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법은 주문, 의식, 기물을 통해 초자연적인 힘을 사용하려는 행위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주술, 도술, 요술, 신내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샤머니즘, 불교, 도교, 유교 등 사상과도 연관되었다. 서양에서는 고대 오리엔트와 지중해 문명에서 종교의 중요한 수단이었으나, 기독교의 등장 이후 악마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져 마녀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마법은 백마법, 흑마법, 회색마법 등으로 구분되며, 위치크래프트, 강령술, 소환술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마법사는 이러한 마법을 행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역사적으로 종교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역할과 지위를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인류학 - 애니미즘
    애니미즘은 모든 사물에 영혼이나 정령이 존재한다는 믿음으로, 종교의 초기 형태로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신 애니미즘 개념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종교인류학 - 토템
    토템은 특정 집단의 표상 또는 상징으로 기능하는 동물, 식물, 사물 등을 지칭하며, 토테미즘은 원시 사회 및 고대 문명에서 나타나는 사회 구조 및 종교 의식과 관련된 신앙 형태이다.
  • 마법 - 마법사
    마법사는 민담, 동화, 판타지 등에서 마법을 사용하는 인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선악의 역할과 다양한 능력을 지닌 존재로 묘사되며, 현실에서는 마술사나 역사 속 인물, 동아시아 신화 속 인물들과 연관되기도 한다.
  • 마법 - 아풀레이우스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 북아프리카 출신의 작가이자 철학자, 웅변가로,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과 뛰어난 변론 능력으로 유명하며, 플라톤 철학 연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마법
개요
정의초자연적인 존재와 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되는 신념 및 행위
관련 용어마법 (환상)
마술 (환상)
주술
요술
마력
기적
역사 및 학문적 연구
학문적 연구많은 학자들이 마법의 근본적인 의미를 고찰해 왔으나, 마법에 대한 단순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움
관련 학문인류학
종교학
심리학
사회학
마법의 종류
주요 분류흑마술
백마술
주술
기타 분류의식 마법
자연 마법
고등 마법
저급 마법
악마 소환
정신 마법
마법의 요소
필수 요소주문
의식
상징
부적
약물
기타 요소마법 지팡이
마법 물약
마법 서적
마법진
마법과 종교
관계마법과 종교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종종 구별하기 어려움
종교적 마법기도
제사
축복
저주
마법과 문화
문화적 차이마법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대중문화판타지 소설
영화
게임
만화
비판 및 논쟁
과학적 관점마법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으며, 미신으로 간주됨
윤리적 관점마법 사용은 윤리적 논쟁을 일으킬 수 있음
심리적 관점마법은 심리적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음
기타
주의사항마법은 위험할 수 있으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
참고 자료마법 (소설)
セレマ
마법 (해리 포터)
요술 (영화)
おまじない (GReeeeNの曲)

2. 동아시아의 마법

마법이라는 단어는 근대 일본에서 번안한 것이지만, 동아시아에서도 주술, 도술, 요술, 신내림 등과 같은 비슷한 종류의 문화가 존재하였다.

동아시아에서 샤머니즘은 주술, 요술, 신내림 등을 제의의 중요한 부분으로 삼았다. 불교도교는 근본적인 교의가 이와 같은 마법과 부합하지는 않았으나, 신도들의 마법에 대한 관심에 관대하였으며 일부를 자신들의 틀에 포함시키기도 하였다. 불교의 산신각이나 도교의 방생술 등이 그것이다. 유교는 마법에 대해 헛된 눈속임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취했으며, 기이한 일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으나, 추상화된 하늘을 존중하였을 뿐 현실에서는 철저히 부정하였다. 유학자가 무당을 불러 굿을 하는 것은 큰 부끄러움으로 여겨졌다.[1]

영어의 magic영어는 “마법”, “마술”, “주술”로 번역된다.[60] 근대 일본에서는 “문화” 등의 개념처럼 새롭게 번역어를 만들 필요가 있었던 것과 달리, magic은 기존 일본어 어휘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단어였다. 『화영어림집성』 초판(1867년)의 영어-일본어 부분에서는 magic에 “마법”, “이즈나”, “요술”이 대응되었고, 일본어-영어 부분에서는 “마법”, “마술”에 magic arts, sorcery 등이 대응되었다.

종교인류학 분야에서는 이 번역어로 '''주술'''이 정착되어 있다. 반면, 사상사나 서양사의 문맥에서는 '''마술'''이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된다. 마술은 서양 신비 사상의 한 분야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2. 1. 주술

주문을 이용하여 마법을 행하는 것으로, 《홍길동전》, 《전우치전》과 같은 영웅 소설에 등장한다. 《서유기》에는 불경 독송에 영험한 힘이 깃든다고 묘사되어 주술의 영향을 보여준다.

