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곤인은 말리 중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반디아가라 절벽을 중심으로 독특한 지리적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왔다. 부계 혈족 사회를 이루며, 가면 문화와 종교 의식이 발달했다. 도곤인들은 농업을 주로 하며, 독특한 건축 양식의 마을을 형성한다. 전통 종교 외에도 이슬람교와 기독교를 믿는 이들이 존재한다. 그들의 언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천문학 관련 신화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콩고족 - 풀라족
풀베족은 서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하며 스스로를 풀베족이라 부르지만 풀라니족, 풀라족 등으로도 불리는 민족으로,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목축을 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민담을 지니고 이슬람교를 믿지만 일부 전통 종교의 영향도 남아있고, 토지 및 자원 분쟁으로 갈등을 겪기도 한다. - 니제르콩고족 - 아샨티인
아샨티인은 17세기 말 중앙 집권적 왕국으로 발전하여 주변 국가를 정복하고, 현재 가나 경제에 기여하며 아다에 축제와 모계 사회 등의 문화를 가진 민족이다. - 니제르의 민족 - 투부족
투부족은 사하라 사막 지역에 거주하며 테다족과 다자족으로 구성된 민족으로, 가축을 기르고 농사를 지으며 탄산나트륨을 채취하고, 부계 씨족 중심의 사회를 이루며, 지역 분쟁에도 연루되었다. - 니제르의 민족 - 하우사인
하우사인은 나이지리아 북부와 니제르 남부에 주로 거주하며, 아프리카 각지에 퍼져 살고 있는 아프리카 민족 집단으로, 나이지리아의 3대 민족 중 하나이며,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하우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이 많다. - 말리의 민족 - 만딩카족
만딩카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며 말리 제국 건설의 중심 역할을 했고, 풍부한 구전 전통, 이슬람 문화와 전통 신앙의 혼합, 독특한 악기를 사용하는 음악 등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민족 집단이다. - 말리의 민족 - 밤바라족
밤바라족은 말리 서부에 거주하며 만딩카족 왕족에서 기원한 만데족의 분파로, 이슬람 세력에 저항한 역사와 독자적인 종교 문화를 지니고 전통적인 카스트 제도와 '톤'이라는 연령별 사회 조직을 유지하며 밤바라어를 사용한다.
도곤인 | |
---|---|
기본 정보 | |
![]() | |
총 인구 | 1,591,787명 |
인구 조사 년도 | 2012–2013년 |
거주 지역 | 말리 |
인구 비율 | 말리 인구의 8.7% (1,751,965명) |
종교 | 아프리카 전통 종교 이슬람교 기독교 |
사용 언어 | 도곤어 방기메어 프랑스어 |
2. 지리 및 역사
도곤 사회는 부계 혈족 제도를 기반으로 조직된다. 각 마을이나 확대 가족은 남성 연장자가 이끌며, 이 족장은 해당 가족의 지역 분파 조상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생존 아들이다. 사회적으로는 가면 결사나 연령 집단과 같은 정치적 조직이 확립되어 있으며, 호곤이라고 불리는 촌장이 마을 운영을 담당한다.[17][18] 호곤은 마을의 정신적, 정치적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며, 마을의 지배적인 가문 출신 남성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 중에서 선출된다.
도곤인의 주요 거주 지역은 반디아가라 절벽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이 사암 절벽은 높이가 최대 500m에 달하며, 약 150km 길이로 뻗어 있다. 절벽의 남동쪽으로는 모래로 덮인 세노-곤도 평원이 펼쳐져 있고, 북서쪽에는 반디아가라 고지대가 자리 잡고 있다. 역사적으로 도곤족은 이슬람으로의 개종을 거부하고 이슬람 세력이 지배하는 지역에서 물러나면서 약 1000년 전에 이 반디아가라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4]
이러한 역사적 압박 속에서 도곤족은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험준한 절벽을 따라 방어에 유리한 곳에 마을을 건설했다. 정착지 위치 선정에는 물을 쉽게 얻을 수 있는지도 중요한 요소였다. 니제르강이 비교적 가까이 있으며, 우기에는 사암 절벽 곳곳에서 물이 흘러내려 절벽 아래 낮은 지대에 작은 개울을 형성한다.
도곤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구전 설화가 전해진다. 그중 하나는 말리 만데 지역(바마코 근처, 반디아가라 절벽 남서쪽)에서 왔다는 이야기이다. 이 설화에 따르면, 첫 도곤 정착지는 절벽의 가장 서남쪽 지역인 카니-나에 세워졌다고 한다.[5][6] 도곤 지역에 대한 고고학 및 민족고고학 연구는 수천 년에 걸친 이 지역의 정착 역사, 환경 변화, 사회 관습 및 기술 발전에 대해 많은 정보를 밝혀내고 있다.[7][8][9]
시간이 흐르면서 도곤족은 절벽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했고, 15세기경에는 상가 지역에 도달했다.[10] 다른 구전 역사에서는 도곤족이 니제르강 서쪽에서 왔거나 동쪽에서 왔다고도 이야기한다. 오늘날의 도곤족은 이슬람화를 피해 이주해 온 다양한 기원을 가진 여러 집단이 섞여 형성된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11]
도곤족의 역사에서 이슬람 이전과 이후의 관행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슬람법은 도곤족을 비롯한 이 지역의 여러 민족(모시, 구르마, 보보, 부사, 요루바 등)을 이교도 지역, 즉 '다르 알 하르브'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이로 인해 도곤족은 상인들이 조직한 노예 습격의 대상이 되었다.[12]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노예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으며, 역사적으로 침략자들은 원주민 남성을 살해하고 여성과 어린이를 노예로 삼는 패턴을 보였다.[13]
거의 1000년 동안,[15] 말리의 고대 민족인 도곤족은[14] 지배적인 이슬람 공동체의 지하드(성전)를 통한 종교적, 민족적 박해에 시달려왔다.[15] 이러한 지하드는 도곤족에게 전통적인 종교 신념을 버리고 이슬람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기 위해 벌어졌다. 이러한 끊임없는 위협 때문에 도곤족은 원래 살던 마을을 버리고, 방어를 강화하고 박해를 피하기 위해 접근하기 어려운 반디아가라 절벽으로 이주했으며, 종종 절벽의 작은 틈새나 구석진 곳에 거주지를 마련해야 했다.[15][16]
3. 사회
6월부터 10월까지의 우기에는 수수, 기장, 옥수수, 벼(쌀), 포니오, 양파, 담배, 땅콩, 기타 채소 등을 재배하고, 건기에는 인공 연못을 만든다. 프랑스 인류학자 마르셀 그리올의 영향으로 상가 지역에서는 댐 건설과 양파 재배가 이루어져 경제적으로 큰 성장을 이루기도 했다. 여성들은 마을 밖 숲에서 야생 과일, 덩이줄기, 견과류, 꿀 등을 채집하며, 일부 젊은 남성들은 작은 동물을 사냥한다. 가축으로는 닭, 양, 염소를 기르지만 경제적 비중은 크지 않다.[30] 도곤족은 4일마다 열리는 시장에서 풀라니족, 줄라족 등 인접 부족과 교역하며, 주로 양파, 곡물, 면화, 담배 등을 판매하고 설탕, 소금, 유럽 상품, 우유, 버터, 말린 생선 등을 구매한다.
