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길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길교통은 1970년 세원버스로 설립되어, 1980년대 신길운수로 사명을 변경하고 2022년 현재의 신길교통으로 변경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604번, 606번, 652번, 653번, 661번, 673번, 674번 등 7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에, 영업소는 경기도 부천시 상동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파트너스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도원교통 (서울)
    도원교통은 1957년 설립되어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 지선, 심야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성원여객 노선 양수 및 전기버스 도입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적극적이다.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관악교통
    관악교통은 1970년 성진상운으로 설립되어 1974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2009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간선, 지선,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신길교통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신길교통 주식회사
원어Shin Gil Transportation Co., Ltd.
창립1970년 8월 11일
이전 회사세원버스
국가대한민국
장소서울특별시 양천구 월정로 117 (신월동)
사업 지역부천영업소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 158 (상동)
산업운수업
부속품판매업
천연가스충전사업
천연가스충전소임대업
대표 제품시내버스
자본금670,000,000원 (2020.12)
매출액26,991,225,643원 (2020)
영업이익-200,785,550원 (2020)
순이익193,156,312원 (2020)
자산총액11,154,702,912원 (2020.12)
주주ESG퍼블릭모빌리티 : 80%
신길운수주식회사 : 20%
자회사만리공업사
신길천연가스
종업원335명 (2020.12)
인물
대표이사이강식

2. 역사

신길교통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970년 8월 11일 운행 인가를 받아 '''세원버스'''(世原―)로 설립되었다.[1] 1973년 5월 5일 어린이대공원 개장으로 우성교통 88번 (남성동 - 중곡동) 노선을 양도받아 588번으로 번호를 변경 후 어린이대공원 - 서울역 노선으로 변경 운행하였다.[1] 이후 신길동으로 영업소를 이전하면서 '''신길운수'''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1980년대에는 화곡동으로 차고지를 옮기고 보성운수남부운수(현 범일운수)로부터 노선을 인수받았다.

1990년대에는 부천시 상동에 영업소를 완공하고 노선을 확장하였다.[1] 1990년 6월 4일 좌석버스 62번(현 673번)에서 분리한 62-1번 (현 661번) 노선을 신설하였다.[1] 1994년에는 좌석버스 62번 노선이 상동 영업소로 연장되었다.[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에는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다.[1]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고, 2021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으며, 2022년 '''신길운수'''에서 '''신길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1]

2. 1. 1970년대 ~ 1980년대


  • 1970년 8월 11일 운행 인가를 받아 '''세원버스'''로 설립되었다.
  • 1973년 5월 5일 어린이대공원 개장으로 우성교통 88번 (남성동 - 중곡동) 노선을 세원버스에서 양도받아 588번으로 번호를 변경 후 어린이대공원 - 서울역 노선으로 변경 운행하였다.
  • 신길동으로 영업소를 이전하면서 588번 노선이 신길동 - 어린이대공원으로 변경되었고, 사명은 '''신길운수'''로 변경되었다.
  • 1980년대: 화곡동으로 차고지를 옮기면서 588번이 화곡동 - 어린이대공원 노선으로 운행하다 잠실지역 개발로 풍납동까지 운행하였다. 588번은 화곡동 - 잠실역 구간으로 운행하다가 이후 왕십리역, 동대문운동장역, 스카라 순으로 단축되었다.
  • 1985년: 보성운수에서 도시형버스 106번(시흥동 ↔ 영등포)을 인수받았다.
  • 1987년 5월 27일: 588-1번이 부천시 지역에 연장되었으며, 588-1번에서 분리 신설한 588-2번 (송내역 ↔ 제일은행 본점, 현 606번)이 신설되었다.
  • 1988년: 남부운수(현 범일운수)와 공동배차 운행하던 좌석버스 62번(훗날 간선버스 607번, 현 간선버스 673번)이 본 회사 단독운행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남부운수로부터 좌석버스 62번 공동배차분 차량을 인수받았다.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90년: 부천시 상동에 영업소를 완공하고, 원종동 임시 차고지에 있던 도시형버스 588-2번 (현 606번) 노선을 상동 차고지로 연장하였다.[1]
  • 1990년 6월 4일: 좌석버스 62번(현 673번)에서 분리하여 상동 ~ 부천역 ~ 춘의사거리 ~ 고강동 ~ 성산대교 ~ 연대앞 ~ 광화문 ~ 시청 구간을 운행하는 62-1번(현 661번) 노선을 신설하였다.[1]
  • 1994년: 신월동 - 서울시청을 운행하던 좌석버스 62번 노선이 상동신도시 입주와 함께 상동 영업소로 연장되었다.
  • 1997년: 588번 노선이 동일 번호의 좌석버스 운행을 폐지하면서 회차를 좌석버스 회차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588-2번 노선은 제일은행 본점에서 조계사를 경유하여 종로1가에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 3.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에 참여하여 기존 버스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다.[1] 중부운수에 지역순환버스 488번 (현 6625번) 노선을 양도하였고, 순환버스 41번을 신설하였다.