2. 2. 도술

도술은 도교를 바탕으로 하는 신선술, 방생술과 같은 것으로, 초자연적인 존재인 신선이 되는 수련 방법이나 신선 또는 신령이 부리는 힘을 말한다.[60]

2. 3. 요술

요술은 칼 삼키기와 같이 오늘날의 서커스 묘기에서부터 분신술, 축지법 등 기이한 재능까지 다양하게 부르는 말이다.

2. 4. 신내림

무당과 같은 특별한 사람이 신령이나 귀신과 교감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일을 가리킨다. 앞날을 예지하거나 죽은 사람의 말을 전하는 것과 같은 일이 있다.[60]

2. 5. 동아시아 사상과 마법

샤머니즘은 주술, 요술, 신내림 등을 제의의 중요한 부분으로 삼았다. 불교도교는 근본적인 교의가 마법과 부합하지는 않았으나, 신도들의 마법에 대한 관심에 관대하였으며 일부를 자신들의 틀에 포함시키기도 하였다. (예: 불교의 산신각, 도교의 방생술) 유교는 마법에 대해 헛된 눈속임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취했으며, 기이한 일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으나, 추상화된 하늘을 존중하였을 뿐 현실에서는 철저히 부정하였다. 유학자가 무당을 불러 굿을 하는 것은 큰 부끄러움으로 여겨졌다.[1]

동아시아에는 다음과 같은 마법과 유사한 문화들이 존재했다.

용어설명
주술주문을 이용하여 마법을 행하는 것이다. 《홍길동전》, 《전우치전》과 같은 영웅 소설에 등장한다. 《서유기》에는 불경 독송에 영험한 힘이 깃든다고 묘사되어 주술의 영향을 보여준다.
도술도교를 바탕으로 하는 신선술, 방생술과 같은 것으로, 초자연적인 존재인 신선이 되는 수련 방법이나 신선 또는 신령이 부리는 힘을 말한다.
요술칼삼키기와 같이 오늘날의 써커스 묘기에서부터 분신술, 축지법 등 기이한 재능까지 다양하게 부르는 말이다.
신내림무당과 같은 특별한 사람이 신령이나 귀신과 교감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일을 가리킨다. 앞날을 예지하거나 죽은 사람의 말을 전하는 것 등이 있다.


3. 서양의 마법

고대 오리엔트 및 지중해 문명에서 마법은 신탁과 함께 종교의 주된 수단이었다. 그러나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잡으면서 신이나 성자의 기적 이외의 불가사의한 일들은 악마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었다. 중세에는 표면적으로 기독교 교리에 의한 기적만이 공인되었으나, 이면에서는 점성술이나 악마 숭배와 같은 일들이 지속되었다. 중세 말기에는 흉년이나 전염병 등에 의한 사회 문제를 마법사 또는 마녀로 몰아 단죄하는 마녀 사냥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근대 이후 황금여명회와 같은 마법결사들을 바탕으로 신비주의 마법이 발전하였다.

3. 1. 어원

영어 단어 'magic', 'mage', 'magician'은 라틴어 'magus'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그리스어 μάγος를 거쳐 고대 페르시아어 'maguš'(𐎶𐎦𐎢𐏁|𐎶𐎦𐎢𐏁, 마법사)에서 비롯되었다.[2] 고대 페르시아어 'magu-'는 프로토-인도-유럽어 *magh (할 수 있는)에서 유래했다. 페르시아어 용어는 고대 중국어 ''*Mγag''(마법사 또는 샤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3] 고대 페르시아어 형태는 고대 셈어족 언어에도 퍼져 탈무드 히브리어 'magosh', 아람어 'amgusha'(마법사), 그리고 칼데아어 'maghdim'(지혜와 철학)이 되었다. 기원전 1세기부터 시리아어 'magusai'는 마법사와 점쟁이로 악명을 얻었다.[4]

기원전 6세기 후반과 5세기 초, ''고에티아''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에 들어와 사기적이고 비전통적이며 위험한 의식에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5] 라틴어는 기원전 1세기에 이 용어의 의미를 채택했고, 기원후 1세기에 기독교 신학에 통합되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마법을 악마와 연관시켜 기독교 종교에 반하는 것으로 간주했다.[6] 19세기 이후 학자들은 마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하고 서로 다른 것들을 참조하여 사용했다.[7]

영어의 magic영어는 “마법”, “마술”, “주술”로 번역된다.[60] 근대 일본에서는 “문화” 등의 개념처럼 새롭게 번역어를 만들 필요가 있었던 것과 달리, magic은 기존 일본어 어휘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단어였다. 『화영어림집성』 초판(1867년)의 영어-일본어 부분에서는 magic에 “마법”, “이즈나”, “요술”이 대응되었고, 일본어-영어 부분에서는 “마법”, “마술”에 magic arts, sorcery 등이 대응되었다.