마을은 주로 물 근처 절벽을 따라 형성되며, 평균적으로 족장의 집인 '기나'를 중심으로 약 44채의 집으로 구성된다. 집들은 서로 가깝게 지어져 벽과 바닥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도곤 마을의 주요 건물은 다음과 같다.
도곤족은 가면 문화가 발달하여 이를 이용한 무용과 제의가 특징적이다. 제사는 대부분 건기에 행해지며, 선조를 기리거나 씨족의 토템을 모시는 제사, 남자 결사에 의한 제사 등이 있다. 특히 60년에 한 번 열리는 시기 축제는 조상의 영적인 힘을 상징하는 뱀 모양의 대가면을 봉납하는 중요한 의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오늘날 도곤족의 약 35%는 이슬람교를, 10%는 기독교를 믿는다. 이들 일신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전통적인 우상 숭배 관습을 버렸다. 전통 종교를 유지하는 사람들은 별의 중요성과 창조신 아마를 믿는 경향이 있다.[28]
3. 1. 카스트 제도
도곤 사회에는 대장장이와 가죽 세공인이라는 두 개의 내혼 카스트가 존재한다. 이들 카스트 구성원은 마을의 다른 사람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마을 가장자리나 마을 밖에 거주한다. 카스트는 특정 직업과 관련이 있지만, 카스트 소속은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다.
대장장이는 중요한 의례적 권력을 가지며, 특징적으로 가난하다. 반면, 가죽 세공인들은 다른 민족 집단과의 활발한 교역을 통해 부를 쌓는다. 일반적인 도곤 사회의 규범과 달리, 카스트 내에서는 동종 사촌 결혼이 허용된다. 또한 카스트 출신의 소년들은 할례를 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3. 2. 결혼
대부분의 결혼은 일부일처제이지만, 도곤 문화에서는 비자매 일부다처제 결혼도 허용된다. 그러나 실제로 남자가 두 명 이상의 아내를 두는 경우는 드물다. 일부다처제 결혼에서 아내들은 남편의 거주 구역 내에 있는 별도의 집에 산다. 첫 번째 아내인 '야 비루'는 나중에 결혼한 아내들보다 가족 내에서 더 높은 지위를 가진다. 공식적으로 아내는 첫 아이를 낳은 후에야 남편의 집에 합류한다. 아내 선택은 남자의 부모가 하며, 결혼은 씨족과 카스트 내의 사람들과만 해야 하는 내혼제의 형태를 띤다.[29]
여성은 첫 아이를 낳기 전, 결혼 초기에 남편을 떠날 수 있다. 부부가 함께 아이를 낳은 후에는 이혼이 드물고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며, 마을 전체의 참여가 필요하다. 이혼은 일부일처제 결혼보다 일부다처제 결혼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이혼할 경우, 여성은 막내 아이만 데리고 가고 나머지 아이들은 남편의 집에 남는다. 도곤족의 확대 가족은 최대 100명에 이르기도 하며, 이를 '구인나'라고 부른다.
3. 3. 할례
도곤족은 남성과 여성 모두 태어날 때 양쪽 성별의 요소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클리토리스는 남성적인 부분으로, 포피는 여성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23] 할례는 이러한 이중적인 영혼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32] 각 성별이 고유한 신체적 정체성을 갖도록 하는 의식으로 간주된다.
소년들은 3년 주기의 연령 집단별로 할례를 받는데, 예를 들어 9세에서 12세 사이의 모든 소년이 한 번에 받는다. 이는 소년기의 끝을 알리는 입문 의식의 일부이며, 대장장이가 할례를 집도한다. 할례를 받은 소년들은 상처가 아물 때까지 며칠 동안 마을 사람들과 떨어진 오두막에서 지낸다. 할례는 축하의 대상이며, 입문을 마친 소년들은 마을을 다니며 선물을 받는다. 이들은 나무 막대와 바가지로 만든 특별한 악기로 딸랑이 소리를 내며 연주한다.
할례를 받은 젊은이들은 이제 어엿한 남자로 인정받으며, 시술 후 한 달 동안은 자신의 성취를 부족 전체가 존경할 수 있도록 알몸으로 생활한다. 이 관습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 내려왔으며, 추운 겨울에도 예외 없이 지켜진다.
