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서 지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서 지방은 제천 의림지와 금강 상류의 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서해안을 접하며 리아스식 해안과 태안반도가 발달했다. 소백산맥, 금강, 아산만, 차령산맥 등을 경계로 영남, 호남, 경기, 관동 지방과 접한다. 금강을 비롯한 여러 강이 흐르며 호서 평야가 발달했고, 대청댐과 충주댐이 주요 생활용수를 공급한다. 역사적으로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로 불리며 기호학파의 중심지였다. 현재 대전, 청주, 천안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공업, 농업, 관광업이 발달했다. 충청 방언을 사용하며 곡물과 해산물이 풍부한 식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등 다양한 교통망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도 - 충청 방언
충청 방언은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방언으로, 지역별로 인접 방언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독특한 어휘와 음운 현상을 가지고 있고, 문법과 어휘에서 표준어와 차이를 보이나 지역 방언에 대한 자부심은 낮은 편이다. - 한국의 지역 -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호남 지방의 광역자치단체로, 마한의 영역에서 시작되어 전라도에서 분리되었고, 제주도와 광주광역시가 분리된 후 무안군에 도청을 두고 서해와 남해안에 접하며 농업과 산업이 발달했고, 현재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한국의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충청북도의 지리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호서 지방 | |
---|---|
지도 정보 | |
개요 | |
한자 표기 | 湖西 |
로마자 표기 | Hoseo |
위치 | 충청도 서쪽 지역 |
유래 | 금강의 옛 이름인 호강의 서쪽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유래 |
역사적 구분 | 조선 시대의 충청도를 지칭하는 별칭 |
지리 | |
지역 범위 | 충청북도와 충청남도 전 지역 |
주요 도시 | 대전광역시 청주시 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당진시 |
역사 | |
조선 시대 | 충청도의 별칭으로 사용 |
현재 | 호남 지방과 함께 대한민국 중부 지역을 대표하는 지명 |
특징 | |
문화 | 양반 문화가 발달했으며, 충청도 사투리를 사용 |
경제 | 농업과 공업이 발달 |
교육 | 대학교가 밀집되어 있으며, 교육열이 높음 |
2. 지리
호서 지방은 제천 의림지와 금강 상류의 서쪽에 위치한 지방이다. 황해와 면하는 호서지방의 서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하였고, 서북부에 태안반도가 돌출되어 예로부터 중국과 교류가 많았다. 동쪽으로는 추풍령과 황악산(1,177m), 속리산(1,058m), 월악산(1,092m) 등 소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남 지방과 경계를 이룬다. 서남부는 금강을 사이로 호남 지방과 경계를 접하고, 동남부는 대둔산(878m)과 민주지산(1,242m)을 기준으로 호남 지방과 자연적 경계를 이룬다. 호서지방의 북쪽으로는 아산만을 경계로 경기 지방과 접하고, 동북쪽으로는 백운산(1,014m) 등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관동 지방과 경계를 이룬다.
2. 1. 지형
호서 지방은 제천 의림지와 금강 상류의 서쪽에 있는 지방이다. 황해와 면하는 호서지방의 서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하였고, 서북부에 태안반도가 돌출되어 예로부터 중국과 교류가 많았다. 동쪽으로는 추풍령과 황악산(1,177m), 속리산(1,058m), 월악산(1,092m) 등 소백산맥을 기준으로 영남 지방과 경계를 이룬다. 서남부는 금강을 사이로 호남 지방과 경계를 접하고, 동남부는 대둔산(878m)과 민주지산(1,242m)을 기준으로 호남 지방과 자연적 경계를 이룬다. 호서지방의 북쪽으로는 아산만을 경계로 경기 지방과 접하고, 동북쪽으로는 백운산(1,014m) 등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관동 지방과 경계를 이룬다.호서 지방을 대표하는 강은 금강이다. 금강은 금산에서 영동, 옥천, 보은, 청원, 대전, 세종, 공주, 청양, 논산, 부여, 서천을 지나 장항에서 황해로 유입된다. 금강의 주요 지류로는 갑천, 논산천, 미호강, 유구천 등이 있고, 비옥한 호서 평야가 발달하였다. 금강의 지류인 미호강은 충청북도 북부에서 서남류하며 금강에 유입된다. 차령산맥의 북쪽으로는 삽교천이 아산만에 유입되면서 예당평야가 발달하였다. 삽교천 유역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인 예당저수지가 있고, 논산천에는 탑정저수지가 있다. 금강 수계권에는 대청댐, 동북부 한강 수계권에는 충주댐이 있어 호서 지방의 주요 생활용수가 된다.
