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세이 대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세이 대옥은 1858년, 막부의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가 서구 열강과의 통상 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세력과 쇼군 후계자 문제에 관련된 세력을 탄압한 사건이다. 배경으로는 막부의 권위 약화, 서구 열강의 압력 증대, 쇼군 계승 문제 등이 있었으며, 이이 나오스케는 칙허 없이 조약을 체결하고 반대 세력을 숙청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요시다 쇼인, 하시모토 사나이 등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처벌받았으며, 이이 나오스케는 1860년 사쿠라다몬 밖에서 암살당했다. 안세이 대옥은 막부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존왕양이 운동을 격화시켜 메이지 유신의 배경이 되었으며, 막부 멸망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이 나오스케 - 난키파
에도 막부 말기, 난키파는 쇼군 후계자 문제로 도쿠가와 요시토미를 지지하며 이이 나오스케를 중심으로 막부 요인들이 결집, 막부 독재 유지와 개국 노선을 추구한 정치 세력이다. - 이이 나오스케 - 사쿠라다문 밖의 변
사쿠라다문 밖의 변은 1860년 3월 24일 에도에서 미토 번 낭인 등이 이이 나오스케 다이로를 암살한 사건으로, 안세이 대옥, 개항 정책, 존왕양이 운동, 쇼군 후계자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막부 권위 실추와 막말 격동기의 서막을 알렸다. - 1858년 일본 - 미일 수호 통상 조약
미일 수호 통상 조약은 1858년 미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으로, 일본의 개항, 통상 허용, 치외법권, 관세 자주권 상실, 최혜국 대우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일본에 경제적, 정치적 영향을 미쳤다. - 1858년 일본 - 안세이 5개국 조약
안세이 5개국 조약은 1858년 에도 막부가 미국, 네덜란드, 러시아, 영국, 프랑스와 맺은 불평등한 수호 통상 조약으로, 일본 개항의 계기가 되었으나 막부의 권위 약화와 정치적 혼란을 초래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조약 개정의 과제가 되었다.
안세이 대옥 | |
---|---|
개요 | |
명칭 | 안세이 대옥 (安政の大獄) |
별칭 | 보오의 대옥 (戊午の大獄) |
시기 | 1858년 ~ 1860년 (안세이 5년 ~ 안세이 7년) |
장소 | 에도 (江戶) |
원인 |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에 대한 반대 세력 숙청 도쿠가와 요시토미 (후의 도쿠가와 이에모치) 쇼군 후계자 결정 과정에서의 반대파 제거 |
주도 인물 | 이이 나오스케 (井伊直弼) |
주요 대상 | 도쿠가와 나리아키 (徳川斉昭) 하시모토 사나이 (橋本左内) 요시다 쇼인 (吉田松陰) 아이자와 세이시사이 (会沢正志斎) 우메다 운빈 (梅田雲浜) 가와로이 다다아키 (河野顕三) 라이 산요 (頼三樹三郎) 야마자키 미노루 (山崎美成) 오자와 세이안 (小沢醒庵) |
결과 | 반대 세력 탄압 및 이이 나오스케의 권력 강화 이이 나오스케 암살 (사쿠라다 문 밖의 변) 존왕양이 운동 격화 및 막부 권위 실추 |
배경 | |
정치적 상황 | 에도 막부 말기, 외세의 압력 증가 개국과 존왕양이를 둘러싼 대립 심화 쇼군 후계자 문제로 인한 막부 내부 갈등 |
이이 나오스케의 등장 | 1858년, 이이 나오스케가 다이로 (大老)에 취임 쇼군 후계자 문제와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을 강행하며 반대 세력과 대립 |
주요 사건 | |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 | 1858년, 이이 나오스케가 쇼군의 칙허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 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세력 탄압의 빌미가 됨 |
쇼군 후계자 결정 | 이이 나오스케는 도쿠가와 요시토미를 쇼군 후계자로 결정 도쿠가와 나리아키를 지지하는 세력 탄압 |
대옥의 시작 | 1858년, 이이 나오스케가 반대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 시작 요시다 쇼인, 하시모토 사나이 등 유력 인사들을 체포 및 처형 |
주요 인물들의 처벌 | 도쿠가와 나리아키: 근신 처분 하시모토 사나이, 요시다 쇼인, 라이 산요 등: 사형 아이자와 세이시사이, 우메다 운빈 등: 유배 또는 투옥 |
결과 및 영향 | |
이이 나오스케 암살 | 1860년, 이이 나오스케가 사쿠라다 문 밖의 변에서 암살당함 대옥에 대한 반발 및 막부 권위 실추의 계기가 됨 |
존왕양이 운동의 격화 | 대옥으로 인해 존왕양이 운동이 더욱 격화됨 막부 타도 및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됨 |
막부의 몰락 가속화 | 대옥은 막부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몰락을 가속화시킴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됨 |
2. 배경
1858년 에도 막부의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는 천황의 칙허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고,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쇼군 후계자로 세우는 등 강경한 정책을 추진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에도 막부의 권위 약화와 서구 열강의 압력이라는 시대적 상황이 있었다.
