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멘터 존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멘터 존슨은 1780년 켄터키 주에서 태어나 1850년 사망한 미국의 정치인이다. 그는 변호사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1806년 연방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6선 했으며, 1812년 전쟁에 참전하여 테컴세를 살해한 것으로 알려져 명성을 얻었다. 이후 켄터키 주 상원의원을 거쳐 1837년부터 1841년까지 마틴 밴 뷰런 대통령의 부통령을 지냈다. 부통령 재임 중에는 1837년 공황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1840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했다. 이후 켄터키 주로 돌아가 농장과 여관을 운영하다 1850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6년 미국 부통령 후보 - 존 타일러
존 타일러는 미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 사망 후 부통령에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텍사스 합병을 추진했다. - 마틴 밴 뷰런 행정부의 각료 - 존 포사이스 (정치인)
존 포사이스는 조지아주 출신의 미국 정치인으로, 하원 의원, 상원 의원, 주지사를 역임하고 앤드루 잭슨과 마틴 밴 뷰런 행정부에서 국무 장관을 지냈으며,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 옹호와 노예 제도 옹호, 아미스타드호 사건 대응 주도 등의 활동을 했다. - 1840년 미국 부통령 후보 - 존 타일러
존 타일러는 미국의 제10대 대통령으로, 윌리엄 헨리 해리슨 대통령 사망 후 부통령에서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텍사스 합병을 추진했다. - 1840년 미국 부통령 후보 - 제임스 K. 포크
제임스 K. 포크는 텍사스 합병, 오리건 영토 분쟁 해결, 멕시코 전쟁을 통해 미국 영토를 확장한 제11대 미국 대통령(1845년-1849년)으로, 확장주의 정책은 노예제 문제를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받는다.
리처드 멘터 존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리처드 멘터 존슨 |
출생일 | 1780년 10월 17일 |
출생지 | 버지니아 베어그래스 (현재 미국 켄터키주 루이빌) |
사망일 | 1850년 11월 19일 |
사망지 | 미국 켄터키주 프랭크포트 |
안장 장소 | 프랭크포트 묘지 |
![]() | |
정치 경력 | |
직위 | 미국 부통령 |
대통령 | 마틴 밴 뷰런 |
임기 시작 | 1837년 3월 4일 |
임기 종료 | 1841년 3월 4일 |
전임자 | 마틴 밴 뷰런 |
후임자 | 존 타일러 |
미국 상원 의원 | 켄터키주 |
상원 의원 임기 시작 | 1819년 12월 10일 |
상원 의원 임기 종료 | 1829년 3월 3일 |
상원 의원 전임자 | 존 J. 크리텐든 |
상원 의원 후임자 | 조지 M. 비브 |
미국 하원 의원 | 켄터키주 |
하원 의원 임기 시작 | 1829년 3월 4일 |
하원 의원 임기 종료 | 1837년 3월 3일 |
하원 의원 전임자 | 로버트 L. 맥햇턴 |
하원 의원 후임자 | 윌리엄 W. 사우스게이트 |
하원 의원 선거구 | (1833–1837) (1829–1833) |
하원 의원 임기 시작 (이전) | 1807년 3월 4일 |
하원 의원 임기 종료 (이전) | 1819년 3월 3일 |
하원 의원 전임자 (이전) | 토머스 샌드퍼드 |
하원 의원 후임자 (이전) | 윌리엄 브라운 |
하원 의원 선거구 (이전) | (1807–1813) (1813–1819) |
주 하원 의원 임기 시작 | 1850년 11월 5일 |
주 하원 의원 임기 종료 | 1850년 11월 19일 |
주 하원 의원 임기 시작 (이전) | 1841년 12월 30일 |
주 하원 의원 임기 종료 (이전) | 1843년 12월 29일 |
주 하원 의원 임기 시작 (이전2) | 1819년 8월 |
주 하원 의원 임기 종료 (이전2) | 1819년 11월경 |
주 하원 의원 임기 시작 (이전3) | 1804년 11월 6일 |
주 하원 의원 임기 종료 (이전3) | 1806년 11월 4일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줄리아 친 (1790–1833) (사실혼) |
자녀 | 2명 |
친척 | 콘웨이-존슨 가문 |
학력 |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 |
종교 | 침례교 |
군 복무 | |
소속 | 미국 의용군 |
계급 | 대령 |
복무 기간 | 1812–1814년 |
참전 전투 | 미영 전쟁 템스 전투 |
소속 정당 | |
정당 | 민주공화당 (1828년 이전) 민주당 (1828년 이후) |
2. 어린 시절
