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종찬 (193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찬은 1936년 중국 상하이에서 출생한 독립운동가 이규학의 아들이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중앙정보부에서 근무했으며, 제11대부터 제14대까지 국회의원을 지냈다. 민주정의당 사무총장과 정무 제1장관을 역임하고, 민주자유당에 참여하여 199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국가안전기획부 부장과 국가정보원 초대 원장을 지냈으며, 2023년 광복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회영 가 - 이종걸
    이종걸은 독립운동가 이회영의 손자이자 변호사, 5선 국회의원 경력의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로서 활동하며 여성인권운동에 기여했고 서민 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입법 활동을 펼쳤으나, 당내 갈등 및 발언 논란을 겪기도 했다.
  • 중앙정보학교 동문 - 박종규 (1944년)
    박종규(1944년)는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여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고 김오랑 소령을 살해했으며,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사면 후 유족에게 사죄하고 2010년 식도암으로 사망했다.
  • 청죽회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청죽회 - 강재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 육군 대령 출신인 강재륜은 예편 후 최경록 대사의 보좌관, 대학교수, 그리고 육군사관학교 총동창회 회장 선거 출마 이력을 가지고 있다.
이종찬 (193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이름이종찬
한자 이름李鍾贊
일본어 가나이・존찬
로마자 표기I Jong-chan
출생 정보
출생일1936년 4월 29일
출생지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 프랑스 조계
국적대한민국
가족 관계
배우자윤장순
자녀아들 이철우(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아버지이규학
어머니조계진
친조부이회영
큰할아버지이석영
작은할아버지이시영
작은아버지이규창
외조부조정구
외가 외증조부흥선대원군
사촌 남동생이종걸
학력
학력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종교
종교개신교(장로회)
군 복무 정보
군 복무대한민국 육군 별하나 준장 예편
복무 기간1960년 2월~1980년
계급대한민국 육군 준장
정치 경력
정당무소속
직책정무 제1장관
임기1988년 5월 3일~1988년 12월 5일
대통령노태우
총리이현재
국회의원제11·12대 국회의원(서울 종로구·중구)
제13·14대 국회의원(서울 종로구)
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 원장
정당 고문새천년민주당 고문(2001년)
열린우리당 고문(2006년)
더불어민주당 고문(2017년)
광복회장제23대 광복회장
기타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이종찬
국가안전기획부장 및 국가정보원장제22대 국가안전기획부장(1998. 2.~1999. 1.), 초대 국가정보원장(1999. 1.~1999. 5.)

2. 생애

1936년 4월 29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독립운동가 이규학과 조계진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1945년 광복 후 1946년 5월 가족과 함께 조선으로 귀국하여 서울 종로구에 거주하였다. 1956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16기로 입학, 1960년 졸업하였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기관 요원으로 근무하였고, 민정 이양 후 중앙정보부 채용 시험에 합격하여 해외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1971년 소령으로 예비역에 편입된 후 주영 한국대사관 참사관으로 3년간 근무하였다. 이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정보부 총무국장, 기획조정실장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11]

1960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16기로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961년 유원식 대령의 보좌관이 되었다. 1962년 육군사관학교 교육장교로 부임하였다. 군 복무 중 1963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미국 육군특수전학교에서 심리전 과정을 수료하였다. 1965년 육군 대위로 재직 중 중앙정보부 1기 공채에 합격하였다. 중앙정보부 대공지도계장, 강창성 보안차장보의 보좌관을 거쳐 1971년 중앙정보부 직원 신분으로 육군 예비역 소령으로 예편하였다.[16] 1973년영국대사관 참사관을 지냈다.

1980년 5월 17일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하였다.

2. 1. 생애 초반

1936년 4월 29일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나, 1945년 광복 후 1946년 5월 가족과 함께 조선으로 귀국하여 서울 종로구에 거주하였다. 1956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사관학교 16기로 입학, 졸업하였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기관 요원으로 근무하였고, 민정 이양 후 중앙정보부 채용 시험에 합격하여 해외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1971년 소령으로 예비역에 편입된 후 주영 한국대사관 참사관으로 3년간 근무하였다. 이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정보부 총무국장, 기획조정실장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11]

2. 1. 1. 출생과 가계

1936년 중국 상하이에서 독립운동가 이규학과 조계진의 넷째 아들[11]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우당 이회영이고, 종조부는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이었다. 사촌 동생으로 이종걸이 있었다. 소론 이항복 가문의 후손으로, 직계 선조 중에는 영조소론의 거두였던 이광좌, 이태좌 등이 있었다.