소년이 할례를 받으면 청년으로 인정되어 아버지의 집을 떠난다. 같은 연령대의 남성들은 결혼하여 자녀를 가질 때까지 '두녜'(duñedog)라고 불리는 곳에서 함께 생활한다.[33]
도곤족은 여성 성기 절제를 시행하는 여러 아프리카 부족 중 하나이며, 주로 클리토리스를 제거하는 유형 I 여성 할례를 행한다.[34]
송호 마을에는 동물과 식물을 그린 붉고 흰 동굴 벽화로 장식된 할례 동굴이 있다. 이 동굴 근처에는 악기를 보관하는 또 다른 동굴이 있다.
4. 문화
도곤 사회는 부계 혈족 제도를 기반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각 마을이나 확대 가족은 가장 나이가 많은 남성 연장자가 이끈다. 이 족장은 해당 가족의 지역 분파 조상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생존 아들이다. 사회적으로는 이러한 부계 혈통 집단 외에도 가면 결사나 연령 집단과 같은 정치적 조직이 확립되어 있으며, 호곤이라고 불리는 촌장이 마을 운영의 중심 역할을 한다.
도곤족의 생활은 계절에 따라 구분된다. 6월부터 10월까지 이어지는 우기에는 도우진비에, 옥수수, 벼, 포니오, 양파 등을 주로 재배하며, 건기에는 인공 연못을 만들어 물을 관리한다.
종교적으로는 오늘날 최소 35%가 이슬람교를, 10%가 기독교를 믿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일신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전통적인 우상 숭배 관습에서 벗어났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도곤족이 전통 신앙을 유지하고 있다. 도곤족은 복잡한 신화와 우주관을 포함한 독특한 지식 체계를 구전으로 전승해왔으며,[19] 이는 프랑스 인류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외부 세계에 알려졌다.[17][18] 전통 신앙의 핵심에는 창조신 아마(Amma)가 있다.[28]
도곤 문화에서 가면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교한 가면을 사용하는 무용과 제의가 발달했다. 제사는 주로 건기에 행해지며, 선조를 기리는 제사, 씨족의 토템을 모시는 제사, 남자 결사에 의한 제사 등 다양하다. 특히 60년마다 열리는 시기 축제는 도곤족의 가장 중요하고 널리 알려진 의식이다.[24]
4. 1. 예술
도곤 예술은 주로 조각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교적 가치, 이상, 자유를 중심으로 한다(Laude, 19). 도곤 조각품은 공개적으로 전시하기 위해 만들어지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가족의 집, 성소, 또는 호곤과 함께 보관되어 대중의 눈에 띄지 않게 한다(Laude, 20). 이러한 비밀 유지는 조각품 뒤에 숨겨진 상징적인 의미와 조각품이 만들어지는 과정 때문에 중요하다.도곤 조각품에서 발견되는 주제는 다양하다. 팔을 든 인물, 겹쳐진 수염을 가진 인물, 기마상, 여인상이 있는 의자, 아이를 안은 여성, 얼굴을 가린 인물, 좁쌀을 가는 여성, 머리에 그릇을 이고 있는 여성, 잔을 든 당나귀, 음악가, 개, 네발 동물 모양의 물통 또는 벤치, 허리를 굽힌 인물, 거울상, 앞치마를 두른 인물, 서 있는 인물 등이 있다(Laude, 46–52).
도곤 예술에는 다른 문화와의 접촉 및 기원의 흔적도 나타난다. 도곤인은 반디아가라 절벽의 최초 거주자가 아니었으며, 텔렘 예술의 영향이 직선적인 디자인을 통해 도곤 예술에 나타난다(Laude, 24).

4. 2. 가면극
아와는 의례적, 사회적 중요성을 지닌 가면 춤 사회이다. 아와 사회는 엄격한 예절, 의무, 금지 사항, 그리고 비밀 언어('sigi sǫ')를 가지고 있다. 일부 카스트 구성원을 제외한 모든 도곤 남성은 아와에 참여해야 하지만, 여성은 참여와 비밀 언어 학습이 금지되어 있다. '아와'는 의례 동안 회원들이 착용하는 복잡한 가면으로 특징지어진다. 아와 사회가 주관하는 주요 행사로는 '시기(Sigi)' 의례와 '다마(Dama)' 장례 의례가 있다.[35]'시기'는 최초의 선조들을 기리고 인정하는 사회 전체의 의례이다. 이는 도곤 마을 간의 화합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며, 도곤족 모든 구성원이 참여한다. 도곤 지역 북동부에서 시작하여 각 마을이 돌아가며 약 1년 동안 정교한 축제와 의식을 개최한다. 이 기간에 새로운 가면이 조각되어 조상에게 바쳐진다. 새로운 '시기'는 60년마다 시작되며, 이는 시기 축제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다마'는 고인의 영혼을 최종 안식처로 인도하기 위한 가면극 중심의 장례 의례이다. 전통적으로 다마는 사망 직후의 의례와 몇 년 후에 열리는 두 번째 의례로 구성되지만, 비용 문제로 두 번째 의례는 점차 드물어지고 있다. 오늘날 다마는 본래 목적보다는 관광객을 위한 공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도곤족은 이를 통해 수입을 얻기도 한다(Davis, 68). 다마 의례에서는 다양한 가면과 함께 조각, 조각상이 사용된다. 각 마을은 고유한 가면 디자인과 다마 의례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다마는 고인의 사망 직후 하루 동안 열리는 '할릭(Halic)'이라는 행사로 구성된다(Davis, 68).
숀 R. 데이비스(Shawn R. Davis)에 따르면, 할릭 의례는 ''잉임(yingim)''과 ''다님(danyim)'' 요소를 통합한다. ''인코몰리(yincomoli)'' 의식에서는 고인의 나무 사발, 괭이, 매장 담요(''bundukamba'') 위로 호리병을 깨뜨린다. 이는 가면을 쓴 사람들의 등장을 알리는 신호이며, 고인의 집으로 들어가는 행위는 의례적 요소로 장식된다(Davis, 72–73).