리처드 멘터 존슨은 1780년 10월 17일, 당시 버지니아주에 속했던 켄터키 변경 지역의 베어그래스 정착지(현재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과 제미마 서짓 존슨(Jemima Suggett Johnson) 부부의 11명의 자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2][148] 그의 아버지 로버트 존슨은 측량사였으며, 패트릭 헨리와 제임스 매디슨 등으로부터 켄터키 지역의 땅을 사들여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3][155] 어머니 제미마 서짓은 부유하고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가문 출신이었다.[4]
존슨은 1802년 켄터키주 변호사회에 입회하여[11] 그레이트 크로싱(Great Crossing)에 법률 사무소를 열었다.[12] 그는 종종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무료로 변론을 맡았으며,[14] 장애를 가진 재향군인, 과부, 고아들을 자신의 집으로 받아들이기도 했다.[13] 아버지로부터 농장과 노예들을 물려받아 빠르게 부유해졌고,[33] 형제들과 함께 여러 사업을 추진했다.[13]
1782년, 존슨 가족은 렉싱턴 근처 블루그래스 지역에 있는 브라이언스 스테이션으로 이주했다.[5][150] 이곳은 백인 정착에 저항하는 쇼니족, 체로키족 등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공격에 대비한 요새화된 정착지였다.[5] 1782년 8월, 사이먼 거티가 이끄는 원주민 부대가 브라이언스 스테이션을 습격했을 때, 존슨의 어머니 제미마는 영웅적인 행동으로 명성을 얻었다.[6][150][151] 요새가 포위되어 물이 부족해지자, 제미마는 다른 여성들을 이끌고 인근 샘으로 가서 물을 길어왔다. 당시 원주민들은 숲에 숨어 있었지만, 여성들이 평소처럼 행동하자 공격하지 않고 물을 길어 요새로 돌아가도록 내버려 두었다.[152][153] 이 물 덕분에 정착민들은 원주민들이 쏜 불화살 공격을 막아낼 수 있었다.[154] 당시 아버지 로버트는 페이엣 카운티 대표로 선출되어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의 의회에 있었다.[7] (켄터키는 1792년에 버지니아로부터 분리되어 주로 승격되었다.)
1784년경, 켄터키 지역이 비교적 안전해지자 존슨 가족은 스콧군의 그레이트 크로싱에 아버지가 매입한 땅으로 다시 이주하여 정착했다.[8][148] 당시 켄터키 변경 지역에는 학교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존슨은 15세가 되어서야 정규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그는 잠시 지역 문법 학교를 다닌 후, 렉싱턴에 있는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입학했다. 이 대학은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최초의 대학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대학 이사 중 한 명이었다.[11][156]
1799년, 존슨은 조지 니컬러스와 훗날 상원의원이 되는 제임스 브라운 밑에서 법률 수습생으로 법학 공부를 시작했다.[11] 1802년 켄터키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고,[11][150] 고향인 그레이트 크로싱에서 자신의 법률 사무소를 열었다.[12] 이후 그는 소매점을 운영하고 형제들과 함께 여러 사업을 벌이며 재산을 늘렸다.[13][157] 존슨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무료로 변론을 맡기도 했으며,[14][149] 전쟁 중 장애를 입은 군인이나 미망인, 고아들을 자신의 집으로 받아들여 돌보기도 했다.[13][149]
3. 초기 정치 경력
1804년 존슨은 켄터키주 의회 하원의원에 스콧 카운티 대표로 선출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36] 당시 켄터키주 헌법상 하원의원 연령 요건(24세)에 미달했지만, 인기가 높아 문제없이 의석을 차지할 수 있었다.[37][38] 그는 주로 소규모 농민들의 이익을 대변했으며, 비민주적이라고 여긴 연방 법원의 권한을 미국 헌법 관련 사안으로 제한하고자 노력했다.[39][40]
1806년 존슨은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미국 하원 의원에 선출되어, 켄터키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연방 하원에 진출했다.[37][38] 선출 당시에는 미국 헌법의 하원 의원 연령 요건(25세)을 충족하지 못했으나, 다음 해 3월 임기가 시작될 무렵에는 25세가 되었다.[37] 그는 이후 6선 연임(1807년~1819년)하며 주로 가난한 사람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데 힘썼다.[13]
