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용익은 1854년 함경도 명천군에서 태어나 고종 시기 관료로 활동하며 대한제국 수립에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와 고종을 도운 인연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탁지부 대신, 육군피복위원장 등 요직을 역임했다. 친러파로 활동하며 일본의 침략을 견제하려 했으며, 을사늑약 이후 고종의 밀명을 받아 구국 활동을 펼치다 1907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사망했다. 사후 '충숙'의 시호가 내려졌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애국자로 평가받았으나, 친러 행적과 부패 의혹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용익 - 고려대학교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에서 시작된 고려대학교는 민족 자주성을 바탕으로 국제화를 추구하며 서울과 세종에 캠퍼스를 둔,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자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이용익 - 이용익 (드라마)
이영후가 이용익 역을, 정욱이 고종 역을, 이미숙이 명성황후 역을, 남성훈이 민영익 역을 맡아 열연한 드라마 이용익은, 김희갑이 함경도 사투리를 지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별 생방송이나 스포츠 중계로 인해 편성 시간이 변경되기도 했다. - 명천군 출신 - 허헌
허헌은 일제강점기 변호사이자 독립운동가로서 3·1 운동 관련자 변호와 신간회 활동을 했고, 해방 후에는 건준위 부위원장, 민전 공동의장 등을 지내며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월북 후 김일성종합대학 총장 등을 지냈다. - 명천군 출신 - 태종수
태종수는 일제강점기에 출생하여 만경대혁명학원과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총리, 당 재정계획부장, 당 중앙위원회 비서 등을 역임했으며, 김정은 집권 하에 권력으로 복귀한 기술관료로 평가받는다. - 조선의 상인 - 이승훈 (1864년)
이승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업인으로,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신민회 활동, 3·1 운동 참여 등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 조선의 상인 - 조만식
조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주의 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로, 간디의 비폭력 저항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실력 양성 운동에 참여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이용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이용익 |
한자 | 李容翊 |
로마자 표기 | I Yong-ik |
아호 | 석 |
자 | 공필 |
시호 | 충숙 |
출생 | 1854년 |
출생지 | 조선 함경도 명천군 |
사망 | 1907년 |
사망지 | 러시아 제국 블라디보스토크 |
복무 기간 | 1901–1907 |
최종 계급 | 육군 중장 |
주요 경력 | |
주요 직위 | 내장원경 탁지부 대신 군부 대신 화폐 담당 대신 |
전임 군부 대신 | 민영철 |
후임 군부 대신 | 윤웅렬 |
전임 화폐 담당 대신 | 심상훈 |
후임 화폐 담당 대신 | 박정양 |
기타 | |
고려대학교 설립 관련 | "고려대 설립자는 김성수가 아닌 이용익" http://www.ku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5511 |
2. 생애
임오군란 이후, 이용익은 고종의 신임을 얻어 왕실 재정 관리자로 성장했다. 그러나 1888년 북청 민란을 일으킨 혐의로 전라남도로 유배되었다. 1896년 고종의 러시아 공사관 망명 이후, 고종의 총애를 받으며 급속히 권력을 얻었으나, 기존 관료들의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