인코몰리 의식에 사용되는 가면에는 풀라니 여성을 흉내 내는 '야나 굴라이(Yana Gulay)', 여성 조상을 나타내며 영혼을 사후세계로 인도하는 '사팀베(Satimbe)', 시기 의식을 경험한 남성의 장례에만 사용되는 키 큰 '시리게(Sirige)', 그리고 고인을 상징하는 매장 담요 옆에서 춤추는 '카나가(Kanaga)' 등이 있다(Davis, 74, 68).
잉임과 다님 의례는 각각 며칠 동안 지속되며, 마지막 다마 이후 사망한 장로들을 기리기 위해 매년 열린다. 잉임 의례에서는 소나 다른 귀중한 동물을 희생하고, '냐마(nyama)'라고 알려진 영혼을 고인의 몸과 마을에서 쫓아내 사후세계로 보내기 위한 가짜 전투를 벌인다(Davis, 68).
다님 의례는 잉임 몇 달 후에 열린다. 이 기간 동안 가면을 쓴 사람들은 마을의 관습에 따라 최대 6일 동안 매일 아침과 저녁에 춤을 춘다. 춤은 고인의 집 지붕, 마을 곳곳, 그리고 주변 들판에서 이루어진다(Davis, 68). 모든 춤과 의식이 끝날 때까지 마을에 닥치는 불행은 죽은 자의 남은 영혼 탓으로 여겨질 수 있다(Davis, 68).
도곤 사회에서 가면 결사는 중요한 정치적 조직의 일부이며, 가면 문화는 무용과 제의를 통해 발달하였다. 제사의 대부분은 건기에 행해지며, 선조를 기리는 제사, 씨족의 토템을 모시는 제사, 남자 결사에 의한 제사 등이 있다.
4. 3. 종교
오늘날 도곤족의 약 35%는 이슬람교를, 10%는 기독교를 믿으며, 이들 일신교를 받아들인 이들은 전통적인 우상 숭배 관습을 버렸다. 그러나 상당수의 도곤족은 여전히 전통 종교를 따르고 있다.도곤 사회는 부계 혈족 제도로 조직되어 있으며, 각 마을이나 확대 가족은 남성 연장자가 이끈다. 이 족장은 해당 가족의 지역 분파 조상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생존 아들이다.
도곤 전통 종교의 주요 상징들은 1946년 10월, 눈먼 도곤족 장로 오고테멜리가 프랑스 인류학자 마르셀 그리올에게 전수한 내용을 통해 알려졌다.[17] 그리올은 오고테멜리를 만나기 전 이미 15년 동안 도곤족과 함께 생활했으며, 오고테멜리는 아버지와 할아버지로부터 배운 종교 이야기를 20년 이상에 걸쳐 구두로 전수했다.[18] 이 기록은 도곤족이 당시까지 구전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서아프리카에서 프랑스 통치를 받게 된 마지막 민족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하다.[17]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그리올과 제르멘 디에터렌과 협력했던 도곤족은 수천 개의 상징 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자체적인 천문학 및 달력 측정 시스템, 계산 방법, 광범위한 해부학 및 생리학 지식, 체계적인 약전" 등을 포함했다.[19] 이 종교는 다른 전통 아프리카 종교처럼 자연의 여러 측면을 포용했다.
종교의 핵심적인 영적 존재는 눔모/놈모 쌍둥이이다. 오고테멜리에 따르면, 눔모는 "물"이라고도 불리며, 녹색 피부와 털을 가졌고,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뱀의 형상을 했다. 눈은 붉고 혀는 갈라졌으며, 팔은 유연하고 관절이 없었다.[20] 오고테멜리는 눔모를 양성자로 설명했으며, 그들의 형상은 도곤 성소의 여성적인 측면에 나타났다.[21] 눔모는 주로 여성성을 상징하는 태양으로 표현되었는데, 도곤어에서 태양(''nay'')은 "어머니"(''na'')와 "소"(''nā'')와 어원이 같았다.[22] 또한 여성성을 상징하는 붉은색으로 표현되기도 했다.
도곤 신화에서는 "쌍둥이 출생" 대 "단일 출생", 즉 양성성 대 단성성의 문제가 태초의 혼란을 야기했다고 본다. 오고테멜리는 "자칼은 태어날 때부터 혼자였고, 이 때문에 말로 다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일을 했다"고 설명했다.[23] 도곤 남성들은 주로 단성 남성인 자칼과 지구의 죽음과 관련된 '시기(Sigi)' 축제와 연관된다. 이 축제는 60년마다 열리며, 백색 왜성인 시리우스 B를 기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이러한 천문학적 지식의 기원에 대해서는 시리우스 미스터리와 관련된 많은 추측이 있다. 흰색은 남성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시기 소(Sigi so)' 또는 '마스크 협회(awa)'의 남성 고위 인사들에게 가르쳐진 의례 언어는 일반 도곤어인 '도고 소(Dogo so)' 어휘의 약 4분의 1만 포함하는 제한적인 언어였다. '시기 소'는 장례식과 '애도 종료(dama)' 의식에서 우주 창조, 인간의 삶, 지구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다.[25]
영혼 없이 태어난 단성 남성 자칼의 출생 때문에, 모든 인간은 결국 단성 생물이 되어야 했다. 이는 자칼과 같은 존재가 다시 태어나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오고테멜리에 따르면, "눔모는 쌍둥이 출생의 원래 규칙이 사라지고 자칼처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예견했다... 그의 고독한 상태 때문에 하나님의 첫 아들이 그렇게 행동했다."[23] 인간에게서 두 번째 성과 영혼을 제거하는 할례 의식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오고테멜리는 "이중 영혼은 위험하다; 남자는 남성이고 여자는 여성이어야 한다. 할례와 절제는 다시 한번 치료법이다."라고 설명했다.[26]
도곤 종교는 이처럼 쌍둥이성 또는 양성성의 상실이라는 주제에 깊이 집중한다. 그리올은 이 점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오고테멜리와의 대부분의 대화는 실제로 쌍둥이에 관한 것이었고, 이중성과 개인의 삶의 배가에 대한 필요성에 관한 것이었다... 원래 여덟 조상은 실제로는 여덟 쌍이었다... 그러나 이 세대 이후 인간은 보통 단독으로 태어났다. 도곤 종교와 도곤 철학은 모두 원래 쌍둥이의 상실에 대한 잊혀지지 않는 감정을 표현했다. 천상의 힘 자체는 이중적이었고, 지구에서의 현현에서 그들은 끊임없이 쌍으로 개입했다..."[27]
그리올 시대에 인간 쌍둥이의 출생은 "모든 존재가 둘씩 존재했던, 인간과 신 사이의 균형의 상징인 엄청난 과거"를 상기시키며 축하받았으며, 이러한 쌍둥이 숭배는 아프리카 전역에 퍼져 있었다고 한다.[27]
전통 종교를 따르는 이들은 별의 중요성과 아마(Amma)라는 창조신을 믿는다. 아마는 지구를 창조하고 여성의 모습으로 빚어 신성한 여성적 원리를 불어넣었다고 여겨진다.[28]
도곤 사회에는 여러 종파가 존재한다.