초기 의정 활동에서 존슨은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과 그의 후계자인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의 정책을 대체로 지지했다. 체서피크-레오파드 사건 이후 영국과의 긴장이 고조되자, 그는 1807년 금수법과 이를 강화하는 여러 조치들에 찬성하며, 군사적 충돌보다는 경제적 압박을 선호하는 입장을 보였다.[44][45] 그는 연방당이 국가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지 않는다고 보았으며,[46] 금수법이 미국 경제에 심각한 불황을 초래하는 등 효과가 없다는 것이 입증되자 이를 대체하는 1809년 무역 금지법 제정을 지지했다.[47]
존슨은 국가의 확장과 발전을 추구한 젊은 남부와 서부의 민주공화당원 그룹인 '매파(War Hawks)' 중 한 명으로 여겨졌지만,[48] 1812년 전쟁 발발 직전에는 전쟁이 가져올 결과에 대해 우려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49] 그러나 결국 전쟁에 동의하게 되었고, 1812년 6월 매디슨 대통령이 의회에 요청한 영국에 대한 선전포고에 찬성표를 던졌다.[51] 전쟁이 선포되자 그는 켄터키로 돌아가 의용군을 모집하고 직접 지휘하며 전투에 참여했다. (자세한 내용은 #1812년 전쟁 참조)
전쟁 후 하원으로 복귀한 존슨은 미국 하원 청구위원회 위원장(제11차 미국 의회, 1809~1811년)[146], 육군사무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전쟁 미망인과 고아들을 위한 연금 확보 및 미국 서부 지역의 내부 개량(도로, 운하 등 사회 기반 시설 확충) 자금 조달과 같은 문제에 입법적 관심을 기울였다.[16] 그는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들의 재정적 청구를 심사하는 청구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정치적 반대파인 연방당의 지도자 알렉산더 해밀턴의 미망인이 남편의 미지급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동정심에서 돕기도 했다.[53] 또한 웨스트포인트의 미국 육군사관학교가 실제 군인이 아닌 겉멋만 든 이들을 배출한다고 우려하며, 켄터키를 포함한 지역에 3개의 군사학교를 추가로 설립할 것을 주장했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81][82]
1816년 존슨은 의원들의 보수를 기존의 일당제(하루 6USD)에서 연봉 1500USD로 인상하는 법안을 제출했다.[84] 그는 의원 급여가 27년간 인상되지 않았고 그 사이 생활비가 크게 증가했으며, 제안된 연봉 1500USD는 정부 서기관 28명의 급여보다 적다고 지적했다.[85] 이 법안은 신속히 통과되었으나, 다음 선거 이후가 아닌 즉시 급여 인상을 적용하여 유권자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87] 이 법안을 지지했던 많은 의원들이 선거에서 낙선했지만, 존슨은 높은 인기에 힘입어 의석을 유지한 15명 중 한 명이 되었다.[88] 그러나 그는 결국 대중의 반발에 밀려 자신의 법안을 폐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하며 입장을 바꾸었다.[1]
존슨은 국립은행이라는 개념 자체를 싫어하여, 1811년 미국 제1은행의 허가 갱신에 반대 투표를 했다.[90] 1816년 존 C. 칼훈이 발의한 미국 제2은행 설립 법안에도 반대했지만, 다른 일로 바빠 투표에는 참여하지 못했다.[91] 하지만 미국 제2은행이 정부에 보너스로 지급하기로 한 자금을 내부 개량(도로, 운하 건설 등) 사업에 사용하자는 법안에는 찬성했는데, 이는 교통 개선이 자신의 선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 법안은 하원을 통과했지만, 임기 마지막 날을 보내던 매디슨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여 무산되었다.[92]
1817년 제1차 세미놀 전쟁 중 앤드루 잭슨 장군이 영국인 2명을 처형한 사건(아부스노트와 앰브리스터 사건)에 대한 의회 조사가 이루어졌을 때, 존슨은 조사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위원회 다수는 잭슨의 행동을 비판하고 질책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지지했지만, 잭슨을 지지한 존슨은 그에게 유리하고 질책에 반대하는 소수 의견 보고서를 작성했다. 결국 존슨의 보고서가 채택되어 잭슨은 질책을 면했다.[94] 이 사건은 존슨과 그의 켄터키 동료이자 정치적 경쟁자였던 헨리 클레이 사이의 오랜 정치적 분열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95]
한편, 1818년 존슨은 당시 전쟁부 장관이었던 존 C. 칼훈이 승인한 옐로스톤 탐험(옐로스톤 강 상류 지역에 군사 기지를 건설하려던 계획)의 계약을 자신의 형제인 제임스 존슨에게 주선했다.[13] 이 탐험은 결국 실패로 돌아가며 미국 재무부에 막대한 비용 부담을 안겼고, 1819년 공황 이후 의회 조사 과정에서 1820년 제임스 존슨이 정부에 7.6만달러를 과다 청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96] 이 일로 존슨 가문은 1824년 최대 채권자인 미국 제2은행과 채무 정산 합의에 이를 때까지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97]
