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민발톱수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수달의 일종으로, 학명은 Aonyx capensis이다. 아프리카 대륙 광역에 분포하며, 플라이스토세 동안 화석 기록에 처음 나타났다. 6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카메룬민발톱수달을 별도의 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짙은 밤색 털과 흰색 얼굴 무늬가 특징이며, 뒷발의 일부 발가락에만 발톱이 있다. 주로 수생 동물을 먹고 살며, 단독 생활을 하지만 가족 집단을 이루기도 한다. 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 사냥, 어획량 감소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며, 워싱턴 조약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동물상 - 점박이하이에나
점박이하이에나는 아프리카와 유라시아에 서식하며 사회성이 강하고 무리 생활을 하는 현존하는 하이에나 중 가장 큰 종으로, 암컷의 생식기가 수컷과 흡사한 외형을 지니고 뛰어난 지능을 가진 동물이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동물상 - 아프리카비단뱀
아프리카비단뱀은 비단뱀속에 속하며 최대 7.5m까지 자라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뱀 중 하나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전역에 분포하며 육식성을 띤다. - 수달아과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수달아과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부르키나파소의 포유류 - 검은꼬리모래여우
검은꼬리모래여우는 북아프리카 사바나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서식하며 꼬리 끝이 검은색인 것이 특징인, 설치류, 곤충, 과일 등을 먹는 야행성 잡식 동물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된 여우속 동물이다. - 부르키나파소의 포유류 - 서벌
서벌은 아프리카 원산의 중형 고양이과 동물로, 긴 다리와 큰 귀, 반점과 줄무늬가 있는 털을 가지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하고,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LC)로 분류된다.
아프리카민발톱수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준위협 (NT) |
속 | 민발톱수달속 (Aonyx) |
종 | 아프리카민발톱수달 (A. capensis) |
학명 | Aonyx capensis |
명명자 | (Schinz, 1821) |
이명 | Lutra capensis Schinz, 1821 Lutra inunguis Cuvier, 1823 Aonyx delalandi Lesson, 1827 Anahyster calabaricus, Murray, 1860 Aonyx delalandi, Lesson, 1827 Lutra lenoiri, Rochebrune, 1888 |
와명 | 츠메나시카와우소 |
영명 | African clawless otter Cape clawless otter |
![]()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족제비과 |
아과 | 수달아과 |
분포 | |
분포 지역 | 아프리카 |
보존 상태 | |
IUCN | 취약종 |
CITES | 부록 II |
2. 분류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민발톱수달속( ''Aonyx'' )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족제비과(족제비과)에 속하며, 식육목으로 분류된다.
가장 오래된 수달 조상으로 알려진 ''포타모테리움 발레토니''( ''Potamotherium valetoni'' )는 올리고세 후기 유럽에 서식했으며, 아프리카민발톱수달(''Aonyx capensis'')의 화석은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처음 발견되었다.[4] 아프리카 북부, 남부, 동부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된 바 있다.[10] 또한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멸종된 거대 사르데냐 수달인 ''메갈렌히드리''( ''Megalenhydris'' )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여러 아종으로 나뉘는데, 일부 학자들은 콩고민발톱수달( ''Aonyx congicus'' )을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7][19]
2. 1. 하위 분류
일반적으로 6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16] 세계의 포유류 종(MSW3, Wozencraft, 2005)에서는 다음과 같이 6아종으로 분류한다.[2][12]- 케이프민발톱수달 (''Aonyx capensis capensis'') (Schinz, 1821)[14]
- ''Aonyx capensis hindei'' (Thomas, 1905) (케냐발톱없는수달[14])
- ''Aonyx capensis meneleki'' (Thomas, 1903) (아비시니아발톱없는수달[14])
- 콩고민발톱수달 또는 자이르발톱없는수달 (''Aonyx capensis congicus'' 또는 ''Aonyx capensis congica'') (Lönnberg, 1910)[14]
- ''Aonyx capensis microdon'' (Pohle, 1920) (카메룬발톱없는수달[14])
- ''Aonyx capensis philippsi'' (Hinton, 1921) (필립스발톱없는수달[14])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콩고민발톱수달(''A. c. congicus'' 또는 ''A. c. congica'')을 별도의 종(''Aonyx congicus'')으로 간주하기도 한다.[17][19][1][4][11] 일부에서는 ''A. c. microdon''과 ''A. c. philippsi''도 별도의 종(자이르발톱없는수달)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1]