종파 | 숭배 대상 | 주요 의식 및 특징 |
---|---|---|
암마(Amma) | 창조신 암마 | 연 1회 축제가 열리며, 암마의 원뿔형 제단에 삶은 조를 바치고 제단을 하얗게 칠한다. 다른 모든 종파는 암마를 중심으로 한다. |
시기(Sigui) | 최초 조상의 죽음 상징 | 60년마다 열리는 가장 중요한 의식 (수년 소요). 마지막 의식은 1967년에 시작되어 1973년에 끝났고, 다음 의식은 2027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시기 의식은 인류 최초의 조상(레베와는 다름)의 죽음을 상징하며, 이는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기 이전 시점이다. 시기는 유가 도고루 마을에서 시작되어 여러 달 또는 여러 해에 걸쳐 다른 마을로 이동하는 긴 행렬이다. 모든 남자는 가면을 쓰고 긴 행렬에 맞춰 춤을 춘다. 시기에는 여성이 배울 수 없는 비밀 언어인 시기 소(Sigui so)가 사용된다. 시기 비밀 협회(올루바루)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들은 의식을 오랫동안 준비하며, 의식 전 3개월 동안 마을 밖에서 아무도 볼 수 없게 숨어 지낸다. 시기 협회의 남성들은 올루바루(Olubaru)라고 불린다. 마을 사람들은 올루바루를 두려워하며, 그들이 밖에 나와 있는 밤에는 외출이 금지된다. 시기 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가면은 대가면 또는 가면의 어머니이다. 이 가면은 길이가 여러 미터에 달하며, 얼굴에 쓰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들고 다닌다. 대가면은 60년마다 새로 만들어진다. |
비누(Binu) | 토템 동물 | 마을 전체 또는 개인별 토템 숭배 (예: 물소, 흑표범). 토템 동물은 해를 끼치지 않는다고 믿어지나(예: 아마니 마을의 악어), 잘못을 저지른 자에게는 해를 입힐 수 있다고 여겨진다. 아마니 마을의 연못에 사는 악어들이 사람을 해치지 않는 것이 그 예이다. 숭배자는 자신의 토템 동물을 먹을 수 없다. 만약 이런 일이 우연히 발생하면, 비누 제단에서 의례적 정화 희생(삶은 조, 염소, 닭)을 치러야 한다. 이 희생 제물로 제단을 하얗고 붉게 칠한다. 비누 제단은 문이 있는 작은 집 모양이다. 마을 전체를 위한 제단은 더 크다. 마을 제단에는 구름을 잡고 비를 내리게 하는 구름 갈고리도 있다. |
레베(Lebe) | 조상 레베 세루 (뱀으로 변신한 최초 인간) | 연 1회 축제 (3일). 호곤(Hogon, 최고 사제)은 뾰족한 원뿔형 제단에 삶은 조를 바치고, 여덟 곡물을 언급하며 축복 의식을 행한다. 그 후, 호곤은 레베의 집으로 여겨지는 자신의 집에서 여러 의식을 수행한다. 마지막 날, 마을의 모든 남자는 모든 비누 제단을 방문하고 레베 제단 주위를 세 번 돈다. 호곤은 참석한 모든 사람에게 조 맥주를 나누어 준다. |
쌍둥이 | 고대 쌍둥이 조상 | 쌍둥이의 출생은 행운의 징조로 여겨진다. 가계를 거슬러 올라가 창조 시기의 고대 쌍둥이까지 모든 조상을 기리는 공통 의식을 수행한다. |
모노(Mono) | 마을 입구 제단 | 매년 1월 또는 2월, 미혼 청년들이 모노 제단에서 축제를 연다. 그들은 제단 주위에서 밤을 보내며, 노래를 부르고 소리를 지르며 불횃불을 흔든다. 그들은 새벽에 쥐를 사냥하여 제물로 바친다. |
=== 시리우스 논쟁 ===
도곤족의 전통 종교가 육안 관측이 불가능한 시리우스 항성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는 프랑스 인류학자 마르셀 그리올과 제르멘 디에터렌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1950년 아프리카학 협회지에 발표한 논문 『수단 원주민의 전승에 의한 시리우스 항성계』 등에서 도곤족이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시지 톨로''[43]) 외에 두 개의 동반성, 즉 '포 톨로'(디지타리아 별, 시리우스 B에 해당)와 '엠메 야 톨로'(여성 수수 별, 시리우스 C에 해당 가능성)의 존재를 알고 있다고 보고했다.[44] 도곤족은 포 톨로가 시리우스를 50년 주기로 공전하며, 시리우스에 가까워질 때 밝아진다고 믿었다는 것이다.[45] 또한 토성의 고리와 목성의 위성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46] 그리올과 디에터렌은 "관측 장비 없이 어떻게 사람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 별의 움직임과 특성을 알 수 있었는지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47]
이 주장은 뉴에이지나 고대 우주비행사설 지지자들에 의해 외계 문명 방문의 증거로 인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리올과 디에터렌 연구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도 꾸준히 제기되었다.[48][49] 1991년 인류학자 발터 판 베이크(Walter van Beek)는 현지 조사 후, 도곤족이 '시구 톨로'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 대상이 무엇인지 의견이 분분하며(보이지 않는 별, 금성 등), 대부분 그리올에게서 그 별에 대해 배웠다고 증언했다고 보고했다.[50] 이에 대해 그리올의 딸 제네비에브 칼람-그리올(Geneviève Calame-Griaule)은 판 베이크가 적절한 정보 접근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51][52]
회의론자 이언 리드패스는 1978년, 도곤족이 그리올 방문 이전에 서구 지식을 접할 수 있는 경로가 다수 존재했다고 지적했다.[53] 노아 브로슈(Noah Brosch)는 1893년 일식 관측을 위해 도곤 지역에 머물렀던 프랑스 천문 탐험대와의 접촉 가능성을 제기했다.[54] 로버트 토드 캐롤 역시 현대의 정보원으로부터 지식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55] 제임스 오버그는 이러한 의혹들이 추측에 기반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도, 도곤족의 천문 지식에 포함된 오류들(예: 목성 위성 수, 토성이 가장 먼 행성이며 유일하게 고리를 가졌다는 믿음 등)을 언급하며 논쟁의 복잡성을 강조했다.[56] 제임스 클리포드는 그리올이 전통 지식을 가진 정보원을 선호했으며, 외부 세계와 접촉이 많았던 이들을 불신했다고 지적했다.[57]