형식상으로는 제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명령을 내려 처벌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다이로였던 이이 나오스케가 모두 명령했다.[1]
7월 5일 이에사다가 명령을 내렸던 것은 도쿠가와 요시카쓰, 마쓰다이라 요시나가, 도쿠가와 나리아키와 히토쓰바시 요시노부에 대해 은거, 근신명령 그리고 도쿠가와 요시아쓰는 등성 금지와 근신으로 대옥이 시작되는 초기의 잠깐이다. 안세이 대옥은 이이 나오스케가 바쿠후 파벌을 대표하여 명령했다. 그는 메이지 유신 이전 시대의 수석 대신이었으며, 존왕양이(손노 조이) 파벌에 반대하는 운동인 고부 갓타이의 일원이었다.[2]
8월에는, 사쓰마번과 협동하여 조정 공작을 하고 있던 미토번 및 조슈번에 대해 무오 밀칙이 내려졌고, 거의 같은 시기, 막부 측의 동조자였던 간파쿠 구조 나오타다가 사임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9월에 로주 마나베 아키카쓰, 교토 소사이다이 사카이 타다요시 등이 상경하여, 중심 인물로 지목된 우메다 운핀 외, 곤도 시게자에몬, 하시모토 사내 등을 체포한 것을 시작으로, 공가의 가신까지 체포하는 탄압이 시작되었다.
교토에서 체포된 지사들은 에도로 이송되어, 평정소 등에서 심리를 받은 후, 사형, 원도 등 혹형에 처해졌다. 막부에서도 가와지 마사요리나 이와세 타다시게 등의 비문벌의 개명파 막신이 근신 등의 처분을 받았다. 이때, 관전론을 물리치고 엄형에 처할 것을 결정한 것은 이이 나오스케라고 한다.[18][19]
1860년 3월 3일, 사쿠라다몬 외의 변에서 나오스케가 살해된 후, 탄압은 수습된다.
1862년 5월, 칙명을 받아 요시노부가 쇼군 후견직에, 마쓰다이라 하루타케(요시나가)가 정사총재직에 취임한다. 요시노부와 하루타케는, 나오스케가 행한 대옥은 매우 전단했다고 하여,
- 이이 가문에 대해 10만 석 삭감의 추벌[20][21]
- 탄압 조사를 한 자의 처벌[22]
- 대옥에서 유폐되었던 자의 석방
- 사쿠라다몬 외의 변・사카시타몬 외의 변에서의 존왕양이 운동의 조난자를 가즈노미야 친자 내친왕 강가(降嫁)의 축하로 대사
를 행했다.
막부에서는 히토쓰바시파가 부활하여, 분큐 개혁이 행해져, 쇼군 이에모치와 황녀 가즈노미야의 혼례가 성립하여 공무 합체 노선이 진행되었다.
안세이 대옥은, 막부의 규범 의식의 저하나 인재의 결여를 초래하여 여러 번의 막부에 대한 신뢰를 크게 저하시키는 결과가 되었고, 반막부파에 의한 존왕양이 활동을 격화시켜, 에도 막부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고도 말해진다.
2. 1. 에도 막부의 위기
19세기 중반, 에도 막부는 오랜 쇄국 정책을 유지해왔으나, 서구 열강의 개항 요구에 직면했다. 특히, 1853년 미국의 페리 제독이 이끄는 흑선이 내항하면서, 막부는 큰 위기에 봉착했다. 아편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한 소식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서구 열강에 대한 위기감을 고조시켰다.[3][4]에도 시대 후기 일본에는 외국 선박이 잇따라 내항했다. 청나라가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자, 일본 국내에서도 대외적 위기 의식이 높아져 막부에서는 해방 문제가 논의되었다. 로주(老中) 아베 마사히로는 막부 개혁을 실시하여, 흑선 내항 후 안세이 원년(1854년)에 미국과 미일 화친 조약을, 러시아 제국과 러일 화친 조약을 체결했다.