대한제국 시기, 이용익은 농상공부 부대신, 헌병사령관, 군부대신 등 요직을 맡으며 중요한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전환국을 통해 왕실 재산을 늘리려 했으나, 독립협회는 이를 비판했다.[9] 이용익은 차관을 통한 경제 개혁을 추진했고, 고종의 지원 아래 열강과의 차관 회의를 주도했다. 1899년 하야시 곤스케에게 차관을 요청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과 차관 교섭을 벌였다. 1901년 미쓰이 물산에서 인삼을 담보로 차관을 얻는 데 성공했다.[4] 1902년 농상공부 대신으로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기도 했다.[10]
러일 전쟁 발발 직전, 이용익은 고종에게 한국 중립 유지를 설득했다.[4] 그러나 전쟁 발발 직후 일본에 납치되었고, 1904년 한일 의정서가 체결되었다.[11]
2. 1. 생애 초반
이용익은 1854년 1월 6일 함경도 명천에서 고산현감을 지낸 이병효(李秉斅)의 아들로 태어났다.[2] 그의 집안은 왕실과는 먼 방계였고, 조상들은 대부분 무과 출신으로 양반 신분이었지만 가세는 한미했다. 5세부터 14세 무렵까지 서당에서 공부했고,[2] 15세 이후 성리학자 초병덕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그러나 가난으로 과거 시험을 볼 수 없었던 그는 20세 때 고향을 떠나 보부상, 물장수 등으로 각지를 떠돌다가 우연히 투자한 금광에서 많은 금맥을 발견하여 부를 쌓았다.[4]2. 2. 관료 생활과 임오군란
1882년 임오군란 때 충주 장호원에서 피신한 명성황후와 고종의 연락을 도왔다. 이때 민영익의 천거로 감역에 발탁되었다. 임오군란으로 위기를 넘긴 고종의 신임을 얻어 단천부사로 승진했다.[4]1885년 북청부사, 1887년 영흥부사로 부임했다가 함경남도 병마절도사에 올랐다. 단천부사와 영흥부사로 재직 중 단천 및 영흥에서 사금을 채굴하여 고종에게 진상해 왕의 신임을 크게 얻었다. 그러나 지방관 재직 중 1888년 불법적인 수탈로 북청 민란의 원인을 제공했다. 그 해 민란이 일어나자 함경남도 병마절도사에서 파면되고 지도(智島)로 유배되었다.[29]
그러나 곧 석방되어 복직, 함경남도 병마절도사를 거쳐 강계부사로 임명되었다. 1894년까지 다시 함경남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896년 평안북도 관찰사로 부임했으나[30] 민란이 일어나 다시 유배되었다. 1897년 3월, 중추원 1등 의관에 임명되었으나,[31] 6월 이윤용을 모함하여 사형에 처하게 하려 한 죄로 10년 유배형을 당했다.[32]
2. 3. 대한제국 시기 활동
1897년 11월 6일, 이용익은 탁지부 전환국장에 임명되었다.[35] 1898년 5월에는 철도사 감독이 되었고,[36] 1899년 내장원경,[38] 1900년 9월 경부협판,[39] 11월 탁지부협판,[40] 1901년 10월 육군피복위원장[42]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1901년 지계아문총재관(地契衙門總裁官)이 되어 각지의 토지 소유 현황을 조사하고 토지대장을 만들어 소유자에게 지계(토지 소유권 승인증서)를 발급하는 등 토지 조사 및 지계 등록 사업을 주도하였다. 1902년 탁지부 대신으로 이준, 민영환, 이상재 등과 개혁당을 조직하고 친러파 지도자로서 일본 제국의 침투를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1903년 러시아가 압록강 하구 용암포의 조차권을 요구하자, 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 제국을 견제하고자 정부에 승인을 적극적으로 건의하였다.[43] 그러나 내장원경 시절 화폐 남발, 광산 채굴권, 인삼 전매 사업 등을 잘못 감독하여 독립협회로부터 비난받았다.
1903년 러일전쟁 직전, 이용익은 친러파로서 일본의 침략 행위에 맞서 싸웠다.[43] 그는 금괴 주조 사업에도 참여했으나, 윤치호 등 독립협회 인사들은 백성들의 고통을 가중시킨다며 비판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열강의 침략에 조국이 휘말릴 것을 우려하여 대한제국의 중립을 선언하도록 주도하였다. 그러나 전쟁 중 일본 천황의 지시로 일본에 압송되어 회유를 받았으나 모두 거절하였다. 일본에서 개화 문물을 접하고 귀국 시 도서와 인쇄기를 구입하였다.[44]
2. 4. 러일전쟁과 망명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열강의 침략에 조국이 휘말릴 것을 우려한 이용익은 고종에게 조선의 엄정 중립을 선언하도록 하였다. 이때 이용익이 주도한 선언이 '대한제국 중립선언'이다. 그 결과, 전쟁 중 일제 천황의 직접 지시에 의해 일본으로 압송되어 온갖 회유 정책을 받았으나 모두 거절하였다.[44] 일본에 납치되어 있을 때, 일본의 개화 문물을 접하고 다수의 도서와 인쇄기를 구입하여 귀국하였다.[44]1905년 5월 5일 고려대학교의 전신 보성전문학교를 세웠고, 이후 보성학교를 소학·중학·전문학교의 과정으로 체계화하며 교육 사업에 힘썼다.
