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와호는 나가노현 중부에 위치한 구조호로, 나가노현에서 가장 넓은 호수이다. 덴류강으로 물이 유출되며, 가미카와, 미야가와 등 31개의 하천이 유입된다. 에도 시대에는 수질이 좋은 호수로 알려졌으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며 부영양화가 진행되어 수질이 악화되었다. 겨울철에는 호수 표면에 거대한 균열이 생기는 오미와타리 현상으로 유명하며, 이 현상은 지역 신토 전통과 관련되어 있다. 스와호 주변에는 다양한 관광 명소와 축제가 있으며, 영화, 소설 등 다양한 작품의 배경으로 등장한다. 과거에는 빈번하게 발생했던 오미와타리 현상은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발생 빈도가 감소하고 있으며, 집중 호우 시에는 주변 지역에 침수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와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나가노현 |
좌표 | 36° 02′ 54″ N 138° 05′ 03″ E |
유입 | 기소산맥의 31개 소하천 |
유출 | 덴류강 |
면적 | 13.3 km² |
평균 깊이 | 4.7 m |
최대 깊이 | 7.2 m |
해안선 길이 | 15.9 km |
표고 | 759 m |
위치 | 오카야시, 스와시, 시모스와정 |
호수 정보 (일본어) | |
면적 | 12.81 |
주변 길이 | 15.9 |
최대 수심 | 7.2 |
평균 수심 | 4.7 |
저수량 | 0.063 |
표고 | 759 |
성인 | 구조호(단층호) |
담수/기수 | 담수 |
호수 유형 | 부영양호 |
투명도 | 1.3 |
이미지 캡션 | 오부치자와 부근 상공에서 바라본 스와호. 먼 곳은 마쓰모토 분지 |
호수 정보 (한국어) | |
면적 | 13.3 |
둘레 | 15.9 |
최대 수심 | 7.2 |
평균 수심 | 4.7 |
수량 | 0.063 |
고도 | 759 |
유형 | 구조호 |
나라 | 일본 |
지방 | 나가노현 |
유출 | 덴류강 |
위치 | 나가노현 오카야시스와시스와군 시모스와정의 경계 |
2. 지리
나가노현 중부 스와 분지에 있는 호수이다. 면적은 12.81km2로, 나가노현에서 가장 넓다.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의 단층 운동으로 생긴 구조호이며,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과 중앙구조선이 교차하는 곳이기도 하다.[11] 덴류강의 수원지이며, 일본 내 호수 수면적 순위 24위에 해당한다. 스와, 오카야, 시모스와가 스와호 호반에 위치해 있다.
신생대 제3기 말부터 중앙 고지 융기 활동과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의 단층 운동으로 지각이 찢어져 생성되었다. 스와호 남서쪽에는 스와호 남안 단층군이, 스와호 북동쪽에는 스와 단층군이 스와호를 둘러싸고 있다.[11] 과거 스와호의 물이 동쪽 가마나시강 방면으로 흘렀지만, 야쓰가타케 산에서 분출된 물질에 의해 막혀 남쪽으로 흐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12] 시간이 흐르면서 유입 하천의 토사 퇴적과 호안 공사 등으로 면적이 점차 축소되고 있다. 덴류강이 유일한 유출 하천이며 가마구치 수문에서 유출 수량이 조정된다.
2. 1. 수치 정보
스와호는 에도 시대에 비와호와 더불어 참재첩이 방류되어 이를 바탕으로 한 어업이 행해질 정도로 수질이 좋은 호수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이후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생활 하수 및 여러 오염 물질이 유입되어 부영양화로 인해 수질이 악화되었다.[14][15] 특히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는 녹조가 자주 발생하고 악취가 나는 등 환경오염이 심각했다.[16][17][18]
스와호는 겨울철 얼어붙은 호수 표면에 거대한 균열이 생기는 현상인 御神渡り|오미와타리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이는 수직 온도 기울기가 표면 얼음에 압력 융기를 형성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1] 지역 신토 전통에 따르면, 이 융기는 스와 대사의 신들이 호수를 건널 때 형성된다고 하며, 스와의 수호신인 타케미나카타노카미가 그의 아내인 여신 야사카토메를 만나기 위해 얼어붙은 물 위를 건넌다는 전설이 있다.[2]
3. 수질
최근에는 관민이 함께 적극적으로 수질 개선에 노력하여 수질이 대폭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평균 체류 시간은 3일에서 120일(평균 40일 정도)로 변동이 크며, 호수의 수질은 유입 하천의 유입량(유역의 강수량)과 수질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13][14]