3. 1. 1812년 전쟁
미국 의회가 1812년 전쟁을 선포하자, 존슨은 켄터키주로 돌아와 자원병을 모집했다.[54][55] 당시 켄터키 주민들은 뉴올리언스 항구를 통한 무역 의존도가 높았고, 영국이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또 다른 전쟁을 일으킬 것을 우려하여 전쟁을 강력히 지지했다.[56] 너무 많은 지원자가 몰려 존슨은 말을 탄 사람들만 선발하여 기마 소총 부대를 조직했다.[55] 그는 3개 중대로 나뉜 300명의 병력을 모집했고, 병사들은 그를 소령으로 선출했다. 이 부대는 다른 대대와 합쳐져 500명 규모의 연대를 이루었고, 존슨은 대령이 되었다.[58] 이 켄터키 민병대는 당시 인디애나 준주 주지사였던 윌리엄 헨리 해리슨 장군의 지휘 아래 들어갔다.[59]
존슨의 부대는 원래 디트로이트의 윌리엄 헐 장군과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헐 장군이 1812년 8월 16일 항복하면서[59] 계획은 변경되었다. 해리슨 장군은 존슨에게 인디언의 공격을 받고 있던 포트 웨인 구원을 명령했다. 1812년 9월 18일, 존슨의 부대는 포트 웨인에 도착하여 포위를 풀고 인디언의 매복 공격을 격퇴했다. 이후 켄터키로 돌아가는 길에 엘크하트 강 유역의 포타와토미 마을을 불태우고 부대를 해산했다.[60]
1812년 가을, 존슨은 의회로 복귀하여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디언들의 기동성 있는 게릴라 전술에 대응할 계획을 제안했다. 그는 기병 소총병 부대가 신속하게 이동하며 자체 보급으로 작전을 수행하고, 겨울철에 인디언 마을을 공격하여 결정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계획은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과 존 암스트롱 전쟁장관의 승인을 얻었으나, 해리슨 장군은 겨울 작전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결국 존슨은 1813년 여름에 자신의 전술을 시험해 볼 기회를 얻게 되었다.[61]
1813년 봄, 존슨은 다시 1,000명의 병력을 모집했는데, 명목상으로는 아이작 셸비 켄터키 주지사 휘하의 민병대 일부였지만, 대부분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그는 병사들을 직접 훈련시키고, 자신의 비용으로 총기 제작자, 대장장이, 의사를 고용하는 등 부대 준비에 만전을 기했다. 그는 적과 마주치면 말에서 내려 엄폐 사격하고, 다른 부대는 포위 기동하는 새로운 전술을 고안했다. 1813년 5월부터 9월까지 존슨은 이 부대를 이끌고 북서부 전역을 누비며 인디언 마을의 보급 기지를 파괴하고 전투 부대를 격파하는 성과를 올렸다.[62]
1813년 9월, 올리버 해저드 페리가 이리호 전투에서 승리하여 이리호의 제해권을 장악하자, 영국군은 보급선 차단 위협에 놓였다. 헨리 프로크터 장군이 지휘하는 영국군은 온타리오주 애머스트버그의 몰든 요새에서 북동쪽으로 후퇴하기 시작했고, 해리슨 장군이 이끄는 미군이 추격했다. 인디언 추장 테쿰세와 그의 동맹군은 영국군의 후퇴를 엄호했지만, 존슨의 부대에게 저지당했다. 존슨의 기병대는 9월 29일 테쿰세의 주력 부대를 격파하고 10월 3일에는 영국군 보급 열차를 탈취했다. 이러한 압박 속에서 프로크터 장군은 10월 5일 템스강 유역에서 결전을 벌이기로 결정했다. 이 템스 전투에는 존슨의 노예였던 대니얼 친(Daniel Chinn)도 함께 참전했다.[63]
템스 전투에서 존슨의 부대는 선봉에 섰다. 그의 형 제임스 존슨이 이끄는 대대가 영국 정규군과 교전하는 동안, 리처드 존슨은 다른 대대를 이끌고 테쿰세가 지휘하는 1,500명의 인디언 부대를 공격했다. 존슨은 20명의 자원자로 구성된 특공대를 이끌고 적의 사격을 유인하려 했으나, 늪지 지형 때문에 돌파에 실패했다. 그는 부하들에게 말에서 내려 방어하도록 명령했고, 미군 보병의 지원과 존슨 부대의 압박 속에 인디언 부대는 결국 붕괴되어 늪지로 흩어졌다. 이 과정에서 테쿰세가 전사했다.[64][65]
테쿰세를 누가 사살했는지는 존슨의 생애 동안 큰 논란거리였다. 존슨 자신은 "키 크고 잘생긴 인디언"을 쏘았다고만 말했을 뿐, 직접적으로 테쿰세를 죽였다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초기 보고들은 존슨을 사살자로 지목했고, 다른 주장이 나온 것은 1816년이었다.[66] 역사가 존 서그던(John Sugden)은 존슨의 주장이 "훨씬 더 설득력 있다"고 평가했다.[67] 이 논란은 1830년대 존슨이 부통령 후보로 거론되면서 정치적으로 더욱 부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슨은 템스 전투에서 기마 특공대를 지휘하며 큰 용기를 보여준 진정한 전쟁 영웅으로 평가받는다.[68] 전투 중 존슨은 여러 발의 총상을 입는 심각한 부상을 당했다.[64][65]