2. 5. 을사늑약 이후와 최후
1905년 을사늑약에 반대하다가 일본 헌병대에 연금되었다.[44] 을사늑약 체결 이후, 고종의 밀명을 받고 프랑스로 향하던 중 중국 산둥성 옌타이 항에서 일본 관헌에게 발각되어 모든 공직에서 파면되었다.[44] 그 후 해외를 유랑하며 구국운동을 전개하다가 1907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객사하였다. 일설에는 페테르부르크에서 김현토에게 암살당했다고도 한다. 사망 당시 고종에게 유소(遺疏)를 남겼는데, 그 유소에서 인재 양성과 국권 회복을 강조하였다.[44]3. 사후
그의 부음 소식이 국내에 전해지자 일본의 영향력을 내심 경계하던 황실에 의해 '충숙(忠肅)'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21] 사후 그는 일본의 세력이 강대해지면서 애국자의 전형으로 추모되었으나, 친러파라는 점과 부패 문제 등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윤치호는 이용익을 이지용이나 민영철 등과 함께 "악당"이라고 비판했다.[28]
4. 평가
일제강점기에는 친일파와 대립한 점 때문에 애국자로 널리 평가되었다. 1982년 9월에는 문화방송에서 그의 일대기를 다룬 드라마 《이용익》이 방영되기도 했다.[44] 청렴하고 이재에 밝은 정치가로 고종의 신임을 받았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그러나 친러파로서의 행적과 부패 의혹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개화파 정치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윤치호는 그를 '악당'으로 비난하며 러일전쟁의 원인 제공자 중 한 명으로 지목했다.[46][47]
1963년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었으나, 그의 공적에 비해 훈장의 지위가 부족하다는 평가와 함께 재평가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한다.[49][50] 이는 군사정권의 반공주의 노선으로 인해 친러 행적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는 주장에 기반한다.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이수춘[51] | |
조부 | 이광집(李光集, 1783-1854) | 이광휘(李光輝)라고도 불림 |
부친 | 이병효(李秉斅, 1817-1875) | 자는 학신(學新) |
아들 | 미상 | |
손자 | 이종호(李鍾浩, 1885-1932) | 독립운동가, 보성학교 2대 교주 |
6. 기타
이용익은 친러 성향으로, 이동휘가 러시아에 우호적인 입장을 갖도록 영향을 주었다.[52] 그는 걸음이 매우 빨라 12시간 안에 약 200km를 걸을 수 있었다고 한다.[22]
참조
[1]
웹사이트
고려대 설립자는 김성수 아닌 이용익
http://www.kunews.ac[...]
2022-01-29
[2]
웹사이트
이용익(李容翊)
https://encykorea.ak[...]
2022-01-29
[3]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학신(李學新) 인물 정보]
http://people.aks.ac[...]
2022-01-29
[4]
웹사이트
이용익
https://terms.naver.[...]
2022-01-29
[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29
[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29
[7]
웹사이트
從二品李容翊이가監理西北諸府金礦事務을被命홈
https://db.history.g[...]
조선·대한제국 관보
2022-08-07
[8]
웹사이트
이용익[李容翊]: 보부상 출신에서 대한제국의 실세로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2023-03-26
[9]
웹사이트
1) 광무정권과 궁내부
https://db.history.g[...]
신편한국사
[10]
서적
조선왕조실록을 보다 3
리베르 스쿨
[11]
웹사이트
이용익[李容翊] 보부상 출신에서 대한제국의 실세로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12]
웹사이트
III. 전쟁의 전개와 강화
https://db.history.g[...]
국사관논총
[13]
웹사이트
이용익
https://terms.naver.[...]
2022-01-29
[14]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2-01-29
[1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29
[16]
웹사이트
이용익의 '사라진 백만원 예금'
https://shindonga.do[...]
2023-01-24
[17]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29
[18]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29
[19]
웹사이트
1) 밀사파견 외교의 전개
https://db.history.g[...]
신편한국사
[20]
웹사이트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4-22
[2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2-01-29
[22]
웹사이트
[유창영의 역사산책] 조선시대 마라토너 :: 대전일보 모바일
http://m.daejonilbo.[...]
2022-01-29
[23]
웹사이트
이용익의 예금 33만원은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https://www.tvreport[...]
2022-01-29
[24]
웹사이트
李容翊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2022-08-31
[25]
웹사이트
高麗大学校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2022-08-31
[26]
웹사이트
李容翊
2020-07-09
[27]
논문
(제목 없음)
2009
[28]
논문
(제목 없음)
2009
[29]
웹인용
이용익
https://terms.naver.[...]
2022-07-09
[30]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31]
웹인용
승정원일기
https://db.itkc.or.k[...]
승정원
2022-07-09
[32]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33]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34]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35]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36]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37]
웹인용
자료일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2-07-09
[38]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39]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40]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41]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42]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43]
서적
조선 견문록
도서출판 이숲
2008
[44]
웹사이트
이용익
http://encykorea.aks[...]
[45]
웹인용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
2022-07-09
[46]
서적
윤치호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47]
서적
윤치호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48]
서적
윤치호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49]
서적
(고종황제의 충신) 이용익의 재평가
해남 출판사
2002
[50]
뉴스
고려대 설립자 이용익 선생 재평가돼야
http://www.ohmynews.[...]
[51]
문서
사후 사복시정에 추증되었다.
[52]
서적
이동휘와 기독교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일의정서로 대한제국의 ‘멱통’을 움켜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