한편, 도곤족이 시리우스 B보다 크지만 더 어두운 세 번째 별 '엠메 야'의 존재를 믿었다는 보고는 시리우스 C의 존재 가능성과 연결되기도 했다. 1995년 중력 연구는 시리우스 주위를 6년 주기로 도는 갈색 왜성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했으나,[58] 이후의 적외선 관측 연구에서는 삼중성계의 가능성이 낮다고 결론지었다.[59]
결론적으로 도곤족의 시리우스 관련 지식의 기원이 고대 전승인지, 아니면 근대 이후 외부와의 접촉을 통해 형성된 것인지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4. 4. 신화
천문학에 관한 지식을 많이 가진 도곤인은 그것에서 유래하는 신화를 다수 가지고 있으며, 프랑스의 제르맹 디타렌이나 마르셀 그리올과 같은 연구자들에 의해 그 상세 내용이 소개되었다. 이들의 연구는 1950년 아프리카학 협회지에 '수단 원주민의 전승에 의한 시리우스자리'라는 제목의 학술 논문으로 발표되었다.[40] 다만, 이 신화가 정말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온 것인지, 아니면 외부 문명과의 접촉 이후 창조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도곤인이 높은 수준의 천문학, 자연, 기원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나, 이에 대한 반론도 많다.프랑스 인류학자 마르셀 그리올은 1931년부터 1956년까지 도곤인을 연구했다. 초기 연구(1931년, 1935년, 1937년, 1938년)는 주로 선교의 일환으로 수 일에서 두 달 정도 이루어졌고, 1946년부터 1956년까지는 매년 연구를 진행했다.[41] 1946년 말, 그리올은 도곤족 현인 오고테멜리와 33일 연속으로 대화를 나누었으며, 오고테멜리는 그리올과 제르맹 디타렌의 후속 연구에 중요한 정보원이 되었다.[42]
그리올과 디에테를렌은 도곤인이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시지 톨로' 또는 "시구이의 별"[43])에 두 개의 동반성, 즉 '포 톨로'(디지타리아 별, 시리우스 B)와 '엠메 야 톨로'(여성 수수 별, 시리우스 C)가 있다고 믿는다고 보고했다.[44] 도곤 신화에 따르면, 시리우스 A는 동반성 '포 톨로'의 타원 궤도의 초점 중 하나이며, '포 톨로'는 50년 주기로 시리우스 A 주위를 돈다. '포 톨로'가 시리우스 A에 가장 가까워질 때 별이 밝아지고, 가장 멀어질 때는 여러 개의 별처럼 반짝이는 효과를 낸다고 한다.[45] 또한 도곤인이 토성의 고리와 목성의 위성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46] 그리올과 디에테를렌은 "관측 장비 없이 어떻게 사람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 별의 움직임과 특정 특징을 알 수 있었는지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심지어 제기조차 되지 않았다"고 언급하며 이 지식의 출처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47]
그러나 그리올과 디에테를렌의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이후 많은 비판과 의문이 제기되었다.[48][49] 1991년 인류학자 워터 반 베크는 도곤족 현지 조사 후, "그들이 '시구 톨로'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어떤 별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는 시구이 축제를 알리는 보이지 않는 별이라고 하고, 다른 이들은 금성을 지칭한다. 하지만 모두 그 별에 대해 그리올에게서 배웠다는 점에는 동의한다"고 결론지었다.[50] 이에 대해 그리올의 딸 제네비에브 칼라메-그리오는 반 베크가 적절한 지식 습득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반박하며, 반 베크의 정보 제공자들이 그를 도곤족의 이슬람 정통성을 시험하려는 외부인으로 여겼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51]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앤드루 압터는 이 논쟁에 대해 독립적인 평가를 제공했다.[52]
회의론자 이언 리드패스는 1978년 비판에서 "도곤족이 그리올과 디에테를렌을 만나기 오래전부터 서구 지식을 접할 수 있는 경로는 많았다"고 주장했다.[53] 노아 브로슈는 1893년 4월 16일 일식 연구를 위해 도곤족 영토에 머물렀던 프랑스 천문학자들과의 접촉 가능성을 제기했다.[54] 로버트 토드 캐롤 역시 현대의 정보원들이 도곤족에게 시리우스 항성계 정보를 제공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았다.[55]
제임스 오버그는 이러한 의혹들이 추측에 기반한다고 지적하며, "명백히 발전된 천문 지식의 출처는 불분명하며, 고대의 유산인지 현대의 이식인지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56] 제임스 클리포드는 그리올이 전통 지식을 가진 정보원을 선호했으며, 기독교나 이슬람으로 개종했거나 백인과 교류가 잦았던 이들을 불신했다고 언급했다.[57]
오버그는 도곤족의 지식에 포함된 오류(예: 목성의 위성 수, 토성이 가장 바깥 행성이며 유일하게 고리를 가졌다는 믿음)를 지적하는 한편, 도곤족이 '엠메 야'(시리우스 B보다 크지만 더 희미한 별, 즉 시리우스 C)의 존재를 알았다는 보고에 주목했다. 1995년 중력 연구는 실제로 시리우스 C(6년 주기의 갈색 왜성)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했으나,[58] 이후의 적외선 이미지 연구에서는 삼중성계의 가능성이 낮다고 결론지었다. 다만 시리우스 A 근접 영역은 관측되지 않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59] 이러한 시리우스 관련 지식은 뉴에이지나 고대 우주비행사설 등에서 외계 문명 방문의 증거로 인용되기도 했다.
