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단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충단공원은 을미사변 순국 충신과 열사들을 제사하기 위해 1900년 대한제국 고종이 설치한 장충단이 있던 자리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벚나무를 심어 일본식 공원으로 조성되었고, 일본군 육탄3용사 동상과 이토 히로부미를 위한 사당인 박문사가 세워지기도 했다. 해방 후 한국전쟁으로 훼손되었으며, 청계천 복개로 수표교가 이전되었다. 1957년과 1971년에는 정치적 사건과 유세가 열리기도 했으며, 현재는 장충단비, 수표교 등이 있으며, 독립운동 관련 기념물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을미사변 - 개화파
개화파는 1870년대 후반부터 1910년대 초 조선에서 서양 문물 수용을 지지하며 청나라로부터의 독립과 근대화를 추구했던 개혁 세력으로, 일본의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나 임오군란 이후 분열되어 친일 행위로 국권 침탈에 가담하거나 애국계몽운동으로 독립운동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행보를 보였다. - 을미사변 - 윌리엄 다이
윌리엄 다이는 남북 전쟁에서 공을 세운 미국의 군인으로, 이집트군 복무 후 조선에서 고종의 군사 고문으로 활동하며 연무공원 군사 훈련 지도 및 을미사변 당시 경복궁 시위대를 지휘했고, 명성황후 시해 사건 진상 규명에 기여했으며, 그의 아들은 대한제국 중명전 설계에 참여했다. - 서울 중구 - 한살림
한살림은 1986년 설립된 소비자생활협동조합으로, 친환경 유기농산물 직거래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추구하며 동학 사상과 생명사상에 영향을 받아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대 및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한다. - 서울 중구 - 언론중재위원회
언론중재위원회는 언론 보도로 인한 분쟁 해결을 위해 1981년 대한민국에 설립된 기관으로 조정, 중재, 법률 상담, 시정권고, 선거기사 심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세월호 참사 당시 언론 보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바 있다. - 1919년 설립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1919년 설립 - 관동군
관동군은 일본 제국이 만주 지역 침략과 지배를 위해 설치한 군대로,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는 등 중국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으며, 731 부대를 운영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패망했다.
장충단공원 - [공원]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충단 공원 |
한자 표기 | 奬忠壇公園 |
로마자 표기 | Jangchungdan Gongwon |
면적 | 297 헥타르 |
개원 | 1919년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261 |
공원 정보 | |
유형 | 남산공원 부속 근린공원 |
관리 | 중구 문화관광 |
기타 | |
웹사이트 | 한국관광공사 |
백과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관련 유적 | 장충단 |
이미지 | |
![]() |
2. 역사
1900년 9월 대한제국 고종은 을미사변 때 순국한 충신과 열사들을 제사하기 위해 '장충단'이라는 사당을 설치했다. 그러나 1908년 제사는 중단되었고,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에게 살해되었을 때 국민대추도회라는 행사가 장충단에서 열렸다.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1919년 장충단 일대는 일본식 공원으로 조성되었고, 1932년 이토 히로부미를 위한 절인 박문사가 세워졌다.
1945년 해방 후 박문사는 철거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사당 부속 건물이 파괴되었다. 1959년 청계천 복개로 수표교가 이곳으로 옮겨졌고, 1969년 장충단비도 수표교 옆으로 옮겨졌다.
1957년 5월 25일 자유당 독재를 성토하는 야당 시국강연회에서 장충단집회사건이 일어났다.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 4월 18일 김대중 후보와 박정희 후보의 유세대결이 있었다.
1964년 이준 열사 동상, 1968년 사명대사 동상이 공원에 세워졌다.
1984년 9월 22일 공원 면적이 축소되었으며, 현재는 3·1 운동, 한국 독립 운동 등을 기념하는 기념물이 있다.
2022년 2월부터 4월까지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장충단공원 역사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2. 1. 대한제국 시기
1900년 9월 대한제국 고종은 명성황후가 살해된 을미사변 때 순국한 충신과 열사들을 제사하기 위해 '장충단'이라는 사당을 설치하였다.[5] 고종은 어영청의 분소로 서울의 남쪽을 지키는 남소영(南小營) 자리에 장충단을 짓고, 봄가을로 제사를 지내게 했다. 처음에는 훈련대 연대장 홍계훈, 영관 염도희, 영관 이경호를 주신으로 제향하고, 김홍제, 이학승, 이종구 등 장병들을 배향했으나, 다음 해 궁내부 대신 이경직을 비롯하여 임오군란, 갑신정변 때 죽은 문신들도 포함하였다.[5]그러나 을미사변을 일으킨 일본의 세력이 강성해지면서 1908년 제사는 중단되었다.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에게 살해되었을 때 거국적인 국민대추도회라는 행사가 장충단에서 열렸다. 국민대추도회 추진 세력들은 장충단에 이토의 사당을 짓고 추모제를 지냈다.[6]
2. 2. 일제강점기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1919년 장충단 일대에 벚나무를 심어 일본식 공원으로 조성하였다. 창경궁과 유사하게 역사적 의미가 있는 장소가 위락 시설로 바뀌었다.[5] 일본은 공원에 상하이 사변 때 사망한 일본군 육탄3용사의 동상을 세웠고, 1932년 인근에 이토 히로부미를 위한 절인 박문사도 세워졌다.[5][7] 이 동상은 1945년 한국이 해방된 직후 곧바로 철거되었다.[2]2. 3. 해방 이후
1945년 해방 후, 일본 군인들의 동상과 박문사는 철거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사당의 부속건물이 파괴되었다. 1959년 청계천 복개로 수표교를 철거하여 이곳으로 옮겼으며, 1969년에는 영빈관 내에 있던 장충단비를 수표교 옆으로 옮겼다.[5]1957년 5월 25일 제1공화국 자유당 독재를 성토하기 위해 야당의 국민주권옹호 투쟁위원회 주최로 서울 시민 약 20만여 명이 모인 야당 시국강연회에서 여당과 결탁한 유지광과 동대문사단이 장충단집회사건을 일으켰다.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전 4월 18일 장충단 공원에서 약 100만 명의 시민이 모인 가운데 김대중 후보와 박정희 후보의 유세대결이 유명하기도 하다.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는 박정희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김대중은 “박정희에게 진 것이 아니라 이후락에게 졌다.”라고 말했다. 이후 유신헌법이 발효되었다.[8][9]
1964년에는 이준 열사 동상이, 1968년에는 사명대사 동상이 공원에 세워졌다.[2]
1984년 9월 22일, 1940년부터 418000m2였던 공원의 일부가 남산공원에 편입되었다. 새로운 면적은 297000m2가 되었다.[1][2]
현재 이 공원에는 3·1 운동, 한국 독립 운동, 독립운동가 유관순, 불교 개혁가 한용운을 기념하는 여러 기념물이 있다.[1][2]
2022년 2월부터 4월까지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이 공원의 역사에 대한 전시회를 개최했다.[4]
가수 배호가 부른 『안개 낀 장충단 공원』은 이 공원을 소재로 한 노래로 유명하다.
