한다. 미시마 유키오도 그 일원이었으며, 친목회에 참석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손자 나가이 도루는 할아버지 나오시에 대해 "감찰사가 되어 나가사키에 출장했을 때 네덜란드인을 고용하여 나가사키에 해군 전습소를 만들었습니다.(중략) 나가사키 봉행과 의견이 맞지 않는 것을 독단으로 네덜란드인으로부터 여러 기술과 재료를 들여, 나가사키의 아노우라라는 곳에 조선소를 만들었습니다. 이것이 지금의 미쓰비시 중공업의 전신입니다.(중략) 그 중 차차 쓰여서 해군 봉행 혹은 군함 봉행, 외국 봉행 등으로 하여 후에 교토로 가서, 교토에서 와카도시요리급까지 되어서, 수호직의 마쓰다이라 가타모리 (아이즈번주) 밑에서 일하고, 곤도 이사미, 히지카타 도시조 이하 신선조의 사람들에게도 인기가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8]라고 말했다.

손자 오야 아쓰시는 "군함 봉행으로서 일본 해군의 창시자였던 까닭으로, 에보시에 히타타레라는 차림새의 사진이, 원래의 해군 기념관에 장식되어 있었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중략) 그런 파란만장한 일생을 보낸 할아버지는, 정치인이라기보다는 문인이라고 해야 할 사람이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 공이 대정봉환할 때, 그 주상문을 초안한 사람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다. 가쓰 가이슈 등도 시우로서 할아버지를 사사했기 때문에, 저의 옛 집에, 가이슈의 많은 유묵이 있었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9]라고 말했다.

미시마 유키오는 영화 『인간사』에 사쓰마번사 다나카 신베에 역으로 출연했을 때, "모레는 대살진 촬영입니다. 신베에가 배를 벤 덕분에, 부주의한 죄로 폐문을 명령받은 나가이 주수정의 증손이 백 년 후, 그 신베에를 하니까, 선조는 묘 아래에서, 눈을 부릅뜨고 있을 것입니다"라고 적고 있다.[10] 다나카 신베에가 아네코지 기미토모 암살 혐의로 체포되었을 때의 교토 마치 봉행은 나가이 나오시였다고 한다.[11]

4. 연보


  • 분카 13년 11월 3일 - 미카와국오쿠도노 번 5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리타다와 그의 측실 사이에서 태어났다.
  • 분카 15년 5월 13일 - 아버지 마쓰다이라 노리타다 사망으로, 에도 아자부 번저에서 번주의 의형 마쓰다이라 노리치카에게서 양육된다.
  • 덴포 11년 - 하타모토 2,000석 나가이 나오노리의 양자가 된다.
  • 고카 4년 4월 16일 - 고쇼구미(소장조) 반사가 된다.
  • 가에이 원년 - 쇼헤이자카 학문소학문 음미에 합격.
  • 가에이 4년 2월 - 고후키텐칸 학두가 된다.
  • 가에이 6년
  • * 7월 20일 - 십번 고쇼구미 반두·마키노 지쿠고노카미 다다나오 조 진물 반사에서 이번 도두로 이동.
  • * 10월 8일 - 목付로 이동하여, 해방괘를 겸대하고, 포대 부청·대포 제주 등을 병행하여 담당한다.
  • * 11월 7일 - 포의에 대우받는다.
  • 가에이 7년 4월 5일 - 히젠국나가사키 주재.
  • 안세이 2년
  • * 7월 29일 -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 총취급을 겸대.
  • * 11월 19일 - 종5위하·겐반두에 서임.
  • 안세이 4년
  • * 5월 - 에도로 귀부.
  • * 12월 3일 - 감정 봉행 (가테가)으로 이동. 에도 담당으로 나가사키 어용을 겸대한다.
  • 안세이 5년 7월 29일 - 외국 봉행으로 이동.
  • 안세이 6년
  • * 2월 24일 - 군함 봉행으로 이동.
  • * 8월 27일 - 군함 봉행을 파면당하고, 은거 차원의 처분을 받는다.
  • 분큐 2년
  • * 5월 7일 - 교토 히가시마치 부교로 이동.
  • * 7월 5일 - 군함 조련소 어용이 된다.
  • 겐지 원년
  • * 2월 9일 - 대목付로 이동.
  • * 6월 23일 - 종문 개를 겸대.
  • 겐지 2년 1월 11일 - 대목付를 면하고, 기합이 된다.
  • * 게이오 원년 10월 4일 - 다시 대목付가 된다.
  • * 10월 27일 - 외국 봉행과 조슈 어용계를 겸대.
  • 게이오 3년
  • * 2월 3일 - 와카도시요리격으로 이동.
  • * 11월 15일 - 오미야 사건 발생.
  • * 12월 15일 - 와카도시요리로 이동.
  • 게이오 4년 무진 전쟁
  • * 1월 10일 - 종5위하·겐반두의 관위를 박탈.
  • * 2월 9일 - 와카도시요리는 어역 어면.
  • * 2월 19일 - 핍색 처분을 받는다.
  • * 메이지 원년 12월 - 에조도 정부에 있어서의 하코다테 부교가 된다.
  • 메이지 2년 5월 15일 - 항복.
  • 메이지 4년 1월 6일 - 특사로 출옥.
  • 메이지 5년
  • * 1월 12일 - 개척사 어용계가 된다.
  • * 1월 19일 - 좌원 소의관으로 이동.
  • * 4월 15일 - 정6위에 서위.
  • * 10월 8일 - 좌원 삼등 의관으로 이동.(관제 개혁에 의한)
  • 메이지 8년
  • * 4월 14일 - 좌원 삼등 의관을 면함.
  • * 7월 12일 - 겐로인 권대서기관이 된다.
  • * 12월 7일 - 겐로인 권대서기관을 면본관, 위기 반납[6]
  • 메이지 24년 7월 1일 - 종5위에 승서. 동년 동일, 사망. 향년 76세.

5. 가계

나가이 가문[12]

나가이 나오유키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인물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후히토
후사사키
(18대 생략)
혼다 스케히데
(27대 생략)
노리토모
노리우라
마쓰다이라 노리자네
미쓰노리
노리오
노리타다
나가이 나오유키


6. 등장 작품

참조

[1] 서적 Persona: A Biography of Yukio Mishima Stone Bridge Pr 2012
[2] 서적 決定版 三島由紀夫全集・第42巻・年譜・書誌 新潮社 2005
[3] 서적 三島由紀夫 文学の軌跡 Kōronsha 1983
[4] 간행물 Select Documents on Japanese Foreign Policy, 1853–1868 1955
[5] 서적 長崎海軍伝習所―十九世紀東西文化の接点 中央公論社 1991
[6] 문서 国立公文書館所蔵 勅奏任官履歴原書 上巻
[7] 문서 越前藩小倉滞陣日記
[8] 문서 永井亨博士回顧録 思い出話
[9] 서적 私の履歴書 第22集 日本経済新聞社 1964
[10] 서적 決定版 三島由紀夫全集第38巻・書簡 新潮社 2004
[11] 서적 三島由紀夫 vs.司馬遼太郎 戦後精神と近代
[12] 웹사이트 永井氏系譜(武家家伝) http://www2.harimay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