2004년 12월 1일: 광역버스 9601번이 연세대학교 앞을 경유하는 대신 여의도, 마포역, 공덕역을 경유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1]

2005년 3월 31일: 광역버스 9601번이 간선버스 661번으로 변경되었고, 광화문역에서 여의도로 노선이 단축되었다.[1]

2005년 4월 10일: 순환버스 41번 운행을 중단하였다. 이 노선은 현재 대원교통에서 운행 중이다.[1]

2005년 12월 30일: 지선버스 6634번이 간선버스 652번으로 변경되었고, 시흥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과 함께 석수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1]

2006년 1월: 신월동 영업소 차량을 모두 천연가스버스로 교체하였다.[1]

2008년 10월 21일: 상동 영업소의 기존 디젤 차량을 천연가스버스로 교체하고, 신길천연가스를 설립하여 상동 영업소에 천연 가스 충전소를 설치하였다. 이를 통해 부천시내버스인천시내버스 회사에 천연가스를 판매하기 시작하였다.[1]

2008년 10월 25일: 광역버스 9600번과 지선버스 6711번을 통합하여 607번 간선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08년 11월 5일: 661번에 로얄럭셔리 차량을 대체하여 BS110CN 신차를 투입하여 운행하였다.[1]

2008년 11월 11일: 상동 영업소를 부천지점으로 승격하고 등기하였다.[1]

2010년 8월 21일: 영인운수와 공동 배차하는 653번 간선버스 노선을 신설하면서 652번에서 차량 4대를 감차하였다.[1]

2010년 8월 24일: 신길운수 회장의 친인척 관계인 만리공업사(자일대우버스 서울정비공장) 회장이 별세하여 만리공업사를 인수, 계열사로 편입하였다.[1]

2011년 8월 25일: 661번 노선이 강서구청 구간 대신 발산역, KBS 88체육관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1]

2011년 11월: 부천시 고강동에 위치한 고강공영차고지 설립 지분을 출자하여 1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대주주는 청우운수이지만, 주요 주주로는 신길교통, 소신여객과 함께 총 1개의 대주주, 2개의 주주가 관리한다. 신월동 본사 신길교통 차량들은 이곳에서 가스 충전을 한다.[1]

2012년 3월 16일: 607번 노선이 광화문역 - 서소문 구간 단축, 673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어 운행한다.[1]

2012년 8월 28일: 652번 노선이 석수역에서 독산사거리로 단축되었다.[1]

2013년 3월 19일: 661번 노선이 여의도에서 영등포역으로 단축되었다.[1]

2016년 3월 1일: 673번 노선이 등촌역 - 염창역 - 성산대교 - 마포구청 구간 대신 마포고등학교 - 가양대교 - 디지털미디어시티 - 성산2교 구간으로 변경되었다.[2]