2. 2. 수계
호서 지방을 대표하는 강은 금강이다. 금강은 금산에서 영동, 옥천, 보은, 청원, 대전, 세종, 공주, 청양, 논산, 부여, 서천을 지나 장항에서 황해로 유입된다. 금강의 주요 지류로는 갑천, 논산천, 미호강, 유구천 등이 있고, 비옥한 호서 평야가 발달하였다. 금강의 지류인 미호강은 충청북도 북부에서 서남류하며 금강에 유입된다. 차령산맥의 북쪽으로는 삽교천이 아산만에 유입되면서 예당평야가 발달하였다. 삽교천 유역에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인 예당저수지가 있고, 논산천에는 탑정저수지가 있다. 금강 수계권에는 대청댐, 동북부 한강 수계권에는 충주댐이 있어 호서 지방의 주요 생활용수가 된다.3. 역사
호서 지방은 고대부터 조선 시대,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마한의 중심지였던 목지국이 천안시에 있었고, 백제의 수도는 공주시(웅진)와 부여군(사비)였다. 신라는 통일 후 청주를 서원경으로 승격시켰고, 남북국 시대에는 웅주와 상주를 설치했다.(고대)
고려 시대에는 995년 중원도로 불리다가 1106년 양광충청도로 개칭되었고, 이후 양광도에 속하게 되었다.(고려 시대)
조선 시대에는 팔도 체제 하에 충청도가 되었으며, 충주와 청주의 앞 글자를 따서 이름 지어졌다. 경기도와 함께 기호 지방으로 불렸고, 기호학파가 이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1895년 갑오개혁으로 공주부, 홍주부, 충주부로 삼분되었다가 1896년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분리되었다.(조선 시대)
한국 전쟁 당시 대전이 임시 수도 역할을 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현대)
연도 | 사건 |
---|---|
1914년 | 평택군이 경기도로, 개야도, 어청도 등이 전라북도로 이관 |
1935년 | 대전부 승격, 대덕군 개칭 |
1946년 | 청주부 승격, 청원군 개칭 |
1949년 | 대전시, 청주시 개칭 |
1956년 | 충주시 승격, 중원군 개칭 |
1963년 | 천안시 승격, 천원군 개칭, 금산군 충남 편입 |
1980년 | 제천시 승격, 제원군 개칭 |
1986년 | 온양시, 대천시, 공주시 승격 |
1989년 | 대전직할시 승격, 서산시 승격, 태안군 분리 |
1990년 | 제원군, 천원군 명칭 변경 |
1995년 | 대전광역시 개칭, 여러 시군 통합 |
1996년 | 논산시 승격 |
2003년 | 증평군, 계룡시 분리 |
2012년 | 당진시, 세종특별자치시 승격 |
2014년 | 청주시 통합 |
3. 1. 고대
마한의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목지국이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에 있었고, 금강 유역인 웅진(공주시)과 사비(부여군)는 백제의 수도였다. 충남 서해안 유역은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했고, 백제의 수도와 인접한 논산은 비옥한 논산평야에 펼쳐져 있어 백제 최후의 결전을 벌인 군사적 요충지였다. 백제 평정 당시 당나라가 웅진도독부를 두었고, 신라가 통일한 후에는 청주가 서원경으로 승격하였다. 남북국 시대에는 신라가 9주 5소경을 설치하면서 웅주(熊州)와 상주(尙州)를 각각 설치하였다.3. 2. 고려 시대
고려 성종 14년(995년) 신라의 중원경(中原京)이 있었던 지역이라 하여 중원도(中原道)라고 정하였다. 고려 예종 원년(1106년)에 한강 이남의 지역을 통치하던 하남도(河南道)와 통합하여 양광충청도(楊廣忠淸道)로 개칭하였다. 그 이후에 추가적인 행정 개편으로 인하여 성립된 5도 양계 중에서 양광도(楊廣道)에 속하게 된다.3. 3. 조선 시대