3. 계통 분류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한다.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따른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20] 민발톱수달속(Aonyxla)은 수달속(Lutra)과 가장 가까운 관계를 형성한다. 이 두 속은 비단수달속(Lutrogale)과 작은발톱수달속(Amblonyx)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 더 나아가 이 그룹은 얼룩목수달속(Hydrictis) 및 해달속(Enhydra)과 순차적으로 분기되었으며, 큰수달속(Pteronura)은 이들 유라시아/아프리카 수달 그룹 전체와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아메리카수달속(Lontra)은 이들과 별도의 분기군을 형성한다.[20]
가장 오래된 수달 화석은 유럽의 상부 올리고세 지층에서 발견된 ''포타모테리움 발레토니''(Potamotherium valetonila)이다.[4] 아프리카민발톱수달(''Aonyx capensis'')의 화석은 플라이스토세 시기에 처음 나타난다.[4] 민발톱수달속(Aonyxla)은 사르데냐에서 발견된 멸종된 거대 수달인 ''메갈렌히드리''(Megalenhydrisla)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4. 형태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해달과 거대수달 다음으로 평균적으로 세 번째로 큰 수달이며[10][13], 현존하는 족제비과 동물 중에서도 평균 체질량 면에서 울버린, 돼지족제비, 유럽오소리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동물일 가능성이 높다.[5][6] 성체의 전체 몸길이(꼬리 포함)는 113cm 에서 163cm에 달하며, 몸무게는 10kg 에서 36kg까지 나가지만, 대부분은 12kg 에서 21kg 사이이다.[5][6] 꼬리는 몸길이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5][6] 수컷이 암컷보다 평균적으로 약간 더 크다.[5][6]
구분 | 몸길이 (꼬리 제외) | 꼬리 길이 | 몸무게 |
---|---|---|---|
수컷 | 76.2cm 에서 88cm | 46.5cm 에서 51.5cm | 11.5kg 에서 21kg |
암컷 | 73cm 에서 73.6cm | 49.5cm 에서 51.5cm | 10.6kg 에서 14.2kg |
털은 짙고 부드러운 밤색이며, 배 부분은 거의 비단결처럼 부드럽다.[5][6] 등쪽은 개체에 따라 옅은 갈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하다.[11] 윗입술부터 볼, 목, 가슴까지 이어지는 흰색 무늬가 특징이다.[5][6][11]
발가락은 5개이지만 마주보는 엄지손가락은 없다.[5][6] 뒷발의 발가락 사이에는 약간의 물갈퀴가 있지만, 앞발의 손가락 사이에는 없다.[10][13] 앞발의 모든 손가락과 뒷발의 첫 번째, 다섯 번째 발가락에는 발톱이 없다.[10][11][13] 뒷발의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발가락에만 짧은 발톱이 있다.[10][11][13]
머리뼈는 크고 넓적하며 편평하고, 비교적 작은 눈구멍과 짧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5][6] 어금니는 크고 편평하여[11] 갑각류나 물고기 뼈와 같은 단단한 먹이를 부수는 데 적합하다.[13]
아시아작은발톱수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비교적 작은 아시아작은발톱수달보다 두 배나 더 크다.[5][6]
5. 분포 및 서식지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탁 트인 해안 평원, 반건조 지역, 울창한 숲 등 다양한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견된다. 주로 영구적인 수역 주변에 서식하며, 잎이 무성한 환경을 선호한다. 통나무, 나뭇가지, 흩어진 잎은 은신처, 그늘, 구르기 좋은 장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달에게 매력적이다. 육지에서는 느리고 다소 서툴지만, 물가 근처 둑에 굴을 파서 먹이를 쉽게 얻고 포식자로부터 빠르게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프 반도의 펄스 베이 지역에서는 해변과 바위에서 먹이를 찾고 얕은 파도에서 숭어를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도시 지역에서는 주로 야행성이며, 낮 동안에는 조용하고 덤불이 우거진 곳에 숨어 지낸다.
콩고 분지를 제외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대륙 대부분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13] 구체적인 분포 국가는 다음과 같다.
분포 국가 |
---|
앙골라, 베냉,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차드,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케냐, 라이베리아, 레소토, 말라위, 모잠비크, 나미비아, 니제르, 나이지리아, 르완다, 세네갈, 시에라리온,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9] |
주로 콩고 분지에 분포하며 한때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의 아종으로 여겨졌던 자이르발톱없는수달(Aonyx congicalat)과는 우간다와 르완다에서 같은 지역에 서식한다.[10][13]
6. 생태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대부분 혼자 생활하지만, 때로는 최대 5마리 정도의 가족 단위로 가까운 지역에서 함께 살기도 한다. 각 개체는 자신만의 영역을 가지며, 짝을 찾을 때를 제외하고는 주로 혼자 지낸다. 영역 표시는 한 쌍의 항문선에서 분비되는 독특한 냄새를 이용하며, 자신의 영역에 대한 소유욕이 매우 강하다.