1979년부터 1993년까지 스와호 유역 하수도 정비가 이루어졌고,[19] 시민들의 수질 개선 활동으로 스와호의 수질은 크게 개선되었다. 1997년경부터는 여름에 녹조 발생이 없는 해가 있거나, 대량 발생하던 깔따구의 발생이 크게 감소하는 등 수질 정화의 효과가 나타났다.[21] 그러나 수질 정화에 따라 서식 생물상도 변화하여,[54] 생태 피라미드의 밑변을 구성하는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의 영향으로 먹이 사슬 상위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물풀의 증가, 큰 물벼룩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으며,[22] 빙어의 감소와 수질 정화의 인과 관계를 보여주는 보고도 있다.[17] 수질 정화로 투명도가 상승한 연안에서는 물풀인 마름이 번성하고, 마름 아래에서는 수류가 방해되어 빈산소 수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마름 제거 작업도 이루어지고 있다.[23]
4. 오미와타리
오미와타리에 대한 기록은 1443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인간이 관찰한 가장 오래된 기후 기록 중 하나이다. 이 기록은 과학자들이 흑점, 인간 개발 및 인위적인 CO2 배출이 호수 얼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3]
오미와타리는 만들어진 순서대로 "이치노 오미와타리", "니노 오미와타리"(옛날에는 "거듭된 오와타리"라고도 불렀다)라고 불리며, 두 개의 오미와타리가 교차하는 것은 "사쿠노 오미와타리"라고 불린다. 헤이안 시대 말기에 편찬된 가집 『산가슈』에는 "봄을 기다리는 스와의 와타리도 있는데 언제까지 해야 할까 고드름이여"라는 구절이 있으며, 1397년 무로마치 시대에 스와 신사가 막부에 보고한 문서인 『오와타리 주진장 초』에는 "당 대명신 어와타리노 일"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오미와타리라는 명칭은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시대에 따라서는 오미와타리 발생 유무를 융기 현상이 아니라 얼음이 갈라지는 소리를 듣고 관측했을 가능성이 있는 등, 균질한 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28]
4. 1. 오미와타리 신사
겨울에 스와 호수의 호수면이 완전히 얼고, 얼음의 두께가 일정 수준에 달하면 낮 동안 기온이 올라 얼음이 녹고, 밤에 기온이 내려가면서 얼음이 성장하여 팽창하게 된다. 이때 호수 면적이 부족해지면서 큰 소리와 함께 호수면에 얼음 균열이 생겨 솟아오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을 '''오미와타리'''(御神渡り)라고 부르며, 상사(上社)의 남신이 하사(下社)의 여신에게 찾아간 흔적이라는 전설이 있다. 오미와타리가 나타난 해 겨울에는 무형 민속 문화재인 '''오와타리 신사'''(御渡り神事)가 야츠루기 신사 신관에 의해 스와 호반에서 거행된다. 오와타리 신사에서는 균열 형태 등을 오와타리장(御渡帳)과 대조하여 그 해의 날씨, 농작물의 풍흉, 세상의 형편을 예상하는 "배관식"을 연다. 또한 "오와타리 주진장"을 신전에 바치는 주진식을 행하고, 궁내청과 기상청에 결과를 보고한다. 오미와타리는 그 해의 날씨에 따라 관측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주진식은 행해지며, 이 상태를 "아케노우미(明けの海)"라고 부른다.
4. 2. 오미와타리 발생 감소
스와호는 겨울철 얼어붙은 호수 표면에 거대한 균열이 생기는 현상인 御神渡り|오미와타리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이 현상은 수직 온도 기울기가 표면 얼음에 압력 융기를 형성하여 발생하며, 융기 높이는 30cm 이상에 이른다.[1]
지역 신토 전통에 따르면, 이 융기는 스와 대사의 신들이 호수를 건널 때 형성된다고 한다. 민간 전설에는 스와의 수호신인 타케미나카타노카미가 그의 아내인 여신 야사카토메를 만나기 위해 얼어붙은 호수를 건넌다고 전해진다.[2]
이 호수는 표면 아래에 자연적인 온천이 있으며, 1950년대 레크리에이션 개발로 인해 수중 간헐천의 출력이 증가했다. 1945년 이후에는 간헐천을 위한 얼음 구멍을 제외하고 호수 전체 표면이 얼었을 때 완전한 얼음 덮개가 달성된 것으로 간주된다.[4]
스와호는 얕은 호수이기 때문에 기후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스와호에서 결빙되지 않는 해는 대기 CO2 수준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기후 변화가 계절별 얼음 덮개의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3][5] 그 결과, 스와호는 21세기의 거의 모든 겨울 동안 얼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6]
과거에는 매년 두꺼운 얼음이 호수 표면을 덮어, 전쟁 전에는 얼음 위에서 전차 주행이나 항공기의 이착륙 훈련까지 실시되었다.[26]
또한, 빙어 얼음 낚시, 아이스 스케이트(게다 스케이트) 등도 행해졌지만, 최근에는 완전 결빙 빈도가 감소하고 있다. 얼음도 얇아져서 스케이트 등을 하는 것은 위험을 동반하며, 빙어 얼음 낚시 외에 육지 낚시나 배 낚시를 하는 사람들이 방문한다.
