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종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종은 1515년 중종과 장경왕후 윤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1520년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1544년 중종 사후 즉위하여 부패 척결과 개혁을 시도했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사망했다. 그의 사후, 이복 동생 명종이 즉위하고, 인종의 외척 세력은 을사사화로 몰락했다. 인종은 학문과 효심이 깊어 칭송받았으며, 문정왕후에 의한 독살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한국의 군주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16세기 한국의 군주 - 연산군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은 초기 국방 강화와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폭정을 자행하여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폭정, 한글 탄압, 사찰 훼손, 방탕한 사생활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 인종 - 장경왕후 (조선)
    조선 중종의 계비인 장경왕후 윤씨는 파평 윤씨, 순천 박씨 가문 출신으로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가 단경왕후 폐출 후 왕비가 되었으며, 효혜공주와 인종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 왕실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인종 - 인성왕후
    인성왕후는 조선 제12대 왕 인종의 왕비이자 반남 박씨 박용의 딸로, 세자빈 책봉 후 인종 즉위로 왕비가 되었으나 인종 승하 후 왕대비가 되었으며, 자녀는 없고 을사사화 관련자들의 복권에 힘썼다.
  • 을사사화 관련자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을사사화 관련자 - 윤임
    윤임은 조선 중기 무신이자 정치가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나, 인종 즉위 후 윤원형과의 갈등 속에 을사사화로 유배되어 사사되었으며, 그의 생애는 당쟁 속 시대상을 보여주며 정치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란과 엇갈린 평가를 남긴다.
인종 (조선)
기본 정보
국왕조선 국왕
재위 기간1544년 11월 ~ 1545년 8월
이호
묘호인종
시호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
왕조
왕가전주 이씨
생애
출생일1515년 3월 10일
출생 장소경복궁 자선당
사망일1545년 8월 8일 (30세)
사망 장소경복궁 청연루
묻힌 곳서삼릉 효릉
가족 관계
아버지중종
어머니장경왕후
배우자인성왕후
자녀없음
주요 직책
조선 왕세자1520년 ~ 1544년
종교
신앙유교 (성리학)
기타 정보
칭호인종 이호

2. 생애

1515년 중종과 장경왕후 윤씨의 아들로 태어나, 1520년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1522년 성균관에 입학하여 유학을 공부했다.

인종은 조용한 성격으로 형제간의 우애가 깊었다. 효혜공주가 사망했을 때는 슬픔으로 병석에 눕기도 하였고, 중종이 병에 걸리자 직접 간호하며 아버지의 회복을 빌었다. 그러나 의붓어머니인 문정왕후는 인종을 여러 차례 화재 등으로 살해하려 했다.

1544년 중종의 훙서로 즉위한 인종은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궁중의 부패를 철폐하고 현량과를 부활시키는 등 개혁 정치를 시도했다. 그러나 병약했던 인종은 재위 기간 동안 충분히 정무를 수행하지 못했고, 즉위 8개월 만인 1545년에 훙거하였다. 능은 경기도 고양에 위치한 효릉이다. 사후 이복동생 경원대군명종으로 즉위하였다.

인종의 개혁 정치는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을 비롯한 많은 신하들의 반발을 샀다. 인종 사후 윤임을 비롯한 대윤 세력은 윤원로, 윤원형을 비롯한 소윤 세력과의 다툼에서 패배하여 을사사화를 겪게 된다.

2. 1. 탄생과 세자 책봉

1515년(중종 10년) 2월 25일, 중종의 넷째 아들이자 적장남으로 태어났다.[8] 아명은 '억명(億命)'이다. 어머니 장경왕후가 인종을 임신했을 때 꿈에 어떤 사람이 나타나 '억명으로 지으라'고 하여 지은 이름이다.[9] 어머니 장경왕후는 인종을 낳고 1주일 후인 3월 2일 산후병으로 사망하였다. 인종은 어머니를 일찍 여의어 친할머니인 정현왕후의 보살핌을 받았으며, 외숙부인 윤임을 위시한 대윤의 정치적 지지를 받았다.

1520년(중종 15년) 4월 22일, 왕세자로 책봉되었다.[10][11] 세자로 책봉되기 전 3월 5일에 '억(億)'을 '호(岵)'로 개명하였다.[12]

1522년(중종 17년) 관례를 치르고 성균관에 입학하였고, 2년 뒤인 1524년(중종 19년), 박용의 딸 박씨(인성왕후)를 세자빈으로 맞이하였다.

