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의회는 전라북도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 의회이다. 의장 1명,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과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무기구를 두어 안건 심의 및 의정 활동을 지원한다. 역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선거 결과는 정당별 의석 변동을 보여주며, 제12대 의회 기준 더불어민주당이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다. 6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6명 이상의 의원은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정치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의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의회는 2014년에 실시되어 전라북도 지역의 지방 의원을 선출했으며, 새정치민주연합이 압승하여 38석 중 34석을 차지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총 35석(지역구 32석, 비례대표 3석) 중 더불어민주당이 32석을 석권하고 무소속 후보가 3석을 차지했다.
  • 전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은 1990년에 개관하여 상설전시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4만 점 이상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전주시 소재의 관공서 - 전주교도소
    전주교도소는 1908년 광주감옥 전주분감으로 시작하여 전주형무소, 전주교도소를 거쳐 현재 전주시에 위치하며, 일제강점기 정치범 수감, 한국 전쟁 중 집단 피살 사건, 수감자 탈옥 사건 등의 사건이 있었고, 총 8개 과로 조직되어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북특별자치도의회
원어명Jeollabuk-do Provincial Council
지방의회 휘장
지방의회 휘장
전북특별자치도의회 12대 의원 구성
전북특별자치도의회 12대 의원 구성
의회 임기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회 체제단원제
의원 정수40석
의원 임기4년
의사당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효자동 3가 1)
웹사이트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장단
의장문승우
의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부의장이명연
부의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부의장김희수
부의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정당별 의석수
선거
이전 선거2022년 6월 1일

2. 조직

전북특별자치도의회는 의사를 결정하고 집행기관을 견제·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고 있다. 의회 조직은 의사를 진행하고 의회를 대표하는 의장단, 조례안 등 안건을 심사하고 행정사무를 감사하는 위원회, 그리고 의정 활동을 지원하는 사무기구로 구성된다.

의장단은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이루어져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 운영을 총괄한다. 위원회는 효율적인 안건 심사를 위해 소관 분야별 상임위원회와 특정 현안을 다루기 위한 특별위원회로 나뉘어 운영된다. 사무기구인 사무처는 의원들의 의정 활동에 필요한 행정적 지원을 담당한다. 각 조직의 구체적인 구성과 역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의장단

의장과 부의장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원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의회를 대표하고 의사(議事)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다. 의장단은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다.

2. 2. 위원회

위원회는 효율적인 안건 심의를 위해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 상임위원회는 소관 분야별로 안건을 심사하고,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한다. 특별위원회는 특정 사안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위해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 '''상임위원회'''
  • * 의회운영위원회
  • * 행정자치위원회
  • * 환경복지위원회
  • * 농산업경제위원회
  • * 문화건설위원회
  •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 윤리특별위원회

2. 3. 사무기구

사무처는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원들의 의정 활동을 지원하고, 의회 운영에 필요한 행정 업무를 담당한다.[1]

  • 총무담당관실[2]
  • 의사담당관실[2]
  • 입법정책담당관실[2]
  • 의정홍보담당관실[2]
  • 전문위원

3. 역대 전북특별자치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원은 4년마다 실시되는 지방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유권자의 직접 투표로 지역구 의원과 비례대표 의원을 선출하며, 역대 선거 결과는 아래와 같다.

3. 1. 제1대 전라북도의회 (1952년)

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된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32명의 제1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3. 2. 제2대 전라북도의회 (1956년)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4명의 제2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자유당22
민주당6
무소속16



선거 결과, 자유당이 22석을 확보하여 과반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제1당 지위를 유지하였다. 민주당은 6석, 무소속은 16석을 차지하였다.

3. 3. 제3대 전라북도의회 (1960년)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8명의 제3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당26
신민당5
무소속17


3. 4. 제4대 전라북도의회 (1991년)

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52명의 제4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신민주연합당51
무소속1


3. 5. 제5대 전라북도의회 (1995년)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58명의 제5대 전라북도의회 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하였다.

