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라카와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라카와번은 고대에 시라카와 관이 설치되어 오우 지방으로 들어가는 요충지였으며, 에도 시대에는 외양 다이묘를 억제하는 역할을 했다. 1627년 니와 나가시게가 10만 석으로 시라카와 번을 세운 이후 사카키바라, 혼다, 마쓰다이라, 아베 가문 등이 번주를 역임했다. 1866년 아베 마사키요가 다나구라 번으로 전봉되면서 시라카와 번은 폐지되었고, 보신 전쟁을 거쳐 시라카와 현으로 편입되었다가 후쿠시마현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라카와번 - 이시카와번
    이시카와번은 혼다 다다토시가 1662년에 1만 석을 분봉받아 성립되었으나, 1681년에 혼다 가문이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약 19년 만에 폐지된 시라카와번의 지번이다.
  • 아베 분고노카미가 - 다나구라번
    다나구라번은 에도 시대 무쓰국 다나구라정에 위치했으며, 센고쿠 시대 다테 씨와 사타케 씨의 세력 다툼 지역이었고, 에도 시대 초기 다치바나 무네시게가 세웠으나 여러 번주 교체와 후다이 다이묘들의 전봉이 잦았으며, 보신 전쟁에서 패배하여 폐번치현되었다.
  • 아베 분고노카미가 - 오타키번
    오타키번은 에도 시대 가즈사국 오타키(현재 지바현 이스미군 오타키정)에 있던 번으로, 오타키성을 중심으로 혼다 다다카쓰가 초대 번주를 맡아 시작되었으며 여러 가문이 번주를 역임 후 폐번치현을 거쳐 지바현에 편입되었다.
시라카와번
지도
기본 정보
이름시라카와 번
일본어 이름白河藩
로마자 표기Shirakawa-han
위치고미네 성
통치
정치 체제다이묘
역사
시작 연도1627년
종료 연도1868년
사건니와 씨
날짜1627년
사건사카키바라 씨
날짜1647년
사건혼다 씨
날짜1649년
사건마쓰다이라 씨
날짜1681년
사건아베 씨
날짜1823년
시대에도 시대
기타
현재후쿠시마 현의 일부

2. 번의 역사

시라카와 지방은 고대에 시라카와 관이라는 관소가 설치되어 오우 지방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요충지였다. 이러한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에도 시대에 세워진 시라카와 번은 오우 지방의 도자마 다이묘들을 견제하는 역할을 맡았다. 따라서 초대 번주인 니와씨를 제외하고는 막부와 가까운 유력 신판 다이묘후다이 다이묘들이 주로 임명되었으며, 번주의 교체가 매우 잦았다. 특히 삼방 영지 교체가 세 번이나 이루어진 기록도 가지고 있다.

2. 1. 초기 역사와 시라카와 관

시라카와 지방은 고대에 시라카와 관이라는 관소가 설치되어 오우 지방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요충지였다. 나라 시대부터 혼슈 북부 변경 지역과의 경계로 여겨져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센고쿠 시대에는 아이즈와카마쓰성 지역 통치자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가모 우지사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가모 히데유키, 가모 다다사토 등이 차례로 다스렸다.

1627년 (간에이 4년), 니와 나가시게다나구라번에서 10만 석 영지를 받아 시라카와로 옮겨오면서 시라카와 번이 처음 성립되었다. 나가시게는 고미네 성과 성 주변의 조카마치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1643년 (간에이 20년), 2대 번주 니와 미쓰시게 대에 니혼마쓰번으로 영지가 옮겨졌다.

시라카와 번은 오우 지방도자마 다이묘들을 견제하기 위한 중요한 위치였기에, 초대 번주 니와 가문을 제외하고는 주로 도쿠가와 쇼군가와 가까운 신판 다이묘후다이 다이묘들이 번주로 임명되었으며, 번주의 교체가 잦았다.