3. 2. 종류

마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라오가 사후 세계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주문을 담은 피라미드 텍스트가 왕족 무덤에 기록되었다.[15] 제1중간기의 혼란기에 일반인들이 이 주문을 알게 되었고, 중왕국 초기에는 자신의 관에 관 텍스트를 새겨 사후 세계에서의 생존을 기원했다.[15]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미라로 만들어 보존했는데, 이는 영혼이 육체에 머무는 동안만 사후 세계에서 생존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16] 시신이 무덤에 봉인되기 전에는 입을 여는 의식을 통해 사후 세계에서 감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16]

magic영어이라는 단어는 “마법”, “마술”, “주술”로 번역된다.[60] 일본에서는 “요술”, “이즈나” 등으로 번역되었다. 종교인류학에서는 '''주술'''이라는 번역어가 정착되었고,[63] 사상사나 서양사에서는 '''마술'''이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된다.

주술은 사회나 개인의 불만과 불안을 완충하는 역할을 했다. 사찰이 지역 사회의 중심이었던 것처럼, 유럽의 마을은 교회를 중심으로 조성되었는데, 이는 주술을 행하는 무당이 마을의 중심에 있었던 흔적으로 보인다.

주술은 재판 제도나 법이 없던 시대나 지역에서 권위이자 협박의 힘으로 작용했다. 개인 간의 분쟁에서 저주를 걸거나, 성인의 통과의례 등에서 주술을 통해 결의를 다지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제령을 통해 불안을 없애는 등 상호 부조 관계에서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사냥, 고기잡이, 농업에서의 풍요를 기원하며, 토지가 풍요로워져 풍작을 이루는 것이 사회 집단의 소망이었다. 이를 위해 집단의 사회 불안을 막기 위한 지침이 필요했고, 기원과 기념, 점을 통해 1년의 길흉을 예측했다. 이는 주술의 연장인 연 단위의 절기계절에 따른 행사에서 나타난다.

3. 2. 1. 고급 마법과 저급 마법

역사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은 고급 마법(의례 마법 또는 의식 마법)을 행하는 사람들과 저급 마법을 행하는 사람들을 구분해 왔다. 고급 마법은 복잡하고 긴 세부 의식과 정교하고 때로는 값비싼 장비를 필요로 한다. 저급 마법과 자연 마법은 간단한 의식, 예를 들어 짧은 주문을 사용하는 농민과 민속과 관련이 있다.

3. 2. 2. 백마법, 흑마법, 회색마법

백마법은 이타적이거나 도움이 되는 목적으로 마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흑마법은 이기적이고, 해롭거나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21] 회색마법은 특별히 자비로운 이유로 수행되는 마법이 아니지만, 완전히 적대적인 행위에 초점을 맞추지도 않는다.[21] 역사적 유대교에서 실용 카발라는 유대 신비주의 전통의 한 분야로서 마법의 사용과 관련이 있는데, 엘리트에게만 허용되었고, 신성한(Q-D-Š) 상황 하에서 그리고 순수한(טומאה וטהרה, tvmh vthrh) 상황에서 행해진다면 그 영적 근원을 악의 껍질 영역과 구분할 수 있었다.[20]

3. 2. 3. 마법(Witchcraft)

역사적으로 마법(witchcraft)이라는 용어는 초자연적이거나 마법적인 수단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행위를 주로 가리켰다. 마법사로 여겨지는 사람들은 종종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의심을 받았다. 서구 사회에서, 특히 해로운 마법 행위는 일반적으로 여성과 관련이 있었다.

고대 오리엔트 문명 및 지중해 문명에서 마법은 신탁과 함께 종교의 주된 수단이었다. 그러나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잡게 되면서 신이나 성자의 기적 이외의 불가사의한 일들은 악마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었다. 중세 동안 표면적으로는 기독교의 교리에 의한 기적만이 공인되었으나, 이면에서는 점성술이나 악마 숭배와 같은 일들이 지속되었다. 중세 말기에는 흉년이나 전염병 등에 의한 사회 내부의 여러 문제를 마법사 또는 마녀에 의한 것으로 몰아 단죄하는 마녀 사냥이 벌어지기도 하였다.[15]

3. 3. 역사

고대 오리엔트 및 지중해 문명에서 마법은 신탁과 함께 종교의 주요 수단이었다. 그러나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로 자리 잡으면서 신이나 성자의 기적 외의 불가사의한 일들은 악마와 관련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중세 동안 표면적으로는 기독교 교리에 따른 기적만이 공인되었으나, 이면에서는 점성술이나 악마 숭배 등이 지속되었다. 중세 말기에는 흉년, 전염병 등으로 인한 사회 문제를 마녀의 탓으로 돌려 마녀 사냥이 벌어지기도 했다.[2]

