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대법원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대법원장은 대한민국 대법원의 수장으로,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하며 임기는 6년 단임이다. 대법원장은 대법관 및 헌법재판관 후보를 추천하고, 일반 법원의 행정 업무를 관할하며, 하급 법원 판사 및 법원 직원을 임명하는 권한을 갖는다. 역대 대법원장으로는 김병로, 조용순, 조진만, 민복기, 이영섭, 유태흥, 김용철, 이일규, 김덕주, 윤관, 최종영, 이용훈, 양승태, 김명수, 조희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법원 구성 - 대한민국의 대법관
    대한민국의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임명되며, 13명의 대법관과 대법원장 1명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6년이며, 헌법과 법률에 따라 중요한 사법적 결정을 내린다.
  • 대한민국의 대법원 구성 - 대한민국 대법원
    대한민국 대법원은 1948년 제헌 헌법에 따라 설치된 대한민국의 최고 법원으로서, 일반 및 군사 법원의 최종 상고심을 담당하며, 대법원장과 13명의 대법관으로 구성되어 법률 이하 규정의 재판심사권과 선거 관련 분쟁 및 법관 징계 사건 등을 처리하고, 법원행정처, 사법연수원 등 산하 기관을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법원장 - 민복기
    민복기는 친일파 아버지 아래 일제강점기 판사로 활동 후 해방 후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최장수 대법원장을 역임하며 사법계에 기여했으나, 인혁당 사건과 친일 행적, 권력 유착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대법원장 - 양승태
    양승태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대법원장과 대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나,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으로 기소되어 대한민국 최초로 구속된 대법원장이 되었다.
  • 대한민국의 대법관 - 신영철 (법조인)
    신영철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장과 대법관을 역임했으며, 촛불 시위 관련 재판 관여 의혹으로 탄핵소추안이 발의되었으나 부결된 후 현재는 변호사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대법관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의 대법원장
조희대 대법원장 취임식
직위대법원장
소속 기관대한민국 대법원
원어 명칭대한민국 대법원장
원어 명칭 (언어)ko
대한민국 법원 휘장
대한민국 법원기
현직조희대
현직 시작일2023년 12월 8일
소속 부서대한민국 대법원
호칭재판장님
공식 호칭 (비공식)대법원장님
공식 호칭 (법정 내)재판장님
지위대법원장
구성원대법관회의 구성원
관저대법원장 공관
위치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임명권자대통령
임명권자 조건( 국회 동의 필요)
임기6년, 연임 불가
근거 법령대한민국 헌법
웹사이트공식 영어 웹사이트
설립일1948년 8월 5일
초대 대법원장김병로
정치
국가대한민국
임명권자대통령
임기6년
초대김병로
성립1948년
관할대한민국 사법부
법률대한민국 헌법
인권인권
입법부
국회국회
국회의장국회의장 : 우원식 (무소속)
국회부의장국회부의장 :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주호영 (국민의힘)
국회의원 목록22대 국회의원 목록
행정부
대통령대통령
대통령 명단명단
현 대통령윤석열 (국민의힘)
국무총리국무총리
현 국무총리한덕수 (무소속)
행정 구역행정 구역
국무회의국무회의
사법부
대법원대법원
대법원장대법원장 : 조희대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헌법재판소장 : 이종석
선거
대통령 선거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국회의원 선거
지방 선거지방 선거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
정당
정당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한반도 분쟁
남북통일남북통일
햇볕정책햇볕정책
대외 관계
대외 정책대외 정책
외교부외교부
재외공관재외공관
외국공관외국공관
여권여권
비자 면제 국가비자 요건
비자 정책비자 정책

2. 임명 및 임기

대법원장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대한민국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2][3] 대법원장의 임기는 6년이며, 연임할 수 없다. 대법원장의 정년은 70세이다.