템스 전투에서의 승리로 북서부 전선에서의 전쟁은 사실상 종결되었다.[16] 존슨은 부상으로 인해 디트로이트에 잠시 머물렀다가 1813년 11월 초 마차에 실려 켄터키 자택으로 돌아왔다.[73] 회복에는 5개월이 걸렸고, 왼쪽 팔과 손에 영구적인 장애를 입었으며 평생 다리를 절게 되었다.[74] 그는 1814년 2월 의회에 복귀했지만, 부상 후유증으로 인해 한동안 토론에 참여하기 어려웠다.[74] 부상으로 평생 고통받았지만, 그는 전쟁 영웅으로 칭송받았다.[75] 1818년 4월 4일, 미국 의회는 템스 전투에서의 "대담하고 뛰어난 용맹"을 기리기 위해 대통령에게 존슨에게 검을 수여하도록 요청하는 법률을 통과시켰고,[71] 1820년 제임스 먼로 대통령이 그에게 검을 수여했다.[1]
1814년 8월 영국군이 워싱턴 D.C.를 공격하여 백악관과 국회의사당을 불태우는 사건이 발생했다. 9월 19일 임시 숙소에서 의회가 다시 소집되자, 존슨은 이 사건의 경위를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을 제안했고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76] 존슨 위원회는 방대한 보고서를 작성했지만, 대니얼 웹스터 등의 반대로 보고서 인쇄 및 논의가 지연되다가 1815년 겐트 조약 비준으로 전쟁이 끝나면서 흐지부지되었다.[77] 전쟁이 끝난 후 존슨은 전쟁 미망인과 고아들을 위한 연금 확보, 서부 지역의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문제 등에 관심을 기울였다.[78]
4. 상원 경력
1818년 하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상원 진출을 시도했으나, 켄터키 주의회 선거에서 윌리엄 로건에게 패했다.[101] 이후 1819년 8월 켄터키 주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던 중,[12] 같은 해 11월 존 J. 크리텐던 상원의원이 사임하자[12] 12월 주의회는 존슨을 후임 상원의원으로 선출했다.[103]
존슨은 1820년 1월 3일에 상원의원으로 취임하여[104] 1829년 3월 4일까지 재직했으며, 1822년에는 재선에 성공했다.[146] 상원 재임 기간 동안 그는 다양한 입법 활동에 참여했다. 특히 미주리 타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미주리 준주와 메인 지구의 주 승격 문제를 다루는 특별 위원회에 참여했으며,[104] 미주리 주를 제외한 루이지애나 매입 지역의 북위 36°30′선 북쪽에서 노예제를 금지하는 안에 찬성표를 던졌다.[104] 또한 미주리 주의 최종적인 주 승격을 가능하게 한 결의안 중재에도 참여했다.[105]
존슨은 서부 확장을 강력히 지지하며 미국의 "자유 제국"이 대륙 전체로 퍼져나가야 한다고 믿었다.[106] 그는 서부 진출과 함께 점진적인 노예 해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백인 인종차별주의의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식민지 이주 운동에 반대하고 유색 인종을 다인종 사회에 통합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106][107] 또한 서부 정착민들이 토지를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과 참전용사 연금 인상을 추진했다.[113]
경제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1819년 공황 이후 많은 켄터키 주민들처럼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빚 구제와 파산 관련 입법에 힘썼다.[111] 특히 그는 1822년 12월, 연방 차원에서 빚 때문에 사람을 감옥에 가두는 것(채무 감옥)을 폐지하는 법안을 발의하며 이 문제 해결에 앞장섰다.[108] 이 법안은 그의 임기 중 최종 통과되지는 못했지만,[109] 이후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지지를 받아 유사한 법안이 통과되는 데 기여했으며, 결국 대부분의 주에서 채무 감옥이 폐지되는 결과를 낳았다.[110]
교육 분야에서는 1821년 워싱턴 D.C.에 컬럼비아 대학(현 조지 워싱턴 대학교) 설립 법안을 발의했고,[12] 1825년에는 촉토족 인디언 청소년들에게 유럽-미국식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촉토 아카데미 설립을 주도했다. 또한 19대와 20대 의회에서는 우정 위원회 의장을 맡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정치 경력은 혼혈 노예였던 줄리아 친과의 사실혼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존슨은 이 관계를 숨기지 않고 공개적으로 인정했으며, 그녀와의 사이에서 낳은 두 딸의 자유를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관계는 당시 사회적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결국 1828년 상원의원 재선에 실패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5. 줄리아 친과의 관계