외가는 흥선대원군의 외손이었다. 어머니 조계진은 조정구의 딸이었다. 고종과 흥친왕은 어머니 조계진의 외삼촌들이었고, 순종, 이준용, 의친왕, 완친왕, 영친왕은 외사촌들이었다.

어머니 조계진, 누나와 함께 (가운데 선 소년이 이종찬)

2. 1. 2. 유년 시절과 교육

1936년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상하이 협진 소학교(協進小學敎)를 다녔다. 아버지 이규학은 고문으로 인한 청각 상실로 평생 어렵게 살았다.[14] 이종찬은 이러한 어려움을 이겨내고 자신을 다시 일으켜 세웠다.[14] 1945년 11월 3일 임시정부 요인 환국 때 제1진의 한 사람으로 종조부 이시영, 임정 주석 김구, 부주석 김규식 등과 함께 귀국하였다. 귀국 당시 김구를 비롯한 독립투사들과 나란히 사진을 찍은 소년은 당시 10세였던 이종찬이었다.[14]

그러나 다시 상하이로 되돌아갔다가 1946년에 다시 귀국하였다. 상하이 협진 소학교 3학년을 다니다가 귀국한 그는 1년을 쉬고 동대문에 있는 창신 국민학교 3학년에 편입, 여기서 훗날 부인이 되는 윤장순을 만났다.[15] 1951년 창신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 입학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경기중학교에 입학하였다.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1956년 육군사관학교로 진학하였다. 여담으로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과 중,고등학교 동창이었으며 서로가 교내에서 주먹으로 유명했다고 전해진다.

2. 2. 군 복무와 중앙정보부 근무

1960년 2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16기로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961년 유원식 대령의 보좌관이 되었다. 1962년 9월 육군사관학교 교육장교로 부임하였다. 군 복무 중 1963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미국 육군특수전학교에서 심리전 과정을 수료하였다. 1965년 육군 대위로 재직 중 중앙정보부 1기 공채에 합격하였다. 중앙정보부 대공지도계장, 강창성 보안차장보의 보좌관을 거쳐 1971년 중앙정보부 직원 신분으로 육군 예비역 소령으로 예편하였다.[16] 1973년 주영국대사관 참사관을 지냈다.

중앙정보부 총무과장, 1국 부국장, 총무국장을 거쳐 1980년 5월 17일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하였다.

3. 정치 활동

1960년 2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16기로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유원식 대령의 보좌관을 거쳐 1962년 육군사관학교 교육장교로 부임하였다. 군 복무 중 1963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석사 학위를 받고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지냈다. 그는 군부 내에서 하나회에 가입하지 않은 몇 안 되는 군인이었다.

1964년 대한민국 육군고급부관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고 미국 육군특수전학교 심리전 과정에 합격하여 미국에서 특수전 과정을 마쳤다. 1965년 육군 대위로 재직 중 정보장교가 되어 중앙정보부로 발령되었다가 그해 중앙정보부 1기 공채에 합격하였다. 중앙정보부 대공지도계장, 강창성 보안차장보의 보좌관을 거쳐 1971년 중앙정보부 직원 신분으로 육군 예비역 소령으로 예편하였다. 1971년 중앙정보부 보안차장보 보좌관,[16] 1973년 주영국대사관 참사관을 역임했다.

중앙정보부 총무과장, 1국 부국장 등을 거쳐 1980년 5월 중앙정보부 총무과장으로 재직 중 인사쇄신에 공을 세워 중앙정보부 총무국장을 거쳐 5월 17일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이 되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암살(10·26사건) 이후 전두환이 1980년 4월 중앙정보부 부장대리에 취임했는데, 이종찬은 그의 지시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여 능력을 인정받아 정계에 입문하게 되었다.

국가보위입법회의(국보위) 설치 후 국보위 의원을 지내고 1980년 초 권정달 등과 함께 민주정의당 창당, 조직에 참여하였다. 민정당 창당 발기인이 되었으며, 10월 중앙정보부 차장보로 발탁되었다. 1980년 12월 민주정의당 창당 후, 민주정의당 사무차장이 되고, 민정당 조직분과위원장이 되었다. 1981년 민주정의당 원내총무에 선임되었다.

1980년 10월 국가보위비상대책회의 위원에 임명되어 민주정의당(민정당) 창당 작업에 참여했다. 199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당내 경선에서 패배했다. 그해 8월 민자당을 탈당하고 신한국당을 창당하여 당 대표 겸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정주영 후보(통일국민당) 지지를 선언하고 사퇴했다.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 부총재가 되었고, 김대중 정부에서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 부장에 임명되었으며, 안기부가 개편된 국가정보원의 초대 원장이 되었다. 2000년 새천년민주당(민주당) 공천으로 종로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3. 1. 민주정의당 활동

1980년 10월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으로 임명되어 권정달 등과 함께 민주정의당 창당 작업에 참여했다.[10] 1981년 3월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민정당 초대 원내총무를 역임했다.