하루 대부분을 물속에서 헤엄치며 먹이를 잡는 데 보낸다. 안전을 확보하거나, 더위를 식히거나, 풀과 잎으로 몸을 문지르기 위해 땅에 판 굴(홀트, holt)로 돌아간다. 주로 물에서 생활하며, 물속에서는 꼬리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고, 땅 위에서는 걷거나 앉을 때 꼬리로 균형을 잡는다. 육지에서의 움직임은 다소 서투른 편이다. 앞발과 민감한 수염(진동모)을 이용해 먹이를 찾는다.
주로 부들이나 갈대가 우거진 얕은 담수 지역을 선호하지만, 일부는 바닷가에서도 발견된다. 남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 서식하며, 해안 평야, 반건조 지역, 숲 등 다양한 환경에 분포한다. 일반적으로 물이 마르지 않는 곳 근처에 살며, 나무, 나뭇가지, 낙엽 등을 은신처나 그늘로 활용한다. 먹이를 구하거나 포식자로부터 피하기 위해 물가에 굴을 판다. 케이프 반도의 팔스만(False Bay)에서는 해변이나 바위에서 먹이를 찾거나 얕은 물에서 숭어를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한다. 도시 지역에서는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 낮에는 풀밭에서 쉬는 경우가 많다. 행동 범위는 매우 넓어서 4.9~1062.5 ha에 달하지만, 주로 1.1~138.9 ha 범위 내에서 활동한다는 보고가 있다.
위협을 느끼면 날카로운 소리를 내어 주변 동료에게 위험을 알리고 포식자를 혼란스럽게 한다. 매우 더운 환경에서는 물속에 머물러 체온을 낮추고, 낮 동안 가장 더운 시간을 피하기 위해 굴에서 지낸다. 몸에 지방층이 없어 추위를 막기 위해 두꺼운 털에 의존한다.
나일악어나 흰머리수리가 천적이 될 수 있지만, 가장 큰 위협은 인간에 의한 것이다. 게를 잡기 위한 어구에 함께 잡히거나(혼획), 교통사고 등으로 희생되는 경우가 많다.
6. 1. 먹이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주로 게, 물고기, 개구리, 벌레와 같은 수생 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먹이를 잡기 위해 물속으로 잠수하며, 잡은 후에는 다시 물가로 나와 먹이를 먹는다. 먹이를 찾고 잡는 데에는 앞발과 진동모(수염)를 활용한다. 앞발은 매우 능숙하여 연못이나 강바닥의 진흙을 파헤치거나, 돌을 들어 올리고 통나무 밑을 살펴보는 데 사용된다. 또한, 매우 민감한 수염은 물속에서 먹잇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요한 감각 기관 역할을 한다.주된 먹이는 게류이지만, 서식하는 지역에 따라 먹이의 종류와 비율에 차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구 케이프 주의 해안 지역에서는 물고기가 먹이의 50%를 차지하고, 게류는 28%, 바닷가재의 일종인 ''Jasus lalandii''가 11%, 전복류의 일종인 ''Haliotis midae''가 6%를 차지한다는 보고가 있다. 짐바브웨에서는 이입된 무지개송어가 먹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 미만이지만, 콰줄루나탈 주에서는 이입된 송어류(주로 전장 20cm 미만)가 먹이의 88%를 차지하기도 한다. 이처럼 특정 지역에서는 이입된 어종이 주요 먹이가 되기도 하여, 해당 지역에서는 무지개송어 양식 등에 피해를 주는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이 먹는 구체적인 먹이 종류는 다음과 같다.
분류 | 종류 |
---|---|
어류 | 뱀장어목 (Anguilla bengalensis), 잉어목 (Enteromius anoplus, Labeobarbus natalensis), 메기목 (Amphilius uranoscopus), 브라운트라우트, 블루길, 배스, 블랙배스 (Micropterus punctulatus), 틸라피아 (Tilapia sparrmanii), 무지개송어 (이입종) |
양서류 | 발톱개구리속 (Xenopus) |
갑각류 | 게류 (Potamonautes 속 등), 바닷가재류 (Jasus lalandii) |
연체동물 | 전복류 (Haliotis midae) |
곤충 | (다양한 종류) |
조류 | (동절기, 드묾) 슴새류, 백조류, 오리류 |
겨울철에는 슴새류, 백조류, 오리와 같은 큰 물새를 사냥할 수도 있지만, 흔한 경우는 아니다. 먹이는 주로 앞발을 이용해 찾거나 잡아서 먹는다.
