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부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부영은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했다. 1974년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언론 자유를 위해 활동하다 해직되었고, 이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1990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을 거쳐 활동했다. 2007년 뇌물 수수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2015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당산초등학교 동문 - 서채현
    서채현은 5세에 클라이밍을 시작하여 IFSC 클라이밍 월드컵 리드 종목 우승, 올림픽 및 아시안 게임 메달 획득, 그리고 고난도 루트 레드포인트 등반에 성공한 대한민국의 스포츠 클라이머이다.
  • 서울당산초등학교 동문 - 이준서 (쇼트트랙 선수)
    쇼트트랙 선수 이준서는 2022년 《황금어장 라디오스타》와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하여 방송 활동을 했다.
  • 새정치국민연합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새정치국민연합 - 김용환 (1932년)
    김용환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제13대부터 제16대까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종로구 출신 - 박근령
    박근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 육영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고, 202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 종로구 출신 - 나웅배
    나웅배는 롯데제과, 해태제과, 한국타이어 사장 등을 지낸 기업인 출신으로, 제11대부터 14대 국회의원과 경제기획원 장관, 통일원 장관, 재정경제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이부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부영
출생일1942년 9월 26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성부 종로방 내수정
국적대한민국
본관전주
종교천주교(세례명: 이사도르)
군복무육군병장 만기전역
정당무소속
지역구서울 강동구 갑(14·15·16)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4·15·16
웹사이트buyounglee@naver.com 공식 사이트
학력
학교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경력
주요 경력동아일보 기자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상임위원
민중민주운동협의회 공동대표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사무처장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상임의장
제14·15·16대 국회의원
민주당 최고위원
통합민주당 최고위원 및 부총재
한나라당 원내총무
한나라당 부총재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
열린우리당 의장
열린정책연구원 이사장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몽양 여운형 기념사업회 회장
장준하 선생기념사업회 명예회장
수목장실천회 공동대표

2. 생애

李富榮|이부영중국어은 1942년 9월 26일 서울 종로구 내수동에서 태어나, 1968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아일보에 기자로 입사했다. 1974년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10월 유신에 맞서 자유언론실천선언문을 발표하였다가 이듬해 해직되었고, 긴급조치 국가보안법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징역 9년을 선고받았다.[1]

1984년 민중민주운동협의회 공동대표, 1985년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상임위원장과 사무처장을 지내며 재야인사로 활약했다. 1986년 5·3 인천 사태 주도 혐의로 체포되어 2년, 1988년 광주학살진상규명 투쟁위원회를 조직하여 전두환 구속 수사를 요구하다 다시 검거되어 복역했다.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상임의장이 되었으나 문익환 방북 건으로 체포되어 복역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한 이기택, 노무현 등이 창당한 민주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제14대 총선에서 서울 강동구 갑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4년 김일성 사망 당시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북한 조문단 파견 의사를 질의하여 보수 세력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1995년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 창당에도 민주당에 잔류했다. 제15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하고, 1997년 민주당과 신한국당의 합당으로 한나라당이 창당되자 합류했다.

제16대 대선에서 이회창을 지원했으나, 한나라당 내 개혁 성향 의원들의 입지가 좁아지면서 2003년 탈당하고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했다. 2004년 제17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신기남의 사임으로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승계했으나, 국가보안법 등 4대 개혁입법 처리 실패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2007년 JU그룹으로부터 2억을 받은 혐의로 징역 2년과 추징금 2억 1070만 원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었다.[1] 이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으로 위촉되었으나 2015년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2]

2. 1. 초기 생애 및 언론 활동 (1942~1974)

李富榮|이부영중국어은 1942년 9월 26일 서울 종로구 내수동에서 태어났다. 1968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에 기자로 입사했다. 1974년, 33세의 나이에 동료 기자들과 함께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10월 유신에 맞서 언론자유를 수호하자는 자유언론실천선언문을 발표하였다가[1] 이듬해 해직되었고, 긴급조치 국가보안법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징역 9년을 선고받았다.[1]

2. 2. 민주화 운동 투신과 투옥 (1975~1990)

1974년, 33세의 나이로 동료 기자들과 함께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10월 유신에 맞서 언론자유를 수호하자는 자유언론실천선언문을 발표하였다가 이듬해 해직되었고, 긴급조치 국가보안법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징역 9년을 선고받았다.[1] 1984년에는 민중민주운동협의회 공동대표, 1985년에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상임위원장과 사무처장을 지내며 대표적인 재야인사로 활약하였으며, 1986년에 5·3 인천 사태 주도 혐의로 체포되어 2년을 복역하였다.