3. 권한과 의무

대한민국 대법원장은 대법관 중 한 명으로서 대법원의 판결에 참여한다. 그러나 대법원장은 14명의 대법관 중 3분의 2 이상이 참여하는 전원합의체에서 재판장으로서만 참여한다.[4]

대법원장은 대한민국 모든 일반 법원을 포함하는 일반 사법부의 수장으로서 일반 법원의 정치적 및 행정적 업무를 관할한다.[5]


  • 대법원장은 헌법 제104조 제2항에 따라 다른 13명의 대법관 후보자를 추천한다. 모든 대법관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한민국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임명하지만, 대법원장이 각 대법관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은 대한민국 대법원 구성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한다.
  • 대법원장은 헌법 제111조 제3항에 따라 9명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중 3명의 후보자를 지명한다. 모든 헌법재판관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임명하지만, 대법원장의 후보자 지명은 대통령의 최종 임명에 일반적으로 반영된다. 다른 6명의 헌법재판관 중 3명은 대한민국 국회에서 선출하고, 나머지 3명은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다.
  • 대법원장은 대법원장을 포함한 14명의 모든 대법관으로 구성된 대법관회의의 의장을 역임하며, 법원조직법 제16조 제1항 및 제17조에 따라 일반 법원의 행정 업무를 감독한다. 투표 결과가 동률일 경우 대법원장이 결정표를 행사한다.
  • 대법원장은 법원조직법 제68조 제1항에 따라 대한민국 일반 법원의 모든 사법 행정 문제를 관할하는 중앙 조직인 법원행정처의 처장으로 13명의 대법관 중 1명을 임명한다.
  • 대법원장은 헌법 제104조 제3항에 따라 대법관회의의 동의를 얻어 하급 일반 법원의 모든 판사를 임명한다. 이 조항의 상당한 권한은 법원조직법 제44조 제1항 및 제44조의2 제3항에 명시되어 있다. 법원조직법 제44조의2 제3항에 따라 대법원장은 하급 일반 법원의 모든 판사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판사의 인사 문제(예: 판사의 의사에 반하여 하급 법원에서 다른 하급 법원으로 전보하거나, 하급 법원 판사의 10년 임기 갱신을 거부하는 것)에 반영한다.[6]
  • 대법원장은 또한 법원조직법 제53조, 제53조의2 및 제54조에 따라 모든 법원 서기관 및 법원 직원(독일의 ''Justizfachwirt''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사법보좌관 포함)을 임명한다.
  • 대법원장은 법원조직법 제9조 제3항에 따라 일반 법원의 행정과 관련된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에 관한 의견서를 대한민국 국회에 제출할 수 있다.

4. 역대 대법원장

다음은 대한민국의 역대 대법원장 목록이다.

번호이름재임 기간임명자학력
1김병로1948년 8월 5일1957년 12월 14일이승만일본대학
2조용순1958년 6월 9일1960년 5월 10일경성법학전문학교
3조진만1961년 6월 30일1968년 10월 19일박정희경성제국대학
41964년 1월 판사회의에서 선출
5민복기1968년 10월 21일1978년 12월 21일박정희경성제국대학
6colspan="2" |
7이영섭1979년 3월 22일1981년 4월 15일경성제국대학
8유태흥1981년 4월 16일1986년 4월 15일전두환간사이대학
9김용철1986년 4월 16일1988년 6월 19일서울대학교
10이일규1988년 7월 6일1990년 12월 15일노태우간사이대학
11김덕주1990년 12월 16일1993년 9월 10일서울대학교
12윤관1993년 9월 25일1999년 9월 24일김영삼연세대학교
13최종영1999년 9월 25일2005년 9월 24일김대중서울대학교
14이용훈2005년 9월 25일2011년 9월 24일노무현서울대학교
15양승태2011년 9월 25일2017년 9월 24일이명박서울대학교
16김명수2017년 9월 25일2023년 9월 24일문재인서울대학교
-안철상 (권한대행)2023년 9월 24일2023년 12월 7일-건국대학교
17조희대2023년 12월 8일현직윤석열서울대학교


4. 1. 미군정기 대법원장

(현 서울특별시)경성전수학교
(현 서울대학교)3대김용무1946년 5월 19일~1948년 8월 5일전라남도 무안군주오 대학미군정 사법부장, 반민특위 재판관4대김병로1948년 8월 6일~1948년 9월 12일전라북도 순창군메이지 대학과도정부 사법부장