1853년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사망하고, 13대 쇼군으로 이에요시의 넷째 아들인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취임했지만, 병약하여 아들을 낳을 전망이 없어 쇼군 계승 문제가 일어났다.
2. 2. 존왕양이 운동의 대두
1858년 에도 막부의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는 천황의 허락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에 서명하고,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쇼군 후계자로 세우는 데 힘을 썼다. 이러한 정책에 반대하는 존왕양이 세력과 히토쓰바시 파 (다이묘, 구게, 지사) 100명 이상이 안세이 대옥으로 탄압받았다.[1]이 숙청은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와의 통상 조약에 반대하는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실시되었다.[3][4] 특히 존왕양이(손노 조이) 파벌에 반대하는 운동인 고부 갓타이의 일원이었던 이이 나오스케가 주도했다.[2]
에도 시대 후기, 외국 선박의 잦은 출몰과 청나라의 아편 전쟁 패배는 일본 내 위기감을 높였다. 흑선 내항 이후, 1854년 막부는 미국과 미일 화친 조약, 러시아 제국과 러일 화친 조약을 맺었다.
1853년 도쿠가와 이에요시 사망 후, 병약한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쇼군이 되자 후계자 문제가 불거졌다.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를 지지하는 히토쓰바시 파와 혈통을 중시하여 기슈번 번주 도쿠가와 요시토미(후의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미는 난키 파가 대립했다.
타운센드 해리스가 미일 수호 통상 조약 체결을 강요하자 막부는 다이묘들에게 의견을 물었고, 조약 체결은 불가피하나 조정의 칙허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고메이 천황은 양이론자였기에 칙허를 얻지 못했다.
1858년 이이 나오스케는 칙허 없이 조약을 체결하고 이에모치를 쇼군 후계자로 지명했다.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복귀하여 아들 도쿠가와 요시히로, 도쿠가와 요시카츠, 마쓰다이라 요시나가 등과 연합, 이이 나오스케를 추궁했으나, 오히려 이들이 안세이 대옥으로 처벌받았다.
사쓰마번 번주 시마즈 나리아키라는 막부에 대항하려 했으나 1858년 급사했고, 사쓰마번은 막부 지지 입장으로 선회했다. 1858년 무오 밀칙이 내려지고, 막부 동조자였던 간파쿠 구조 나오타다가 사임하면서, 같은 해 마나베 아키카쓰 등이 우메다 운핀 등을 체포하며 탄압이 본격화되었다.
2. 3. 쇼군 후계자 문제
1853년 흑선 내항으로 12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사망하고, 13대 쇼군으로 이에요시의 넷째 아들인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취임했지만, 병약하여 아들을 낳을 전망이 없어 쇼군 계승 문제가 일어났다.[7] 미토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일곱째 아들로 영명하다는 평판이 높은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지지하는 히토쓰바시파와, 혈통을 중시하여 현 쇼군과 혈통이 가까운 기슈번 번주 도쿠가와 요시토미(후의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미는 난키파로 분열하여 대립했다.[8]3. 전개
1858년 에도 막부의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와 로주 마나베 아키카쓰는 천황의 칙허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에 조인하고, 도쿠가와 막부 제14대 쇼군 후계자 분쟁에서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옹립하는 데 기여했다. 안세이 대옥은 이러한 정책에 반대한 존왕양이 세력과 히토쓰바시 파 다이묘, 구게, 지사들을 탄압한 사건으로, 연루된 인원은 100명 이상이었다.
안세이 대옥은 형식상으로는 제1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처벌 명령을 내린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가 주도했다. 1858년 7월 5일 이에사다가 도쿠가와 요시카쓰, 마쓰다이라 요시나가, 도쿠가와 나리아키, 히토쓰바시 요시노부에게 은거 및 근신 명령을, 도쿠가와 요시아쓰에게 등성 금지 및 근신 명령을 내린 것은 대옥 초기 잠깐이었다.