정당별 의석수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49453
민주자유당022
무소속3-3
합계52658



정당별 득표 현황 (비례대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당573,89560.5%4
민주자유당231,89624.4%2
무소속143,00415.1%-
합계948,795100%6


3. 6. 제6대 전라북도의회 (1998년)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38명의 제6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정치국민회의32234
한나라당011
자유민주연합011
무소속2-2



정당별 득표 (비례대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11,6892.3%1
새정치국민회의336,19465.4%2
자유민주연합18,7113.6%1
국민신당7,3171.4%0
무소속140,24627.3%-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정치국민회의에 2석, 자유민주연합과 한나라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7. 제7대 전라북도의회 (2002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36명(지역구 32명, 비례대표 4명)의 제7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천년민주당27229
한나라당011
민주노동당011
무소속5-5



선거 결과, 새천년민주당이 지역구 27석과 비례대표 2석을 얻어 총 29석으로 압도적인 다수당 지위를 확보하였다.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은 각각 비례대표 1석씩을 얻었으며, 무소속 후보 5명이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천년민주당488,90965.18%2
민주노동당95,74412.76%1
한나라당72,6709.68%1
자유민주연합40,5305.40%0
녹색평화당36,1384.81%0
사회당16,0292.13%0



비례대표 의석은 공직선거법에 따라 한 정당이 전체 비례대표 의석(4석)의 2/3를 초과하여 가질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65%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한 새천년민주당은 2석을 배분받았고, 민주노동당과 한나라당이 각각 1석씩을 배분받았다.

3. 8. 제8대 전라북도의회 (2006년)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38명의 제8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열린우리당20222
민주당12113
민주노동당011
무소속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열린우리당318,57839.69%2
민주당302,37337.67%1
민주노동당119,77114.92%1
한나라당61,7877.69%0


3. 9. 제9대 전라북도의회 (2010년)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3명의 제9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민주당이 지역구 33석과 비례대표 2석을 얻어 총 35석으로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하였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당33235
민주노동당112
한나라당011
교육의원--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민주당507,67361.70%2
한나라당103,98112.63%1
민주노동당89,81210.91%1
국민참여당66,3158.06%0
진보신당32,1963.91%0
평화민주당16,6932.02%0
사회당6,0570.73%0



공직선거법의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조항에 따라, 민주당에 2석,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10. 제10대 전라북도의회 (2014년)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38명의 제10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정치민주연합32234
새누리당011
통합진보당011
무소속2-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정치민주연합541,68563.23%2
새누리당149,59817.46%1
통합진보당71,1848.31%1
정의당58,3466.81%0
노동당14,9071.74%0
녹색당12,2811.43%0
공화당8,5781.00%0



공직선거법에 따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3분의 2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조항이 적용되어, 비례대표 의석은 새정치민주연합에 2석, 새누리당과 통합진보당에 각각 1석씩 배분되었다.

3. 11. 제11대 전라북도의회 (2018년)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총 39명의 제11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중 지역구 의원은 35명, 비례대표 의원은 4명이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 34석과 비례대표 2석을 얻어 총 36석으로 압도적인 다수당 지위를 확보했다. 민주평화당정의당은 각각 비례대표 1석을 확보했으며, 무소속 당선자는 1명이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34236
민주평화당011
정의당011
무소속1-1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과반이 넘는 68.10%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세를 보였다. 정의당민주평화당이 그 뒤를 이어 각각 1석씩을 확보했다. 반면, 바른미래당자유한국당 등 다른 정당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더불어민주당654,60668.10%2
정의당123,83312.88%1
민주평화당89,8099.34%1
바른미래당35,9023.73%0
자유한국당34,9243.63%0
민중당11,9811.24%0
녹색당10,1681.05%0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3분의 2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으므로, 더불어민주당에 2석, 정의당민주평화당에 각각 1석이 배분되었다.

3. 12. 제12대 전라북도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40명의 제12대 전라북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이번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36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35237
국민의힘011
정의당011
진보당101
합계36440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더불어민주당518,46171.88%2
국민의힘118,54816.43%1
정의당61,5118.52%1
진보당11,7111.62%0
기본소득당8,5321.18%0
한류연합당2,4510.33%0
합계721,214100.00%4


4. 정당별 의석 수 (제12대 기준)

제12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정당별 의석 수 현황
정당의석 수
더불어민주당37석
진보당1석
정의당1석
국민의힘1석
합계40석



제12대 전북특별자치도의회는 총 40석 중 더불어민주당이 37석을 차지하여 의회 내에서 압도적인 다수를 점하고 있다. 이 외에 진보당, 정의당, 국민의힘이 각각 1석씩의 의석을 가지고 있다.

5. 교섭단체

전북특별자치도의회는 6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6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참조

[1]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2]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3] 웹인용 전라북도 의회 기본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