니와 가문이 떠난 같은 해, 다테바야시번에서 사카키바라 다다쓰구가 14만 석으로 시라카와 번주가 되었으나, 1649년 (게이안 2년) 히메지번으로 다시 옮겨갔다. 뒤이어 무라카미번에서 혼다 다다요시가 12만 석으로 들어왔다. 다다요시는 농지 개간에 힘써 고쿠다카를 늘렸으나, 2대 번주 혼다 다다히라 대인 1681년 (덴나 원년)에 우쓰노미야 번으로 전봉되었다.

다음으로 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가의 마쓰다이라 다다히로가 15만 석으로 입봉했으나, 1692년 (겐로쿠 5년) 가신들 간의 대립으로 인한 가문 내 분쟁(오이에 소동)으로 인해 야마가타번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이후 에치젠 마쓰다이라가의 마쓰다이라 나오노리가 15만 석으로 시라카와 번주가 되었다. 나오노리는 재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가신들의 반발과 농민 봉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3대째인 1741년 (간포 원년)에 히메지번으로 다시 영지를 옮겼다.

2. 2. 에도 시대의 번

시라카와 지방은 고대에 시라카와 관이 설치되어 오우 지방의 관문 역할을 하는 요충지였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도 이러한 지정학적 중요성은 여전하여, 오우 지방의 도자마 다이묘들을 견제하기 위해 초대 번주인 니와씨를 제외하고는 주로 유력한 신판이나 후다이 다이묘들이 배치되었고, 잦은 번주 교체가 이루어졌다. 센고쿠 시대에는 아이즈와카마쓰성을 중심으로 한 영지의 일부였으며, 가모 우지사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가모 히데유키, 가모 다다사토 등이 차례로 지배했다.

1627년 (간에이 4년), 니와 나가시게다나구라번에서 10만여 석의 영지를 받아 시라카와로 옮겨오면서 시라카와 번이 공식적으로 성립되었다. 나가시게는 고미네성과 성 주변의 조카마치를 건설하여 번의 기틀을 다졌다. 그러나 그의 아들이자 2대 번주인 니와 미쓰시게 대인 1643년 (간에이 20년)에 니와 가문은 니혼마쓰번으로 이동했다.

같은 해, 다테바야시번에서 사카키바라 다다쓰구가 14만 석으로 시라카와 번주가 되었다. 다다쓰구는 어머니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조카였기에 한 세대에 한해 마쓰다이라씨 성을 사용하는 것이 허락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재임은 길지 않았고, 1649년 (게이안 2년)에 히메지번으로 옮겨갔다.

사카키바라 가문을 이어 무라카미번에서 혼다 다다요시가 12만 석으로 들어왔다. 다다요시는 새로운 농지 개발(新田開発)에 힘써 실제 수확량을 1만 5천 석 늘렸고, 1650년부터 1651년(게이안 3년~4년) 사이에는 검지를 통해 추가로 3만 7천 석의 증가분을 확인했다. 그는 늘어난 수확량 외에도 부가세를 징수하며 재정 증대를 꾀했으나, 과도한 세금 부담에 시달리던 영지민들이 반발하여 막부에 직접 소송을 제기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2대 번주 혼다 다다히라 대인 1681년 (덴나 원년)에 혼다 가문은 우쓰노미야번으로 이동했다.

혼다 가문의 뒤를 이어 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가의 마쓰다이라 다다히로가 15만 석으로 들어왔다. 하지만 다다히로는 건강이 좋지 않아 가신들에게 번 통치를 위임했고, 그의 아들들이 일찍 사망하면서 후계자 문제를 둘러싼 가신들 간의 대립(오이에 소동)이 발생했다. 이 혼란을 수습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1692년 (겐로쿠 5년)에 다다히로는 처벌받은 후 야마가타번으로 옮겨갔고, 은거 처분을 받았다. 그의 뒤를 이은 손자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역시 감봉되었을 뿐만 아니라 빈고 후쿠야마번, 구와나번 등으로 연이어 이동하는 등 가혹한 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 에치젠 마쓰다이라가의 마쓰다이라 나오노리가 15만 석으로 시라카와 번주가 되었다. 그는 어려운 번 재정을 타개하기 위해 가신들의 녹봉을 삭감하는 등 재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번 내 반대 세력(도키 파)의 저항으로 중단되었다. 오히려 1720년 (교호 5년)에는 반대파가 주도한 강압적인 증세 정책이 대규모 농민 봉기(잇키)를 유발하기도 했다. 3대 번주 마쓰다이라 요시치카(요시토모)는 건의함을 설치하는 등 번 통치 개혁에 힘썼으나, 1741년 (간포 원년)에 히메지번으로 이동했다.