2. 2. 작서의 변과 가작인두의 변

1527년(중종 22년), 세자의 생일 무렵에 죽은 쥐의 사지를 찢어 불에 지진 다음 인종의 거처인 동궁전 창가에 매달아놓고 세자인 인종을 저주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13] 사건의 배후로 중종의 서장자이자 인종의 이복형인 복성군과 복성군의 어머니인 경빈 박씨가 지목되어 폐서인 되었으며, 경빈의 딸들이자 인종의 이복 누나들인 혜순옹주혜정옹주 또한 폐서인 되었다.[14]

1533년(중종 28년), 동궁(東宮)의 빈청 남쪽 바자(把子) 위에 사람의 머리 모양을 한 물건이 발견되었다. 이 형상에 누군가가 머리카락을 붙이고 이목구비등을 새겨 목패에 단 다음, 목패에 '세자의 몸을 능지할 것', '세자 부주(父主)의 몸을 교살할 것', '중궁(中宮)을 참(斬)할 것' 과 같은 내용을 적어놓았는데[15], 이 저주 사건으로 인해 6년 전 폐출된 복성군 모자와 혜정옹주의 남편인 당성위(唐城尉) 홍려(洪礪)가 연루되었다.

대간의 탄핵을 받은 복성군경빈 박씨는 마침내 사사되었는데, 나중에서야 이 사건의 배후가 인종의 누나인 효혜공주의 남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와 김희의 아버지인 김안로가 꾸민 일임이 드러났다. 이후 인종은 중종에게 복성군 모자의 신원 회복과 폐출된 두 옹주의 작호를 회복시켜줄 것을 청하였다.[16][17]

2. 3. 즉위와 사망

1544년(중종 39년) 11월 14일, 중종이 왕위를 물려줄 뜻을 밝히고 다음날 승하하자, 1주일 후인 11월 20일 창경궁 명정전에서 조선의 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 이후 기묘사화 때 숙청된 조광조를 다시 복권시켜야 한다는 상소가 연이어 올라왔다.[21]

1545년(인종 1년) 6월 26일, 인종은 고열에 시달리며 혼절하는 등 몸 상태가 급격히 나빠졌다. 6월 29일, 대역죄인과 강상죄 등 중대범죄를 저지른 자들을 제외한 일반 백성들의 죄를 용서한다고 발표했다.[21] 그날 밤 병세가 악화되어 위독해지자 이복 동생인 경원대군(명종)에게 왕위를 물려준다는 뜻을 밝혔다.[22]

젊은 국왕은 매우 야심이 컸고, 부패가 만연했던 당시 정부를 개혁하려 했다. 이는 그의 아버지 재위 기간의 실패한 개혁의 유산이었다. 그는 조광조를 복권시키고, 사림 (사림파)의 기묘사화 이후 정치에서 물러난 사림파 학자들을 등용했다. 그의 외삼촌 윤임은 이 기간 동안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인종은 너무 자주 병을 앓았고, 왕위에 오른 지 불과 1년 만인 1545년에 사망했다. 그의 사후, 윤임은 1545년의 을사사화에서 윤원형에 의해 처형되었고, 명종이 왕위를 계승했다.

인종은 본래 아버지보다 병약하여 재위 중에도 병 때문에 충분히 정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 1545년, 즉위 8개월 만에 사망하였다. 능묘인 효릉경기도 고양에 마련되었다. 사후, 이복 동생인 경원대군이 제13대 국왕 명종으로 즉위했다.

3. 사후

인종의 묘호는 인종(仁宗)이며, 시호는 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이다.[23]

처음 시호는 예문철무장숙흠효였으나, '예'를 '헌'으로 고치자는 의견이 나왔다. 홍언필은 태조의 시호 강헌(康獻)과 겹친다는 이유로 반대했지만, 중의도 찬성하여 '헌'으로 고치게 되었다. 이후 허자가 '철'을 '의'로 고쳤다.[24]

효릉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삼릉에 있는 왕릉 중 하나이다. 인성왕후와 함께 묻혀 쌍릉을 이루고 있으며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인종이 승하하고 명종이 즉위하자, 문정왕후수렴청정하고 윤원형 등이 권력을 잡았다. 이들은 윤임대윤 일당을 역모로 몰아 사사하였다. 계림군[26], 봉성군 등 왕실 종친 및 윤임과 당여를 이루거나 왕권에 위협적으로 여겨졌던 자들이 대대적으로 숙청되었다.

