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52년 10월 1일에 실시되었으며, 사회당 좌우파의 분열과 정치 지형 변화를 배경으로 치러졌다. 총 466석의 의석을 두고, 1,242명의 후보자가 경쟁했으며, 투표율은 76.43%를 기록했다. 그 결과,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당이 240석으로 원내 제1당을 유지했지만 과반 확보에는 실패했다. 선거 이후 요시다 시게루는 제4차 내각을 구성했으며, 공직 추방 해제와 혁신 세력의 한계 등 사회 변화와 정치 지형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10월 - 백마고지 전투
    백마고지 전투는 1952년 한국 전쟁 중 철원 서북방 395고지(백마고지)를 두고 국군 제9보병사단과 중공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10일간 12차례의 공방전 끝에 국군이 승리하여 한국군 증강에 기여했으며, 격전으로 산의 모습이 백마와 같아 백마고지로 불리게 되었다.
  • 1952년 10월 - 1952년 일본 시리즈
    1952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난카이 호크스를 4승 2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벳쇼 다케히코가 MVP, 요나미네 가나메가 최고 타격상, 가와카미 데쓰하루가 홈런왕을 수상했다.
  • 1952년 일본 - 제4차 요시다 내각
    1952년 10월 30일부터 1953년 5월 21일까지 존속한 제4차 요시다 내각은 요시다 시게루 총리 휘하의 자유당 중심 내각으로, 각료 교체와 료쿠후카이 소속 인사 참여, 그리고 바카야로 해산과 같은 정치적 사건이 있었다.
  • 1952년 일본 - 연합군 점령하 일본
    연합군 점령하 일본은 1945년 일본 항복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이 일본을 점령하여, 전쟁 능력 제거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비무장화, 자유화, 민주화, 경제 개혁 등을 추진했으며,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점령이 종료되었다.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도 정보
각 선거구의 당별 득표율
선거 정보
국가일본
선거 유형의회
이전 선거1949년 일본 총선거
이전 선거 연도1949년
선거일1952년 10월 1일
다음 선거1953년 일본 총선거
다음 선거 연도1953년
선출 의석 수466석
과반 의석 수234석
투표율76.43% (증가 2.39pp)
주요 정당 및 지도자
제1당 지도자요시다 시게루
제1당자유당
제1당 이전 선거 결과존재하지 않음
제1당 획득 의석240석
제1당 의석 변동신설
제1당 득표수16,938,221표
제1당 득표율47.93%
제1당 득표율 변동신설
제2당 지도자시게미쓰 마모루
제2당개진당
제2당 이전 선거 결과존재하지 않음
제2당 획득 의석85석
제2당 의석 변동신설
제2당 득표수6,429,450표
제2당 득표율18.19%
제2당 득표율 변동신설
제3당 지도자가와카미 조타로
제3당일본사회당 (우파)
제3당 이전 선거 결과존재하지 않음
제3당 획득 의석57석
제3당 의석 변동신설
제3당 득표수4,108,274표
제3당 득표율11.63%
제3당 득표율 변동신설
제4당 지도자스즈키 모사부로
제4당일본사회당 (좌파)
제4당 이전 선거 결과존재하지 않음
제4당 획득 의석54석
제4당 의석 변동신설
제4당 득표수3,398,597표
제4당 득표율9.62%
제4당 득표율 변동신설
제5당 지도자구로다 히사오
제5당노동자농민당
제5당 이전 선거 결과1.98%, 7석
제5당 획득 의석4석
제5당 의석 변동3
제5당 득표수261,190표
제5당 득표율0.74%
제5당 득표율 변동1.24pp
선거 전후 수상
선거 전 수상요시다 시게루
선거 전 수상 소속 정당자유당
선거 후 수상요시다 시게루
선거 후 수상 소속 정당자유당

2. 배경

1950년에 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실시된 최초의 총선거였다. 이 법은 이전의 중의원 및 참의원 의원 선거법을 통합하고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위원 선출에 공선제를 도입하는 등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교육위원 공선제는 1956년에 폐지).[3]

전후 일본 정치는 크게 보수, 중도, 혁신 세 축으로 나뉘어 경쟁했다. 주요 정당들의 상황은 다음과 같았다.