1741년, 다카다번에서 히사마쓰씨의 마쓰다이라 사다요시가 에치고 국 가시와자키의 영지를 포함하여 총 11만 석으로 들어왔다. 이 가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복동생인 마쓰다이라 사다카쓰의 후손 계열이다. 사다요시의 양손자인 3대 번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는 번의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했다. 당시 시라카와 번은 명목상 11만 석이었으나, 실제로는 10만 8천 6백 석이 손실로 보고될 정도로 경제 상황이 악화되어 있었다.[1] 사다노부는 번의 재정 및 농업을 안정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고, 이러한 개혁 성과와 정치적 수완을 인정받아 1787년에는 막부의 로주 수좌(최고 의원)에 임명되었으며, 이듬해에는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섭정이 되어 간세이 개혁을 주도했다.[2] 사다노부의 아들 마쓰다이라 사다나가 대인 1823년 (분세이 6년)에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은 옛 영지였던 구와나번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오시번에서 아베 마사노리가 10만 석으로 들어와 메이지 유신까지 8대에 걸쳐 시라카와 번을 다스렸다. 막부 말, 분가인 하타모토 신분에서 본가를 계승한 7대 번주 아베 마사토는 로주가 되어 양이파의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고베항 개항을 결정했다. 그러나 이 결정으로 인해 정치적 반발을 사 결국 로주에서 파면되고 영지 4만 석을 삭감당하는 결과를 낳았다. 1866년 (게이오 2년), 8대 번주 아베 마사키요는 다나구라번으로 이동했고, 시라카와 번령은 니혼마쓰번이 잠시 관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보신 전쟁 발발 당시 시라카와는 번주가 없는 상태에서 전쟁에 휘말렸고,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했다가 삿초 동맹 군대에 의해 시라카와 성이 크게 파괴되었다. 1868년 (게이오 4년) 2월, 마사키요가 잠시 시라카와 번으로 복귀했으나, 같은 해 12월(메이지 원년) 다시 다나구라 번으로 이동하면서 시라카와 번은 최종적으로 폐번되었다.

폐번 이후 시라카와는 막부 직할령(덴료)이 되었다가, 1869년 8월 시라카와 현으로 재편되었다. 1871년 7월 폐번치현을 거쳐 같은 해 11월 니혼마쓰 현에 편입되었고, 이후 최종적으로 후쿠시마현에 속하게 되었다.

기간번주 가문고쿠다카주요 번주 및 사건이동지
1627년 ~ 1643년니와씨10만 석니와 나가시게 (초대), 고미네성조카마치 건설니혼마쓰번
1643년 ~ 1649년사카키바라씨14만 석사카키바라 다다쓰구히메지번
1649년 ~ 1681년혼다씨12만 석 (실질 15만 7천 석)혼다 다다요시 (새 농지 개발), 혼다 다다히라 (농민 봉기)우쓰노미야번
1681년 ~ 1692년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가15만 석마쓰다이라 다다히로, 오이에 소동야마가타번
1692년 ~ 1741년에치젠 마쓰다이라가15만 석마쓰다이라 나오노리, 재정 개혁 시도 및 실패, 농민 봉기히메지번
1741년 ~ 1823년히사마쓰씨11만 석마쓰다이라 사다요시,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간세이 개혁)구와나번
1823년 ~ 1866년아베씨10만 석 (→ 6만 석)아베 마사노리, 아베 마사토 (로주, 고베항 개항, 감봉)다나구라번
1866년 ~ 1868년(니혼마쓰번 관리)-보신 전쟁 시 번주 부재-
1868년 (2월~12월)아베씨-아베 마사키요 복귀 후 다시 다나구라번으로 이동, 폐번다나구라번