3. 1. 묘호와 시호

묘호는 '''인종'''(仁宗)이며, '인(仁)'은 '인(仁)을 베풀고 의(義)를 행함'을 말한다. 시호는 '''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이다.[23]

처음 시호는 예문철무장숙흠효(睿文哲武章肅欽孝)였으나, '예' 자를 '헌' 자로 고치자는 의견이 나왔다. 홍언필태조의 시호 강헌(康獻)과 겹친다는 이유로 반대했지만, 중의도 찬성하여 '헌' 자로 고치게 되었다. 이후 허자가 체화거중(體和居中)의 뜻이 선왕과 합치한다 하여 '철' 자를 '의' 자로 고쳤다.[24]

3. 2. 능묘

효릉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서삼릉을 구성하는 왕릉 가운데 하나이다. 왕비 인성왕후와 나란히 묻혀 쌍릉을 이루고 있으며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일반에 비공개되어있다.

3. 3. 을사사화

윤임윤원형정희왕후의 아버지 윤번의 후손들로, 각각 인종과 명종의 외숙부였다. 이들은 중종 말엽부터 세력을 형성하였다. 인종의 외가인 윤여필, 윤임 세력을 주축으로 하는 대윤과, 경원대군(명종)을 지지하는 문정왕후윤원형 일파인 소윤이 파를 나누어 갈등하였다.[25]

인종이 즉위한 지 1년도 못되어 승하하고 명종이 즉위하자, 문정왕후수렴청정하고 윤원형 등이 권력을 잡았다. 이들은 인종의 외숙부이자 장경왕후의 오빠인 윤임 및 대윤 일당을 역모로 몰아 사사하였다. 윤여필의 외손자인 종친 계림군[26]을 비롯하여 중종의 일곱째 아들인 봉성군 등 왕실 종친 및 윤임과 당여를 이루거나 왕권에 위협적으로 여겨졌던 자들이 대대적으로 숙청되었다.

인종 사후, 장경왕후의 오빠인 윤임을 비롯한 "대윤"과 문정왕후의 오빠인 윤원로 · 윤원형을 비롯한 "소윤" 간의 세력 다툼이 벌어졌고, 패배한 윤임은 1545년에 사사되었다.

4. 평가

학문을 좋아하고 우애와 효심이 깊어 유교의 이상적 군주로 일컬어졌다. 당대의 기록을 비롯해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세종, 문종, 성종, 정조와 더불어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왕의 학문을 예찬하고 인품과 성품을 칭송한 기록이 남아있는 몇 안되는 군주 중 하나이다.[33][34][35]

젊은 국왕은 매우 야심이 컸고, 부패가 만연했던 당시 정부를 개혁하려 했다. 이는 그의 아버지 재위 기간의 실패한 개혁의 유산이었다. 그는 조광조를 복권시키고, 사림(사림파)의 기묘사화 이후 정치에서 물러난 사림파 학자들을 등용했다. 그의 외삼촌 윤임은 이 기간 동안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인종은 너무 자주 병을 앓았고, 왕위에 오른 지 불과 1년 만인 1545년에 사망했다. 그의 사후, 윤임은 1545년의 을사사화에서 윤원형에 의해 처형되었고, 명종(야심찬 문정왕후의 아들)이 왕위를 계승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인종이 이복동생이 왕위에 오르도록 하기 위해 윤원형이 이끄는 소윤 세력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믿는다. 다른 이들은 문정왕후가 그를 살해했다고 믿는다.[2] 비공식 기록에 따르면 수십 년 동안 정중한 무관심(실제로는 은밀한 증오)을 보인 후 문정왕후가 마침내 "양자" 인종 임금에게 애정을 보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인종이 아침 문안을 드리러 갔을 때, 문정왕후의 얼굴은 어머니만이 자녀에게 지을 수 있는 미소를 띠기 시작했다. 인종은 대비가 마침내 그를 왕으로, 특히 자신의 아들로 인정하는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는 계모가 준 을 먹었는데, 그것이 종말의 시작이 될 줄은 몰랐다. 그는 서서히 병에 걸렸는데, 의심을 살 정도는 아니었지만, 역사가들이 나중에 그 사건을 주목할 정도로 빠르게 악화되었다. 인종은 3일 만에 (재위 9개월 만에) 의문스럽게 사망했다.''