과거에는 거의 매년 발생했던 오미와타리 현상이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과 혹한에도 조건이 맞지 않는 등의 이유로 발생 빈도가 급감하여, 1980년대 말 이후로는 기본적으로 수년에 한 번 정도밖에 발생하지 않게 되었다.
4. 3. 오미와타리 출현 연도 (1926년 이후)
御神渡り|오미와타리일본어 현상은 1980년대 말 이후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발생 빈도가 급감하여, 수년에 한 번 정도만 발생하고 있다.[27] 다음은 1926년 이후 오미와타리가 출현한 연도이다.
5. 온천
1930년대까지 스와호가 거의 결빙해도 동쪽 7곳의 호저 온천은 얼지 않아 호수에 7개의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였는데, 이를 '나나츠가마(七ツ釜, 칠츠가마)'라고 불렀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나나츠가마는 스와호 동쪽에 위치한 스와호 간헐천 센터, 호반 공원 족욕탕, 카미스와 온천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5. 1. 간헐천
1983년(쇼와 58년)에 가미스와 온천의 간헐천이 분출했다.[31] 1990년(헤이세이 2년)에 스와시는 스와호 간헐천 센터를 설치했다.[31] 1993년(헤이세이 5년)에는 자연 분출이 멈춰 압축기로 분출시켰으나, 2021년(레이와 3년)에 기계가 고장나 임시 기계로 재개했다.[31][32] 그러나 2022년(레이와 4년) 3월에 다시 정지했기 때문에, 스와시는 스와호 간헐천 센터의 지정 관리, 민간 활용, 개수, 폐지 등을 검토할 방침을 보이고 있다.[31]1930년대까지는 스와호가 거의 결빙해도 동쪽 7곳의 호저 온천의 호상(湖上)은 결빙하지 않아 호상에 7곳의 구멍이 뚫려 보이는 데서 호저의 온천을 '나나츠가마(七ツ釜, 칠츠가마)'라고 불렀다. 온천 중 하나인 나나츠가마는 현재 이용되고 있으며, 스와호 동쪽에 위치한 스와호 간헐천 센터, 호반 공원 족욕탕, 카미스와 온천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와호 호숫가, 가타쿠라 관에 가까운 온천가의 한 구역에서 가미스와 온천의 간헐천이 분출하고 있다.
6. 주변 관광 및 행사
나가노현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인 스와호 주변에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다.
스와호 축제 호상 불꽃놀이 대회는 매년 8월에 열리는 일본 최대 규모의 불꽃놀이 대회 중 하나로, 4만 발의 불꽃이 스와호의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는다.[42][43] 9월에는 전국 신작 불꽃놀이 경기 대회가 개최되어 전국의 불꽃 장인들이 솜씨를 겨룬다. 8월에는 서머 나이트 불꽃놀이가 매일 밤 15분 동안 펼쳐져 여름밤의 낭만을 더한다. 불꽃놀이는 호수 동쪽에 위치한 하츠시마에서 발사된다.
하쓰시마는 1954년에 불꽃놀이 발사를 위해 만들어진 인공섬이다. 최근에는 겨울철에 일루미네이션을 설치하고 라이트업을 하여 아름다운 야경을 선사한다. 또한, 하쓰시마에는 하츠시마 신사가 있어 호수 위에서 배로 신사를 옮기는 오미하시라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44]
;다테이시 공원
다테이시 공원 전망대에서는 스와호 전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이곳은 신슈 선셋 포인트 100선, 신일본 3대 야경·야경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신슈 고향의 보이는 언덕'으로도 인정받았다.[49] 특히 이곳에서 보이는 스와호의 모습은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에 등장하는 이토모리 호수와 닮아 애니메이션 성지로도 유명하다.[50]
;일루미네이션
겨울철에는 스와시 스와호반 공원에서 일루미네이션이 점등되어 호수 주변을 아름답게 밝힌다.[51]
;벚꽃
봄에는 스와시 스와호반 공원, 다카시마 성, 가미카와 하천 부지에서 벚꽃을 감상할 수 있다.[52]
;백조
겨울에는 백조가 스와호를 찾아와 겨울 철새의 아름다움을 더한다.[53]
6. 1. 주요 시설
스와호 호숫가, 가타쿠라 관에 가까운 온천가의 한 구역에서 가미스와 온천의 간헐천이 분출하고 있다.