2. 3. 막부 말기와 보신 전쟁

분세이 6년(1823년), 마쓰다이라 사다나가가 옛 영지인 구와나번으로 돌아가게 되자, 그 빈자리를 무사시국 오시 번의 아베 마사카네가 시라카와 10만 석 영지로 들어오면서 아베 가문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아베 가문이 8대에 걸쳐 44년간 시라카와 번을 다스렸다.

막부 말기, 분가인 하타모토 출신으로 본가를 상속하여 제7대 번주가 된 아베 마사토는 로주의 지위에 올라 막부 정치에 깊이 관여했다.[5] 그는 양이파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외국과의 교역을 위해 효고항 개항을 결정하는 등 개국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7][8] 그러나 이러한 개항 결정은 고메이 천황과 막부 내 반대 세력의 격렬한 반발을 샀고, 결국 아베 마사토는 1864년 로주에서 파면되고 영지 4만 석을 삭감당하는 처분을 받았다.[8] 그는 가택 연금에 처해졌고, 번주 자리는 아들 아베 마사키요에게 넘어갔다.[6]

제8대 번주가 된 아베 마사키요는 1866년다나구라번으로 갑작스럽게 전봉 명령을 받았다. 이에 따라 시라카와 번령은 니혼마쓰번의 관리하에 들어가게 되었고, 보신 전쟁이 발발했을 당시 시라카와는 번주가 없는 상태였다. 시라카와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하여 신정부군에 맞섰으며, 고미네 성은 동맹군의 주요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1868년 2월, 마사키요는 잠시 시라카와 번으로 복귀했으나, 시라카와 전투에서 성이 삿초 동맹 군대에 의해 함락되고 큰 피해를 입었다. 같은 해 12월, 마사키요는 다시 다나구라 번으로 전봉되었고, 시라카와 번은 최종적으로 폐번되었다.

폐번 이후 시라카와 땅은 메이지 정부의 직할령(천령)이 되었다가, 1869년 음력 8월에 시라카와 현으로 재편되었다. 1871년 폐번치현 이후 니혼마쓰 현을 거쳐 최종적으로 후쿠시마현에 편입되었다.

2. 4. 메이지 유신 이후

막부 말기, 7대 번주 아베 마사토는 로주가 되어 양이파의 반대를 무릅쓰고 효고 개항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 결정은 결국 정치적 반발을 사 1864년 로주에서 파면되고 영지 4만 석이 삭감되는 결과를 낳았다.

8대 번주 아베 마사키요는 1866년다나구라번으로 옮겨가게 되었고, 시라카와 땅은 니혼마쓰번이 잠시 관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보신 전쟁(1868년) 당시 시라카와는 번주가 없는 상태에서 전쟁을 맞이했다. 시라카와는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담했으나, 아이즈 전쟁삿초 동맹 군대에 의해 고미네 성이 함락되고 큰 피해를 입었다.

1868년 2월, 아베 마사키요는 잠시 시라카와 번으로 복귀했지만, 같은 해 12월 다시 다나구라 번으로 옮겨가면서 시라카와 번은 결국 폐지되었다. 폐번 이후 시라카와는 메이지 정부의 직할령(덴료)이 되었다가, 1869년 음력 8월에 시라카와 현으로 재편되었다. 1871년 7월 폐번치현이 단행되면서 니혼마쓰 현을 거쳐 최종적으로 후쿠시마현에 편입되었다.

3. 역대 번주

시라카와번은 에도 시대 동안 여러 다이묘 가문이 통치하였다. 각 가문별 통치 시기는 다음과 같으며, 상세한 번주 목록과 정보는 각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니와 가문


  • - 도자마 다이묘인 니와 씨가 1627년부터 1643년까지 시라카와번을 통치했다.