도곤 사회는 여러 종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의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다.
- 암마(창조신) 종파: 일 년에 한 번 축제를 열고, 암마의 원뿔형 제단에 삶은 조를 바치고 하얗게 칠하는 의식을 거행한다. 다른 모든 종파는 암마 신을 향한다.
- 시구이(Sigui): 60년마다 열리는 가장 중요한 의식으로, 여러 해에 걸쳐 진행된다. 언어가 생기기 전 최초 조상의 죽음을 기리는 의미를 가진다. 유가 도고루 마을에서 시작하여 여러 마을을 순회하는 긴 행렬로 이루어지며, 모든 남성들은 가면을 쓰고 춤을 춘다. 시구이에는 여성은 배울 수 없는 비밀 언어인 '시구이 소'가 있다. '올루바루'라 불리는 시구이 비밀 협회 남성들이 의식을 주관하며, 이들은 의식 전 3개월 동안 마을 밖에서 아무도 볼 수 없는 곳에 숨어 지낸다. 마을 사람들은 이들을 두려워하며, 올루바루가 밖에 있다는 소문이 돌면 밤 외출이 금지되기도 한다. 시구이 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면은 '대가면' 또는 '가면의 어머니'이다. 이 가면은 길이가 여러 미터에 달하며 손으로 들고 다니며 얼굴을 가리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 가면은 60년마다 새로 만들어진다. 마지막 시구이는 1967년에 시작되어 1973년에 끝났으며, 다음 의식은 2027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thumb
- 비누(Binu) 종파: 토템을 사용한다. 마을 전체를 위한 일반적인 토템과 토템 사제를 위한 개별 토템이 있다. 토템 동물은 비누 제단에서 숭배된다. 예를 들어 오골-두-오의 물소와 오골-두-바의 흑표범이 토템 동물이다. 일반적으로 토템 동물은 악어일지라도 아무에게도 해를 입히지 않는다. 이는 아마니 마을(마을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많은 수의 악어가 있는 연못이 있음)의 경우이다. 그러나 토템 동물은 누군가 잘못한 경우 예외적으로 해를 입힐 수 있다. 숭배자는 자신의 토템을 먹을 수 없다. 예를 들어 물소를 토템으로 하는 사람은 물소 고기를 먹거나, 물소 가죽을 사용하거나, 물소의 죽음을 보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만약 이런 일이 우연히 발생하면, 그는 비누 제단에서 의례적 정화 희생을 치러야 한다. 삶은 조를 바치고, 염소와 닭을 비누 제단에서 희생한다. 이것은 제단을 하얗고 붉게 물들인다. 비누 제단은 문이 있는 작은 집처럼 보입니다. 제단이 마을 전체를 위한 것일 때는 더 크다. 마을 제단에는 구름을 잡고 비를 내리게 하는 '구름 갈고리'도 있다.
- 레베(Lebe) 종파: 도곤 신화에서 뱀으로 변신한 최초의 인간인 조상 레베 세루를 숭배한다. 축제는 일 년에 한 번 열리며 사흘 동안 지속된다. 제단은 호곤(종교 지도자)이 자신의 축복에서 여덟 개의 곡물과 하나를 언급하면서 삶은 조를 바치는 뾰족한 원뿔형 구조이다. 그 후, 호곤은 레베의 집인 자신의 집에서 몇 가지 의식을 수행한다. 마지막 날, 마을의 모든 남자들은 모든 비누 제단을 방문하여 레베 제단 주위를 세 번 돕니다. 호곤은 참석한 모든 사람들을 초대하여 조 맥주를 마신다.
- 쌍둥이(Twins) 종파: 쌍둥이의 출생은 행운의 징조이다. 도곤 가문은 공통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기원까지 거슬러 올라가 세상의 창조에서 고대 쌍둥이로 거슬러 올라가는 모든 조상을 불러일으킨다.
- 모노(Mono) 종파: 모노 제단은 모든 마을 입구에 있다. 미혼의 젊은 남자들은 1월 또는 2월에 일 년에 한 번 모노 종파를 기념한다. 그들은 제단 주위에서 밤을 보내며, 노래를 부르고 소리를 지르며 불횃불을 흔든다. 그들은 새벽에 제단에 희생될 쥐를 사냥한다.
