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동진은 대구 지역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대구에서 태어나 미술 교사에게 서양화를 배우고 일본 유학을 다녀왔으며, 교남학교 교사로 재직하며 대구 서양화 운동을 이끌어 "대구 근대 미술의 대부"로 불렸다. 주요 작품으로는 《자화상》, 《오후의 풍경》, 《뒷골목》 등이 있다. 광복 후에는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국회의원을 두 번 역임했으나, 5·16 군사 정변 이후 정계를 떠나 한국화를 그리며 만년을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양화가 - 김구림
김구림은 회화, 조각, 비디오 아트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한국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을 이끈 대한민국의 실험 미술가이다. - 서양화가 - 김수자 (서양화가)
김수자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고 대한민국미술대전과 중앙미술대전에서 특선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서양화가로, 덕성여자고등학교 미술 교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강사,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서양화과 교수를 역임하고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한민국예술원 및 대한민국미술협회 회원으로 국내외 다수의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했고 베니스 비엔날레, 상파울루 비엔날레 등 주요 국제전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여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 일제강점기의 화가 - 나혜석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신여성, 작가, 여성운동가로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자유로운 삶을 주장하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예술적 업적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화가 - 김영기 (화가)
김영기는 해강 김규진의 아들이자 전통 한국화 기법에 현대적 감각을 더해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한 동양화가로,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후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 추상화 발전에 기여했고, 서울시민상과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제3대 국회의원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대한민국의 제3대 국회의원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서동진 | |
---|---|
서동진 | |
![]() | |
기본 정보 | |
출생 | 1903년 |
사망 | 1978년 |
본관 | 달성 서씨 |
호 | 죽농(竹儂) |
다른 이름 | 소허(小墟) |
경력 | |
주요 활동 | 서양화가 |
2. 생애
1950년 대구화우회 창립에 참여했으나, 이후 화단을 떠나 정계에 진출했다.[3] 제2대 총선에서 낙선했지만, 1954년 제3대 총선과 1960년 제5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2번 역임했다.[4] 경북 청년회 회장, 경북 원호회·경북 후생회 회장, 대구 금융 조합 감사, 영남일보사 이사, 전국 문화 단체 총연합회 경북도 위원장, 민주국민당 경북도 당 최고위원, 민주당 대구시 갑구 당 위원장, 경북 체육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1]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정계에서 은퇴, 한국화를 그리며 만년을 보냈다.[5] 1970년 1월 15일 대구 자택에서 향년 70세로 사망했다.[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대구에서 신교육 운동가인 어머니 밑에서 태어났다.[4] 1918년 계성학교에 입학한 후 미술 교사인 이상정(이상화의 형)에게서 서양화를 공부했지만, 1919년 3·1 운동으로 중퇴했다.[5] 이후, 고희동이 근무하는 경성의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24년 졸업 후, 대구의 계성학교에서 미술 교사로 6개월간 재직했고, 1925년~26년에 일본 내지로 미술 유학을 갔다.[4][5]2. 2. 미술가 활동
대구 출신으로, 신교육 운동가인 어머니 밑에서 성장했다. 이상정(이상화의 형)에게서 서양화를 배웠으며, 고희동이 근무하던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4][5] 이후 대구 계성학교 미술 교사, 일본 유학, 교남학교(대륜고등학교 전신) 교사 등을 거치며 대구 서양화 운동을 주도하여 "대구 근대 미술의 대부"로 불렸다.[3][4] 당시 대구의 서양화 운동은 조선에서 경성, 평양 다음으로 활발했으며, 서울과 평양이 유화 중심이었던 반면 대구는 수채화가 중심이었다.[5]1927년 대구 수동에 인쇄소 겸 미술 연구 시설인 대구미술사를 설립하고,[5] 같은 해 6월 조양회관에서 동아일보 대구지국 주최로 첫 개인전을 열어 풍경화와 인물 수채화 45점을 출품했다.[4] 1928년 7월에도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1928년부터 1932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에 수채 풍경화 4점을 출품했다.[4] 이인성, 김용조 등 신인 화가를 격려했고,[3] 1928년 서양화, 동요, 시가 등 예술가와 학도로 구성된 문예 단체 "영과회"에 참여,[6] 1930년 순수 예술을 추구하는 화가들의 모임 "향토회"를 창립했다.[7][4] "향토회"는 1935년 화전을 마지막으로 활동을 중단했다.[5]
2. 3. 정치 활동
해방 후 서동진은 화단을 떠나 정계에 진출했다.[3] 1950년 제2대 총선에서는 낙선했으나,[3] 1954년 제3대 총선과 1960년 제5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두 번 역임했다.[4]정계 입문 전후로 경북 청년회 회장, 경북 원호회·경북 후생회 회장, 대구 금융 조합 감사, 영남일보사 이사, 전국 문화 단체 총연합회 경북도 위원장, 경북 체육회 이사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사회 활동을 펼쳤다.[1] 정치적으로는 민주국민당 경북도당 최고위원, 민주당 대구시 갑구당 위원장을 지냈다.[1]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정계에서 은퇴했다.[5]
2. 4. 만년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고, 수채화가 아닌 한국화를 그리며 만년을 보냈다.[5] 1970년 1월 15일 대구 자택에서 향년 70세로 사망했다.[8]3. 작품
서동진의 주요 작품으로는 자화상(1924년), 오후의 풍경(1931년), 뒷골목(1932년) 등이 있다.[4][5] 그는 골목길 풍경이나 도시의 근대화를 표현하는 풍경화와 자화상, 친구의 인물화를 많이 그렸다.[9]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50년 | 총선 | 제2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갑 | 무소속 | 6,512표 (18.75%) | 2위 | 낙선 | |
1954년 | 총선 | 제3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갑 | 민주국민당 | 21,211표 (41.30%) | 1위 | 당선 | 초선 |
1958년 | 총선 | 제4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갑 | 민주당 | 10,840표 (38.78%) | 2위 | 낙선 | |
1960년 | 총선 | 제5대 | 국회의원 | 경북 대구시 갑 | 민주당 | 21,208표 (73.79%) | 1위 | 당선 | 재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22
[2]
논문
죽농(竹儂) 서동균(徐東均, 1903-1978) 산수화 연구
[3]
웹사이트
서동진(徐東辰)
http://encykorea.aks[...]
2023-01-22
[4]
웹사이트
인물로 보는 대구문화 아카이브 (24) 서동진 서양화 재료와 서양 화풍 보급·전파한 대구 근대미술의 대부
https://www.yeongnam[...]
2021-12-06
[5]
웹사이트
대구가 낳은 화가 서동진 자화상… 이건희는 고향을 보았을까
https://m.kmib.co.kr[...]
2022-02-13
[6]
웹사이트
영과회(零科會)
http://encykorea.aks[...]
2023-01-22
[7]
웹사이트
향토회(鄕土會)
https://encykorea.ak[...]
2023-01-22
[8]
웹사이트
前民議員徐東辰(전민의원서동진)씨
https://newslibrary.[...]
1970-01-17
[9]
웹사이트
『李健煕コレクション特別展《ウェルカム・ホーム∼饗宴∼》』 {{!}} DAEGU ART MUSEUM
https://artmuseum.da[...]
大邱美術館
2023-01-22
[10]
웹인용
"[인물로 보는 대구문화 아카이브 (24) 서동진] 서양화 재료와 서양 화풍 보급·전파한 대구 근대미술의 대부"
https://m.yeongnam.c[...]
2021-12-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13년 연애' 다혜, 연인 서동진과 결혼 초읽기 "시기 보고 있어"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