이후 안세이 대옥은 이이 나오스케가 바쿠후 파벌을 대표하여 존왕양이(손노 조이) 파벌에 반대하는 코부 갓타이 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1][2] 이 과정에서 일본은 혼란에 빠졌고, 조슈 번의 급진 세력과 희생자 동조자들을 중심으로 복수를 위한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했다.[7] 이이 나오스케 또한 1860년 미토 번 출신 사무라이와 낭인들에게 암살당했다.[9][10] 숙청되었던 히토쓰바시 케이키, 마쓰다이라 슈운가쿠 등은 다시 국가 정치에 등장했으며, 서양인에 대한 공격도 증가했다.[11]
3. 1. 이이 나오스케의 집권
1858년 이이 나오스케는 에도 막부의 다이로에 취임하여 막부의 실권을 장악했다.[1] 그는 천황의 허락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고,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제14대 쇼군으로 옹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이 나오스케는 바쿠후 파벌을 대표하여 자신의 정책에 반대하는 세력을 탄압했는데, 이것이 바로 안세이 대옥이다.[1] 그는 메이지 유신 이전 시대의 수석 대신으로서, 존왕양이(손노 조이) 파벌에 반대하는 코부 갓타이 운동의 일원이었다.[2]이이 나오스케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와의 통상 조약에 반대하는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투옥, 고문, 유배, 처형 등 강경한 수단을 동원했다.[3][4][5][6] 또한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후계 문제와 황실과 쇼군을 통합하려는 코부 갓타이 정책에 반대하는 인물들도 탄압 대상이었다.[7] 특히,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쇼군으로 임명하는 것에 반대한 히토쓰바시 케이키를 지지하는 손노 조이 세력이 주요 탄압 대상이었다.[8]
3. 2.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
1858년 에도 막부의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는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천황의 칙허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3][4] 이 조약은 일본에 불평등한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존왕양이를 주장하는 이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2]3. 3. 정치적 탄압
이이 나오스케는 바쿠후 파벌을 대표하여 미일수호통상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손노 조이(존왕양이)파와 쇼군 후계자 문제에서 자신과 대립했던 히토쓰바시 파를 대대적으로 탄압했다.[1][3][7] 이 탄압에는 투옥, 고문, 유배, 처형 등을 통해 모든 반대 세력을 제거하는 것이 포함되었다.[5][6]이 탄압으로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후계자로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임명하는 것에 반대하고, 히토쓰바시 케이키를 지지하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8]
4. 처벌 대상
안세이 대옥으로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처벌을 받았다.[12] 이들은 바쿠후(幕府) 내 직위, 번의 지도자 자리, 교토 황실에서 쫓겨났다.
처벌 대상은 다음과 같다.
- 사형
- * 요시다 쇼인
- * 하시모토 사나이
- 영구 가택 연금
- * 도쿠가와 나리아키
- * 나가이 나오유키
- * 구니 아사히코 친왕
- 가택 연금
- * 도쿠가와 요시노부
- * 도쿠가와 요시카쓰
- * 마쓰다이라 요시나가
- * 다테 무네나리
- * 야마우치 요도
- * 핫타 마사요시
- * 도쿠가와 요시아츠
- * 오타 스케모토
- * 마쓰다이라 타다카타
- * 이타쿠라 가쓰키요
- * 나카야마 노부타카
- * 구로카와 마사타카
- * 사사키 아키라츠
- * 아사노 나가토미
- * 다카스 데쓰지로
- * 오쿠보 타다히로
- * 이와세 타다나리
- 고후 근무소로 좌천
- * 나가이 나오무네
- * 히라야마 게이추
- * 키무라 카츠노리
- * 히라오카 엔시로
4. 1. 사형 및 옥사
4. 2. 은거 및 근신
히토쓰바시 요시노부(훗날의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히토쓰바시 가 당주로서, 도쿠가와 요시카쓰는 오와리번주, 마쓰다이라 슌가쿠는 후쿠이번주, 다테 무네나리는 우와지마번주로서 각각 가택 연금 처분을 받았다.[12]4. 3. 유배
安政の大獄일본어으로 인해 여러 존왕양이파 인사들이 섬이나 먼 지역으로 유배되었다.[12] 다음은 유배된 인사들의 명단이다.이름 | 설명 |
---|---|
아유카와 이다유(鮎澤伊太夫) | 미토번사 |
고바야시 요시스케(小林良典) | 다카쓰카사 가문 가신 |
가츠노 모리노스케(勝野森之助) | 하타모토 출신 |
지노네이 구마타로(茅根熊太郎) | 지노네이 요노스케의 아들 |
