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선거 결과,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55.98%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김영삼 후보는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부산·경남 지역에서 7선 의원을 지낸 영향으로 높은 지지를 얻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2.10%로 2위를,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와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각각 9.14%와 2.5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64.2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신민당 윤보선 후보와의 큰 격차를 보였다. - 부산광역시의 대통령 선거 결과 -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부산시에서 박정희 후보가 48.20%의 득표율로 윤보선 후보를 근소하게 앞서 승리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광주직할시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광주직할시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4.41%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호남, 특히 광주에서의 높은 지지율을 입증했고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후보가 그 뒤를 이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결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구직할시 개표 결과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70% 이상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김영삼 후보가 2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6월 민주 항쟁
1987년 대한민국에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 조치, 이한열 사망 사건 등을 계기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여 전두환 정권의 6·29 선언을 이끌어내고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4·13 호헌 조치
4·13 호헌 조치는 1987년 전두환 대통령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 논의를 금지하고 대통령 간선제 유지를 발표한 조치로,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6월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되어 6.29 선언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져 제5공화국 종식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 |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 |
선거명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대통령 |
정당명 | no |
정당색 | yes |
이전 선거 | 해당 없음 |
이전 선거 연도 | 해당 없음 |
선거일 | 1987년 12월 16일 |
차기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부산직할시 |
차기 선거 연도 | 1992년 |
투표율 | 해당 없음 |
후보 1 | |
![]() | |
색 | 통일민주당 |
후보 | 김영삼 |
정당 | 통일민주당 |
득표수 | 1,117,011 |
득표율 | 55.98% |
후보 2 | |
![]() | |
색 | 민주정의당 |
후보 | 노태우 |
정당 | 민주정의당 |
득표수 | 640,622 |
득표율 | 32.10% |
후보 3 | |
![]() | |
색 | 평화민주당 |
후보 | 김대중 |
정당 | 평화민주당 |
득표수 | 182,409 |
득표율 | 9.14% |
기타 정보 | |
직책 | 대통령 |
선거 전 대통령 | 전두환 |
선거 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정의당 |
선거 후 대통령 | 노태우 |
선거 후 대통령 소속 정당 | 민주정의당 |
2. 부산직할시 개표 결과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통일민주당 | 김영삼 | 1,117,011 | 55.98% |
민주정의당 | 노태우 | 640,622 | 32.10% |
평화민주당 | 김대중 | 182,409 | 9.14% |
신민주공화당 | 김종필 | 51,663 | 2.58% |
한주의통일한국당 | 신정일 | 3,612 | 0.18% |
합계 | 1,995,317 |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부산을 근거지로 삼아 활동하며 부산경남 지역에서 7선 의원을 지낸 영향으로 부산직할시에서 과반이 넘는 55.98%의 득표율로 압승했다. 특히 서구에서는 60%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대구경북 지역 기반 정치인이었지만, 같은 영남 출신이라는 점이 작용하여 30%가 넘는 득표율로 선전, 부산직할시 내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호남 기반의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와 충청남도 기반의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10% 미만의 득표율로 참패했다. 김대중 후보는 영도구, 부산진구 갑, 북구 등지에서 10% 득표율을 달성했다. 김종필 후보는 2%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매우 부진했다.
2. 1. 정당별 득표 현황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통일민주당 | 김영삼 | 1,117,011 | 55.98% |
민주정의당 | 노태우 | 640,622 | 32.10% |
평화민주당 | 김대중 | 182,409 | 9.14% |
신민주공화당 | 김종필 | 51,663 | 2.58% |
한주의통일한국당 | 신정일 | 3,612 | 0.18% |
합계 | 1,995,317 |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부산을 근거지로 삼아 활동하며 부산경남 지역에서 7선 의원을 지낸 영향으로 부산직할시에서 과반이 넘는 55.98%의 득표율로 압승했다. 특히 서구에서는 60%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했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대구경북 지역 기반 정치인이었지만, 같은 영남 출신이라는 점이 작용하여 30%가 넘는 득표율로 선전, 부산직할시 내 전 지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호남 기반의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와 충청남도 기반의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10% 미만의 득표율로 참패했다. 김대중 후보는 영도구, 부산진구 갑, 북구 등지에서 10% 득표율을 달성했다. 김종필 후보는 2%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매우 부진했다.