중동, 특히 메소포타미아 상류 지역과 시리아(현재의 이라크와 이란)에서는 기원후 6세기부터 8세기까지 주술 그릇(마법 그릇)이 인기를 끌었다. 이 그릇들은 악마를 가두기 위해 거꾸로 묻혔으며, 문지방 아래, 안마당, 최근 사망자의 집 모퉁이, 묘지 등에 놓였다.[3][4] 아람어 주술 그릇은 유대교 마법 관행에 대한 중요한 지식의 원천이다.[5][6]

중세 작가인 이시도르스 세비야누스의 17세기 묘사. 그는 마법으로 여기는 활동 목록을 제공했다.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은 마법에 대한 그리스-로마 개념을 흡수하여 발전하는 기독교 신학에 통합했다. 그들은 마법을 바빌로니아인, 페르시아인, 이집트인의 산물로 보았다.[34][35][36][37]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법이 악마(사탄)와 협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종교와 정반대라고 보았다.

중세 유럽에서 마법은 점복 유형이 대부분이었으며, 이시도르스 세비야누스는 지리 점, 수리 점, 기리 점, 화리 점 등을 마법으로 여겼다. 또한 주술과 마법 물건을 이용한 치료도 마법으로 간주했다.[39][40] 중세 유럽에서는 무슬림유대인이 마법 행위에 가담했다고 의심받았으며, 이로 인해 학살이 벌어지기도 했다.[43][44] 해를 끼칠 의도로 행해진 마법은 ''maleficium''이라 불렸으며, 후기 중세에는 유해한 마법 행위자를 지칭하는 다양한 단어(프랑스어: ''sorcière'', 독일어: ''Hexe'', 이탈리아어: ''strega'', 스페인어: ''bruja'')가 나타났다.[45][46]

다양한 마법 부적(히브리어로 סגולות ''segulot'')을 특징으로 하는 라지엘 천사서의 발췌본


중세 유대교에서는 신비주의적이고 마법적인 요소를 분리하여 이론적 카발라와 실용적 카발라로 나누었다.[39]

1658년 런던에서 출판된 ''자연 마법'' 영어 번역본 표지


근세 초기에는 ''magia naturalis''(자연 마법) 개념이 발전하면서 마법에 대한 긍정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마르실리오 피치노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자연 마법을 자연 과정에 스며드는 근본적인 힘으로 보았으며, 이는 악마의 마법과 다르다고 주장했다.[17] 이들의 생각은 파라켈수스, 조르다노 브루노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17] 17세기에는 자연 마법 개념이 점차 '자연주의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과학과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3. 3. 1.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마법이 악마, 유령, 악한 마법사에 대항하는 유일한 방어 수단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종류의 의례와 의학적 처방에 사용되었고, 악한 징조를 무효화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34][35][36][37]

3. 3. 2.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이집트어로 ''케메트'')에서 마법(신 헤카로 의인화됨)은 종교와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10] 'heka'는 도덕적으로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외국인과 이집트인 모두의 관습과 신앙에 적용되었다.[12] 메리카레의 교훈은 ''heka''가 창조주가 인류에게 "사건의 타격을 막는 무기가 되도록" 부여한 은혜였다고 알려준다.[13]

고대 이집트 호루스의 눈 부적


마법은 문맹이었던 사제 계층과 문맹이었던 농부와 목동 모두에 의해 행해졌으며, ''heka''의 원리는 사원과 개인적인 환경 모두에서 모든 의례 활동의 기초가 되었다.[14]

고대 이집트의 신 헤카는 마술과 의학의 신격화된 신이며, 고대 이집트어로 헤카는 마술을 의미한다.[68]

3. 3. 3. 유대교

모세 율법[34]에서는 점복, 징조 해석, 마법, 부적 사용과 같은 마법 행위를 명시적으로 금지했다. 또한 성경 속 왕들의 역사에서도 이러한 행위들은 비난받았다.[35] 신약에서도 이러한 행위들 중 상당수가 반대되었다.[36][37]

할라카(유대교 율법)는 점술 및 기타 점복 행위를 금지하며, 탈무드는 지속적으로 비난받는 많은 점술 관행을 열거한다. 중세 유대교에서는 신비주의적 요소와 마법적 요소를 분리하여, 사색적인 카발라(''Kabbalah Iyyunit'')와 명상 전통을 갖춘 이론적 카발라, 그리고 주술적인 실용적 카발라(''Kabbalah Ma'asit'')로 나누는 경향이 14세기 초에 나타났다.[39]