1988년에 광주학살진상규명 투쟁위원회를 조직하여 전두환의 구속 수사를 요구하다 다시 검거되어 복역하였고, 1989년에 김근태, 이재오, 장기표 등과 함께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을 조직하여 상임의장이 되었으나 문익환이 방북한 건으로 인해 다시 체포되어 복역하였다.

2. 3. 정치 입문과 의정 활동 (1990~2004)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한 이기택, 노무현 등이 창당한 민주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민주당 공천으로 서울 강동구 갑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하자,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북한에 조문단을 보낼 의사가 없느냐고 질의하여 보수 세력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1995년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 창당으로 다수의 소속 의원들이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할 때 끝까지 민주당에 잔류하였다. 이듬해 실시된 제15대 총선에 출마하여 통합민주당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1997년 11월 민주당과 신한국당의 합당으로 한나라당이 창당되자 합류했다. 이후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뒤로는 김대중에 대해 강도가 높은 비판을 쏟아내는 등의 대여 강경 행보로 한나라당의 원내총무와 부총재를 지내면서 당내 여러 직책을 거쳤다.

그러나 특유의 개혁성향과 이러한 소신에 따라 김대중 대통령의 6.15 남북공동선언을 지지하는 등 대북 정책 등에 대해서는 이회창을 비롯한 다른 지도부와 의견이 불일치하였으며, 간혹 한나라당 내의 보수 성향 의원들이 정부 여당을 상대로 색깔론을 제기할 때는 이에 대해 명확하게 반대 의견을 표출해 당내 불만을 유발하기도 했다.

제16대 대선에서는 이회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으나, 대선 이후 점차 한나라당 내에서 개혁 성향 의원들의 입지가 좁아지면서 2003년 7월에 같은 당 소속인 이우재, 김부겸, 안영근, 김영춘과 한나라당을 탈당하였고 그해 10월 열린우리당의 창당에 참여하였다.

2004년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제17대 총선에 출마하였는데 여론조사에서 앞섰음에도 불구하고 강동구청장 출신이자 자신의 정치 후배였던 한나라당의 김충환 후보에게 낙마하였다. 그 해 신기남이 부친의 친일 의혹으로 사임한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승계하였으나, 국가보안법 등 4대 개혁입법을 처리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2. 4. 열린우리당 활동과 낙선, 그리고 정계 은퇴 (2004~2015)

2003년 7월, 이부영은 한나라당 내 개혁 성향 의원들의 입지가 좁아지자 이우재, 김부겸, 안영근, 김영춘과 함께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그해 10월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하였다.[1]

2004년 제17대 총선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여론조사에서 앞섰음에도 불구하고 강동구청장 출신이자 자신의 정치 후배였던 한나라당 김충환 후보에게 낙선하였다.[1] 그 해 신기남이 부친의 친일 의혹으로 사임한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승계하였으나, 국가보안법 등 4대 개혁입법을 처리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1]

2007년 12월 6일, JU그룹으로부터 2억 원을 받은 혐의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과 추징금 2억 1070만 원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었다.[1] 이후 민주통합당의 상임고문으로 위촉되었으나 2015년 2월 11일에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2]

3. 범죄전력

이부영은 국가보안법 위반, 한화JU그룹으로부터 뇌물 수수,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위반 등 여러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6][3][5][4]

3. 1. 국가보안법 위반 등

1976년 8월 대법원에서 긴급조치 9호 및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 6월, 자격정지 2년 6월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1977년 12월 27일 그 형 집행을 종료하였다.[6]

3. 2. 한화 5000만 원 수수

이부영은 2002년 8월경 비서관 장모 씨를 통해 한화 측으로부터 1천만 원짜리 채권 5장(5000만)을 받았다.[3]