4. 2. 대한민국 대법원장

(현 서울특별시)경성전수
(현 서울대)권한대행배정현1960년 5월 17일~1961년 6월 29일경기 한성
(현 서울특별시)3대조진만1961년 6월 30일~1964년 1월 31일경기 인천
(현 인천광역시)경성법학전문
(현 서울대)4대1964년 2월 1일~1968년 10월 19일5대민복기1968년 10월 21일~1973년 3월 13일경기 한성
(현 서울특별시)경성제대
(현 서울대)6대1973년 3월 14일~1978년 12월 21일권한대행이영섭1978년 12월 22일~1979년 3월 22일경기 양주경성제대
(현 서울대)7대1979년 3월 23일~1981년 4월 15일8대유태흥1981년 4월 16일~1986년 4월 15일충남 홍성일본 간사이대9대김용철1986년 4월 16일~1988년 6월 17일경북 성주서울대권한대행이정우1988년 6월 18일~1988년 7월 18일경남 진양
(현 진주시)고려대10대이일규1988년 7월 19일~1990년 12월 15일경남 통영간사이대학11대김덕주1990년 12월 16일~1993년 9월 11일충남 부여서울대권한대행최재호1993년 9월 12일~1993년 9월 24일경북 고령서울대12대윤관1993년 9월 25일~1999년 9월 22일전남 해남연세대13대최종영1999년 9월 23일~2005년 9월 23일강원 강릉서울대14대이용훈2005년 9월 26일~2011년 9월 23일전남 보성서울대15대양승태2011년 9월 25일~2017년 9월 24일경남 밀양서울대16대김명수2017년 9월 25일~2023년 9월 24일부산서울대권한대행안철상2023년 9월 25일~2023년 12월 8일경남 합천건국대17대조희대2023년 12월 8일~2027년 6월 5일경북 경주서울대


5. 역대 임명동의안 국회 표결 결과

임명권자후보자날짜투표 결과결과국회
찬성반대기권무효
이승만김병로1948년 8월 5일1173136가결제헌
조용순1958년 6월 16일2106가결제4대
박정희조진만1964년 1월 27일1035312가결제6대
민복기1968년 10월 10일1032232가결제7대
1973년 3월 13일190172가결제9대
이영섭1979년 3월 21일1911351가결제10대
전두환유태흥1981년 4월 16일2342064가결제11대
김용철1986년 3월 22일1562가결제12대
노태우정기승1988년 7월 2일141613414부결제13대
이일규1988년 7월 5일275143가결제13대
김덕주1990년 12월 10일190703가결제13대
김영삼윤관1993년 9월 24일2521321가결제14대
김대중최종영1999년 9월 20일211502가결제15대
노무현이용훈2005년 9월 14일2126131가결제17대
이명박양승태2011년 9월 21일227171가결제18대
문재인김명수2017년 9월 21일16013413가결제20대
윤석열이균용2023년 10월 6일1181752부결제21대
조희대2023년 12월 8일2641810가결제21대


참조

[1] 뉴스 Supreme Court's leadership vacuum looms after chief justice nominee rejected https://en.yna.co.kr[...] 2023-10-16
[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elaw.klri.r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22-04-04
[3] 웹사이트 COURT ORGANIZATION ACT https://elaw.klri.r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22-04-04
[4] 일반텍스트
[5] 웹사이트 German law experts parse differences in Korea's judiciary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18-11-12
[6] 일반텍스트
[7] 웹사이트 Former Chief Justices https://eng.scourt.g[...] Supreme Court of Korea website 2022-05-12
[8] 뉴스인용 청와대, 헌재소장 의전서열 국무총리 앞으로 https://www.lawtimes[...] 2006-04-01
[9] 뉴스인용 총리는 헌법재판소장 뒤에 앉아야…靑, '의전서열' 변경 https://n.news.naver[...] 2006-03-31
[10] 뉴스인용 “청와대 의전서열 헌재소장·총리順” https://n.news.naver[...] 2006-04-01
[11] 뉴스 <'3부요인 및 헌법기관장' 명칭과 의전서열> https://n.news.naver[...] 2006-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