2. 2. 후보별 득표 현황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결과 부산직할시에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55.98%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김영삼 후보는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부산경남 지역에서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적 기반을 바탕으로 압승을 거두었다.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2.1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노태우 후보는 대구/경북 지역 기반 정치인이었지만, 같은 영남 출신이라는 점이 작용하여 30%가 넘는 득표율을 얻었다.
반면, 호남 기반의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와 충청남도 기반의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각각 9.14%, 2.5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참패했다. 한주의통일한국당 신정일 후보는 0.1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역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
중구 | 16,155 (31.62%) | style="background:" | 28,894 (56.55%) | 4,742 (9.28%) | 1,221 (2.38%) |
서구 | 35,843 (30.59%) | style="background:" | 69,760 (59.53%) | 8,987 (7.66%) | 2,372 (2.02%) |
동구 | 35,856 (32.36%) | style="background:" | 63,667 (57.46%) | 8,443 (7.62%) | 2,587 (2.33%) |
영도구 | 36,951 (33.08%) | style="background:" | 58,855 (52.70%) | 13,517 (12.10%) | 2,181 (1.95%) |
부산진구 갑 | 67,480 (33.15%) | style="background:" | 109,336 (53.71%) | 21,040 (10.33%) | 5,230 (2.56%) |
부산진구 을 | 27,089 (32.00%) | style="background:" | 48,351 (57.12%) | 6,873 (8.11%) | 2,158 (2.54%) |
동래구 갑 | 100,414 (31.16%) | style="background:" | 185,320 (57.51%) | 26,804 (8.31%) | 9,213 (2.85%) |
동래구 을 | 50,946 (32.86%) | style="background:" | 86,596 (55.85%) | 12,616 (8.13%) | 4,533 (2.92%) |
남구 | 98,268 (32.58%) | style="background:" | 169,536 (56.21%) | 25,500 (8.45%) | 7,843 (2.60%) |
북구 | 80,047 (31.67%) | style="background:" | 138,075 (54.63%) | 27,242 (10.77%) | 6,771 (2.67%) |
해운대구 | 43,787 (34.86%) | style="background:" | 66,506 (52.95%) | 11,710 (9.32%) | 3,356 (2.67%) |
사하구 | 47,786 (30.00%) | style="background:" | 92,115 (57.83%) | 14,935 (9.37%) | 4,198 (2.63%) |
김영삼 후보는 부산직할시 전 지역에서 과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했다. 특히, 국회의원을 지낸 서구에서는 60%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했다. 노태우 후보는 전 지역에서 30% 이상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 김대중 후보는 대부분 지역에서 한 자릿수 득표율에 그쳤지만, 영도구, 부산진구 갑, 북구 등에서는 10% 득표율을 달성했다. 김종필 후보는 2%대 득표율로 부진했다.
2. 3. 지역별 상세 개표 결과
2. 3. 1. 중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28,894 | 56.55%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6,155 | 31.62%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4,742 | 9.28%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1,221 | 2.38%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79 | 0.15% |
합계 | 51,091 |
```
김영삼 후보는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56.55%의 득표율로 1위를 기록했다. 이는 통일민주당의 텃밭인 부산에서의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노태우 후보는 31.62%로 2위를 기록했지만, 김영삼 후보와의 격차는 컸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9.28%,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는 2.3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2. 3. 2. 서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69,760 | 59.53%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35,843 | 30.59%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8,987 | 7.66%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372 | 2.02%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210 | 0.17% |
합계 | 117,172 |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부산직할시 서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6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는 김영삼 후보의 정치적 기반인 부산 지역에서의 강력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0.59%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지만, 김영삼 후보와의 격차는 매우 컸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7.66%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2. 3. 3. 동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63,667 | 57.46%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35,856 | 32.36%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8,443 | 7.62%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587 | 2.33%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233 | 0.21% |
총 득표수 | 110,786 |
2. 3. 4. 영도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58,855 | 52.70%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36,951 | 33.08%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3,517 | 12.10%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181 | 1.95%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69 | 0.15% |
합계 | 111,673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52.70%의 득표율로 부산직할시 영도구에서 승리하였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12.10%를 득표하여, 영도구에서 10%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하였다.