니와 가문 (도자마 다이묘) 1627년 ~ 1643년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니와 나가시게|丹羽長重일본어1627년 ~ 1637년가가노카미(加賀守); 산기(参議)종4위하(従四位下)12만 석
2니와 미쓰시게|丹羽光重일본어1637년 ~ 1643년사쿄노다이부(左京大夫); 지주(侍従)종4위하(従四位下)12만 석


3. 2. 사카키바라 가문

후다이 다이묘인 사카키바라 가문 (--)이 1643년부터 1649년까지 시라카와번을 통치하였다. 당시 고쿠다카는 14만 석이었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사카키바라 타다츠구|榊原忠次일본어1643년–1649년시키부다이스케(式部大輔); 지주(侍従)종4위하(従四位下)140,000 석


3. 3. 혼다 가문

후다이 다이묘인 혼다 가문이 1649년부터 1681년까지 시라카와번을 다스렸다. 당시 고쿠다카는 12만 고쿠다카였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대혼다 타다요시(本多忠義|혼다 타다요시일본어)1649년 ~ 1662년노토노카미(能登守)종4위하(従四位下)12만 고쿠다카
2대혼다 타다히로(本多忠平|혼다 타다히로일본어)1662년 ~ 1681년노토노카미(能登守)종5위하(従五位下)12만 고쿠다카


3. 4. 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 가문

松平(奥平)忠弘|마쓰다이라 다다히로일본어1681년 ~ 1692년시모사노카미(下総守)
지주(侍従)
종4위하(従四位下)15만 석


3. 5.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

wikitext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 마쓰다이라 씨 (에치젠) (신판) 1692-1741
1마쓰다이라 나오노리(松平直矩)1692–1695야마토노카미(大和守); 지주(侍従)종4위하(従四位下)150,000석
2마쓰다이라 모토치카(松平基知)1695–1729야마토노카미(大和守); 지주(侍従)종4위하(従四位下)150,000석
3마쓰다이라 아키노리(松平明矩)1729–1741야마토노카미(大和守); 지주(侍従)종4위하(従四位下)150,000석


3. 6.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마쓰다이라 사다요시 松平(久松)定일본어1741년 ~ 1770년엣추노카미(越中守)종4위하(従四位下)110,000 석
2마쓰다이라 사다쿠니 松平(久松)定邦일본어1770년 ~ 1783년엣추노카미(越中守)종4위하(従四位下)110,000 석
3마쓰다이라 사다노부 松平(久松)定信일본어1783년 ~ 1812년엣추노카미(越中守); 사쇼쇼(左少将)종4위하(従四位下)110,000 석
4마쓰다이라 사다나가 松平(久松)定永일본어1812년 ~ 1823년엣추노카미(越中守)종4위하(従四位下)110,000 석


3. 7. 아베 가문

-- 아베씨 (후다이) 1823년 ~ 1866년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아베 마사노리(阿部正権일본어)1823년없음없음10만 석
2아베 마사아쓰(阿部正篤일본어)1823년 ~ 1831년종5위하(従五位下)히다노카미(飛騨守)10만 석
3아베 마사아키라(阿部正瞭일본어)1831년 ~ 1838년종5위하(従五位下)노토노카미(能登守)10만 석
4아베 마사카타(阿部正備일본어)1838년 ~ 1848년종5위하(従五位下)엣추노카미(越中守)10만 석
5아베 마사사다(阿部正定일본어)1848년없음없음10만 석
6아베 마사히사(阿部正耆일본어)1848년 ~ 1864년종4위하(従四位下)하리마노카미(播磨守), 지주(侍従)10만 석
7아베 마사토(阿部正外일본어)1864년 ~ 1866년종4위하(従四位下)부젠노카미(豊前守), 지주(侍従)10만 석
8아베 마사키요(阿部正静일본어)1866년종5위하(従五位下)미마사카노카미(美作守)10만 -> 6만 석