3. 3. 4. 그리스-로마 세계

기원전 6세기 후반과 5세기 초, 페르시아의 '마구스(maguš)'는 그리스어로 '마고스(μάγος)'와 '마게이아(μαγεία)'로 음역되어 고대 그리스어에 도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 의미는 변형되어, '마고스'는 사기성이 있고 비전통적이며 위험한 의식을 행하는 사람을 뜻하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2]

그리스인들은 힘을 통제하고 얻기 위해 다이몬(하급 신 또는 영혼)을 소환하는 것에 힘썼다. 헬레니즘 시대의 저술가들은 마녀 사냥, 주술, 점술, 점성술과 같은 다양한 관행들을 마법이라는 이름 아래 분류했다.[2]

기원전 1세기에, 그리스의 '마고스' 개념은 라틴어로 채택되어 여러 고대 로마 작가들이 'magus'(마구스)와 'magia'(마기아)로 사용했다.[2]

3. 3. 5. 중세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은 마법에 대한 그리스-로마 개념을 흡수하여 발전하는 기독교 신학에 통합했다.[34] 이들은 그리스-로마의 마법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유지하고, 유대 사상, 특히 마법과 기적의 대립에서 차용한 개념을 통합하여 확장했다.[35] 기독교적 견해는 마법이 바빌로니아인, 페르시아인, 또는 이집트인의 산물이라는 것이었다.[36]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초기 기독교 작가들에게 마법은 악마사탄의 심복과 협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종교의 정반대였다.[37] 이러한 맥락에서 기독교의 마법에 대한 개념은 이교의 기독교 범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38]

역사가 마이클 D. 베일리는 중세 유럽에서 마법은 "비교적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범주"였다고 말한다.[39] 기독교 신학자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마법이 있다고 믿었는데, 그 대부분은 점복의 유형이었다. 예를 들어, 이시도르스 세비야누스는 네 가지 원소 즉 지리 점, 수리 점, 기리 점, 그리고 화리 점에 의한 점복과 점성술과 같은 자연 현상 관찰을 통한 점복을 마법으로 여겼다. 그는 또한 주술과 결찰(환자에게 묶인 마법 물건의 의학적 사용)도 마법이라고 언급했다.[40] 중세 유럽에서는 마법이 구약의 인물인 솔로몬과 연관되기도 했다. 여러 그리무아르 중 솔로몬의 열쇠가 주목할 만하다.[41]

초기 중세 유럽에서 ''magia''는 비난의 용어였다.[42] 중세 유럽에서 기독교인들은 종종 무슬림과 유대인이 마법 행위에 가담했다고 의심했다.[43] 어떤 경우에는 주장되는 기독교인 어린이에 대한 유대인의 희생을 포함한 이러한 인식된 마법 의식으로 인해 기독교인들이 이러한 종교적 소수 민족을 학살했다.[44] 중세 유럽에서는 해를 끼칠 의도로 행해진 마법의 형태에 ''maleficium''이라는 용어가 적용되었다.[45] 후기 중세에는 유럽의 여러 언어로 유해한 마법 행위를 저지르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단어가 나타났는데, 프랑스어로는 ''sorcière'', 독일어로는 ''Hexe'', 이탈리아어로는 ''strega'', 스페인어로는 ''bruja''이다.[46] 악의적인 마법 행위자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인 witch는 이전의 고대 영어 용어 ''wicce''에서 유래했다.[47]

중세 교회는 마법을 초자연적인 방식으로 자연 세계를 조작하는 수단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마법 전체를 거부했다.

3. 3. 6. 르네상스

르네상스 시기에는 인문주의의 영향으로 헤르메티시즘신플라톤주의적 의식 마법이 다시 등장하였다.[39] 이와 함께, 하시디즘에서는 직접적인 마법적 수단을 사용하는 실용적 카발라 대신, 개념적이고 명상적인 경향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는 동시에 사회적 신비주의의 중심에 물질적 축복을 위한 명상적 신학을 정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39]

