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춘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춘수는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은 인물이다. 1875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나 감리교 목사로 활동하며 3·1 운동에 참여했으나, 1930년대 이후 친일 행적으로 전환했다. 흥업구락부 사건 이후 친일 활동을 시작하여 조선 감리교회 감독을 역임하고,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적극 협력했다. 그는 신사참배를 강요하고, 감리교회의 비행기 헌납을 주도하는 등 친일 행위로 비난받았다. 해방 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었으며, 감리교에서 출교되었다.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했으나 한국 전쟁 중 사망했다. 정춘수는 친일파 명단에 등재되었고, 청주 삼일공원에 세워졌던 동상은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정씨 - 정희섭
    정희섭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 의사로 활동했으며, 광복군 의무병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육군 준장으로 전역한 후 보건사회부 장관과 국회의원을 역임하다가 사망했다.
  • 광주 정씨 - 정유민 (배우)
    정유민은 2012년 영화 《러브 클리닉》으로 데뷔하여 드라마 《응답하라 1988》, 《이태원 클라쓰》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으며, 2024년 SBS 연기대상에서 여자 조연상을 수상하고 비연예인과 결혼했다.
  • 신간회 - 홍명희
    홍명희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소설가, 정치인으로, 장편소설 《임꺽정》으로 유명하며, 독립운동 참여, 언론 및 교육계 활동 후 해방 후 남북협상 참여, 월북하여 북한에서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역할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신간회 - 허헌
    허헌은 일제강점기 변호사이자 독립운동가로서 3·1 운동 관련자 변호와 신간회 활동을 했고, 해방 후에는 건준위 부위원장, 민전 공동의장 등을 지내며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월북 후 김일성종합대학 총장 등을 지냈다.
  • 조선인민공화국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인민공화국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정춘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 생애

1875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난 정춘수는 1904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세례를 받고 감리교 신자가 되었다. 협성신학교를 졸업하고 1911년 목사가 된 그는 부흥회 인도에 능력을 보였다. 1919년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참여하여 1년 6개월 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출옥 후 개성의 교회에서 근무하고 신간회에 참가했다.

1930년대부터 친일 행적을 보이기 시작했다.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전향서를 발표한 뒤 친일 활동에 적극 가담했다. 일본 제국의 비호 아래 감리교회의 수장이 되었고,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신사참배 강요에 앞장서는 등 대표적인 친일 인사로 꼽혔다.

1945년 광복 이후,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에 체포되어 구금되기도 하였다. 감리교단에서 출교되었으며, 천주교로 개종하였다가 한국 전쟁 중 사망했다.[7]

2. 1. 출생과 초기 활동 (1875년 ~ 1919년)

1875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났다. 1904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선교사를 통해 세례를 받고 감리교에 입교하였다. 협성신학교를 졸업하고 1911년 목사가 되었다. 그는 부흥회 인도에 능력을 인정받았다. 원산의 교회에서 근무하던 중 1919년 3·1 운동을 맞았다.

1919년 2월, 정춘수는 경성부에서 오화영, 박희도의 권유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3.1 운동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원산으로 돌아가 지역에서의 만세 운동을 조직한 뒤 당일 기차편으로 상경했으나, 태화관 모임이 끝나고 관련자들이 체포된 뒤였기에 자수하여 징역 1년 6개월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2. 2. 3·1 운동 참여와 투옥 (1919년)

1919년 2월, 정춘수는 경성부에서 오화영, 박희도의 권유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서 3·1 운동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함경남도 원산으로 돌아가 지역 만세 운동을 조직한 뒤, 당일 기차로 상경했으나, 태화관 모임이 끝나고 관련자들이 체포된 뒤였기에 자수했다.

정춘수는 징역 1년 6개월형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2. 3. 친일 행적 (1930년대 ~ 1945년)

1930년대에 동대문교회 담임목사를 맡는 등 서울에서 목회 활동을 하던 중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전향서를 발표한 뒤부터 친일 활동에 나섰다.[5] 이듬해 일제의 비호 아래 조선 감리교회의 수장인 감독으로 피선되었고, 조선감리교와 일본의 메소디스트교회의 합동을 목적으로 1941년 3월에 세워진 새로운 '기독교조선감리교단'으로의 합동 과정에 찬동하면서 통리사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활동하였다.[5] 이후 일본 제국이 일으킨 중일 전쟁태평양 전쟁에 적극적으로 협력했고, 내선일체 정책에 순응을 요구하며, 감리교회가 신사참배 강요에 굴복할 때도 앞장서는 등 조선 개신교회의 대표적인 친일 인사로 꼽혔다.[5]

개신교 내부의 사상 검사 단체로 일제 경찰과 결탁하여 신사참배를 독려한 총진회 회장, 전시 총동원 체제 건설을 위한 친일 단체들인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위원(1941년),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1941년), 그리고 친일 종교인 모임으로서 개신교 교인들의 지원병 참전을 부추긴 조선전시종교보국회 이사(1944년)를 지냈다.[5] 심지어는 일본군을 위한 특별 기도, 애국 헌금과 무기 제조를 위한 철문과 교회 종의 헌납 운동을 주도하기도 했으며,[5] 1944년에는 그의 결정으로 태평양 전쟁에 감리교단의 이름으로 비행기를 보내게 하기 위해 감리교 내 소속 일부 교회를 팔아 비행기 3대를 구매해 헌납하기도 하였다.[6]

2. 4. 해방 이후와 사망 (1945년 ~ 1951년)