존슨은 젊은 시절 어머니의 반대로 초기 약혼을 파기한 경험이 있다.[13][149] 이후 아버지가 사망하자, 1790년경 노예로 태어난 혼혈 여성 줄리아 친을 상속받았고,[16][17] 그녀와 사실혼 관계를 맺었다.[158] 줄리아 친은 옥토룬(백인 7/8, 흑인 1/8 혈통)으로 백인과 같은 피부색을 가졌지만,[16][17] 당시 켄터키주 법에 따라 흑인으로 간주되어 존슨과 정식으로 결혼할 수 없었다.[22][159]
이러한 법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존슨은 친과의 관계를 숨기지 않고 공개적으로 인정했으며, 그녀를 사실혼 배우자로 대우했다.[21][24] 그는 친을 "나의 신부"라고 부르기도 했으며,[24] 자신이 집을 비울 때는 친에게 농장 관리와 사업 처리를 맡길 정도로 신뢰했다.[13][21][25] 친은 존슨의 농장에서 상당한 책임을 맡아 노예들을 감독하고 재산을 관리하는 등[25]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존슨은 그녀를 법적으로 해방시키지는 않아 노예 신분은 유지되었다.[26] 이는 당시 노예 제도의 모순적인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존슨이 친을 소유물인 동시에 가족 구성원으로 여겼음을 시사한다.[24][26]
존슨과 친 사이에는 아달린(Adaline) 친 존슨과 이모진(Imogene) 친 존슨이라는 두 딸이 태어났다.[21][27][159] 존슨은 두 딸을 자신의 자녀로 인정하고 자신의 성을 따르게 했으며, 기본적인 읽기 쓰기 교육을 포함하여 정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23][22][27][148] 두 딸은 모두 백인 남성과 결혼했고, 존슨은 자신의 재산에서 많은 토지를 지참금으로 주었다.[14][157] 아달린은 1836년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9][162]
줄리아 친은 1833년 여름, 대규모 콜레라 유행 당시 콜레라에 걸려 사망했다.[23][148] 존슨은 그녀의 죽음을 깊이 슬퍼했다.[23]
친이 사망한 후, 존슨은 다른 가족 노예와 밀접한 관계를 시작했다.[31][160] 그러나 이 여성이 다른 남자를 위해 존슨을 떠나려 하자, 존슨은 그녀를 붙잡아 경매에 팔아버렸다.[31][160] 이후 존슨은 팔아버린 여성의 여동생인 다른 노예와 관계를 맺었다.[31][160][161]
존슨과 친의 관계 및 혼혈 자녀 문제는 그의 정치 경력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1828년 상원의원 재선에 실패한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13][125] 비록 존슨은 딸들을 교육시키고 사회적으로 인정받게 하려 노력했지만,[125] 법적으로는 친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들이 사생아로 간주되어 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지 못했다.[30][162] 존슨 사망 후 페이엣 카운티 법원은 그에게 법적 상속인이 없다고 판결했고, 그의 재산은 살아있는 형제 존과 헨리에게 돌아갔다.[30][163]
6. 부통령 재임
1832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존슨은 1836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위한 부통령직 선거 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지지를 받았는데, 잭슨은 1812년 전쟁에 참전하지 않은 마틴 밴 뷰런 대통령 후보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쟁 영웅인 존슨을 지지했다.[16] 잭슨은 존슨의 충성심과 그의 주요 경쟁자였던 윌리엄 캐벨 라이브스에 대한 개인적인 반감 때문에 존슨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13]
잭슨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내에서는 존슨에 대한 지지가 만장일치는 아니었다. 밴 뷰런 자신은 라이브스를 러닝메이트로 선호했다.[13] 또한 존슨과 혼혈 노예였던 줄리아 친(Julia Chinn)과의 공개적인 관계는 여전히 논란거리였다.[125] 1835년 5월 볼티모어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밴 뷰런은 만장일치로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지만, 존슨은 부통령 후보 지명에 필요한 3분의 2 득표율을 간신히 넘겼다.[135]