근세 초, 마법 개념은 ''magia naturalis''(자연 마법) 개념의 발전을 통해 긍정적으로 재평가되었다.[17] 이는 마르실리오 피치노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가 도입하고 발전시킨 용어로,[17] 그들에게 ''magia''는 많은 자연 과정에 스며드는 근본적인 힘으로 간주되었으며,[17] 악마의 마법이라는 주류 기독교 사상과 근본적으로 달랐다. 이러한 생각은 파라켈수스, 조르다노 브루노, 요하네스 로이흘린,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 등 후대 철학자와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7] 리처드 키크헤퍼에 따르면 ''magia naturalis'' 개념은 14~15세기 동안 "유럽 문화에 확고히 자리 잡았으며",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 신플라톤주의자, 헤르메스주의자 등 다양한 이론적 방향의 자연 철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magia naturalis'' 지지자들은 이것이 선과 악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625년 프랑스 사서 가브리엘 노데는 ''마법으로 잘못 의심받는 모든 현자를 위한 변론''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온다고 주장하며 예언, 기적, 방언을 포함하는 "모세 마법"을 악마가 일으킨 "지오틱" 마법과 구분했다. 이들은 악마의 행동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비평가들은 악마가 이러한 마술사들을 속였다고 주장하며 동의하지 않았다. 17세기에 ''magia naturalis'' 개념은 점차 '자연주의적' 방향으로 이동하여 과학과의 차이가 모호해졌다. 18세기 계몽주의 기간 동안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magia naturalis''의 타당성은 점점 더 비판받았다.[18]

''magia''라는 용어를 긍정적인 의미로 되찾으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마법에 대한 전통적인 태도(대체로 부정적)를 대체하지는 못했다.[18] ''magia naturalis''가 관심을 끌고 대체로 관용되던 동시에, 유럽에서는 ''maleficia''에 대해 유죄라고 믿어지는 마녀에 대한 활발한 박해가 있었다.

3. 3. 7. 바로크 시대

근세 초기에는 ''magia naturalis''(자연 마법) 개념이 발전하면서 마법에 대한 긍정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이탈리아 인본주의자 마르실리오 피치노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자연 마법을 여러 자연 과정에 스며드는 근본적인 힘으로 보았으며, 이는 악마의 마법이라는 주류 기독교 사상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이들의 생각은 파라켈수스, 조르다노 브루노, 요하네스 로이흘린,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 등 후대 철학자 및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리처드 키크헤퍼에 따르면, ''magia naturalis'' 개념은 14~15세기에 유럽 문화에 확고히 자리 잡았으며,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신플라톤주의, 헤르메티시즘 등 다양한 이론적 방향의 자연 철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Magia naturalis'' 지지자들은 마법이 선과 악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625년 프랑스 사서 가브리엘 노데는 저서 ''마법으로 잘못 의심받는 모든 현자를 위한 변론''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온다고 주장하는 예언, 기적, 방언 등을 포함하는 "모세 마법"과 악마가 일으킨 "지오틱" 마법을 구분했다. ''Magia naturalis'' 지지자들은 악마의 행동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 비평가들은 악마가 이러한 마술사들을 속였다고 반박했다. 17세기에는 ''magia naturalis'' 개념이 점차 '자연주의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과학과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3. 3. 8. 근대

19세기에 들어서자 유럽 지식인들은 마법 실행을 죄악으로 여기지 않고, "지배적인 문화 논리에 반하는 비정상적인 사고방식—심리적 장애의 징후이자 인종적 또는 문화적 열등성의 표지"로 간주하게 되었다.[41] 현대 서구 마법은 현대 종교와 영성에 대한 널리 퍼진 선입견에 도전해 왔다. 20세기 후반에는 카오스 매직 운동이 등장하여 다른 신비 전통의 상징적, 의례적, 신학적 또는 장식적인 측면을 제거하고 마법을 기본 기술 집합으로 추출하려는 시도를 했다.[41]

4. 아랍의 마법

이슬람 이전의 아랍 사회에는 조로아스터교 등 여러 종교가 있었으며, 이들은 지니라는 정령이 마법을 행한다고 믿었다. 이슬람이 아랍 사회의 지배적인 종교가 되면서 다른 신들은 부정되었으나, 정령(꾸란의 제72수라 알 진)이나 마법에 대한 믿음은 관용적으로 받아들여졌다.[44][45][46][47]

5. 문학 속 마법

예나 지금이나 많은 사람들이 마법을 소재로 쓰인 소설을 즐긴다.


  • 동양: 마법을 소재로 쓴 대표적인 동양 고전으로는 《봉신연의》, 《서유기》, 《홍길동전》 등이 있다.
  • 서양: 마법에 대한 서양의 고전으로는 니벨룽겐의 반지와 같은 기사도 문학에서부터 그림형제 동화집과 같은 동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아랍: 아라비안나이트에는 수많은 마법 이야기가 등장한다.
  • 판타지 소설: 반지의 제왕, 해리 포터 시리즈 등의 현대 판타지 소설 장르에는 다양한 세계관에 따른 마법이 등장한다.