6. 2. 번식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주로 12월의 우기 동안 짧은 기간 짝짓기를 한다. 하지만 남반구에서는 건기에도 번식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짝짓기 후 수컷과 암컷은 각자의 길을 가며, 새끼는 오직 암컷 혼자서 기른다.임신 기간은 약 63일(약 2개월)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8월 말에 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번에 1~5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사육 환경에서는 5마리를 낳은 기록도 있다.
새끼는 태어난 지 16~30일 후에 눈을 뜨고, 45~60일 사이에 젖을 뗀다. 약 1년이 지나면 완전히 성숙한다. 사육 상태에서의 수명은 13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7. 인간과의 관계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의 가장 큰 위협은 인간이다. 인공 양식장에서 먹이를 찾다가 사냥당하거나 그물에 걸려 죽기도 한다. 또한 인간의 과도한 어업 활동은 수달의 먹이가 되는 어류 자원을 감소시킨다. 때로는 두껍고 부드러운 모피를 얻기 위해 사냥당하기도 하며, 이 모피는 의류 제작에 사용된다.
서식지 파괴 역시 심각한 위협이다. 특히 삼림 지역에서의 벌목은 토양 침식을 유발하여 강물의 탁도를 높인다. 이는 수달의 주 먹이인 물고기 개체수를 급감시켜, 직접적인 사냥보다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9] 또한, 농경지 확장이나 과방목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도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9]
한편,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은 외래종인 무지개 송어나 가금 등을 잡아먹기 때문에 해수(害獸)로 여겨져 구제 대상이 되기도 한다.[9][10] 어업과의 경쟁 상대로 인식되거나 다른 동물을 잡기 위해 설치한 덫에 함께 걸리는 혼획 피해도 우려된다.[9]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1975년 워싱턴 조약(CITES) 발효 시 가나의 개체군이 부속서 III에 등재되었고, 1977년에는 수달 아과 전체가 부속서 II에 포함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되기 시작했다.[8] 1985년에는 카메룬과 나이지리아에 서식하는 아종 ''Aonyx capensis microdon''이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더욱 강력한 보호를 받게 되었다.[8]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의 이름을 딴 오터 트레일(Otter Trail)이라는 유명한 하이킹 코스가 있다. 이 코스는 치치카마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여, 이곳의 수달들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8. 보존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의 가장 큰 위협은 인간 활동에서 비롯된다. 수달은 인공 양식장에서 먹이를 찾다가 사냥당하거나 그물에 걸리기도 한다.[1][2] 인간의 과도한 어획은 수달의 먹이가 되는 물고기 수를 줄여 생존을 위협한다.[1] 또한 두껍고 부드러운 털 때문에 의류로 사용하기 위해 사냥당하기도 한다.[1]
벌목 역시 심각한 위협이다. 벌목으로 인해 땅이 침식되면 강물이 흙탕물로 변해 탁도가 크게 증가한다. 이는 수달의 주 먹이인 물고기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켜, 직접적인 사냥보다 훨씬 더 큰 위협이 될 수 있다.[1]
한편, 보호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아프리카민발톱수달의 이름을 딴 오터 트레일이라는 하이킹 코스가 있다.[3] 이 코스는 치치카마 국립공원 안에 있어 이곳의 수달들은 보호를 받고 있다.[3]
참조
[1]
간행물
Aonyx capensis
2021
[2]
서적
Aonyx capensis
[3]
간행물
Catalogue of Life
[4]
논문
Aonyx capensis
http://www.science.s[...]
2001
[5]
웹사이트
African Clawless Otter.
http://www.arkive.or[...]
2011-08-30
[6]
웹사이트
African Clawless Otter.
http://www.theanimal[...]
The Animal Files
2011
[7]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cites.org
2017-09-22
[8]
웹사이트
Aonyx capensis
https://www.speciesp[...]
UNEP
2017-09-22
[9]
간행물
Aonyx capensis
2015
[10]
논문
Aonyx capensis
https://doi.org/10.2[...]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01
[11]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2]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Aonyx capensis
http://animaldiversi[...]
2013
[14]
서적
世界動物名検索大辞典(第2期) 世界哺乳類名検索辞典・学名篇
原書房
[15]
논문
Movement patterns and home range of Cape clawless otters (Aonyx capensis), affected by high food density patches
https://doi.org/10.1[...]
2004
[16]
서적
Aonyx capensis
[17]
간행물
[18]
논문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19]
논문
Aonyx capensis
http://www.science.s[...]
2001-06-05
[20]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