간헐천은 1983년에 분출했다.[31] 1990년에 스와시는 스와호 간헐천 센터를 설치했다.[31] 1993년에는 자연 분출이 멈춰 압축기로 분출시켰으나, 2021년에 기계가 고장나 임시 기계로 재개했다.[31][32] 그러나, 2022년 3월에 다시 정지했기 때문에, 스와시는 스와호 간헐천 센터의 지정 관리, 민간 활용, 개수, 폐지 등을 검토할 방침을 보이고 있다.[31]
스와호 주변에는 가미스와 온천 외에도 시모스와 온천, 스와 대사 등의 명소가 산재해 있으며[33], 나가노현에서도 주요한 관광지가 되고 있다.[34]
스와호 주변의 오카야시, 시모스와정, 스와시에는 수많은 관광 명소가 있다. 스와시에는 기타자와 미술관이나 스와호 박물관, SUWA 유리 마을을 비롯한 미술관과 박물관이 산재해 있으며, 스와시 호반 공원과 아카스나자키 공원, 오카야 호반 공원 등 호반이 공원으로 정비된 곳도 많다. 가미스와 호반에는 D51 보존 차량이 야외 전시되어 있으며, 카린 가로수길도 있다. 또한, 오카야 호반 공원처럼 부지 내 호수에 분수가 설치된 곳도 있다.
스와호의 동쪽에서 북쪽에는 온천이 많으며, 가미스와에는 가타쿠라관과 간헐천 센터, 시모스와정이나 오카야시에도 당일 온천 시설을 포함하여 많은 온천이 있다. 호반에서 떨어져 있지만, 다카시마 성과 스와 대사 게샤도 주변 지역에 위치해 있다.
스와호 주변 지역에 위치한 주요 관광 시설은 다음과 같다.
6. 2. 액티비티
스와호에서는 유람선을 비롯하여 빙어 낚시, 수상 스키, 페달 보트 오리와 같은 호수 위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액티비티를 체험할 수 있다.[35][36]스와호 관광 기선이 호수 위를 순환하는 두 종류의 유람선을 운항하고 있으며[35], 일본 수륙 관광은 수륙 양용 버스를 이용하여 호수 위 크루징과 호수 주변 육상 관광을 결합한 덕 투어를 실시하고 있다.[36]
스와시 호반 공원에는 스와호 요트 하버가 마련되어 있다.[37]
호수 주변에는 조깅 코스와 사이클링 코스가 잘 정비되어 있어, 호수 주변을 일주하는 사이클링도 인기가 있다.[38] 호수 주변을 활용하는 스포츠 이벤트로는 매년 가을에 개최되는 스와호 마라톤이 있으며, 호수 표면을 활용하는 스포츠 이벤트로는 봄에 시모스와 로잉 파크・AQUA 미라이에서 개최되는 스와호 레가타 등이 있다.[39] 2021년 6월에는 호수와 호수 주변을 모두 활용하는 트라이애슬론 대회인 "SUWAKO 8 PEAKS MIDDLE TRIATHLON"이 처음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스와호 주변에 있는 주요 스포츠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스왓코 랜드
- 스와호 스타디움
6. 3. 스포츠 시설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시모스와에 새로운 조정 보트하우스와 훈련 시설이 설립되었다.[8] 스와호에서는 유람선, 빙어 낚시, 수상 스키, 페달 보트와 같은 호수 위 액티비티를 즐길 수 있다. 스와호 관광 기선이 호수 위를 주유하는 두 종류의 유람선을 운항하고 있으며,[35] 일본 수륙 관광이 수륙 양용 버스를 이용해 호수 위 크루징과 호수 주변 육상 관광을 조합한 덕 투어를 실시하고 있다.[36]스와시 호반 공원 내에는 스와호 요트 하버가 있다.[37] 호수 주변에는 조깅 로드와 사이클링 로드가 정비되어 있으며,[38] 호수 주변을 도는 사이클링도 소개되고 있다. 호수 주변을 활용한 스포츠 이벤트로는 매년 가을에 개최되는 스와호 마라톤이 있다. 호면을 활용한 스포츠 이벤트로는 봄에 시모스와 로잉 파크・AQUA 미라이에서 개최되는 스와호 레가타가 있다.[39] 2021년 6월에는 호면과 호수 주변을 모두 활용한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SUWAKO 8 PEAKS MIDDLE TRIATHLON"이 처음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스와호 주변에 있는 주요 스포츠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스왓코 랜드
- 스와호 스타디움
6. 4. 행사
스와호에서는 매년 8월에 스와호 축제 호상 불꽃놀이 대회가 열려 4만 발의 불꽃을 쏘아 올린다. 이는 일본 유수의 불꽃놀이 대회[42]로서 많은 관람객을 모으고 있으며[43], 9월에는 전국 신작 불꽃놀이 경기 대회도 개최된다. 스와호 축제 호상 불꽃놀이 대회 전후인 8월에는 서머 나이트 불꽃이 연일 밤 8시 30분부터 15분 동안 쏘아 올려진다. 불꽃놀이 발사 장소는 호수 동쪽에 있는 하츠시마이다.하츠시마는 1954년에 불꽃놀이 발사 장소로 만들어진 인공섬으로, 최근에는 겨울철에 일루미네이션 설치 및 라이트업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하츠시마에는 하츠시마 신사가 세워져 호상에서 예인하는 오미하시라 축제도 열리고 있다[44].
7. 문화
스와호는 테나가 신사와 스와 신사를 품고 있으며, 주요 축제로는 온바시라와 세쓰분이 있다.[7] 엡손은 스와에서 설립되었으며 본사가 위치해 있다.