존슨의 선거 운동에서는 "Rumpsey Dumpsey, Rumpsey Dumpsey, Colonel Johnson killed Tecumseh|럼프시 덤프시, 럼프시 덤프시, 존슨 대령은 테쿰세를 죽였다eng"라는 슬로건이 사용되었다.[13] 이 슬로건은 리처드 에먼스(Richard Emmons)가 쓴 템스 전투와 테쿰세에 관한 연극과 시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선거 결과, 존슨은 특히 남부에서 그의 사생활 문제로 인해 민주당 표를 잃었다.[14] 1837년 2월 8일 선거인단 투표 집계 결과, 밴 뷰런은 대통령 당선에 충분한 170표를 얻었지만, 존슨은 147표에 그쳤다.[14] 버지니아주의 선거인단 23명이 존슨에게 투표하기를 거부하면서, 그는 과반수 득표에 한 표가 부족했다.[13] 이로 인해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미국 수정 헌법 제12조에 따라 상원이 부통령을 선출하게 되었다.[14] 상원 투표는 대체로 당파적으로 진행되었고, 존슨은 휘그당 후보 프랜시스 그랜저를 33표 대 16표로 누르고 제9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36]
존슨은 1837년 3월 4일부터 1841년 3월 4일까지 부통령직을 수행했다. 그의 임기는 대체로 눈에 띄지 않았으며, 밴 뷰런 대통령에게 거의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다.[16] 그는 여전히 자신의 이익을 위해 권력을 사용하려는 경향을 보였는데, 자신에게 빚을 진 새뮤얼 밀로이(Samuel Milroy)를 인디언 대리인으로 승진시키기 위해 상원에 로비를 벌인 것이 그 예이다.[13] 또한 노예 소유주였던 그는 루이스 태펀(Lewis Tappan)이 노예제 폐지론 청원서를 상원에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 이를 거절했다.[13]
상원 의장으로서 존슨은 동률 결정 투표를 14번 행사했는데, 이는 그의 전임자들 중 존 애덤스와 존 C. 칼훈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횟수였다. 그는 동률 투표 시 상원에서 연설하지 않았지만, 한 번은 ''켄터키 가제트(Kentucky Gazette)''에 기고한 글을 통해 자신의 투표 이유를 설명했다.[13]
1837년 공황 이후 경제적 어려움이 닥치자, 존슨은 9개월간의 긴 휴가를 가졌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켄터키주에 있는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 농장에 여관과 온천을 열어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13][137] 당시 그의 모습을 본 아모스 켄달은 밴 뷰런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존슨이 "여관 주인이라는 영광스럽지 못한 일에 만족하며 심지어 닭고기와 계란 구입 및 수박 판매 부서까지 직접 감독하고 있다"고 묘사했다.[13]
후반기 정치 생활에서 그는 밝은 빨간색 조끼와 넥타이를 착용하는 것으로 유명해졌다.[138] 이는 우편 계약자인 제임스 리사이드(James Reeside)와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는데, 두 사람은 함께 길을 가다가 빨간색 천이 진열된 재단사 가게를 보고 서로 빨간 조끼를 입기로 약속했고, 이후 평생 이 복장을 유지했다.[139]
6. 1. 1840년 대통령 선거
1840년이 되자 존슨이 민주당 후보에게 부담이 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전 대통령 앤드루 잭슨조차 존슨을 "짐(dead wait)"이라고 평가하며 제임스 K. 폴크를 지지할 정도였다.[14][140] 현직 대통령 마틴 밴 뷰런은 재선에 도전했고, 휘그당은 다시 윌리엄 헨리 해리슨을 후보로 내세웠다.[14] 밴 뷰런은 템스 전투의 영웅인 존슨을 후보에서 제외할 경우 당이 분열되어 해리슨에게 표를 빼앗길 것을 우려하여, 존슨을 떨어뜨리는 것을 꺼렸다.[14] 결국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는 부통령 후보로 존슨이나 다른 누구도 지명하지 않는 독특한 타협이 이루어졌다.[13] 이는 각 주가 자체적으로 부통령 후보를 선택하거나, 만약 부통령 선거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상원에서 결정하도록 하려는 의도였다.[14]동료들의 이러한 불신에도 불구하고, 존슨은 부통령직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독자적으로 선거 운동을 벌였다. 그의 선거 운동은 밴 뷰런보다 더 활발했지만, 유세 과정에서의 그의 행동은 유권자들 사이에서 우려를 낳았다. 그는 장황하고 앞뒤가 맞지 않는 연설을 했으며,[13] 오하이오주에서 한 연설에서는 군중에게 템스 전투에서 입은 상처를 보여주기 위해 셔츠를 벗기도 했다. 클리블랜드에서는 해리슨에 대해 제기한 비난이 너무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져 도시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13]
결국 선거에서 존슨은 선거인단 투표 48표를 얻는 데 그쳤다.[141] 버지니아주 출신 선거인 1명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출신 선거인 11명 전원은 대통령 후보로 밴 뷰런에게 투표했지만, 부통령 후보로는 존슨이 아닌 다른 인물을 선택했다.[13] 존슨은 자신의 고향인 켄터키주에서도 패배했다.[13] 밴 뷰런 역시 이 선거에서 해리슨에게 패배하여 재선에 실패했다.