정당의석 수당직자
자유당 (여당)240석[3]총재: 요시다 시게루
간사장: 하야시 조지
총무회장: 마스야 히데쓰구
정무조사회장: 미즈타 미키오
참의원 의원회장: 오야 신조
개진당85석총재: 시게미쓰 마모루
간사장: 미키 다케오
중앙상임위원회 의장: 마쓰무라 켄조
당무위원장: 후카가와 에이자에몬
정책위원장: 키타무라 토쿠타로
참의원 의원회장: 오니마루 기세이
최고고문: 토마베치 기사조
일본사회당(우파)57석위원장 대행: 아사누마 이네지로
서기장: 아사누마 이네지로 (겸임)
정책심의회장: 미즈타니 나가사부로
국회대책위원장: 미야케 마사이치
일본사회당(좌파)54석위원장: 스즈키 시게사부로
서기장: 노미조 마사루
정책심의회장: 와다 히로오
국회대책위원장: 사사키 코우조
참의원 의원회장: 카네코 히로후미
노동자농민당4석주석: 쿠로다 히사오
서기장: 나카하라 켄지
일본공산당0석서기장: 토쿠다 큐이치
임시중앙지도부 의장: 시이노 에츠로
제파7석



일본공산당은 50년 문제에서 소감파와 국제파의 분열 및 51년 강령에 따른 불법 행위로 지지를 잃어, 공인 후보 전원이 낙선하여 모든 의석을 상실하였다.

2. 1. 사회당 좌우파의 분열

제23회 일본 중의원의원 총선거에서 패배한 후 열린 제4회 당대회에서 모리토 다쓰오가 당의 성격을 '국민정당'으로 규정하고, 의회주의에 근거한 반공을 주창했다. 그러자 이나무라 준조가 혁명에 의해 사회제도를 변혁하며, 때에 따라서는 공산당과의 연합도 불사하는 '계급정당'적 성격의 일본사회당을 주장했다. 이 논쟁은 결국 일본에서의 사회주의적 정책의 실현 방향에 대한 논쟁으로 발전했으며, 가쓰마타 세이이치가 제기한 '계급적 대중정당'이라는 정의로 결착이 지어지는듯 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촉발된 좌우파의 대립은 심각하게 진행되었고, 1950년 1월 16일에는 좌·우파가 분열하게 된다. 이때는 75일 후인 4월 3일의 당대회에서 다시 통일할 수 있어 대립이 종료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곧 대일강화조약의 찬반을 둘러싸고 좌우 양파가 대립하기 시작해, 1951년 10월 24일에 다시 분열된다.[1]

2. 2. 정치 지형 변화와 주요 정당

1950년에 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실시된 최초의 총선거였다. 이 법은 이전의 중의원 및 참의원 의원 선거법을 통합하고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위원 선출에 공선제를 도입하는 등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교육위원 공선제는 1956년에 폐지).[3]

전후 일본 정치는 크게 보수, 중도, 혁신 세 축으로 나뉘어 경쟁했다. 주요 정당들의 상황은 다음과 같았다.

정당의석 수당직자
자유당 (여당)240석[3]총재: 요시다 시게루
간사장: 하야시 조지
총무회장: 마스야 히데쓰구
정무조사회장: 미즈타 미키오
참의원 의원회장: 오야 신조
개진당85석총재: 시게미쓰 마모루
간사장: 미키 다케오
중앙상임위원회 의장: 마쓰무라 켄조
당무위원장: 후카가와 에이자에몬
정책위원장: 키타무라 토쿠타로
참의원 의원회장: 오니마루 기세이
최고고문: 토마베치 기사조
일본사회당(우파)57석위원장 대행: 아사누마 이네지로
서기장: 아사누마 이네지로 (겸임)
정책심의회장: 미즈타니 나가사부로
국회대책위원장: 미야케 마사이치
일본사회당(좌파)54석위원장: 스즈키 시게사부로
서기장: 노미조 마사루
정책심의회장: 와다 히로오
국회대책위원장: 사사키 코우조
참의원 의원회장: 카네코 히로후미
노동자농민당4석주석: 쿠로다 히사오
서기장: 나카하라 켄지
일본공산당0석서기장: 토쿠다 큐이치
임시중앙지도부 의장: 시이노 에츠로
제파7석



일본공산당은 50년 문제에서 소감파와 국제파의 분열 및 51년 강령에 따른 불법 행위로 지지를 잃어, 공인 후보 전원이 낙선하여 모든 의석을 상실하였다.