1985년 2월 12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전두환 정권이 제정하려던 학원자율화법안(학생운동 억제를 목적으로 한 법안으로 일본의 대학관리법에 해당)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같은 해 8월 원내총무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야당 인사 및 반정부 지식인들과 교류하는 등 온건 개혁파로 활동했다. 1988년 4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 선거구에서 3선에 성공했고, 5월 정무제1장관, 12월 민정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3. 2. 민주자유당 활동과 1992년 대선 출마

1988년 4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 선거구에서 3선에 성공했고, 그해 5월 정무제1장관, 12월 민정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5] 이후 민정당·민주·공화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창당되자 이에 합류, 1992년 3월 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1992년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3월 30일, 대통령 후보 경선 출마를 선언했으나, 구 민정당 계열 김윤환이 구 민주당 계열 김영삼 지지를 선언하는 등 김영삼에게 유리한 국면이 조성되어, 5월 당대회 대의원 투표에서 패배했다.[5] 그해 8월 민자당을 탈당하고 11월 17일 신한국당(새한국당한국어)[6]을 창당하여 당 대표 겸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의 3강 구도에 밀려 선거전 중도에 정주영 후보(통일국민당) 지지를 선언하고 사퇴했다.

3. 3. 새정치국민회의와 새천년민주당 활동

1995년 3월 민주당에 입당했고, 같은 해 9월 정계에 복귀한 김대중이 창당한 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 부총재가 되었다.[7] 1996년 4월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국민회의 공천으로 종로구에서 출마했으나, 이명박에게 패배하여 낙선했다.[7]

1998년 2월 출범한 김대중 정부에서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 부장에 임명되었고, 1999년 1월 안기부가 개편된 국가정보원의 초대 원장이 되었다(1999년 3월까지).[7]

2000년 4월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민주당) 공천으로 다시 종로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7]

3. 4. 국가정보원 개혁

1998년 2월 김대중 정부 출범과 함께 이종찬은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 부장에 임명되었다. 그는 안기부의 개혁을 추진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내 정치 개입 배제
  • 조직 개혁
  • 정보 처리 과학화
  • 경제·산업 정보 수집 강화


1999년 1월, 안기부는 국가정보원(국정원)으로 개칭되었고, 이종찬은 초대 국정원장이 되었다(1999년 3월까지). 그는 정치 정보 수집의 불가피성을 언급하면서도 언론 사찰 중단을 선언했다.[7]

3. 4. 1. 김대중 정부와의 갈등

김대중 정부 출범 직후부터 이종찬 국정원장과 정부 사이에 갈등이 시작되었다.[23] 이종찬은 국정원 인사에서 원칙을 내세우며, 정부와 여당이 호남 출신 인사를 중용하라는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3] 김대중은 1997년 대선에서 당선된 후, 김대중 정부는 안기부 내 호남 인맥 부족 문제를 시급한 과제로 여겼다.[23] 그러나 이종찬은 특정 지역 출신을 편중하는 인사가 국정원의 기강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권의 요구를 거절하며 마찰을 빚었다.[22]

이러한 인사 문제는 김대중 정부 측과의 심각한 갈등으로 이어졌다. 이종찬의 국정원장 퇴진에는 호남계 인맥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22] 당시 국정원 전직 인사들은 호남계 인맥들이 민정당 출신이었던 이종찬 원장에게 거부감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2]

한 수도권 출신 의원은 김종필 국무총리(충청), 김중권 대통령비서실장(영남), 이종찬 국정원장(서울) 등 모두 5공 군사정권 출신 인사들이 호남 출신과 민주화 세력이 주축인 김대중 정부와 맞지 않았다고 설명했다.[22] 민주당 소속 모 전 의원 역시 국정원 내부 호남 인맥들이 민정당, 민자당 출신인 이종찬 원장에게 반감을 느껴 그의 퇴진을 앞당겼다고 주장했다.[22] 결국 이종찬은 소신 인사로 인해 김대중 정부와 갈등을 빚다 경질되었다.

4. 생애 후반

국가정보원장을 물러난 뒤 1999년 5월 민주당 부총재로 복귀하였다. 2000년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인터넷멀티문화협회 명예회장,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고문에 위촉되었다. 그 해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에 선임되었다.