7. 1. 스와호와 관련된 작품
가쓰시카 호쿠사이는 우키요에 연작 후지산 36경에 스와호를 포함시켰다.[7]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카게무샤''에서는 다케다 신겐의 시신이 호수에 던져진다. 이 영화는 1575년 나가시노 전투로 이어지는 사건들을 극화했다.
게이샤의 자서전의 저자 마스다 사요는 12세에 가족에 의해 스와에 있는 오키야(게이샤 집)에 팔렸다. 그녀는 호수에서 자살을 시도하지만, 용(오미와타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이 살고 있다고 믿어 망설인다.[9]
애니메이션 ''바람의 검심''에서는 스와 호수 안이나 주변 어딘가에서 불멸의 "불사약"을 찾을 수 있다는 전설이 있다. 주인공들은 시리즈 마지막 시즌에서 불사약을 찾고, 세계 정복을 위해 그것을 찾는 사악한 독일 기사단에게 쫓긴다.
애니메이션 ''블러드-C''는 호수 기슭에 위치한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한다.
''동방 프로젝트''의 모리야 스와코는 호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영화 ''너의 이름은.''으로 인해 스와호는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미츠하가 사는 가상의 마을 이토모리는 여러 장소의 조합에서 시각적 영감을 얻었는데, 산악 지형은 기후현의 히다 지역에서, 중앙 분화구 호수는 나가노현의 스와 호수의 외관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 본조 24효 (1766년) - 우에스기 가문의 공주와 다케다 가문의 영식과의 연애를 축으로, 공주를 지키는 영우(靈狐)도 등장하는 시대물의 대작.
- 사랑의 질주(미시마 유키오) (1962년)
- 개(犬)가족의 일족(요코미조 세이시) (1972년)
- 호저의 광망(마츠모토 세이초) (1983년)
- 리얼 신데렐라(히메노 카오루코) (2012년)
- Dragon Ash - 『휴일』
- 『철도 소가 제1집 도카이도 편』에서 덴류 강을 노래한 부분에, 그 수원인 스와호가 오미와타리와 함께 노래되고 있다.
''이 물 위에 있다고 들리는, 스와 호수의 겨울 풍경, 눈과 얼음의 현수교를 건너는 것은 신인가, 마을 사람들인가''
8. 생태
1918년 조사에서는 21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이 보고되었다.[54] 1960년대 이전에 칠성장어, 하게기기일본어, 꺽저기, 니고이, 참갈겨니 5종의 생식이 확인되지 않았고, 1980년에는 꺽저기, 열목어, 참종개가 보고되지 않았다.
재래 어종 |
---|
모츠고, 가마츠카, 니고이, 잉어, 붕어, 미꾸라지, 참종개, 하게기기일본어, 꺽저기, 메기, 칠성장어, 장어, 산천어, 열목어, 산천어, 은어, 참갈겨니, 납자루, 피라미, 참종개, 모래무지 |
무지개송어, 빙어 등 16종의 이입 어종도 보고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파랑볼우럭, 배스의 생식이 보고되었다. 배스는 1970년대에 생식이 보고되었지만, 그 후 약 20년간 보고가 없었다. 이입 어종 중에는 정착에 성공한 종도 있고 실패한 종도 있다. 특히 강과 호수를 오가는 회유형 어종은 덴류강에 댐이 건설되면서 이동이 어려워 정착하지 못했다. 무지개송어와 가물치는 번식 환경 부적합으로 1970년 이후 어획되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 배스, 파랑볼우럭, 저구리가 증가하고 있다.
이입 어종 |
---|
무지개송어, 빙어, 초어, 백련, 모로코, 가시납지리, 떡붕어, 가물치, 가물치, 비린고, 주즈카케하제일본어, 츠시마하제, 검정망둑, 사다리꼴, 동사리, 저구리, 우츠세미가시카일본어 |
긴발새우, 줄새우도 서식한다.
8. 1. 어업
스와호에서는 에도 시대에 비와호나 가와구치호에서 재첩이 방류되어 어업이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도 경제 성장기에 화학 비료와 생활 배수 등으로 인해 호수의 부영양화가 진행되어 과영양 호수로 변화했다.[15] 1970년대부터 80년대에 걸쳐 깔따구와 녹조가 대량 발생하여 환경 악화가 나타났다.[16][17] 1979년부터 1993년에 걸쳐 스와호 유역 하수도가 정비되고[19] 시민들의 수질 개선 활동으로 수질이 개선되었지만, 쇼와 시대 초기 수준으로 회복되지는 못했다.수질 정화에 따라 생태 피라미드의 변화, 빙어의 감소와 수질 정화의 인과 관계를 시사하는[17] 보고도 있다.