7. 이후 생애
부통령 임기를 마친 후, 존슨은 켄터키주로 돌아와 자신의 농장을 돌보고 여관을 운영했다.[16] 그는 1841년부터 1843년까지 스콧군을 대표하여 켄터키주 하원 의원을 지냈다.[12] 1842년에는 상원 의석을 얻기 위해 존 J. 크리텐던에게 도전했지만 패배했다.[14] 1844년에는 대통령 후보 지명을 받으려 했지만 실패했다.[14] 1845년에는 다니엘 분의 유해가 프랭크퍼트 묘지에 다시 묻힐 때 운구자로 참여했다.[14]
존슨은 공직 복귀를 계속 시도했다. 1848년에는 켄터키 주지사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려 했으나, 민주당 후보 라자러스 W. 파월을 지지하며 출마를 포기했다. 당시 린 보이드 대신 파월이 후보가 되었다.[142] 일각에서는 이 출마 시도가 부통령직 재지명을 노린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성사되지 못했다.[13]
마침내 1850년 존슨은 켄터키주 하원 의원으로 다시 선출되어 공직에 복귀했다. 하지만 이때 그의 건강은 이미 상당히 악화된 상태였다. 11월 9일 자 ''루이빌 데일리 저널''은 존슨이 치매 증상을 보이며 업무 수행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보도하며, "그가 의원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려고 의회에 나오는 모습을 보는 것은 마음 아픈 일이다. 그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라고 전했다.[141]
결국 그는 임기를 시작한 지 불과 2주 만인 11월 19일, 켄터키주 프랭크퍼트에서 뇌졸중으로 70세의 나이에 사망했다.[14] 그는 프랭크퍼트 묘지에 안장되었다.[146]
참조
[1]
웹사이트
The one election where Faithless Electors made a difference
https://www.yahoo.co[...]
2024-03-03
[2]
논문
Johnson, Richard Mentor
[3]
서적
Petriello
[4]
서적
Great Crossings: Indians, Settlers & Slaves in the Age of Jackson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Vice Presidents (1789–1993)
[14]
서적
Eccentricity at the Top
[15]
서적
The Patriot War Along the Michigan-Canada Border: Raiders and Rebels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16]
서적
Richard M. Johnson (1837–1841)
[17]
서적
Great Crossings
[18]
간행물
Great Mountain Freeman
[19]
간행물
Green Mountain Freeman
https://chroniclinga[...]
1845-06-20
[20]
간행물
Vermont Phoenix
http://fair-use.org/[...]
1845-07-18
[21]
서적
Great Crossings
[22]
서적
The Vice-President and the Mulatto
[23]
서적
Richard M Johnson narrative: Personal and Family Life
[24]
서적
Great Crossings
[25]
서적
Great Crossings
[26]
서적
Great Crossings
[27]
서적
Great Crossings
[28]
서적
[29]
웹아카이브
An Affecting Scene in Kentucky
https://web.archive.[...]
2013-11-12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웹사이트
The Political Graveyard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Great Crossings
[64]
서적
[65]
서적
Great Crossings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Historical Register and Dictionary of the United States Army, 1789–1903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웹사이트
Richard Mentor Johnson, 9th Vice President (1837–1841)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Historical Office
2018-06-07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웹사이트
Salary Storm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2018-06-08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Great Crossings
[107]
서적
Great Crossings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2013
[118]
서적
Great Crossings
[119]
서적
Great Crossings
[120]
서적
The Choctaw Academy
[121]
간행물
FIRST NATIONAL INDIAN SCHOOL: THE CHOCTAW ACADEMY
2013-11-12
[122]
웹사이트
Robert Ward Johnson (1814–1879)
http://www.encyclope[...]
2013-11-12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Window to the Past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웹사이트
24th Congress Senate Vote 334 (1837)
https://voteview.com[...]
UCLA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Computing
2024-10-17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null
[142]
서적
Kentucky: History of Henderson County
[143]
서적
The Register of the Kentucky State Historical Society, Volume 1
https://archive.org/[...]
Kentucky State Historical Society
[144]
서적
Van Lear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08-02-20
[145]
서적
Counties of Clay and Owen, Indiana: Historical and Biographical
https://archive.org/[...]
F.A. Battey & Company
[146]
웹사이트
JOHNSON, Richard Mentor – Biographical Information
http://bioguide.cong[...]
[147]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and Elect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6-11-15
[148]
서적
Richard M Johnson narrative Personal and Family Life
[149]
서적
Vice Presidents (1789–1993)
[150]
서적
null
[151]
서적
Window to the Past
[152]
서적
null
[153]
서적
null
[154]
서적
null
[155]
서적
null
[156]
서적
null
[157]
서적
Eccentricity at the Top
[158]
서적
Richard M. Johnson (1837–1841)
[159]
서적
The Vice-President and the Mulatto
[160]
서적
null
[161]
서적
null
[162]
서적
null
[163]
서적
null
[164]
서적
null
[165]
서적
null
[166]
서적
null
[167]
웹사이트
The Political Graveyard
[168]
웹사이트
Richard Mentor Johnson
http://bioguide.cong[...]
[169]
서적
null
[17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