2000년 새천년민주당 공천으로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 서울 종로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04년 우당기념관 관장 겸 우당장학회 이사장을 맡았고, 2005년 2월부터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 한국선진화포럼 이사로도 선임되었다.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유식자들과 함께하는 오찬에 참석하여, 한일 관계 개선을 제안했다.[8] 2023년 5월 광복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6월 1일 제23대 광복회장으로 선출되었고,[25] 6월 22일 취임했다.[9]

5. 평가 및 비판

이종찬은 독립운동가 집안 출신으로, 민주화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민주정의당 창당 참여와 중앙정보부 근무 경력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26] 김영삼 계열에서는 이 점을 들어 그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제5공화국 당시 민주정의당 국회의원을 지냈고,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여 새천년민주당에서도 활동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그가 김대중 대통령을 지지했다는 시각도 있다.[26]

초급 장교 시절에는 어느 일제 지원병 출신 장군이 백범 김구를 헐뜯는 것에 분개하기도 했다.[29]

6. 가족 및 친척 관계



7. 학력

8. 경력

연도직책
1973년주영국대한민국대사관 참사관
중앙정보부 총무국장
1980년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
1980년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1981년 4월~1985년 4월제11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민주정의당)
1981년~1985년민주정의당 원내총무
제11대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장
1985년 4월~1988년 5월제12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민주정의당)
1988년~1989년민주정의당 사무총장
1988년 5월~1992년 5월제13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민주정의당)
1988년 5월~1989년제8대 정무 제1장관
1992년 5월~1995년 5월제14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민주자유당)
1997년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
1998년 3월~1999년 1월제22대 국가안전기획부장
1999년 1월~1999년 5월제22대 국가정보원장
우당장학회 이사장
우당장학회 명예이사장
우당기념관 관장
한국선진화포럼 이사
2005년 2월~2018년 8월여천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
2023년 5월~광복회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81년총선민주정의당116,279표 (48.71%)1위당선초선
1985년총선민주정의당84,258표 (32.23%)1위당선재선
1988년총선민주정의당46,534표 (37.95%)1위당선3선
1992년총선민주자유당41,208표 (35.47%)1위당선4선
1996년총선새정치국민회의32,918표 (33.55%)2위낙선
2000년총선새천년민주당32,368표 (39.96%)2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1
[2] 웹사이트 [최초공개] 흥선대원군 외손녀이자 이회영 며느리 조계진의 일제 강점기 회상 https://jmagazine.jo[...] 2023-08-17
[3] 뉴스 이종찬 광복회장 취임식 참석한 이종걸 의장 https://news.nate.co[...] 2023-06-22
[4] 웹사이트 서로 다른 길 걷는 친인척 정치인 http://www.sisajourn[...] 1997-12-18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웹사이트 関係改善の流れに水を差す文大統領の安倍首相批判に元大使から懸念の声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5-03
[9] 뉴스 이종찬 신임 광복회장 취임…“광복회 학술원 창립할 것” https://news.kbs.co.[...] 2023-06-22
[10] 서적 한국과 한국인 이지북 2001
[11] 서적 동녘에 해가 뜨면 좋은글 1998
[12] 서적 동녘에 해가 뜨면 좋은글 1998
[13] 서적 5백년 명문가 지속경영의 비밀 위즈덤하우스 2008
[14] 서적 5백년 명문가 지속경영의 비밀 위즈덤하우스 2008
[15] 서적 동녘에 해가 뜨면 좋은글 1998
[16] 뉴스 이종찬 의원 관훈토론회 문답 한겨레신문 1992-04-29
[17] 서적 동녘에 해가 뜨면 좋은글 1998
[18] 서적 동녘에 해가 뜨면 좋은글 1998
[19] 서적 고건 VS 이명박 국일미디어 2005
[20] 서적 만화로 보는 노무현시대 산지니 2007
[21] 서적 박정희의 유산 푸른 숲 1998
[22] 웹사이트 [秘話 국민의 정부] 1부 ⑪국정원 호남마피아 득세 http://news.donga.co[...]
[23] 웹인용 국정원 굴욕사, 정치권에 줄서더니 원장마저 사고 쳤네 http://www.sisainliv[...] 2013-06-16
[24] 웹사이트 [秘話 국민의 정부] 1부 ⑪국정원 호남마피아 득세 http://news.donga.co[...]
[25] 웹사이트 광복회 신임 회장에 이종찬 전 국정원장…우당 이회영 손자 https://www.hani.co.[...]
[26] 서적 대사관 순간의 기록 매일경제신문사 2010
[27] 서적 동녘에 해가 뜨면 좋은글 1998
[28] 서적 대한민국 파워엘리트 101인이 들려주는 성공비결 101가지 새움 2006
[29] 서적 동녘에 해가 뜨면 좋은글 1998
[3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