1918년 조사에서는 21종의 어류가 보고되었다.[54]
재래 어종 |
---|
모츠고, 가마츠카, 니고이, 잉어, 붕어, 미꾸라지, 참종개, 하게기기일본어, 꺽저기, 메기, 칠성장어, 장어, 산천어, 열목어, 산천어, 은어, 참갈겨니, 납자루, 피라미, 참종개, 모래무지 |
칠성장어, 하게기기, 꺽저기, 니고이, 참갈겨니 5종은 1960년대 이전에, 꺽저기, 열목어, 참종개는 1980년에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입 어종 |
---|
무지개송어, 빙어, 초어, 백련, 모로코, 가시납지리, 떡붕어, 가물치, 가물치, 비린고, 주즈카케하제일본어, 츠시마하제, 검정망둑, 사다리꼴, 동사리, 저구리, 우츠세미가시카일본어 |
1990년대 후반부터 파랑볼우럭, 배스가 보고되었다. 배스는 1970년대에 보고되었지만, 약 20년간 보고가 없었다. 이입 어종 중에는 정착한 어종과 실패한 어종이 있다. 2000년대 이후 증가하고 있는 어종은 배스, 파랑볼우럭, 저구리이다.
긴 발 새우, 줄새우도 서식한다.
어업권은 스와호 어업 협동조합[55]이 소유하고 있으며, 1960년대에는 줄새우, 긴수염새우, 조개류, 새우, 붕어, 잉어, 빙어를 중심으로 어업이 이루어졌지만, 연안역 준설[23]과 호안 공사로 인해 조개류는 격감하고 붕어 어획량도 크게 감소했으며, 잉어 어획량은 증가했다.[54]
가스미가우라에서 이입된 빙어는 스와호 어업의 중심이 되었다. 어획량은 1976년에 425t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2005년에는 42.3t까지 감소했다. 2000년대 이후 빙어 어획량이 극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어식성 외래어와 넓적부리에 의한 포식[56], 수질 정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17] 등 다양하다. 전체 어획량 감소 배경에는 민물고기 기피[57], 어업자의 고령화 등 여러 요인이 있다.[54]
빙어 채란은 2월 하순부터 5월 말에 실시된다. 스와호에 유입되는 8개의 하천에서 산란을 위해 거슬러 올라가는 어미를 포획하여 인공수정시킨다.[58] 2012년 채란에서는 전년보다 1억 3000만 알 적은 22억 2000만 알이었다. 감소 원인으로는 호저의 저산소 상태, 3-4월의 낮은 기온, 소상 최성기 지연 등이 있다.[59][58]
8. 2. 스와호저 소네 유적
1906년(메이지 39년), 다나카 아카마로 자작이 스와군 교육위원회와 함께 스와호 조사를 실시했고, 당시 스와 고등 여학교 교유였던 하시모토 후쿠마츠가 조수로 촉탁되었다. 1908년(메이지 41년 10월 24일), 하시모토 후쿠마츠 등이 스와호 바닥 지질 조사를 통해 호수 바닥에서 석촉 2개 등을 발견하여 유적을 확인하고 학회에 보고했다.[60]소네 유적의 성인에 관해서는 유적 발견이 학회에 보고된 메이지 41년 이후, 다양한 가설이 제안되었다. 하시모토 후쿠마츠, 다나카 아가마로 등은 "지반 붕괴설", "육지 침강설"을 주장했고, 쓰보이 쇼고로, 도리이 류조 등은 "말뚝 위 주거설", "뗏목 위 주거설"을 주장하는 등, 주로 지질학적인 견해와 인류학적인 견해가 격렬하게 대립했다. 그 후에도 다양한 설이 더해졌지만, 결정적인 것이 없어 논쟁은 흐지부지되었다. 쇼와 27년, 후지모리 에이이치, 도자와 미쓰노리 등이 서 있는 나무의 근간을 조사하여 과거 소네 유적이 육지에 있었다는 것을 밝혔고, "지질학적인 원인에 의한 수몰"로 결론이 났다.[62]
구석기 시대부터 조몬 시대에 걸친 석기(칼날형 석기나 돌 화살촉 등)나 토기(손톱 모양 무늬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60]
9. 다케다 신겐 수중 묘 전설
전국 시대 가이 국의 다케다 씨와 시나노의 스와 씨는 동맹 관계였으나, 덴분 11년 (1542년) 다케다 하루노부 (신겐)가 스와 침공을 감행하여 스와 씨는 멸망하고 스와 지방은 다케다 영토가 되었다. 신겐은 겐키 4년 (1573년) 4월 12일 시나노 국 이나 군 고마바 (나가노현 시모이나 군 아치 촌 고마바)에서 사망했다 (사망지를 나가이・네바라고 하는 설도 있다).[1] 신겐의 유해는 고마바 혹은 가이의 엔코인에서 화장되었으며, 덴쇼 4년 (1576년) 가이의 에린지에서 후계자 가쓰요리에 의해 정식 장례가 치러졌다.[1]
『고요군감』에 따르면 신겐은 사망에 즈음하여 "자신의 죽음을 3년간 비밀로 하라. 그 후 유해는 갑옷을 입혀 스와 호수에 가라앉혀라"라고 유언했다고 한다.[1] 이 때문에 스와 호수에는 예로부터 신겐의 수중 묘 전설이 있었다.[1] 『고요군감』에서는 가쓰요리가 그 아들・노부카쓰의 진다이가 되는 것도 유언했다고 하며, 스와 호수에 유해를 가라앉힌 점 이외에 관해서는 문서상의 소견이 있다.[1]