3. 3. 선거법 위반

2004년 2월 말 이부영은 자신의 지역구인 서울특별시 강동구 주민 7만 2천여 세대에 배포한 '2004년도 의정보고서'에 당시 상대 후보에 대한 허위사실을 게재하여 배포하였다. 2005년 7월 19일 서울고등법원 형사10부는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위반 죄로 이부영에게 800000KRW을 선고하였다.[4]

3. 4. JU그룹 뇌물 수수

이부영은 2005년 9월 주수도 JU그룹 회장으로부터 서해유전 탐사권 허가 연장, 방문판매법 개정, 주 회장 사면 등을 청탁받고, 그 대가로 자신이 회장으로 있었던 장준하기념사업회에 JU측이 5.2억을 지원하도록 하고, 3차례에 걸쳐 차명계좌로 2.1억을 받았다.[5]

4. 재심 무죄 사건

이부영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사망 이후 내려진 계엄포고 제1호를 위반한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받았으나,[6]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1979년 10월 27일,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했고, 정승화 계엄사령관은 국가 안전과 공공질서 유지를 명목으로 옥내외 집회 허가 및 시위 등 단체활동을 금지하는 계엄포고 제1호를 발령했다.[6]

이부영은 1979년 11월 13일 윤보선의 집에서 긴급조치 및 계엄령 철폐, 언론자유보장, 정치범 석방 등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가졌다가 체포되어, 1979년 12월 5일 수도경비사령부 계엄보통군법회의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6] 이후 항소 및 상고하였으나, 1980년 3월 6일 육군계엄고등군법회의와 1980년 6월 10일 대법원에서 모두 기각되었다.[6]

2021년 3월 18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재심개시결정을 하였고,[6] 2021년 8월 27일 재심 판결에서 이부영의 포고령위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였다.[6]

4. 1. 포고령 위반 무죄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총격 사건으로 사망하자, 1979년 10월 27일 대통령 권한대행 최규하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을 선포하였고, 정승화 계엄사령관은 계엄포고 제1호를 발령하였다.[6] 계엄포고 제1호는 국가 안전과 공공질서 유지를 명목으로 옥내외 집회 허가 및 시위 등의 단체활동을 금지하였다.[6]

이부영은 당시 ○○○○○○○○○○위원회 상임위원으로서, 1979년 11월 13일 서울 ○○구 ○○동 △ 소재 윤보선의 집 응접실에서 여러 단체 회원 및 국내외 기자들과 함께 긴급조치 및 계엄령 철폐, 언론자유보장, 정치범 석방 등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는 허가 없이 옥내외 집회를 개최한 것으로, 계엄포고 제1항 위반에 해당되었다.[6]

1979년 12월 5일 수도경비사령부 계엄보통군법회의는 이부영에게 징역 3년을 선고하였고,[6] 1980년 3월 6일 육군계엄고등군법회의와 1980년 6월 10일 대법원은 이부영의 항소 및 상고를 모두 기각했다.[6]

2021년 3월 18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재심개시결정을 하였고,[6] 2021년 8월 27일 재심 판결에서 이부영의 포고령위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였다.[6]

5. 학력

6. 출연 작품

이부영은 1994년 한길사의 '한국사' 광고에 출연하였다. 드라마와 영화에도 출연하였는데,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 2017년 영화 《1987》에서 이부영을 연기했다.

6. 1. 광고

이부영은 1994년 한길사의 '한국사' 광고에 출연하였다.

6. 2. 드라마/영화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92년총선민주당49,646표 (38.51%)1위당선초선
1996년총선민주당42,872표 (39.90%)1위당선재선
2000년총선한나라당52,147표 (52.51%)1위당선3선
2004년총선열린우리당50,693표 (43.37%)2위낙선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강동구 갑
2012년총선민주통합당57,909표 (47.46%)2위낙선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강동구 갑


참조

[1] 뉴스 제이유 돈 받은 이부영 전 의원 법정구속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7-12-06
[2] 뉴스 이부영 정계은퇴 선언…"멍에 내려놓고 떠난다"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3] 웹사이트 http://legacy.www.ha[...]
[4] 뉴스인용 이부영 전 의장 항소심 벌금 80만원 https://www.hani.co.[...] 한겨레 2005-07-19
[5] 웹사이트 https://m.lawtimes.c[...]
[6] 보고서인용 2020재고합11 https://www.moj.go.k[...] 법무부 2021-08-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