6. 종류

위치크래프트, 흑마법, 회색마법, 백마법, 수비술, 강령술, 소환술

7. 마법사

마법사는 마법을 행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마법사라는 정체성은 개인의 주장에서 비롯될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이 붙인 꼬리표일 수도 있다.[57] 다른 사람들이 붙인 꼬리표의 경우, 개인은 그러한 꼬리표를 받아들일 수도 있고, 때로는 강력하게 거부할 수도 있다.[57]

마법으로 분류되는 많은 행위들은 특별한 지식이나 특정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 없이도 누구든 수행할 수 있다.[57][58] 예를 들어, 몇몇 주술은 개인이 외울 수 있다.[58] 다른 마법들은 수행하기 위해 특수한 훈련이 필요하다.[57][58] 때때로 마법 행위를 습관적으로 수행하는 개인들은 마술사, 마법사/여마법사, 마녀, 민간 요법사와 같은 관련 개념으로 여겨지게 되었다.[58]

경제적 유인은 개인이 마술사로서 자신을 식별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59] 다양한 형태의 전통적인 치유자뿐만 아니라 후기 마술사나 환술사의 경우, 마술사라는 꼬리표는 직업 설명이 될 수 있다.[58] 어떤 이들은 자신이 특별하고 특이한 힘이나 재능을 가지고 있다는 진정한 믿음으로 그러한 정체성을 주장한다.[64]

서로 다른 사회는 그러한 역할을 맡을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서로 다른 사회적 규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족의 유전 문제일 수도 있고, 그러한 관행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성별 제한이 있을 수도 있다.[65] 다양한 개인적 특성이 마법의 힘을 부여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종종 이는 특이한 출생과 관련이 있다.[57] 예를 들어, 헝가리에서는 ''탈토스''가 이빨이나 손가락이 하나 더 있는 상태로 태어날 것이라고 믿었다.[66]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는 양막을 덮고 태어나는 것이 아이를 초자연적인 능력과 연결시킨다고 믿었다.[66]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관행의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전에 의례적인 입문이 필요하며, 다른 경우에는 개인이 다른 전문가로부터 멘토십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67]

기록된 역사를 통틀어 마술사들은 종종 그들의 주장되는 힘과 능력에 대해 회의론에 직면해 왔다.[68] 예를 들어, 16세기 영국에서 작가 리저널드 스콧은 ''마녀 사냥의 발견''을 저술했는데, 여기서 그는 마녀로 고발되거나 마법 능력을 주장하는 많은 사람들이 환술을 사용하여 사람들을 속이고 있다고 주장했다.[69]