1986년 (쇼와 61년), 국토지리원의 소나에 의한 호저 지형 조사에서 호저에 한 변이 25m로 추정되는 마름모꼴 “물체”가 발견되었다.[1] 이것이 신겐의 수중 묘가 아닌가 하여 신슈 대학, 요미우리 신문, 일본 TV 등 여러 단체가 10여 년에 걸쳐 조사를 실시했다.[1] 전자기파 탐지기에 의해 묘표와 같은 입체가 확인되었다고 보도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수수께끼의 마름모꼴은 호저의 함몰 지형의 그림자라는 결론이 나왔다.[1] 그러나 문제의 마름모꼴이 자연적으로 생겼다고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확실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호저는 진흙이 깊어 육안에 의한 실지 조사가 곤란하기 때문에 수중 묘 설을 지지하는 목소리는 현재에도 많다.[1]
10. 재해
스와호는 유입되는 하천이 31개나 되지만, 물이 빠져나가는 곳은 가마구치 수문뿐이어서 집중 호우 시에는 스와호의 수위가 상승하여 주변 시가지에 침수 피해가 발생한다.[63]
10. 1. 과거의 수해
참조
[1]
논문
Fujiwhara on five centuries of freezing dates of Lake Suwa in the Central Japan
https://link.springe[...]
1954-06-01
[2]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Shinto - Home : Shrines and Cultic Practices : Suwa Shinkō
http://eos.kokugakui[...]
2020-10-25
[3]
논문
Direct observations of ice seasonality reveal changes in climate over the past 320–570 years
https://www.research[...]
2016-04
[4]
논문
Re-Examination of the Climatic Change in Central Japan Based on Freezing Dates of Lake Suwa
https://rmets.online[...]
1982
[5]
뉴스
Industrial Revolution strongly tied to earlier thaws, later freezes: study
http://www.cbc.ca/ne[...]
CBC News
2016-04-27
[6]
논문
Climate Change Drives Increases in Extreme Events for Lake Ice in the Northern Hemisphere
2020-09-28
[7]
웹사이트
Lake Suwa in Shinano Province (Shinshū Suwako), from the series Thirty-six Views of Mount Fuji (Fugaku sanjūrokkei) ca. 1830–32
https://www.metmuseu[...]
2020-10-25
[8]
웹사이트
Shimosuwa Training Camp Guide
https://www.town.shi[...]
Shimosuwa Town
2024-07-01
[9]
서적
Autobiography of a Geisha
[10]
웹사이트
平成26年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 湖沼面積
https://www.gsi.go.j[...]
2015-03-06
[11]
PDFlink
糸魚川-静岡構造線断層帯の長期評価(第二版)
https://www.jishin.g[...]
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2015-04-24
[12]
PDFlink
URBAN KUBOTA 36 諏訪湖の生い立ち 熊井久雄(1)
http://www.kubota.co[...]
[13]
논문
【原著論文】諏訪湖における藍藻の現存量・種組成変化に及ぼす滞留時間の影響
https://doi.org/10.2[...]
2010
[14]
PDFlink
諏訪湖水質分布の季節変動とその要因
http://www.shinshu-u[...]
信州大学
2011
[15]
논문
本における湖沼の富栄養度と水産生物
https://doi.org/10.2[...]
2001
[16]
논문
諏訪湖におけるユスリカ研究 (2)不快昆虫としての成虫とその防除対策に関する検討
https://doi.org/10.3[...]
2001
[17]
논문
諏訪湖におけるラン藻の長期変動と生態系構造の変化
https://agriknowledg[...]
日本プランクトン学会
2008
[18]
문서
[19]
웹사이트
諏訪湖流域下水道のあゆみ
https://www.pref.nag[...]
長野県諏訪湖流域下水道事務所
[20]
논문
近年の諏訪湖における生物群集の動態研究の意義
https://doi.org/10.3[...]
2001
[21]
서적
アオコが消えた諏訪湖
信濃毎日新聞社
2005
[22]
웹사이트
花里孝幸:水質浄化対策が引き起こす富栄養湖の生態系構造の変化とそのメカニズムの解明
https://kaken.nii.ac[...]
[23]
웹사이트
諏訪湖の水草、これまで、そして これから -生き物の豊かな湖の復活に向けて-
http://ims.shinshu-u[...]
[24]
웹사이트
諏訪湖マラソンHP
https://suwako.marat[...]