조선 건국 후 팔도로 개편되면서 충청도가 되었다. 충청도(忠淸道)의 충(忠)은 충주(忠州), 청(淸)은 청주(淸州)이다. 여주군, 안성군, 음죽군(폐지), 용인군은 경기도로 편입되었다. 공주목, 홍주목, 청주목, 충주목이 설치되었고, 1602년 충청도 감영을 공주목으로 이전하였다. 1505년(연산군 11) 공주의 앞글자를 따서 '''충공도'''로 개칭하였고, 진위군이 충청도로 편입되었다. 이후 충청도는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1550년(명종 5): 청공도
- 1613년(광해군 5): '''공청도'''
- 1628년(인조 6): '''공홍도''' (충청도 서부 중심지 홍주(홍성)의 앞글자를 따옴)
- 1646년(인조 24): 홍충도
- 1656년(효종 7): 공홍도
- 1670년(현종 11): 충홍도
- 1681년(숙종 7): 공충도
- 1735년(영조 11): 공홍도
- 1777년(정조 원년): 공충도
- 1804년(순조 4): 공충도
- 1862년(철종 13): 공충도
조선 시대 충청도는 경기도와 함께 기호 지방으로 불렸으며, 기호 지방을 기반으로 하는 기호학파와 영남 지방의 영남학파가 양대 산맥을 이루었다. 김장생을 거쳐 송시열에 이르러 연산(현재의 논산시)과 회덕(懷德)(현재의 대전광역시) 등 충청도를 중심으로 기호학파가 정계와 학계를 주도하였다.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제가 실시되어 충청도는 공주부, 홍주부, 충주부로 나뉘었다.
공주부 | 홍주부 | 충주부 |
---|---|---|
대전, 공주, 청주, 논산, 계룡, 부여, 천안, 금산, 옥천, 영동, 보은, 연기(세종) 일대 | 홍성, 서산, 당진, 보령, 서천, 태안, 아산, 예산, 청양 일대 | 충주, 제천, 단양, 음성, 괴산, 증평, 진천 일대 |
1896년(건양(建陽) 원년) 13도제 시행으로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분리되었다. 진위군은 잠시 충청남도에 속했다가 경기도로 다시 편입되었다.
3. 4. 현대
한국 전쟁 중에는 교통의 요지였던 대전이 대한민국 정부의 임시 수도 기능을 하였다.연도 | 사건 |
---|---|
1914년 | 충청남도 평택군을 경기도로, 개야도, 어청도 등을 전라북도로 이관하였다. |
1935년 | 대전군 대전읍을 대전부로 승격하고, 대전군을 대덕군으로 개칭하였다. |
1946년 | 청주군 청주읍을 청주부로 승격하고, 청주군을 청원군으로 개칭하였다. |
1949년 | 대전부, 청주부를 대전시, 청주시로 개칭하였다. |
1956년 | 충주군 충주읍을 충주시로 승격하고, 충주군을 중원군으로 개칭하였다. |
1963년 | 천안군 천안읍을 천안시로 승격하고, 천안군을 천원군으로 개칭하였다. 전라북도 금산군을 충청남도로 이관하였다. |
1980년 | 제천군 제천읍을 제천시로 승격하고, 제천군을 제원군으로 개칭하였다. |
1986년 | 아산군 온양읍을 온양시로, 보령군 대천읍을 대천시로, 공주군 공주읍을 공주시로 승격하였다. |
1989년 | 대전시와 대덕군[2]을 대전직할시로 승격하였다. 대덕군 진잠면 남선리를 논산군 두마면에 편입하였다. 서산군 서산읍을 서산시로 승격하고, 태안읍 등을 태안군으로 분리하였다. |
1990년 | 제원군을 제천군으로, 천원군을 천안군으로 개칭하였다. |
1995년 | 대전직할시를 대전광역시로 개칭하였다. 충주시와 중원군, 제천시와 제천군, 천안시와 천안군, 온양시와 아산군, 서산시와 서산군, 대천시와 보령군, 공주시와 공주군을 통합하였다. |
1996년 | 논산군을 논산시로 승격하였다. |
2003년 | 괴산군 증평읍 등을 증평군으로, 논산시 계룡출장소를 계룡시로 분리하였다. |
2012년 | 당진군을 당진시로, 연기군, 공주시 일부, 청원군 일부를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하였다. |
2014년 | 청주시와 청원군을 청주시로 통합하였다. |
4. 경제
호서 지방은 대한민국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물류 비용 절감 효과와 파급 효과를 낼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다.