2016년 4월 30일: 673번 노선이 이대부고 방면 한정으로 송내역 환승센터를 경유한다.[3]

2017년 3월 25일: 삼화상운 163번 노선이 연세대학교로 단축되면서 173번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됨에 따라, 단축 구간을 활용하여 간선버스 674번 노선을 신설하고 보광교통과 공동 배차로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21년 12월 7일: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인수되었다.[1]

2022년 1월 1일: 사명이 '''신길운수'''에서 '''신길교통'''으로 변경되었다.[1]

3. 운행 노선

신길교통은 간선버스 노선 7개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양천구 월정로 117 (신월동)에 본사가 있고,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 158 (상동)에 영업소가 있다. 상동 영업소에는 천연 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어 부일교통, 소신여객, 도원교통, 해성운수, 세운교통 등 인천부천시내버스 업체에 천연가스를 판매하기도 한다.[4]

3. 1. 현행 노선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4]

운행노선운행구간배차간격
(분)
인가
대수
비고
604번신월동중구청7~1421구 588번
606번부천 상동조계사9~1722구 588-2번
652번신월동금천우체국6~1227구 106번과 388번 통합. 구 6634번
653번외발산동가산디지털단지역6~1262010년 8월 21일 신설. 영인운수와 공동 배차
661번부천 상동신세계백화점10~2018구 62-1번 좌석버스. 구 9601번 단축
673번부천 상동이대부고10~2017구 588-1번인 6711번과 구 62번 좌석버스인 9600번을 통합한 구 607번 단축
674번신월동연세대학교6~1272017년 3월 25일 신설. 보광교통과 공동 배차


3. 2. 과거 노선 (변경 / 통폐합 등)

노선 번호운행 구간비고
41번종합운동장역종합운동장역동성교통, 동아운수, 신성교통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다가 2005년 4월 10일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인수된 이후 2006년 4월 10일 폐선되었다.[1]
607번상동광화문역구 6711번, 9600번 통합. 2012년 3월 16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등학교로 단축, 673번으로 변경되었다.[1]
6634번신월동시흥동구 388번. 2005년 12월 30일 노선 연장과 함께 652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1]
6711번상동지하 신촌역구 588-1번. 9600번과 노선 통합·607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1]
8663번가양역여의도역평일 출근 편도 노선으로, 2015년 2월 26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 운행되었다.[1]
9600번상동광화문역구 62번 좌석. 2008년 10월 25일 6711번과 노선 통합과 함께 607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1]
9601번상동서울특별시청구 62-1번 좌석. 2005년 3월 31일 노선 단축과 함께 661번으로 형간 전환되었다.[1]


4. 사업장

신길교통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월정로 117 (신월동)에 본사를,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 158 (상동)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상동 영업소에는 천연 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어 부일교통, 소신여객, 도원교통, 해성운수, 세운교통 등 인천시내버스부천시내버스 업체에 천연 가스를 판매하기도 한다.[1]

5. 보유 차량

신길교통은 자일대우버스현대자동차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 자일대우 NEW BS106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6. 기타

신길교통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월정로 117 (신월동)에 본사를,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 158 (상동)에 영업소를 두고 있으며, 상동 영업소 내에는 천연 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1] 이 충전소를 통해 부일교통, 소신여객, 도원교통, 해성운수, 세운교통 등 인천부천시 버스 업체에게 천연가스를 판매하고 있다.[1]

참조

[1] 뉴스 부천~영등포,서울시청 좌석버스 2개노선 개통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0-06-05
[2] 간행물 시내버스 673번 노선조정안 검토보고 http://opengov.seoul[...] 서울교통정보과 2016-02-04
[3] 간행물 시내버스 673번 부천시 송내역 환승시설 경유에 대한 검토의견 회신 http://opengov.seoul[...] 서울특별시장 2016-04-05
[4] 간행물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