3. 선거 정보

이번 총선거는 1950년에 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실시된 최초의 총선거였다. 이 법은 구 중의원 의원 선거법과 참의원 의원 선거법을 통합하고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위원의 공선제 도입(교육위원 공선제는 1956년에 폐지됨)을 목적으로 하였다.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에 따른 공직추방령 폐지로 공직추방이 해제된 정치인들이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

총 1,242명의 후보자가 입후보하여 경쟁을 벌였다. 주요 정당별 입후보자 수는 다음과 같다.[3]

정당합계내역남성여성공시 전
전직신인
자유당4752561041154723285
개진당209609059206367
일본사회당(우파)109304138104530
일본사회당(좌파)9616206095116
일본 공산당10718584103422
노동자농민당11416924
소속 불명4145234109
무소속16613313216064
총계1,2433933185321,21726437
출전: 『아사히 선거대관』


3. 1. 해산 및 선거

1952년 8월 28일, 중의원이 벼락 해산(돌연 해산)되었다. 공시일은 1952년 9월 5일이었고, 1952년 10월 1일에 투표가 실시되었다. 개선수는 466석이었으며, 중선거구제(3인 선거구 40개, 4인 선거구 39개, 5인 선거구 38개)하에 비밀투표, 단기투표제로 치러졌다. 유권자는 46,772,584명 (남성: 22,312,761명, 여성: 24,459,823명)이었다.

이번 총선거는 1950년에 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실시된 최초의 총선거였다. 이 법은 구 중의원 의원 선거법과 참의원 의원 선거법을 통합하고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위원의 공선제 도입(교육위원 공선제는 1956년에 폐지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거 결과, 여당인 자유당은 240석을 얻어 간신히 과반수를 넘겼지만, 여야는 팽팽히 맞섰다. 일본공산당은 50년 문제에서 소감파와 국제파의 분열 및 51년 강령에 따른 불법 행위로 지지를 잃어, 공인 후보 전원이 낙선하여 모든 의석을 상실하였다.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에 따른 공직추방령 폐지로 공직추방이 해제된 정치인들이 출마할 수 있게 되었고, 그 대다수가 당선되어 국정에 복귀하게 되었다.

3. 2. 입후보자

총 1,242명의 후보자가 입후보하여 경쟁을 벌였다. 주요 정당별 입후보자 수는 다음과 같다.[3]

정당합계내역남성여성공시 전
전직신인
자유당4752561041154723285
개진당209609059206367
일본사회당(우파)109304138104530
일본사회당(좌파)9616206095116
일본 공산당10718584103422
노동자농민당11416924
소속 불명4145234109
무소속16613313216064
총계1,2433933185321,21726437
출전: 『아사히 선거대관』


4. 선거 결과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당은 16,810,434표(47.57%)를 얻어 240석을 확보하여 원내 제1당을 유지했다. 개진당은 6,453,028표(18.26%)로 85석, 일본사회당 (우파)는 4,057,241표(11.48%)로 57석, 일본사회당 (좌파)는 3,450,601표(9.76%)로 54석을 얻었다. 일본공산당은 896,764표(2.54%)에 그쳐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노동자농민당은 261,190표(0.74%)로 4석, 기타 정당은 952,501표(2.69%)로 7석, 무소속은 2,454,945표(6.95%)로 19석을 차지했다.[3] 총 유효표는 35,336,704표였으며, 무효 및 백지투표는 413,019표였다.

4. 1. 투표율

총 유권자 46,772,584명 중 35,749,723명이 투표에 참여하여 76.43%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이전 선거보다 2.39% 상승한 수치이다. 성별 투표율은 남성 80.46%, 여성 72.76%였다.