4. 1. 산업
호서 지방은 대한민국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물류 비용 절감 효과와 파급 효과를 낼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다. 대전은 과학기술과 유통·서비스업이 발달하였고, 서산·당진은 중화학 공업, 청주·아산·천안은 정밀 공업이 발달하였으며, 제천·단양 일대는 양회 공업이 발달했다. 예산·당진·서산·홍성 일대의 비옥한 예당평야와 대전·청주·공주·논산·부여·옥천·금산·연기 등 금강 유역에 비옥한 호서평야가 펼쳐져 있어 충청도 전역에서 농업이 발달하였다. 충주와 예산의 사과, 서산의 쌀과 생강, 논산의 딸기, 금산의 인삼, 영동의 포도, 청양의 고추·구기자 등이 특산물로 유명하다. 태안·보령·서천 등 서해안 유역은 해산물이 풍부하고 관광업이 발달하였다. 서산에 대산항, 보령에 대천항, 서천에 장항항 등이 있다. 대전은 사면팔방으로 통하는 교통이 발달하였고, 서산·태안·보령·서천 등 충남 서해안은 대한민국에서 중국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해안이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5. 지역
호서 지방에는 2022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의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모든 시와 인구 10만 명이 넘는 군이 포함된다.[1] 주요 도시는 대전광역시, 청주시, 천안시, 아산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주시, 서산시, 당진시, 제천시, 논산시, 보령시, 홍성군, 계룡시이다.
5. 1. 주요 도시
순위 | 도시명 | 인구 (2022년 하반기 ~ 2023년 상반기) |
---|---|---|
1 | 대전광역시 | 1,490,158명 |
2 | 청주시 | 864,048명 |
3 | 천안시 | 688,697명 |
4 | 아산시 | 352,436명 |
5 | 세종특별자치시 | 263,056명 |
6 | 충주시 | 209,200명 |
7 | 서산시 | 176,341명 |
8 | 당진시 | 168,253명 |
9 | 제천시 | 131,969명 |
10 | 논산시 | 120,540명 |
11 | 보령시 | 103,494명 |
12 | 홍성군 | 101,232명 |
13 | 계룡시 | 43,942명 |
해당 자료는 2022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의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하며, 모든 시와 인구 10만 명이 넘는 군을 포함한다.
6. 문화
호서 지방은 충청 방언을 사용하는데, 말투가 느리고 온화하며 억양이 차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곡물이 풍부하고 황해에 좋은 어장이 있어 해산물이 풍부하며, 곡물음식과 젓갈이 발달하였다. 음식의 소금간은 경기 지방과 비슷한 수준이다.
6. 1. 방언
호서 지방에서는 충청 방언을 사용한다. 충청도 사투리는 말투가 느리고 온화하며, 억양이 차분한 것이 특징이다.[1]6. 2. 식문화
호서 지방은 곡물이 풍부하고, 황해에 좋은 어장이 있어 해산물이 풍부하다. 곡물음식이 발달하였고 갖가지 젓갈이 성행한다. 음식의 소금간은 경기 지방과 비슷한 수준이다.7. 교통
호서 지방은 대한민국 중서부에 위치하여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철도는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을 비롯하여 경부선, 호남선, 장항선 등이 연결된다.
주요 국도로는 국도 제1호선(천안~세종~공주~대전~계룡~논산), 국도 제4호선(서천~부여~논산~계룡~대전~옥천~영동), 국도 제32호선(태안~서산~당진~예산~공주~세종~대전), 국도 제36호선(보령~청양~공주~세종~청주~증평~음성~충주~제천~단양) 등이 있다. 국도 제17호선은 금산에서 진천까지, 국도 제21호선은 서천에서 음성까지 이어진다.
청주국제공항이 위치하여 국내외 항공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7. 1. 고속도로
7. 2. 철도
7. 3. 주요 국도
- 국도 제1호선 : 천안~세종~공주~대전~계룡~논산
- 국도 제4호선 : 서천~부여~논산~계룡~대전~옥천~영동
- 국도 제17호선 : 금산~대전~청주~진천
- 국도 제21호선 : 서천~보령~홍성~예산~아산~천안~진천~음성
- 국도 제32호선 : 태안~서산~당진~예산~공주~세종~대전
- 국도 제36호선 : 보령~청양~공주~세종~청주~증평~음성~충주~제천~단양
7. 4. 항공
청주국제공항8. 관공서
호서 지방에는 정부대전청사, 정부세종청사 등의 중앙 정부 기관과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관할하는 대전고등법원, 대전고등검찰청, 대전지방국세청,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금강유역환경청, 충청지방통계청, 충청지방우정청 등의 기관이 있다.