4. 4. 조정(구게) 관련자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12]이치조 다다카 - 내대신(内大臣)[12]
고노에 다다히로 - 좌대신(左大臣)[12]
다카쓰카사 스게히로 - 우대신(右大臣)[12]
다카쓰카사 마사미치 - 전 관백(関白)[12]
산조 사네쓰무 - 전 내대신(内大臣)[12]
니조 나리유키 - 권대납언(権大納言)[12]
마데노코시 나오후사 - 전 권대납언(権大納言)[12]
오기마치산조 사네나루 - 권대납언(権中納言)[12]
아리마 노리아키 - 참조정지(参朝停止)[12]
5. 결과 및 영향
안세이 대옥은 일본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숙청 이후 일본은 혼란에 빠졌고, 특히 조슈번의 급진 세력과 희생자 동조자들을 중심으로 복수를 원하는 세력들이 광범위한 테러를 감행했다.[7] 이이 나오스케는 미토번 출신 사무라이와 낭인 무리에게 암살당했다.[9][10] 숙청 희생자들은 히토쓰바시 케이키, 마쓰다이라 슈운가쿠 등과 같이 다시 국가 정치에 등장했으며,[11] 서양인에 대한 공격도 증가했다.[11]
안세이 대옥의 결과로 희생된 사람들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신분 | 기타 |
---|---|---|
요코야마 코잔 | 마쓰다이라 노부토코 가신 | |
칸노 켄스케 | 히메지번사 | |
오고 가쿠쿄 | 사바에번사 | |
린 모 | 사바에번사 | |
고미나미 고로 | 도사번사 | |
오야마 쓰나요시 | 사쓰마번사 | |
오쿠보 카나메 | 쓰치우라번사 | 유폐 중 병사 |
후나바시 와타리 | 세키야도번사 |
5. 1. 막부 권위 실추
이이 나오스케의 강경한 탄압은 막부의 권위를 크게 실추시켜, 많은 사람들이 막부에 등을 돌리고 반막부 운동에 가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7] 숙청 이후 일본은 혼란에 빠졌으며, 특히 조슈번의 급진 세력과 희생자 동조자들을 중심으로 복수를 원하는 세력들이 광범위한 테러를 감행했다.[7] 이이 나오스케 또한 미토번 출신의 사무라이와 낭인 무리에 의해 암살당했다.[9][10]안세이 대옥은 막부의 규범 의식 저하나 인재 부족을 초래하여 여러 번의 막부에 대한 신뢰를 크게 떨어뜨렸고, 반막부파에 의한 존왕양이 활동을 격화시켜 에도 막부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고도 평가된다.
5. 2. 존왕양이 운동 격화
1858년 에도 막부의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는 천황의 허가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에 서명하고,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쇼군 후계자로 세우는 데 반대하는 존왕양이 운동 세력을 탄압했다. 이 사건을 안세이 대옥이라고 한다.[1]안세이 대옥은 존왕양이 운동을 더욱 격화시켰다. 탄압에 대한 반발로 이이 나오스케는 1860년 사쿠라다 문 밖에서 암살당했다.[15] 숙청 이후 일본은 혼란에 빠졌고, 특히 조슈번의 급진 세력과 희생자 동조자들을 중심으로 복수를 원하는 세력들이 테러를 감행했다.[7] 미토번 출신 사무라이와 낭인 무리들이 이이 나오스케를 암살했으며,[9][10] 서양인에 대한 공격도 증가했다.[11]
5. 3. 메이지 유신의 배경
1858년 에도 막부의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는 천황의 허락 없이 미일수호통상조약에 서명하고,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제14대 쇼군으로 세우는 데 앞장섰다. 이러한 정책에 반대하는 이들을 탄압한 사건이 안세이 대옥이며, 이로 인해 100명이 넘는 존왕양이를 주장하는 이들과 히토쓰바시 파(一橋派일본어)의 다이묘, 구게, 지사들이 연루되었다.[1]안세이 대옥은 막부 권력을 대표하던 이이 나오스케가 주도했다.[1] 그는 메이지 유신 이전 시대의 최고위 관료였으며, '코부 갓타이'(공무합체) 운동의 일원이었다.[2] 이 숙청은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와의 통상 조약에 대한 반대를 억누르기 위해 시행되었다.[3][4] 투옥, 고문, 유배, 처형 등을 통해 모든 반대 세력을 제거했으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쇼군 계승과 황실 및 쇼군을 통합하려는 정책인 '코부 갓타이'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겨냥했다.[5][6][7]
이러한 탄압은 히토쓰바시 케이키 대신 이이 나오스케가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임명하는 것에 반대하는 '손노 조이' 세력을 포함했다.[8]
숙청 이후 일본은 혼란에 빠졌다. 특히 조슈의 급진 세력과 희생자 동조자들을 중심으로 복수를 원하는 세력들이 테러를 일으켰다.[7] 이이 나오스케는 미토 출신 사무라이와 낭인 무리에게 암살당했다.[9][10] 숙청 희생자들은 히토쓰바시 케이키, 마쓰다이라 슈운가쿠 등과 같이 다시 국가 정치에 등장했다.[11] 서양인에 대한 공격도 증가했다.[11]
안세이 대옥은 막부의 규범 의식을 약화시키고 인재 부족을 초래하여 여러 번의 막부에 대한 신뢰를 크게 떨어뜨렸다. 또한 반막부 세력의 존왕양이 운동을 격화시켜 에도 막부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5. 4. 한국에 미친 영향