3. 주요 시설 및 문화재
동국대학교와 신라호텔 사이에 있는 장충단공원에는 여러 시설과 문화재가 있다. 공원 안에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호인 장충단비와 청계천에서 옮겨온 수표교가 있다. 경로당, 체육 시설, 야외 무대 등 시민들을 위한 편의 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사명대사, 이준, 이한응, 유관순 등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인물들의 동상도 세워져 있다. 가수 배호의 노래 〈안개 낀 장충단 공원〉은 이 공원을 소재로 한 노래로 유명하다.
3. 1. 장충단비
1900년 11월 대한제국 고종은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이후, 명성황후를 기리기 위해 장충단 사당을 건립하면서 장충단비를 세웠다.[1][2] 장충단비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비문에 새겨진 “장충단”이라는 글씨는 순종이 황태자였을 때 쓴 것이다. 비의 뒷면에는 민영환의 글이 새겨져 있다. 장충단비는 원래 영빈관에 있었으나 1969년 수표교 옆으로 옮겨졌다.
3. 2. 수표교
1959년, 1420년부터 청계천에 놓였던 역사적인 수표교가 해체되어 이 공원으로 옮겨졌다. 수위를 측정하는 장치(수표)도 함께 공원으로 옮겨졌다. 수표교와 수표는 모두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는데, 각각 제18호와 제838호이다.[3]3. 3. 동상
유정 동상(1968년 건립)과 이준 동상(1964년 건립)을 비롯하여 이한응, 유관순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2][1]3. 4. 기타 시설
동국대학교와 신라호텔 사이에 있으며, 청계천의 수표교를 옮겨 놓았고, 서울시 유형문화재 1호인 장충단비가 있다.[1][2] 안쪽으로는 경로당과 체육 시설, 야외 무대 등이 있으며, 사명대사, 이준, 이한응, 유관순의 동상도 세워져 있다.[1][2]1959년, 1420년부터 청계천에 놓였던 역사적인 수표교가 해체되어 이 공원으로 옮겨졌다. 수위를 측정하는 장치(수표)도 함께 공원으로 옮겨졌다. 두 물건 모두 서울시 유형문화재(각각 제18호와 제838호)로 지정되었다.[3]
1964년에는 이준 동상이, 1968년에는 유정 동상이 공원에 세워졌다.[2]
이 공원을 소재로 한 가수 배호의 노래 〈안개 낀 장충단 공원〉이 유명하다.
4. 문화
동국대학교와 신라호텔 사이에 있는 장충단공원은 원래 현재 장충단 공원보다 더 넓은 지역이었다. 공원 안에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호인 장충단비가 있고, 청계천의 수표교도 이곳으로 옮겨졌다. 또한, 경로당, 체육 시설, 야외 무대와 함께 사명대사, 이준, 이한응, 유관순 등의 동상도 세워져 있다.[1]
가수 배호가 부른 『안개 낀 장충단 공원』은 이 공원을 소재로 한 노래로 유명하다.[1]
5. 교통
참조
[1]
웹사이트
Jangchungdan Park (장충단공원)
http://english.visit[...]
2023-08-22
[2]
웹사이트
장충단공원(奬忠壇公園)
https://encykorea.ak[...]
2023-08-22
[3]
웹사이트
Historic Sites of Cheonggyecheon Stream, Seoul (Gwangtonggyo Bridge, Supyogyo Bridge, and Ogansumun Watergate Site) - Heritage Search
https://english.cha.[...]
2023-08-22
[4]
웹사이트
Jangchungdan Park: A Place of Remembrance and Rejoice Exhibition > Lobby Exhibition SEOUL MUSEUM OF HISTORY
https://museum.seoul[...]
2023-08-22
[5]
서적
명성황후와 대한제국
효형출판
2001-10-20
[6]
뉴스
사건으로 본 한국의 종교 - 안중근의사 순국 93주년 지금이라도 유해찾자
http://www.jksm.com/[...]
종교신문
2003-03-25
[7]
뉴스
신라호텔 자리는 이등박문 추모 사찰터 - [서울 역사산책 80] '독도 사태' 맞아 다시 돌아보는 박문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3-23
[8]
뉴스
(지평선/11월 2일) 유신 권력의 2인자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9-11-01
[9]
뉴스
넌 족발 뜯으러 가니? 난 역사 보러 가는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