8. 1. 중앙 정부 기관
정부대전청사, 정부세종청사8. 2. 호서지방 관할 기관
기관명 | 관할 지역 |
---|---|
대전고등법원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
대전고등검찰청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
대전지방국세청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
금강유역환경청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금강 유역 |
충청지방통계청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
충청지방우정청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
9. 방송
방송사 | 비고 |
---|---|
KBS대전방송총국 | 대전, 세종, 충남 지역 방송 |
KBS청주방송총국 | 충북 북부 지역 방송 |
KBS충주방송국 | 충북 남부 지역 방송 |
대전문화방송 | 대전, 세종, 충남 지역 방송 |
MBC충북 | 충북 지역 방송, 청주, 충주로 분리 |
대전방송 | 대전, 세종, 충남 지역 민영방송 |
청주방송 | 충북 지역 민영방송 |
기독교대전방송 | 대전, 세종, 충남 지역 기독교 방송 |
기독교충북방송 | 충북 지역 기독교 방송 |
대전교통방송 | 대전, 세종, 충남 지역 교통 방송 |
충북교통방송 | 충북 지역 교통 방송 |
대전극동방송 | 대전 지역 극동방송 |
청주불교방송 | 충북 지역 불교 방송 |
대전가톨릭평화방송 | 대전, 세종, 충남 지역 가톨릭 방송 |
대전국악방송, 영동국악방송, 충주국악방송 | 대전, 충북 지역 국악 방송 |
LG헬로비전 충남방송 | 충남 지역 케이블 방송 |
SK브로드밴드 세종중부방송 | 세종, 충남 일부 지역 케이블 방송 |
HCN 충북방송 | 충북 지역 케이블 방송 |
CMB 대전방송, CMB 충청방송 | 대전, 충남 지역 케이블 방송 |
CCS충북방송 | 충북 지역 케이블 방송 |
10. 스포츠
호서 지방을 연고로 하는 스포츠 팀으로는 축구, 야구, 농구, 배구 등 다양한 프로 스포츠 리그가 있다.
리그명 | 팀명 | 창단 연도 | 홈 경기장 |
---|---|---|---|
KBO 리그 | 한화 이글스 | 1986년 |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청주야구장 (제2홈구장) |
WKBL | 청주 KB 스타즈 | 1963년 | 청주실내체육관 |
WKBL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1958년 | 이순신빙상장실내체육관 |
V-리그 남자부 | 대전 삼성 블루팡스 | 1995년 | 충무체육관 |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 1983년 | 유관순체육관 | |
V-리그 여자부 | 대전 KGC인삼공사 | 1988년 | 충무체육관 |
10. 1. 축구
리그명 | 팀명 | 창단 연도 | 홈 경기장 |
---|---|---|---|
K리그1 | 대전 하나 시티즌 | 1997년 | 대전월드컵경기장 |
K리그2 | 아산 FC | 2017년 | 아산이순신종합운동장 |
K3리그 | 천안시청 | 2008년 | 천안축구센터 |
대전 코레일 | 1943년 | 한밭종합운동장 | |
천안 FC | 2004년 | 천안축구센터 | |
청주 FC | 2002년 | 청주종합운동장 | |
WK리그 | 대전 스포츠토토 | 2011년 | 한밭종합운동장 |
10. 2. 야구
KBO 리그의 한화 이글스는 1986년에 창단되었으며,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를 홈구장으로, 청주야구장을 제2홈구장으로 사용한다.리그명 | 팀명 | 창단년도 | 홈 경기장 |
---|---|---|---|
KBO 리그 | 한화 이글스 | 1986년 |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청주야구장 (제2홈구장) |
10. 3. 농구
리그명 | 팀명 | 창단 연도 | 홈 경기장 |
---|---|---|---|
WKBL | 청주 KB 스타즈 | 1963년 | 청주실내체육관 |
WKBL |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 1958년 | 이순신빙상장실내체육관 |
10. 4. 배구
참조
[1]
뉴스
Where is Ho (Lake) in Honam / Hoseo? Byeolgogje? Seungrimji?
http://www.yonhapnew[...]
yonhapnews
2015-03-01
[2]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