5. 언어
도곤어는 흔히 단일 언어로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최소 5개의 뚜렷한 방언 그룹으로 나뉜다. 가장 오래된 방언으로는 ''뱜세이''(''Bàmɛ́ɛ̀y'')와 ''톰보''(''Tɔ̀mɔɔ̀ sɔ́ɔ́'')가 있으며, 특히 뱜세이는 전통적인 기도나 의례 노래에 주로 사용된다. 도곤어의 방언들은 서로 차이가 커서 상호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약 12개의 방언과 50여 개의 하위 방언으로 세분된다. 또한 '시지 소'(''Sigi sɔ'', 시지의 언어)라는 비밀 의례어가 존재한다. 이 언어는 가면 협회의 고위 인사('올루바루', ''olubarū'')에게 전수되는데, 이들은 모두 할례를 받은 남성이어야 하며 '시구이'(''Sigui'') 의례를 통해 지위를 얻는다.[37]
도곤어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지만 일반적으로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도곤어는 만데어족 및 구르어족과 관련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니제르-콩고어족 내에서 도곤어를 독립적인 분파로 보는 견해도 있다.[38]
도곤어는 니제르-콩고어족의 특징 중 하나인 명사 등급 체계의 흔적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다만 인간을 나타내는 명사에서 별도의 복수 접미사가 사용되는 정도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언어학자들은 도곤어가 니제르-콩고어족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갈라져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또한 주어-목적어-동사(SOV)의 기본 어순을 가지는데, 이는 이조어족이나 만데어족과 같이 니제르-콩고어족의 초기 분파 언어들과 공유하는 특징이다.
한편, 말리 남부의 7개 마을에 거주하는 약 1,500명의 도곤족은 방기메어라는 독특한 언어를 사용한다. 이 언어는 다른 도곤어 방언들과 관련성이 없어 언어학자들에 의해 도곤족 정착 이전부터 존재했던 고립어로 추정된다. 다만, 로저 블렌치(Roger Blench)와 같은 일부 언어학자들은 방기메어가 원-나일-사하라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한다.[39]
참조
[1]
웹사이트
Mali
https://www.cia.gov/[...]
2020-11-19
[2]
서적
Ethnic Group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3]
뉴스
Mali: what price tourism?
http://news.bbc.co.u[...]
2019-03-29
[4]
harvp
[5]
간행물
"Mythes et organisation sociale au Soudan français"
1955
[6]
학술지
Population dynamics and Paleoclimate over the past 3000 years in the Dogon Country, Mali
https://archive-ouve[...]
2005-03-31
[7]
서적
"Traditions céramiques dans la boucle du Niger: ethnoarchéologie et histoire du peuplement au temps des empires précoloniaux."
https://books.google[...]
Africa Magna, Frankfurt a. M.
2011
[8]
서적
"Un néolithique ouest-africain: cadre chrono-culturel, économique et environnemental de l'Holocène récent en Pays dogon, Mali."
https://books.google[...]
Africa Magna, Frankfurt a. M.
2013
[9]
서적
"Forgerons et sidérurgie en pays dogon: vers une histoire de la production du fer sur le plateau de Bandiagara (Mali) durant les empires précoloniaux."
https://books.google[...]
Africa Magna, Frankfurt a. M.
2010
[10]
서적
Masques dogons
Paris
1938
[11]
서적
"Dogon: Africa's people of the cliffs"
New York: Abrams
2001
[12]
서적
The Archaeology of Islam in Sub-Sahara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3]
서적
Yambo Ouologuem: Postcolonial Writer, Islamic Militant
Lynne Rienner Publishers
1999
[14]
뉴스
Caught in the crossfire of Mali's war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3-01-25
[15]
서적
Le mythe cosmologique. Le renard pâle.
Paris: Institut d'Ethnologie Musée de l'homme
1965
[16]
간행물
Africa Today
Africa Media Review|Afro Media
2001
[17]
harvp
[18]
harvp
[19]
harvp
[20]
harvnb
[21]
harvp
[22]
harvp
[23]
harvp
[24]
웹사이트
Did the Dogon of Mali know about Sirius B?
http://www.badarchae[...]
[25]
harvp
[26]
harvp
[27]
harvp
[28]
서적
The Africa Book: A Journey Through Every Country in the Continent
Lonely Planet
2007-09
[29]
학술지
Culture Summary: Dogon
2000
[30]
학술지
Processes and Limitations of Dogon Agricultural Knowledge
https://ehrafworldcu[...]
1993
[31]
학술지
An Analytical Commentary o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Dogon
1950
[32]
harvp
[33]
학술지
An Analytical Commentary o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Dogon
1950
[34]
서적
The Anthropology of Health and Healing
https://books.google[...]
AltaMira Press
2016-05-26
[35]
학술지
An Analytical Commentary o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Dogon
1950
[36]
서적
Les masques dogon:ethnologie savante et ethnologie autochtone
Karthala editions
[37]
논문
[38]
논문
[39]
간행물
Was there a now-vanished branch of Nilo-Saharan on the Dogon Plateau? Evidence from substrate vocabulary in Bangime and Dogon
http://www.rogerblen[...]
[40]
뉴스
Dogons et Dogon. Retours au 'pays du reel'
https://translate.go[...]
2005-01/03
[4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ali
Scarecrow Press
[42]
서적
An Introduction to Afric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8-06-28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문서
The Dogon of the French Sudan
[47]
논문
[48]
웹사이트
The Dogon Revisited
http://www.ramtops.c[...]
2007-10-13
[49]
웹사이트
Dogon Shame
http://www.philipcop[...]
2007-10-13
[50]
학술지
Dogon Restudied: A Field Evaluation of the Work of Marcel Griaule
[51]
학술지
On the Dogon Restudied
1991-12
[52]
학술지
Griaule's Legacy: Rethinking "''la parole claire''" in Dogon Studies
http://www.sscnet.uc[...]
2005
[53]
뉴스
Investigating the Sirius Mystery
https://web.archive.[...]
1978
[54]
서적
Sirius Matt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01-21
[55]
서적
The Skeptic's Dictionary: A Collection of Strange Beliefs, Amusing Deceptions, and Dangerous Delus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6]
웹사이트
The Sirius Mystery
http://www.debunker.[...]
2008-12-30
[57]
문서
'Power and Dialogue in Ethnography:Marcel Griaule's initi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8]
학술지
Is Sirius a triple star?
http://adsabs.harvar[...]
1995
[59]
학술지
ADONIS high contrast infrared imaging of Sirius-B
20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