4. 2. 정당별 득표 및 의석

정당득표합계
득표수%+/–의석+/–
자유당16,810,43447.57+3.70240–24
개진당6,453,02818.26–0.8385+2
일본사회당 (우파)4,057,24111.4857
일본사회당 (좌파)3,450,6019.7654
일본공산당896,7642.54–7.220–35
노동자농민당261,1900.74–1.244–3
기타 정당952,5012.69–2.557–5
무소속2,454,9456.95+0.3919+7
colspan="7"|
35,336,70410004660
colspan="7"|
유효표35,336,70498.84colspan="3" rowspan="5" |
무효 및 백지투표413,0191.16
투표 / 투표율35,749,72376.73
기권11,022,86123.57
유권자46,772,584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당이 240석을 획득하여 원내 제1당을 유지했지만, 과반 확보에는 실패했다. 개진당은 85석, 일본사회당 우파는 57석, 좌파는 54석을 얻었다. 한편, 일본공산당은 당내 분열과 과격 노선으로 인해 지지 기반을 상실하여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3]

4. 3. 현별 결과


5. 선거 이후

제2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본 사회에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로 공직추방령이 폐지되면서 공직추방되었던 정치인들이 대거 정계에 복귀하여 일본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보수 세력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공직 추방 해제는 일본 사회의 민주화와 자유화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과거사 문제에 대한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1]

일본공산당은 50년 문제에서 소감파와 국제파의 분열 및 51년 강령에 따른 불법 행위로 지지를 잃어 모든 의석을 상실하는 등 혁신 세력은 한계를 드러냈다.[1]

5. 1. 정계 개편과 요시다 내각

제2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결과 자유당은 과반수 확보에 실패했지만, 여전히 원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다.[3] 요시다 시게루제4차 요시다 내각을 구성하여 정권을 이어갔다.

제15회 국회 (임시회)는 1952년 10월 24일부터 1953년 3월 14일까지 열렸다. 중의원 의장에는 오노 반보쿠(자유당), 부의장에는 이와모토 노부유키(자유당)가 선출되었다. 1952년 10월 24일 실시된 중의원 의장 선거와 부의장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의원 의장 선거 (1952년 10월 24일)득표수중의원 부의장 선거 (1952년 10월 24일)득표수
오노 반보쿠(자유당)244표이와모토 노부유키(자유당)226표 (결선 투표)
키요세 이치로(개신당)89표사에키 무네요시(개신당)210표 (결선 투표)
하라 히카루(일본사회당(좌파))59표무효17표 (결선 투표)
토미요시 에이지(일본사회당(우파))56표
무효6표



요시다 시게루 총리는 같은 날 실시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에서 247표를 얻어 재신임을 받았다.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1952년 10월 24일, 중의원)득표수
요시다 시게루(자유당)247표
시게미쓰 마모루(개신당)88표
스즈키 시게사부로(일본사회당(좌파))59표
카와카미 조타로(일본사회당(우파))56표
무효3표


5. 2. 사회 변화와 영향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본 사회에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로 공직추방령이 폐지되면서, 공직추방되었던 정치인들이 대거 정계에 복귀하였다. 이는 일본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보수 세력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공직 추방 해제는 일본 사회의 민주화와 자유화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과거사 문제에 대한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1]

일본공산당은 50년 문제에서 소감파와 국제파의 분열 및 51년 강령에 따른 불법 행위로 지지를 잃어 모든 의석을 상실하는 등 혁신 세력은 한계를 드러냈다.[1]

5. 2. 1. 공직 추방 해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발효에 따라 공직추방령이 폐지되면서, 공직추방에서 해제된 정치인들이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대다수는 당선되어 국정에 복귀하였다.[1] 이는 전쟁 이전 및 전쟁 기간 동안 활동했던 정치인들이 대거 정계에 복귀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하며, 일본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보수 세력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공직 추방 해제는 일본 사회의 민주화와 자유화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과거사 문제에 대한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5. 2. 2. 혁신 세력의 한계

일본공산당은 50년 문제에서 소감파와 국제파의 분열 및 51년 강령에 따른 불법 행위로 지지를 잃어, 공인 후보 전원이 낙선하여 모든 의석을 상실하였다.[1]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 논문 The Japanese General Election of 1952 https://www.cambridg[...] 1953
[3] 간행물 議会制度百年史
[4] 간행물 『官報号外』昭和27年10月24日 第15回国会衆議院会議録第1号 https://kokkai.ndl.g[...] 1952-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