문정왕후의 아들인 명종이 왕이 되었고, 문정왕후는 수렴청정을 시작했다. 기록에 따르면 문정왕후는 인종의 죽음 이후 밤마다 유령의 방문을 받았다. 그녀는 너무나 불안해하여 거처를 경복궁에서 창덕궁으로 옮겼다.

5. 가족 관계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조부성종1457년 8월 19일1494년 1월 20일
조모정현왕후1462년 7월 21일1530년 9월 13일
아버지중종1488년 4월 16일1544년 11월 29일
어머니장경왕후1491년 8월 19일1515년 3월 26일
적모문정왕후1501년1565년
누이효혜공주1511년1531년
왕비인성왕후1514년 10월 7일1578년 1월 6일반남 박씨, 자녀 없음
후궁숙빈 윤씨|淑嬪 尹氏한국어?1595년파평 윤씨, 자녀 없음
후궁혜빈 정씨|惠嬪 鄭氏한국어?1595년자녀 없음
후궁귀인 정씨|貴人 鄭氏한국어1520년 8월1566년 3월 25일정철의 큰 누나, 자녀 없음
후궁양제 윤씨|良娣 尹氏한국어??자녀 없음


6. 일화


  • 효혜공주와 우애가 깊었는데, 1531년에 효혜공주가 죽자 병이 날 정도로 매우 슬퍼하였다.[27]
  • 동궁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모두 놀라 허둥지둥하며 궁녀들이 각자 제 방을 구하느라 바빴다. 그러나 귀인 정씨(정철의 누이)만은 급히 세자가 있는 방으로 들어가 서책과 옷을 모두 밖으로 내어놓고 세자를 모시고 대전에 문안을 드렸다. 이에 임금이 크게 칭찬하였다.[28]
  • 인종이 즉위한 뒤, 명나라 사신이 접견 후 돌아갈 때 자신을 접대했던 관원에게 "당신의 임금은 성인(聖人)이지만, 당신의 나라는 작습니다. 당신들은 참으로 복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29]
  • 인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두고 문정왕후에게 독살되었다는 설이 야사에 전해진다. 《명종실록》에서는 인종이 병을 얻게 된 이유 중 하나로 문정왕후의 원망을 언급하고 있다.[30][31][32]

7. 대중문화 속의 인종

다음은 인종이 대중문화에서 다루어진 작품들이다.

7. 1. 드라마

仁宗|인종중국어을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sillok.histo[...]
[2] 뉴스 [Visual History of Korea] World's first case of press oppression https://www.koreaher[...] 2021-09-03
[3] 웹사이트 중종실록 21권, 중종 10년 2월 25일 계축 6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4] 웹사이트 중종실록 21권, 중종 10년 2월 26일 갑인 1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5] 웹사이트 중종실록 21권, 중종 10년 2월 29일 정사 1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6] 웹사이트 중종실록 21권, 중종 10년 3월 7일 갑자 4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7] 서적 인종실록
[8] 서적 중종실록
[9] 서적 중종실록
[10] 서적 중종실록
[11] 서적 중종실록
[12] 서적 중종실록 http://sillok.histor[...]
[13] 서적 중종실록
[14] 서적 중종실록
[15] 서적 중종실록
[16] 서적 중종실록
[17] 서적
[18] 서적 중종실록
[19] 서적 중종실록
[20] 서적 중종실록
[21] 서적
[22] 서적 인종실록
[23] 서적 명종실록
[24] 서적 명종실록
[25] 서적 중종실록
[26] 문서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손자이며, 성종의 차남인 계성군의 양자로 입적됨.
[27] 문서 〈인종대왕 묘지문〉
[28] 서적 연려실기술
[29] 서적 《아성잡기》
[30] 서적 《괘일록》
[31] 서적 《유분록》
[32] 서적 명종실록
[33] 서적 인종실록
[34] 서적 인종실록
[35] 서적 인종실록
[36] 문서 1595년 이후 사망
[37] 문서 영해군 → 영춘군 이인 → 이천 → 윤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