참조

[1] 서적 Mesopotamian Magic: Textual, Historical, and Interpretativ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Brill 2020-05-15
[2] 서적 Prayer, Magic, and the Stars in the Ancient and Late Antique World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10
[3] 웹사이트 Incantation bowls http://www.bmagic.or[...] 2013-09-06
[4] 웹사이트 Babylonian Demon Bowls https://deepblue.lib[...] Lib.umich.edu 2013-09-06
[5] 학술지 Aramaic Incantation Bowls
[6] 문서 may have been Jewish, but Aramaic incantation bowls also commonly circulated in pagan communities Pontificio Istituto biblico, Pontificio Istituto biblico. Facoltà di studi dell'antico oriente 1996
[7] 문서 A Syriac Incantation Bowl with Christian Formula
[8] 서적 D. Aramaic Incantation Bowl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2007
[9] 서적 Aramaic incantation bowls of the 6th cent, show her with disheveled hair and tell how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1992
[10] 문서 Magical Texts From A Bilingual Papyrus In The British Museum
[11] 서적 Magic: An Overview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2] 서적 Magic: An Overview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3] 서적 Magic: An Overview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4] 서적 Magic: An Overview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5] 서적 Ancient Egypt: Everyday Life in the Land of the Nile Sterling 2009
[16] 웹사이트 Magic in Ancient Egypt https://www.worldhis[...] 2017
[17] 서적 Amulets of Ancient Egypt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4
[18] 성경 Bible Hub provides an interlinear translation of the verses. https://biblehub.com[...]
[19] 서적 The Torah: A Modern Commentary Union for Reform Judaism 2004
[20] 웹사이트 A Little Hebrew http://www.alittlehe[...] 2014-03-26
[21] 서적 The Everything Kabbalah Book: Explore This Mystical Tradition--From Ancient Rituals to Modern Day Practices Adams Media 2006
[22] 서적 The Mitzvah of Healing: An Anthology of Jewish Texts, Meditations, Essays, Personal Stories, and Rituals Union for Reform Judaism 2003
[23] 웹사이트 Book Review: Gideon Bohak, Ancient Jewish Magic https://www.academia[...] 2021-07-09
[24] 서적 Ancient Jewish Magic: A History https://www.academ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5-15
[25] 서적 Jesus and the impurity of spirits in the Synoptic Gospels 2004
[26] 서적 Rethinking Greek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7] 서적 Magic in Western Culture: From Antiquity to the Enlighte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8] 서적 Religions of the Ancient Gree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9] 서적 The Penguin Handbook of Ancient Religions Penguin 2009
[30] 서적 The Greek Magical Papyri in Translation, Including the Demotic Spel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31] 서적 Oracles and Theurgy: Mysticism, Magic and Platonism in the Later Roman Empire Études Augustiniennes 1978
[32] 서적 The Greek Magical Papyri in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33] 서적 The Late Roman World and Its Historian: Interpreting Ammianus Marcellinu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8-22
[34] 성경
[35] 성경
[36] 성경 Acts 13:6-13:12
[37] 성경 Galatians 5:16-5:26
[38] 서적 Popular Religion in Germany and Central Europe, 1400-180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04-02
[39] 서적 Magic & Superstition in the Jewish Tradition: An Exhibition Organized by the Maurice Spertus Museum of Judaica https://books.google[...] Spertus College of Judaica Press 2020-05-15
[40] 서적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 The European Scientific Tradition in Philosophical, Religious, and Institutional Context, 600 B.C. to A.D. 145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7
[41] 서적 A History of Britain 1: 3000 BC-AD 1603 At the Edge of the World? BBC Worldwide
[42] 학술지 Magic for the Dead? The Archaeology of Magic in Later Medieval Burials http://centaur.readi[...] 2008-11-01
[43] 서적 Medieval Life: Archaeology and the Life Course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17-03-08
[44] 서적 Islam, Arabs, and the Intelligent World of the Jinn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9
[45] 서적 Legends of the Fire Spirits: Jinn and Genies from Arabia to Zanzibar I.B.Tauris 2010
[46] 서적 The Study Quran; A New Translation and Commentary Harper Collins 2015
[47] 서적 Introduction to Sufism: The Inner Path of Islam World Wisdom
[48] 서적 Forbidden Rites: A Necromancer's Manual of the Fifteenth Centur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2
[49] 서적 Hasidism: Between Ecstasy and Magic SUNY Press
[50] 서적 Studies in East European Jewish Mysticism and Hasidism Littman Library
[51] 서적 Magia Sexualis: Sex, Magic, and Liberation in Modern Western Esoteric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서적 The Varieties of Magical Experience: Indigenous, Medieval, and Modern Magic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05-14
[53] 서적 Methodology and Afric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2015-12-26
[54]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2015-12-26
[55] 서적 A Kind of Magic: Understanding Magic in the New Testament and Its Religious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5-12-26
[56] 서적 Heroism and the Supernatural in the African Ep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2-26
[57] 서적 The End of Magic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58] 백과사전 Magic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
[59] 웹사이트 魔術(まじゅつ)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国語辞書 2019-12-02
[60] 사전 magic 大修館書店
[61] 문서 μαγικός, μαγική
[62] 사전 magic 연구사
[63] 백과사전 呪術 일본대백과사전(니포니카)
[64] 서적 呪術 弘文堂
[65] 서적 야생의 사고
[66] 서적 개정 문화인류학사전 ぎょうせい
[67] 논문 呪術化するモダニティ-現代アフリカの宗教的実践から- https://cir.nii.ac.j[...] 中部大学
[68] 웹사이트 Heka *** https://www.landofpy[...] 2023-10-21
[69] 문서 동양의학, 카이로프랙틱
[70] 문서 플라시보 효과와 주술
[71] 서적 ヒマラヤに学校をつくる 株式会社旬報社 2019-04-03
[72] 서적 沖縄の魔除けとまじない 第一書房 1997
[73] 문서 μαγεία, magia
[74] 문서 γοητεία, goetia
[75] 문서 φάρμακα, φαρμακεία, veneficium
[76] 문서 maleficium
[77] 서적 Hermetic Magic Samuel Weiser 1995
[78] 서적 Magic in Medieval Manuscripts University of Tronto Press 2004
[79] 서적 中世ヨーロッパの異教・迷信・魔術 早稲田大学出版部 2016
[80] 서적 Unlocked Books: Manuscripts of Learned Magic in the Medieval Libraries of Central Europe The Pe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8
[81] 서적 Learned Mag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82] 웹사이트 Book 4, Part 3, Definition and Theorems of Magick http://www.hermetic.[...]
[83] 서적 神秘主義と魔術 国書刊行会 1986
[84] 문서 17세기 초기 근대 영어 First Folio의 magick 철자
[85] 서적 アレイスター・クロウリーの魔術世界 国書刊行会 1987
[86] 서적 スペルコレクション 富士見書房 1963-01
[87] 웹사이트 魔法にシステムは必要か ― 西洋ファンタジー界に起こりつつある異変 http://www.kotaku.jp[...] 2012-06-26
[88] 서적 和漢音釋書言字考節用集, 第11巻 https://books.googl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