'''아베 마사노리'''(阿部正権일본어, 1806년 2월 26일 ~ 1823년 11월 8일)는 오시번의 9대 번주이자 시라카와 번의 초대 아베 가문 번주였다.[5] 그는 아베 마사요시의 둘째 아들로, 세 살 때 아버지가 사망하여 번주가 되었다. 나이가 어리고 건강이 좋지 않아 어머니가 번의 행정을 대행했으며, 후쿠야마번 번주 아베 마사키요의 후견을 받았다.[6] 1823년, 도쿠가와 막부는 오시 번, 구와나번, 시라카와 번의 번주 가문 영지를 서로 바꾸는 명령(三方領替え)을 내렸다. 마사노리는 시라카와로 이주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이주 도중에 사망했다. 그의 사촌 아베 마사아쓰가 뒤를 이었다.[6]

'''아베 마사아쓰'''(阿部正篤일본어, 1801년 10월 10일 ~ 1843년 4월 16일)는 시라카와 번의 2대 아베 가문 번주였다. 그는 기슈 번주 도쿠가와 무네노부의 다섯째 아들인 마쓰다이라 요리오키(松平頼興)의 아들로, 사촌 아베 마사노리가 사망한 후 그의 양자가 되었다. 관위는 종5위하였고, 통칭은 히다노카미(飛騨守)였다. 그의 아내는 사쓰마 번주 시마즈 나리노부의 딸이었다. 그 역시 건강이 좋지 않아 1831년 아베 마사아키라를 후계자로 삼고 은퇴했다. 1843년에 사망했으며, 묘는 도쿄 구라마에(蔵前)의 사이후쿠지(西福寺)에 있다.

'''아베 마사아키라'''(阿部正瞭일본어, 1813년 9월 14일 ~ 1838년 5월 3일)는 시라카와 번의 3대 아베 가문 번주였다. 그는 요시다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의 14번째 아들로, 아베 마사아쓰의 양자가 되었다. 관위는 종5위하였고, 통칭은 노토노카미(能登守)였다. 그의 아내는 다카사키 번주 나가이 나오카쓰의 딸이었다. 총명함으로 알려졌으며, 1836년에는 소샤반, 1837년에는 지샤부교를 역임하며 장래가 촉망되었으나 건강이 좋지 않아 1838년에 사망했다. 묘는 도쿄 구라마에의 사이후쿠지에 있다.

'''아베 마사카타'''(阿部正備일본어, 1823년 7월 27일 ~ 1874년 4월 11일)는 시라카와 번의 4대 아베 가문 번주였다. 그는 오무라 번주 오무라 스미요시의 넷째 아들로, 아베 마사아키라의 양자가 되었다. 관위는 종5위하였고, 통칭은 엣추노카미(越中守)였다. 그의 아내는 다카토 번주 나이토 요리야스의 딸이었다. 1847년에 소샤반을 역임했으나 이듬해 은퇴했다. 메이지 시대까지 생존했으며 1874년에 사망했다. 묘는 도쿄 구라마에의 사이후쿠지에 있다.

'''아베 마사사다'''(阿部正定일본어, 1823년 11월 28일 ~ 1848년 9월 22일)는 시라카와 번의 5대 아베 가문 번주였다. 그는 시라카와 번의 3천 석 하타모토 가신인 아베 쇼조(阿部正蔵)의 장남으로, 아베 마사카타의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번주 취임 후 불과 3개월 만에 사망했다.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죽음은 후쿠야마 번에서 아베 마사히사를 데려와 후계자로 삼을 때까지 비밀에 부쳐졌고, 마사히사가 후계자로 정해진 날 사망 사실이 공표되었다. 묘는 도쿄 구라마에의 사이후쿠지에 있다.