안세이 대옥은 에도 시대 말기 일본에서 일어난 사건이지만, 이는 조선에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 내 정세 불안은 조선에 대한 외압으로 이어져, 결국 1876년 강화도 조약과 같은 불평등 조약 체결을 강요하는 배경이 되었다.6. 평가
안세이 대옥은 일본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되며,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등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조정 내 처분 대상자는 다음과 같다.[23]
대상자 | 직책 및 처분 내용 |
---|---|
존융 입도 친왕 | 청련원 문주, 은거・근신・영칩거 |
다카쓰카사 마사미치 | 전 관백, 은거・낙식・근신 |
고노에 타다히로 | 좌대신, 사관・낙식・근신 |
다카쓰카사 스케히로 | 우대신, 사관・낙식・근신 |
산조 사네토미 | 전 내대신, 은거・낙식・근신 |
이치조 타다카 | 내대신, 근신 10일 |
고노에 타다후사 | 권대납언, 문책 없음[24] |
니조 나리타카 | 권대납언, 근신 10일 |
쿠가 타케미치 | 의주・권대납언, 근신 5일 |
토쿠다이지 킨스미 | 의주・권대납언, 문책 없음[24] |
나카야마 타다요시 | 의주・권대납언, 문책 없음[24] |
우라마츠 야스미츠 | 의주・권중납언, 문책 없음[24] |
보조 토시카츠 | 의주・권중납언, 문책 없음[24] |
오기마치 산조 사네나리 | 의주 가세・권중납언, 근신 10일 |
히로하시 미츠나리 | 무가 전주・전 권대납언, 근신 5일 |
마데노코지 마사후사 | 전 권대납언, 근신 30일 |
히가시보조 아키나가 | 전 권대납언, 영칩거[25] |
오하라 시게토미 | 비참의, 자신 근신 |
6. 1. 긍정적 평가
이이 나오스케는 안세이 대옥을 통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국가를 안정시키려 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는 그의 결단력과 추진력을 높이 평가하는 데에서 비롯된다.[23]6. 2. 부정적 평가
대다수의 사람들은 안세이 대옥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이 나오스케의 강경한 탄압은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으며, 일본 사회의 분열을 심화시켰다는 것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안세이 대옥을 일본 군국주의의 뿌리 중 하나로 보고, 이러한 역사적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3]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1582–1941: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2]
서적
Japan's Modern History, 1857-1937: A New Political Narrative
Routledge
2014
[3]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4]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Japanese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5]
서적
Saigo Takamori - The Man Behind
Routledge
1995
[6]
서적
The Dawn That Never Comes: Shimazaki Toson and Japanese Nation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7]
서적
Japan at War: An Encyclopedia: An Encyclopedia
ABC-CLIO
2013
[8]
서적
Respect and Consideration
Radiance Press
2011
[9]
서적
Re-Viewing the Past: The Uses of History in the Cinema of Imperial Japan
Bloomsbury Publishing USA
[10]
서적
From Prejudice to Tolerance; a Study of the Japanese Image of the West 1826-1864
Sophia University
[11]
서적
Like No Other: Exceptionalism and Nativism in Early Modern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2]
서적
Japan: The Intellectual Foundations of Modern Japanese Poli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03-15
[13]
서적
A History of Japan, 1615–1867
[14]
서적
Drunk as a lord: samurai stories
[15]
서적
[16]
리다이렉트
[17]
웹사이트
[18]
서적
逸事史補
松平春嶽全集編集刊行会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서적
公家たちの幕末維新
中央公論新社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