[25]
뉴스
カーフェスタ諏訪湖2023を11月5日にヨットハーバー駐車場で開催
長野日報
2023-11-04
[26]
PDFlink
戦争を語り継ぐボランティア
https://www.city.suw[...]
[27]
웹사이트
諏訪湖の御神渡り
http://www.city.suwa[...]
諏訪市博物館
[28]
논문
諏訪湖の御神渡り記録に関する気候復元資料としての均質性
https://doi.org/10.4[...]
2001
[29]
뉴스
長野日報
2014-01-18
[30]
웹사이트
諏訪湖「御神渡り」5日朝に拝観式
http://www.shinmai.c[...]
[31]
웹사이트
【続報】諏訪湖の間欠泉、修理しても噴出しない可能性 諏訪市、センターの民間活用や廃止も視野にあり方検討へ
https://www.shinmai.[...]
信濃毎日新聞
[32]
웹사이트
諏訪湖間欠泉センター|お知らせ|諏訪市
http://www.city.suwa[...]
2009-09-07
[33]
웹사이트
諏訪地方観光連盟
https://www.suwa-tou[...]
[34]
논문
第2章 長野県諏訪市の観光動向ー観光地利用者と観光消費弾性値ー
http://id.nii.ac.jp/[...]
愛知大学経営総合科学研究所
[35]
웹사이트
船内紹介|諏訪湖観光汽船
http://www.suwako-ka[...]
[36]
웹사이트
諏訪湖ダックツアー
https://japan-duckto[...]
[37]
웹사이트
諏訪市湖畔公園 - 諏訪市
https://www.city.suw[...]
[38]
웹사이트
https://www.suwa-tou[...]
[39]
웹사이트
長野県ボート協会
http://rowing.gr.jp/[...]
[40]
웹사이트
諏訪の温泉
https://www.suwa-tou[...]
[41]
웹사이트
岡谷湖畔公園
http://okaya-park.co[...]
[42]
웹사이트
ウォーカープラスの2020年全国の花火打ち上げ数ランキング
https://hanabi.walke[...]
[43]
웹사이트
2018年の第70回大会では50万人とされている
https://www.suwako-h[...]
[44]
웹사이트
2016年に開催された御柱祭に合わせてイベントとして実施された
https://www.suwakank[...]
[45]
웹사이트
https://suwa-tabi.jp[...]
[46]
웹사이트
信州のお酒
http://www.nagano-sa[...]
長野県酒類販売株式会社
2021-03-07
[47]
웹사이트
諏訪エリア そば・うなぎマップ
https://www.suwa-tou[...]
2021-03-07
[48]
웹사이트
製糸の真実を伝える— 岡谷蚕糸博物館
http://g.kyoto-art.a[...]
岡谷蚕糸博物館
2021-08-17
[49]
웹사이트
立石公園-諏訪市観光ガイド|
https://www.suwakank[...]
一般社団法人 諏訪観光協会
2021-03-07
[50]
웹사이트
映画 君の名は。 聖地は「諏訪湖」!?【立石公園・高ボッチ高原】
http://www.hamanoyu.[...]
信州上諏訪温泉 浜の湯
2021-03-07
[51]
웹사이트
諏訪湖イルミネーション2020-2021
https://www.suwakank[...]
一般社団法人 諏訪観光協会
2021-03-07
[52]
웹사이트
高島公園等の桜、上川のスイセンの開花情報
https://www.city.suw[...]
諏訪市
2021-03-07
[53]
웹사이트
白鳥飛来
http://www.kanko-oka[...]
岡谷市観光協会
2021-03-07
[54]
논문
諏訪湖の魚類群集:漁業統計からみた変遷
https://doi.org/10.3[...]
日本陸水学会
2001
[55]
웹사이트
諏訪湖漁業協同組合
http://www.suwakogyo[...]
[56]
웹사이트
カワウ及びサギ類等魚食性鳥類の県内における生息状況
http://www.pref.naga[...]
長野県
[57]
웹사이트
印旛沼の概況
http://i-kouiki.com/[...]
印旛沼環境基金
[58]
뉴스
信濃毎日新聞
信濃毎日新聞
2012-06-20
[59]
뉴스
諏訪湖のワカサギ採卵22億粒 低温が影響、目標の半分
http://49.212.36.243[...]
長野日報
2016-11-07
[60]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曽根遺跡とは(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2018-07-19
[61]
서적
諏訪湖底の狩人たち〜曽根遺跡〜
新泉社
2016
[62]
간행물
諏訪郡史研究紀要第12号
1988
[63]
웹사이트
諏訪湖における治水対策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0-01-23
[64]
뉴스
東日本に豪雨禍
日本経済新聞
1950-06-12
[65]
웹사이트
記録的大雨の諏訪地方 各地で被害相次ぐ
http://www.nagano-np[...]
長野日報
2021-08-17
[66]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https://planetarynam[...]
국제천문연합
2017-06-06
[67]
문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