'''아베 마사히사'''(阿部正耆일본어, 1827년 12월 12일 ~ 1864년 4월 7일)는 시라카와 번의 6대 아베 가문 번주였다. 그는 후쿠야마 번주 아베 마사야스의 조카로, 아베 마사사다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관위는 종4위하였고, 통칭은 하리마노카미(播磨守)였다. 1849년에 소샤반을 지냈다. 1863년에는 아이즈 번주 마쓰다이라 가타모리를 도와 교토와 주변 지역의 치안 유지 활동(분큐 개혁)에 참여했다. 그러나 병에 걸려 이듬해인 1864년에 사망했다. 묘는 도쿄 구라마에의 사이후쿠지에 있다.

'''아베 마사토'''(阿部正外일본어, 1828년 2월 15일 ~ 1887년 4월 20일)는 시라카와 번의 7대 아베 가문 번주이자, 막말 도쿠가와 막부의 중요 관료였다.[5] 그는 시라카와 번의 3천 석 하타모토 가신 아베 쇼조의 차남으로, 형 아베 마사사다가 번주가 되면서 하타모토 지위를 물려받았다. 1859년, 가즈노미야 공주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결혼(공무합체)을 주선하는 데 기여했다. 1861년 가나가와 부교가 되었고, 같은 해 외국봉행으로 승진했으며, 이듬해에는 에도 기타마치부교로 임명되었다.[7] 1864년, 양자로 들어간 가문의 형 아베 마사히사가 사망하자 시라카와 번주가 되었고, 몇 달 후 소샤반과 지샤부교를 겸임했으며, 곧이어 로주로 발탁되었다. 로주로서 요코하마와 효고항 개항 및 외국인 거류지 건설 협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효고 개항은 고메이 천황과 막부 내 조약 반대파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고, 아베 마사토가 외국 측의 요구에 굴복하자 결국 로주 직에서 해임되고 가택 연금에 처해졌다.[8] 번주 자리는 그의 아들 아베 마사키요에게 넘어갔다. 그는 1887년 도쿄에서 사망했다.[6]

'''아베 마사키요'''(阿部正静일본어, 1850년 1월 11일 ~ 1878년 1월 23일)는 시라카와 번의 8대이자 마지막 아베 가문 번주이며, 이후 다나구라번의 초대 아베 가문 번주가 되었다. 그는 아베 마사토의 장남이었다. 관위는 종5위하였고, 통칭은 미마사카노카미(美作守)였다. 1864년 아버지가 아베 마사히사의 양자가 되어 번주 자리를 잇게 되자, 아버지의 3천 석 하타모토 영지를 상속받았다. 그러나 1866년, 아버지가 효고항 개항 문제로 강제 은퇴당하자 시라카와 번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바로 같은 날 다나구라 번으로 전봉되었고, 시라카와 번은 막부 직할령(천령)이 되었다. 그는 이 조치에 항의했고, 나중에 시라카와로 돌아갈 것을 청원하여 잠시 복귀가 허용되었으나, 고미네성은 이미 오우에쓰 열번 동맹 군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보신 전쟁 중인 1868년, 시라카와 전투에서 고미네 성은 메이지 정부군에게 함락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나구라 성도 이타가키 다이스케가 이끄는 군대에 함락되었다. 마사키요는 아버지와 함께 도쿄에서 가택 연금되었고, 1878년에 사망했다.

4. 지번

5. 막부 말기의 영지

대부분의 영지처럼, 시라카와번은 정기적인 지적도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에 기반하여 할당된 ''고쿠다카''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지역에 분산된 영토로 구성되었다.[3][4] 막부 말기의 영지는 다음과 같다.

국(國)군(郡)마을 수
무쓰국(이와시로국)시라카와군63개 마을
이와세군2개 마을
도토미국야마나군15개 마을
도요다군18개 마을
아라타마군3개 마을
이나사군4개 마을
시나노국이나군36개 마을


참조

[1] 서적 Ooms
[2] 서적 Politics in the Tokugawa Bakufu, 1600-1843
[3]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4]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5]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6] 서적 江戸時代全大名家事典 (Edo period Daimyo Encyclopaedia) Tokyo Publishing
[7] 서적 Select Documents on Japanese Foreign Policy, 1853-1868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French Policy in Japan During the Closing Years of the Tokugawa Regim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