1945년 광복 이후, 감리교 재건파는 1947년 《감리교회 배신배족 교역자 행장기》를 발간하여 정춘수의 친일 행적을 폭로했다.[7]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에 체포되어 두 달간 구금되었다.[7] 감리교단은 정춘수의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그의 감리교 성도 지위를 박탈하고 목사직을 파면하여 출교하였다. 정춘수는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기보다는 당시 어쩔 수 없이 일제에 협력하는 척했을 뿐이라고 변명했다. 1949년 조원환의 권유로 명동성당에서 영세를 받고 천주교로 개종했으며, 한국 전쟁 발발 후 고향에 피난해 있다가 사망했다.[7]

3. 논란과 비판

정춘수는 3·1 운동에 참여하여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활동했지만, 1930년대 이후 변절하여 친일 행위를 한 것에 대해 많은 논란과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말기에 신사참배 강요에 앞장서고, 내선일체를 주장하는 등 적극적으로 일제에 협력한 점은 비판의 대상이 된다.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전향 성명을 발표한 후, 국민총력조선연맹, 조선임전보국단, 조선전시종교보국회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1] 일본군을 위한 기도, 국방헌금 모금, 교회 종 헌납 운동 등을 주도했으며,[1] 1944년에는 비행기 헌납을 위해 교회 재산을 매각하기도 했다.[2]



해방 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었고, 감리교단 내부에서도 그의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이 거셌다.[3] 그러나 정춘수는 자신의 행위를 변명하며 반성하지 않았다.[3]

3. 1. 친일 행적 상세

정춘수는 1930년대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전향 성명을 발표한 이후 친일 행적을 보였다.

1941년 친일단체인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 위원을 역임했다.[1] 같은 해,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으로도 활동했다.[1] 1944년에는 조선전시종교보국회 이사로 활동하며, 개신교 신자들이 일본군에 지원하도록 독려했다.[1]

그는 일본군을 위한 특별 기도를 주도하고, 애국헌금과 무기 제조를 위해 교회의 쇠붙이를 헌납하는 운동을 벌였다.[1] 1944년에는 태평양 전쟁에 비행기를 헌납하기 위해 감리교 산하 일부 교회를 매각하여 비행기 3대를 구입하여 헌납했다.[2]

또한, 신사참배 강요에 앞장섰으며, 내선일체 정책에 순응할 것을 주장했다.[1]

3. 2. 비판과 반론

정춘수의 친일 행적에 대해서는 감리교회 내부로부터 반발이 많았다. 해방 후 1947년에는 감리교회 재건파에 의해 『감리교회 배신배족 교역자 행장기』가 발간되었다.[3]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는 정춘수를 체포하여 2개월 동안 구금했다.[3]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정춘수를 포함시켰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또한 조사 대상자 명단에 그를 올렸다.

감리교회 내에서는 정춘수의 친일 행적에 대한 거센 비판이 이어졌지만, 정춘수는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고, 당시에는 부득이하게 일제에 협력하는 척했을 뿐이라고 변명했다.[3]

4. 사후 평가

정춘수는 일제 강점기에 적극적인 친일 행위를 하여 해방 이후 비판을 받았다. 청주 삼일공원에 동상이 설치되었으나, 친일 행적에 대한 항의로 철거되었다.[1]

4. 1. 동상 철거

청주 삼일공원에 설치되었던 정춘수 동상은 충북 출신 민족대표 33인손병희, 신석구, 권동진, 권병덕, 신홍식과 함께 설치되었으나, 친일 행적에 대한 항의로 1996년 2월 8일 시민들에 의해 철거되었다. 받침대에는 철거 사실을 설명하는 문구가 남겨졌다.[1] 철거된 동상은 청주종합운동장 창고에 방치되어 있다고 한다.[1]

손병희, 권병덕 선생이 동학농민혁명과 교육사업을 통해 민족을 위해 헌신한 것과 비교하면, 정춘수는 적극적인 친일파로 변절하여 이들과 비교할 수 없다. 정춘수는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2008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2009년)에 모두 포함되었다. 기독교대한감리회2005년 광복 50주년 기념 자료집에서 선정한 감리교 내 친일 부역자 12명 중에도 포함되었다.[8]

4. 2. 친일파 명단 등재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2008년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기독교대한감리회가 2005년 광복 50주년 기념으로 펴낸 자료집 《하나님에게만 희망을 두고 살아라》에서 선정한 감리교 내 친일 부역자 명단 12명 중에도 들어 있다.[8]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사람과 풍경] 친일 흔적 씻고 역사공원 날갯짓 - 청주 3·1공원 내년 90돌 ‘새옷’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7-24
[2] 서적 숭의교회 75년사 인천숭의교회 1992-10-25
[3] 서적 기시다는 아베의 개 홍성사 1993-05-01
[4] 뉴스 감리회, 교단 내 친일인사와 독립운동가 명단 발표 - 광복 60주년 기념 예배자료집 발간…친일인사 선정 근거 없고, 교단 차원 친일은 빠져 http://www.newsnjoy.[...] 뉴스앤조이 2005-08-06
[5] 뉴스 [사람과 풍경] 친일 흔적 씻고 역사공원 날갯짓 - 청주 3·1공원 내년 90돌 ‘새옷’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7-24
[6] 서적 숭의교회 75년사 인천숭의교회 1992-10-25
[7] 서적 일본개신교회사 홍성사 1993-05-01
[8] 뉴스 감리회, 교단 내 친일인사와 독립운동가 명단 발표 - 광복 60주년 기념 예배자료집 발간…친일인사 선정 근거 없고, 교단 차원 친일은 빠져 http://www.newsnjoy.[...] 뉴스앤조이 2018-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