2. 3. 5. 부산진구 갑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09,336 | 53.71%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67,480 | 33.15%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1,040 | 10.33%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5,230 | 2.56%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453 | 0.22% |
합계 | 203,539 |
부산진구 갑 지역에서는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과반이 넘는 53.7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김영삼 후보의 정치적 기반인 부산 지역의 강력한 지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3.15%를 득표하였고,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10.33%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2. 3. 6. 부산진구 을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48,351 | 57.12%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27,089 | 32.00%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6,873 | 8.1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2,158 | 2.54%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173 | 0.20% |
합계 | 84,644 |
```
부산진구 을 지역에서는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57.1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가 부산직할시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지지세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결과였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2.00%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8.11%로 3위에 머물렀다.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후보와 한주의통일한국당 신정일 후보는 각각 2.54%, 0.20%의 저조한 득표율을 보였다.
2. 3. 7. 동래구 갑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85,320 | 57.51%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100,414 | 31.16%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6,804 | 8.31%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9,213 | 2.85%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476 | 0.14% |
합계 | 322,227 |
13대 대선에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57.51%의 득표율로 부산직할시 동래구 갑 지역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김영삼 후보의 정치적 기반인 부산 지역의 강력한 지지를 보여주는 결과였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1.16%로 2위를 기록하였지만, 김영삼 후보에 비해 현저히 낮은 득표율을 보였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8.31%를 기록하며, 부산 지역에서 야권 분열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3. 8. 동래구 을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86,596 | 55.85%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50,946 | 32.86%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2,616 | 8.13%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4,533 | 2.92%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343 | 0.22% |
합계 | 155,034 | 100% |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55.85%의 득표율로 해당 지역에서 승리하였다. 이는 부산 출신인 김영삼 후보에 대한 지역 유권자들의 강력한 지지를 보여주는 결과였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2.86%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지만, 김영삼 후보와의 격차는 상당했다.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8.13%의 득표율에 그쳤다.
2. 3. 9. 남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69,536 | 56.21%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98,268 | 32.58%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5,500 | 8.45%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7,843 | 2.60%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434 | 0.14% |
합계 | 301,581 |
```
부산 남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56.21%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32.58%)를 크게 앞서는 결과이며,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8.45%로 저조한 득표율을 보였다. 부산 출신인 김영삼 후보의 높은 인기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특히, 1987년 당시 야권의 심장과도 같았던 부산에서, 그것도 보수적인 유권자들이 많은 남구에서 김영삼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다는 점은 그의 정치적 영향력을 시사한다.
2. 3. 10. 북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138,075 | 54.63%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80,047 | 31.67%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27,242 | 10.77%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6,771 | 2.67%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584 | 0.23% |
합계 | 252,719 |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부산직할시 북구 지역의 결과이다.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54.63%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부산 지역이 김영삼 후보의 정치적 기반이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는 31.67%로 2위를 기록했고,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10.77%로 3위를 차지했다.
2. 3. 11. 해운대구
wikitext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66,506 | 52.95%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43,787 | 34.86%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1,710 | 9.32%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3,356 | 2.67%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221 | 0.17% |
합계 | 125,580 |
부산 해운대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52.95%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34.86%)를 크게 앞서는 결과이며,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는 9.32%로 3위에 그쳤다. 김영삼 후보의 높은 득표율은 부산 지역에서의 강력한 지지 기반을 보여주는 동시에, 1987년 민주화 운동의 열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2. 3. 12. 사하구
wikitable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영삼 | 통일민주당 | 92,115 | 57.83% |
노태우 | 민주정의당 | 47,786 | 30.00%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14,935 | 9.37% |
김종필 | 신민주공화당 | 4,198 | 2.63% |
신정일 | 한주의통일한국당 | 237 | 0.14% |
합계 | 159,271 |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는 부산직할시 사하구에서 57.83%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30.00%)보다 27.83%p 높은 수치이다. 김영삼 후보는 부산 출신으로, 지역 기반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3. 결론 및 시사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